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석기시대후말기 이중구연토기의 지역적 전개양상

        천선행(Cheon, Seonhaeng) 한국상고사학회 2011 한국상고사학보 Vol.72 No.-

        필자는 신석기시대 후말기 이중구연토기 형성과정과 전개양상을 재검토함으로써 신석기시대에서 무문토기시대로의 전화과정을 복원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본고는 한반도 남부지방 신석기시대 후말기 이중구연토기를 대상으로 지역편년과 병행관계를 설정하여, 이중구연토기가 어떻게 전개되는지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역별 이중구연토기 편년수립과 병행관계를 검토하여, 남해안지역 이중구연토기를 봉계리단계, 수가리단계, 율리단계로 세분하였으며, 내륙지역에서는 후기후엽(봉계리단계), 말기전반, 말기후반으로 편년하여 각각 이 병행함을 밝혔다. 이러한 병행관계를 바탕으로 이중구연토기는 후기말엽에 내륙지역의 소백산맥 이동권에서 출현하여, 주변지역과 남해안지역으로 확산되지만, 해당지역의 재지성에 따라 유적마다 봉계리식토기를 선별적으로 도입함을 밝힐 수 있었다. 남해안지역 동부권에서는 재지의 태선침선문 전통과 결합하여 남해안식 이중구연토기가 출현하는데, 이 시점부터를 말기로 파악하였다. 말기전반에 남해안식 이중구연토기는 소백산맥 이동권과 내륙지역 동부권으로만 전개되는데, 이는 남해안지역 중부권에 이전의 봉계리식전통이 강하게 남 아 있어 상대적으로 님해안식 이중구연토기의 유입이 용이하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후 말기후반부터 님해안식 이중구연토기가 성행하는 남해안지역 동부권과 봉계리식토기 전통이 잔존하는 남해안지역 중부권의 지역성을 바탕으로 두 가지 전개양상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이중구연토기문화권 형성은 당시 집단의 강한 이동성을 바탕으로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외부 요소에 대한 규제가 완화되는 상황을 초래하였으며, 아울러 한반도 신석기시대 전통에서 나타나지 않던 새로운 문양 요소와 기종들이 확인되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새로운 문화유입과 더불어 한반도 남부는 신석기시대에서 무문토기시대로 전환된다고 추정하였다. I am trying to find a clue solving the changing process from Neolithic age to Bronze age, by restudying Double-limed Pottery’s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This paper aims to figure out how the Double-rimed pottery had been developed, through setting its the local chronology and parallel relationship at the last period of Neolithic Age in south province of Korea Peninsula. As a result, the Double-limed pottery has been divided to 3 phase(Bonggaeri phase, Sugari phase, yulri phase) in the southern coast region and the southern interior region, each phase is at the same time. Based on above parallel relationship, It was confirmed that the Double-rimed pottery had been appeared at the southern interior region in the latter Neolithic period and spreaded to surroundings and the southern coast region. but Bonggaeri type pottery including the Double-limed pottery was accepted in the southern coast region according to a local peculiarity. In the first part of the late Neolithic period, the southern coast type Double-rimed pottery was spread to the eastern part of southern interior region. Because it was not easy that the southern coast type Double-limed pottery enter to the central part of the southern coast region in that previous Bonggaeri type had remained strongly, and then the southern coast type Double-limed pottery is spread to the each southern coast region. The Double-rimed pottery’s cultural area was formed with strong migration, and then it led to conditions that outside factors like new design pattern and new kind of pottery easily enter the Doublerimed pottery’s cultural area. At such time, the Neolithic age was changed over to Bronze age with inflow of new culture.

