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복수녹지의 배치가 도시내 열환경저감효과에 미치는 영향

        운용 建國大學校 自然科學硏究所 2001 建國自然科學硏究誌 Vol.12 No.-

        Through the multiple green space zone that there is more than one green space, to find the relation between the air temperature and the green space, this study observed the air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green space. Also, this study interpreted the relation between the air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of the green space, the land coverage condition and the air temperature, arrangement of green space and the air temperature, and urban area of two green space and the air temperature. The result identified that in each green space formed the lower temperature zone, and the out skirts of urban formed were the higher temperature zone. To compare the temperature for the windward and leeward to the green space mostly, the windward formed the lower temperature zone and although the wind direction is not the leeward to the green space, the temperature that observed between two green space of the urban area comparatively formed the higher temperature zone.

      • KCI등재

        退溪 性理說의 體系的 理解

        운용남(尹 用 男) 한국동양철학회 2014 동양철학 Vol.0 No.41

        退溪는 理와 氣는 서로 의지하고 도우며 항상 공존한다는 理氣相須說을 주장한다. 이에 理와 氣가 합해진 물건은 항상 理氣合의 단위로 움직인다. 여기서 理는 形而上的 所以然, 氣는 形而下的 所然의 역할을 한다. 心性論에서는 理氣說에서와 마찬가지로 性氣質相須說을 주장한다. 心은 性과 氣質의 合으로 존재하며, 항상 이것을 기본 단위로 하여 主宰ㆍ運用한다. 性은 氣質之性이 우선하고, 그후 거기서 理만 지적해낸 것이 本然之性이다. 心의 理는 率性, 즉 所當然의 도리이다. 人心은 자기 육체와 관련된 욕구를 지각한 마음이고, 道心은 인간의 도리를 지각한 마음이다. 그런데 자기 욕구는 도리에 맞게 충족되어야 하므로 人心은 道心으로 수렴된다. 子思는 情 전체인 七情이 中和에 이르도록 노력하였고, 孟子는 四端이 仁義禮智의 단서임을 밝혀 이를 확충하려고 하였으나, 전체 情中에서 半은 설명하지 않았다. 孟子 이후 千餘年 동안 아무도 이를 주목하지 않았는데, 퇴계가 四七分別說을 주장하여 이를 보충하였다. 四七分別說은 情을 인심에서 나오는 칠정과 도심에서 나오는 사단으로 兩分한다. 이는 인간의 모든 행동을 두 부류로 나눠보는 시각에 근거하는데, 하나는 자신의 육체를 관리하는 일이고, 다른 하나는 인간의 도리를 실천하는 일이다. 예를 들면 자기의 굶주린 배를 채우려는 마음은 인심이고, 이에 음식을 보고 기뻐하는 마음은 칠정이다. 굶주린 사람의 배를 채워주어야 한다는 마음은 도심이고, 이에 음식을 주려는 마음은 사단이다. 마음이 이런 생각을 하게 된 이유를 생각해 보면, 칠정은 자신의 육체 때문이고, 사단은 인간의 도리 때문이다. 칠정은 내 육체가 마음을 움직인 것이고, 사단은 도리가 내 마음을 움직인 것이다. 즉, 그들이 내 마음을 움직인 것이다. 퇴계는 그 근원을 밝혀서 氣之發과 理之發로 표현하였다가, 나중에 理氣相須說의 입장에서 ‘四端은 理가 發함에 氣가 따르고[理發而氣隨之], 七情은 氣가 發함에 理가 탄다[氣發而理乘之]’로 보충하였다. 자기의 주린 배를 채우는 것도 도리이고, 남의 주린 배를 채워주는 것도 도리이다. 이는 모두 仁한 性에서 나온다. 사단은 善하고 칠정도 善할 수 있지만, 그 가치는 서로 다르다. 즉 사단은 貴하고 칠정은 賤하니, 이것이 理貴氣賤說이다. 사단은 항상 선하지만 미묘한 도리를 알기도 어렵고, 발현하기도 어려우므로 잘 확충해야 하고, 칠정은 악으로 흐를 가능성이 있으므로 항상 정신 차려서[居敬] 잘 단속해야 한다. 退溪(李滉: 1501~1570)主張‘理氣相須說’, 這是‘理’與‘氣’爲共生共存, 互相依靠的關系的看法. 根據這個理論, 由‘理’與‘氣’合成的一切事物都以‘理氣合’爲基本單位而活動. 這裏的‘理’可以說是‘形而上的所以然’, ‘氣’則是‘形而下的所然’. 朱子以‘形氣之私’與‘性命之正’爲知覺判斷標準, 區分出‘人心’與‘道心’, 而退溪以‘形氣’與‘性命’視爲知覺判斷的原因. 可見朱子重視‘私’與‘正’, 而退溪重視‘形氣’與‘性命’. 子思以七情渾淪說爲思想基礎, 主張‘七情’要遷至‘中和’的領域; 孟子闡明‘四端’即是‘仁義禮智’的端緖, 並主張‘擴而充之’, 但同時忽視了其餘的‘情’. 這‘四端’概念孟子以後千餘年來沒受過重視, 只有退溪以‘四七分別說’補充了這個理論的未備.‘四七分別說’是把‘情’分爲出自‘人心’的‘七情’與來自‘道心’的‘四端’的理論. 這種分類與對於‘行爲’的分類有著密切的關系. ‘行爲’可分爲管理身體的、實踐道義的兩方面. 比方說, 要塡飽自己餓肚, 可以說是‘人心’, 然後看到食物喜歡的, 可謂是‘七情’; 要填飽別人餓肚, 即是‘道心’, 爲此給予別人食物, 是‘四端’. 退溪最初用‘氣之發’與‘理之發’來描述了‘四端七情’, 後來又改成了‘四端’是‘理發而氣隨之’的,‘七情’是‘氣發而理乘之’的概念. 填飽自己餓肚的是‘道理’, 填飽別人餓肚的也是‘道理’, 而這些‘道理’全部出於‘仁’的‘性’. ‘四端’的本質是‘善’, ‘七情’的本質也可以是‘善’, 但兩者的價値卻不同. 四端是貴的, 七情是賤的, 這就是所謂‘理貴氣賤說’.‘四端’總是‘善’, 但不容易明白他隱微的道理, 也不容易發, 所以一定要好好‘擴而充之’, 而‘七情’有走向‘惡’的可能性, 一定要常常以‘居敬’的態度來管理.