      • KCI등재

        호남지역 신석기시대 유적 동태와 의미

        천선행(Cheon seonhaeng),정다운(Jeong dawoon) 한국상고사학회 2017 한국상고사학보 Vol.96 No.-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tial distribution, climate change, ecological environment, and excavated artifacts (stone composition), etc. of the Neolithic ruins in Honam area, and examines the movement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re¬mains of the Neolithic period in Honam area. As a result, the early remains of the Neolithic period in Honam area are confined within the southwestern coast. In addition to the formation of the same cultural area as the southern coastal area, the ruins have expanded to the middle southwest coastal re¬gion in the first half of the period. This re-confirmed that Yongson-dong’s earthenware culture spread to the southern coastal area. After the middle period, cultures of the south coast region, Geum River Basin, south¬ern inland area, and the southern coastal region are mixed at the same time in Honam area. Mainly, the two cultural paths that showed the ripple of dominance were [Southern inland area – Honam inland – middle southwest coastal region] and [South coast – Southwest coast]. On the other hand, the phenomenon of ruins rapidly declining in Honam area during the middle period was already seen as a result of mid-scale off-shore activities. The decline of the ruins is a result of a combination of factors such as cold weather, millet farming, and disconnection of information from the southern coast. In the process, the native Neolithic people were kept alive using shell mounds, or transferred to the inland. Though the southern inland culture was introduced, most of them were forced to leave the area of Honam. This complex pattern and selection of native Neolithic people is presumed to have created the middle period of the Honam area which differentiated Honam from other areas of the Korean peninsula. Finally, in the concluding late period, the ruins increased again, especially in the late period as the ruins of shell mounds in the southwest coastal area prominently in¬creased. This is seen as a result of the influx of late groups in the Neolithic era from areas such as the south coast region, southern inland region, and Chungcheong region. In addition, towards the late period, the ratio of excavated earthenware pottery from the middle southwest coast of and Honam inland was low, and the number of ruins be¬came stagnant or declining as farming, which was centered on the team leader, be¬came unstable after the middle period. In the westsouth coasts, the ruins of shell mounts increased. In contrast to the fact that the sites were used as an occupational base, middle stopover, and exchange base in the early/middle period, it was assumed that the sites were only occupied for a lim¬ited period of time as a place for living resource acquisition rather than for long-term residence at the end period. These changes in the way of life towards the end period were a result of the decline in agriculture and hunting and thus led the groups going back to their migratory way of life. Based on the examination abov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Neolithic culture of Ho¬nam area was a dynamic culture that changed according to the cultures of the neigh¬boring areas, rather than being a unique culture that resulted from the long-term set¬tlement of the groups. 본고는 호남지역 신석기시대 유적의 공간적 분포와 기후변화, 생태환경, 출토유물(석기구성) 등과 의 관계를 검토하여 호남지역 신석기시대 유적 동태와 전개과정을 검토한 것이다. 그 결과, 호남지역 신석기시대 조기 유적은 서남해안지역에만 한정되고, 남해안지역과 동일문화권을 형성한 점, 전기에는 남해안지역 영선동식토기문화가 파급되어 중남서해안지역까지 유적이 확대 됨을 재확인하였다. 중기 이후 호남지역으로 중서해안•금강유역•남부내륙•남해안지역 문화가 동시 에 복합적으로 유입되는데, [남부내륙-호남내륙-중남서해안], [남해안-서남해안]으로의 두 문화파급 경로가 지배적이었다고 보았다. 한편, 중기에 호남지역 유적이 급감하는 현상은 [전기 말-중기]에 걸친 한랭화, 잡곡농경에 대한 정보인지, 남해안으로부터의 정보 단절이라는 복합적 요인에 따른 결과이며, 그 과정에서 토착 신석 기시대인들은 일부 패총으로 명맥을 유지하거나 내륙으로 진출하고, 남부내륙문화가 유입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호남지역 이탈이라는 선택을 강행하였다고 보았다. 이러한 복잡한 양상과 토착 신석 기시대인들의 선택이 한반도 여타지역과 차별화된 호남지역의 중기 모습을 낳았다고 추정하였다. 마지막으로 후•말기에는 유적이 다시 증가하는데, 이는 남해안지역 및 남부내륙지역, 충 청지역으로부터 신석기시대 후기집단들이 유입된 결과로 보았다. 한편, 말기에 중남서해안 및 호남내륙지역에서 이중구연토기의 출토비율이 적고, 유적 수가 정체하거나 감소하고 있어 중기이후의 조•기장을 중심으로 한 농경이 불안정해지기 시작하였다고 보았다. 서남해 안지역에서는 패총유적이 두드러지게 증가하는데, 이 지역 조•전기에 생업 근거지•중간 기착지•교류 거점지가 확인되었던 데 비해, 말기에는 모두 장기거주라기보다 생계를 위해 한시적으로 점유되었다고 추정하였다. 말기의 생업방식 변화는 농경 및 수렵에 대한 비중 이 더욱 약화되면서 이동성이 강한 생활로 복귀하였다는 견해를 뒷받침한다. 이상의 검토를 통해 호남의 신석기시대문화는 신석기시대 각 집단들이 오랜 기간 정착하여 이룩한 독특한 호남만의 문화라기보다 주변지역 문화에 연동하여 변동하는 역동적인 문화였다고 평가하였다.