      • KCI등재

        자료기간 증가에 따른 확률강우량의 거동특성 분석

        안재현,김태웅,유철상,운용 한국수자원학회 2000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33 No.5

        지구온난화와 같은 기후변화로 인해 최근에 한반도에서 급증하고 있는 집중호우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12개 우량관측소 지점의 연 최대 강우량 계열에 대한 빈도해석을 실시하였다. 확률강우량의 시간적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자료기간을 30년으로 한 후 1년씩 이동하면서 l00년 빈도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고, 80% 이상의 지점에서 최근의 집중호우가 과거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료기간을 1년씩 누가하면서 100년 일최대 확률강우 To account for the influence of heavy storm in Korea by climate change like global warming, the frequency analyses for annual maximum rainfall sequence in 12 rainfall gauge stations are carried out. In order to analyze the temporal change, the rainfall qu

      • KCI등재

        世宗市 百濟 雲住山城의 築造와 運用

        운용(Jung Woon-Yong) 한국고대학회 2019 先史와 古代 Vol.- No.59

        세종시를 포함하여, 세종시를 둘러싼 천안 목천이나 청주 문의 등은 土質이 좋은 곡창이다. 또 목천은 전근대사회에서 전략 자원이라 할 수 있는 鐵과 함께 牛 馬가 많이 산출되던 곳이다. 그리고 조선시대 전의 지역의 토산으로 鐵을 언급하면서 鐵場이 있었다는 기록도 있다. 즉 전의 전동 지역은, 주변의 곡창과 함께, 철 소 말 등 생산과 군사 전략 자원이 풍부한 곳이었다. 아울러 전의 전동 지역은 공주 부여와 교통로 작전선 상에서 직접 연결 되는 곳이다. 이러한 점이 운주산성의 입지와 축조 운용 문제를 검토할 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조선시대 여러 地理志를 검토한 결과, 조선 중기 신증동국여지승람 이 편찬될 당시 지금의 雲住山은 高山으로, 雲住山城은 高山山城으로 명명되었다. 그 후 18세기 후반의 여지도서 에서는 고산이 雲注山으로, 고산산성이 雲注山城으로 개칭되었다. 여지도서 의 雲注山 雲注山城이 지금의 雲住山 雲住山城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세기 중엽에 편찬된 대동지지 는 지금의 금성산을 운주산으로, 지금의 李城과 金伊城(金城山城)을 각각 운주산북성과 운주산남성으로 표현하였다. 이는 아마 전의 전동 지역 현지에서는 당시까지 여전히 금성산을 운주산으로 관념하였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이러한 운주산성은 일부 조사된 성벽의 축조 방식에 의해 그 축조 국가를 확정하기는 곤란하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운주산성 출토 백제 토기편이나 기와편에 주목하였다. 특히 일정한 크기의 성돌을 사용하여 정교하게 이루어진 축성은 백제 중앙의 기술이 적용된 것으로 이해하였다. 또 內城 수습 백제 기와편에 주목하여 운주산성의 축조는 백제에 의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아울러 삼국사기 를 참고하여 운주산성은 백제 무왕 때인 630년을 전후한 시기에 백제가 신라나 고구려의 침공을 사전에 차단하고자 하는 의지의 표출로 축성한 것이라 추정하였다. 즉, 운주산성은 백제 무왕 때 웅진에 대한 방어를 강화함으로써 사비 도성을 보호하고자하는 군사적 측면에서 축조된 것이라 여겨진다. 이때 높은 산에 입지한 운주산성은 공주 부여 지역으로 진군하고자 하는 신라나 고구려의 군사적 압력에 대하여 대규모 산성의 존재를 과시함으로써 적의 예봉을 사전에 차단하고자 하는 백제의 입장이 반영된 것이라 본다. 또 운주산성의 내성에는, 지금의 西門과 연관하여, 산성 전체를 지휘하는 지휘부 건물이 입지했을 것이라 추정해 보았다. Including Sejong City(世宗市), Choenan Mokchoen(天安木川) and Cheongju Moonui(淸州文義) and others surrounding the city have good soil quality. Also, Mokchoen is the place where iron, cattles, and horses that can be used as a battle resource are produced abundantly. In addition, iron was a regional speciality in Jeonui(全義), and there is a record that the region had an iron field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朝鮮時代). In other words, Jeonui Jeondong(全東) Area was surrounded by granary zone, moreover, there were plenty of military strategic resources such as iron, cattles, and horses. Besides, Jeonui Jeondong Area was the region directly connected to Gongju(公州) Buyeo(扶餘) as a traffic route and lines of military operations. These points should be considered when viewing the location, foundation, and operation of Unju Mountain fortress. Meanwhile, investigating multiple geographies of Joseon Dynasty, Unju Mountain and Unju Mountain fortress were named as Go Mountain(高山) and Go Mountain fortress(高山 山城) according to Shinjeung Donggukyeojiseongram( 新增東國輿地勝覽 ) in the mid- Joseon. Then, according to Yeojidoseo( 輿地圖書 ) in the latter part of the 18th century, Go Mountain and Go Mountain fortress were renamed Unju Mountain(雲注山) and Unju Mountain fortress(雲注山城). Unju Mountain(雲注山) and Unju Mountain fortress(雲注山城), mentioned in Yeojidoseo, is the Unju Mountain(雲住山) and Unju Mountain fortress (雲住山城) we know in the present. Even so, Daedongjiji( 大東地志 ), compiled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clarified the currently called Geumseong Mountain(金城山) as Unju Mountain(雲住山), and named Yiseong(李城) and Geumseong Mountain fortress(金城山城) as North Unju Mountain and South Unju Mountain fortress each. This is probably resulted from the idea in Jeonui Jeondong Area themselves that Geumseong Mountain is Unju Mountain. There is difficulty to ascertain the construction country of Unju Mountain fortress only with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fortress wall which was partially investigated. Therefore, in this article, attention is paid to the several buildings and roof tiles excavated at Unju Mountain fortress. Particularly, it is understood that using a certain size of bricks for a fortress based on the application of main technology, and focusing on the pieces of roof tiles that were collected from the inner fortress(內城), the construction of Unju Mountain fortress is based on Baekje(百濟). Also, considering the record of Samguksaki( 三國史記 ), Unju Mountain fortress was built during the time of King Moo(武王) in about 630 to express the intention to shield from the invasion of Goguryeo and Shilla beforehand. In other words, it is considered that Unju Mountain fortress was built for the military purpose to protect the capital city Sabi(泗沘) by strengthening the defense ability of Woongjin(熊津) in the period of King Moo. Unju Mountain fortress, located on a high mountain, is regarded as a reflection of purpose of Beakje that the massive fortress, showing off the existence itself against the military force of Silla and Goguryeo trying to march on Gongju Buyeo Area, would block the enemy s sharp attack in advance. In addition, it is estimated that the control tower which commanded the whole fortress was located inner fortress.