      • KCI등재

        선사시대 한일 대외교류의 통시적 검토

        천선행(Cheon, Seon haeng) 한국상고사학회 2021 한국상고사학보 Vol.114 No.114

        본고는 기존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시기별 교류 지표의 수량, 범위, 분포상을 검토하여, 교류 추이와 배경을 검토한 것이다. 그 결과, 교류 지표는 신석기시대 동안 특산물을 포함하여 도구 및 원자재, 장신구, 토기가 중심이었다가, 청동기시대에는 특정 재화보다 벼와 같은 특산물로 전환되고, 토기문양 등 상징의 정보전달이 수반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 변화에는 한반도에서 청동기시대로 진입하여 흑요석을 필요로 하지 않는 생업경제와 마제석기의 확산, 상이한 관념체계에 이유가 있다고 보았다. 교류양상에 대해서는 신석기시대 조·전기에 활발한 외양성 어로활동을 바탕으로 양 지역의 접촉이 긴밀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대마도를 접촉지대로 이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남해안 각 집단과 서북규슈 각 집단과의 개별적인 교류관계가 형성되었다고 보았다. 중기부터는 교류 빈도가 줄어들고 특정 집단을 교류 창구로 이용하고 그 양상이 후·말기까지 지속된다. 다만 중기와 후·말기 교류양상의차이는 특정 집단을 교류창구로 하여 유입된 재화들이 다시 주변집단으로 재파급되는 유통구조에 있다고 추정하였다. 청동기시대에는 다시 한반도 각지와 서일본 각지와의 다원적 관계가 형성되나, 신석기시대와 같은 교환체계보다는 인적 교류, 정보 전달과 같은 전파양상에 가깝다. 변화 배경으로 청동기시대 지역문화 형성과 전개, 규슈지역으로 파급되는 서일본 문화의 영향, 조몬 후기후반부터 진행되는 무문화를 들 수 있으며, 한반도계 문양요소는 교류가 긴밀했던 지역보다 그 주변에서 수용되고 지역 집단에 융화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quantity, range, distribution of exchange index by period, and investigate development in exchange by time and background, especially based on existing research findings. Consequently, it’s assumed that the exchange index focused on tool, raw materials, accessory, and earthenware including specialties during the Neolithic age, while it converted to specialty like rice, rather than specific commodities, accompanied with symbolic information transmission like pattern of earthenware. The changes in the exchange index resulted from subsistence economy which does not require obsidian, expansion of polished stone tool, and different ideal system in the Korean Peninsula entering into the Bronze Age. As to the exchange aspects, there were close, active exchanges between two regions based on oceanic fishing activity in the early days of the Neolithic age. Daemado was used for contact and there’re individual exchanges and relationship between groups located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and northwest Kyushu. The exchange frequency decreased from the middle period and specific group was used as a bridge of exchange, which continued until the latter period. However, the difference in the exchange aspects between the middle and latter period arose from the difference in distribution structure as the commodities imported through specific group as a bridge of exchanges got spread toward surrounding groups. In the Bronze Age, the plural relationship was established again between various region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Western Japan, which is rather close to personal exchange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not exchange system like in the Neolithic age. The background on this changes were as follows;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in the Bronze Age, influence of Western Japanese culture spread out toward Kyushu and culture starting from latter Jōmon Period. And the pattern elements that comes from the Korean Peninsula was assumed to be accepted by surroundings, rather than regions with active exchanges and also, harmonized in the regional group as a symbol of exchange.