      • KCI등재

        淸原 南城谷 高句麗 山城의 築造와 運用

        운용 동북아역사재단 2013 東北亞歷史論叢 Vol.- No.39

        This paper examines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Koguryo’s Namseong Gol Mountain Fortress in Bugang-ri, Buyong-myeon,Cheongwon-gun, North Chungcheong Province. As noted in the investigation report, Koguryo constructed the mountain fortress in the middle or the latter half of the fifth century. Nevertheless, not as reported earlier, the advance of Koguryo power to Cheongwon in order to construct the Namseong Gol Mountain Fortress occurred through the Chungju and Jungwon districts. This understanding is based on the view that Baekje ruled Hanseong at that time. Koguryo’s maintenance of the Namseong Gol Mountain Fortress,done hurriedly with wooden barricades, seems to have been soon ended. Further, the main defense of the mountain fortress must have been undertaken toward the north. The Baekje-related articles excavated at the mountain fortress show that Baekje dominated the mountain fortress after Koguryo had retreated. It is possible that Koguryo forces in the mountain fortress were defeated by Baekje forces that maintained the Baekje mounds in Sinbong-dong, in Cheongju, and also by the joint resistance of Baekje’s Temoe Mountain Fortress in Bugang-ri, near the Namseong Gol Mountain Fortress, and the area around Yeongi-gun. The reason Koguryo power’s left Baekje remains unclear; the allied army of Baekje and Silla may have affected that, too. These points lead to the conclusion that Koguryo power was taking control of administration in the area north of today’s Seoul and the Chungju and Jungwon districts, and Baekje in the rest of the area when Koguryo was about to attack Baekje’s capital at Hanseong. Thus the historic importance of Koguryo’s Namseong Gol Mountain Fortress is related to the Jungwon Koguryo Monument and is the reflection of Koguryo’s intent to expand its military power into the central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남성골 산성은 5세기 중 · 후반에 고구려에 의해 축조되었다. 당시 백제는 한성(서울) 지역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고구려에 의한 남성골 산성의 축조는 북쪽 방면으로부터의 진출이 아니라, 충주 · 중원 지역으로부터의 진출에 의한 것이었다. 그러나 목책 등으로 서둘러 축조한 남성골 고구려 산성이 고구려에 의해 유지되었던 기간은 비교적 짧은 기간이었다고 판단된다. 아울러 남성골 산성 출토 백제 관련 유적 · 유물이나 수혈 구덩이의 토층 퇴적 상태는 남성골 산성이 고구려의 퇴각 이후 백제에 의해 장악되었음을 보여준다. 이때 남성골 고구려 산성의 고구려 세력은 청주 신봉동 백제 고분군을 유지하던 백제 세력에 의해 퇴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남성골에서 고구려 세력이 백제의 의해 퇴출되었던 이유는 아직 불분명하지만, 보은 삼년산성 축조 등 나제 동맹군의 군사활동에도 그 영향이 있었을 것이라 보인다. 이처럼 따라서 백제 한성 공략을 전후한 중부지역의 고구려 세력은 지금의 서울 강북지역과 남한강 상류를 이용하여 충주 · 중원지역을 장악하고 있었으며, 여타의 지역은 백제가 장악하고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결국 남성골 고구려 산성의 역사적 의미는 중원고구려비의 존재와 상관성을 갖으며, 중원지역을 중심으로 한반도 중부지역에 군사적 영향력을 확장하려던 고구려 세력의 반영으로 판단된다.

      • KOMPSAT-1 EOC영상을 이용한 정사영상생성의 정확도 향상

        운용,이현우,정공운 東亞大學校 建設技術硏究所 2001 硏究論文集 Vol.25 No.2

        KOMPSET -l(Korea Multi - Purpose SA Tellite-1) Platformed EOC(Electro –Optical Camera) could collect high resolution images of 6.6m during photograph, it possible for get on tilt image on the lean about 45 degrees on satellite body. According as, it has possibility that we take a photographing pair of tilt image about same place from two of different orbits. KOMPSA T-1 sensor of mission is the Korean map drawn on a scale of 1: 25,000 image becoming. Following study, KOMPSAT-1 platformed automate feature extraction and using of stereo satellite image, it certify interpret through reducing influence of sensor, rid of preprocessing, also, we intend to discuss ortho-images production of appropriateness. Because of this study, we conclude to the next in that fact. The case make use of 6, 7, 9 of ground control point evenly spread, 3-D positioning possible about horizontality, verticality of location as a 95% of reliance rate ,in case nine of ground control point, RMSE 6.0752m, 9.8274m. In case of ortho-image RMSE 17.568m, elevation error become 36.82m. Elevation accuracy is inferior as compare with positioning accuracy. Because it analyzed by image matching probl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