      • KCI등재

        고김해만을 둘러싼 해수면변동 재고

        천선행(Cheon, Seon-haeng) 부산고고학회 2010 고고광장 Vol.- No.6

        신석기시대 해수면 변동연구는 김해 수가리패총에서 확인된 패각마모층에서부터 비롯된다. 그러나 패각마모층 형성과 관련된 성인의 검증과정이 충분하지 못하고, 고김해만 주변에서 해발고도가 7m까지 상승하였다는 결과도 부족하기 때문에, 그대로 받아들이기 어렵다. 본고에서는 먼저 해수면 변동양상을 엿볼 수 있는 현상을 열거하고 그 한계점을 정리하였다. 이러한 자연과학적 방법의 활용가능성과 한계점을 인식하고, 고김해만을 둘러싼 해수면변동 연구성과를 재정리하여, 신석기시대 해수면 변동양상을 추정해보았다. 다만, 본고에서 해수면 변동은 고고학적으로 혹은 자연과학적 방법으로 측정된 연대측정결과가 있는 시점에서만 복원이 가능하고, 대부분의 연구가 6000B.P.전후와 4300B.P.(4100B.P.)전후, 4000B.P.이후에 집중된다. 그리고 최근에 증가된 자료를 종합하여, 각 시점별 해수면 높이 범위 폭을 설정하였다. 그 결과, 수가리패총이 위치하는 낙동강 삼각주평야의 6000B.P.전후에 해수면은 -1.3~1.153m에 존재하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후 5000B.P.까지는 해수면이 소폭 진동하면서 어느 정도 안정화 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4300B.P.(4100B.P.)에 해수면은 -0.4~2m사이에 존재하였을 가능성이 많다. 4000B.P.이후 해수면이 약간 하강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나 양호한 자료가 확인된바 없어 더 이상의 검토는 어렵다. 삼한시대 이후 해수면이 다시 상승하는데, 예안리유적 부근에서 사주가 형성되고, 율하-관동리유적에서 잔교시설이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해수면은 2.6m에 이르렀다가 이후 기수역화가 진행된다고 판단된다. 앞으로의 자료증가에 따라, 각 시점별로 제시한 해수면 범위 폭은 더욱 좁아질 것으로 기대한다. The study on sea-level changes in Neolithic age started from confirming Layers of abraded shells found at Sugari shell-midden. But, It is not acceptable that way because there isn’t enough inspection to clear the source of forming abraded shells, and the evidence is not enough that the sea-level rose up to 7m around Paleo-Gimhae bay. In this paper, I tried to re-examinate the existing studies on sea-level changes of Gokimhae bay, and then presumed the change process of sea-level in Neolithic period. But The sea-level can be reconstructed at the point of time being results of C14 dating, so that most of studies are concentrated at about 6000B.P., 4300B.P.(4100B.P.) and after 4000B.P.. Using these studies and lately added Archaeological materials, I tried to make a settlement of the range of Sea-level at each point of time studied and measured. As a result, It is supposed that the sea-level around 6000B.P. was in the range of -1.3~1.153m in the Nakdong River delta located at Sugari shell-midden. after then until 5000B.P., It is thought that the sea-level had become calm swinging in narrow limits. About 4300B.P.(4100B.P.), The sea-level must have existed in -0.4~2m. Since 4000B.P., The sealevel showed a little falling down, but It is difficult to give a more investigation for no more good data. It is presumed that the sea-level rose up to 2.6m again and before long became brackish water after Three-Han period, through a sandbar was made adjoining Yeanri site and a landing pier facility has found in Yulha-Gwandongri site. The range of sea-level at each time suggested above is going to be narrow according to an increase in data.

      • KCI등재

        상마석상층문화의 시 · 공간과 문화성격

        천선행(Cheon Seonhaeng) 동북아역사재단 2023 東北亞歷史論叢 Vol.- No.82

        이 글은 동검문화의 다양한 기층문화를 확인하고 당시의 다양한 지역관계를 엿보는 데 상마석상층문화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한다는 입장에서 작성되었다. 상마석상층문화의 세분편년, 주변 지역 유적과의 비교를 통해 기존 성과를 흡수하면서 상마석상층문화의 문화적 특질과 그 형성과정 및 공간성을 시점별로 파악하려 하였다. 그 결과, 상마석상층문화는 이중구연관 및 횡대구획문이 시문된 호형토기를 특징으로 하며, 이중구연관이 중심인 벽류하 하류역 및 요동반도 동안 일대의 이중구연토기문화를 바탕으로 쌍타자문화의 대취자유형과의 관계 속에서 출현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상마석상층문화가 출현하기 전, 요동반도는 요동반도 남단의 쌍타자문화, 그리고 그 이북의 이중구연을 중심으로 한 토기문화로 대별되었으며, 요동산지 일대 마성자문화 등 다양한 지역문화가 전개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지역 관계는 쌍타자문화가 쇠퇴하고 상마석상층문화가 성립하면서 전환기를 맞게 되는데, 바로 요동반도 남단까지 아우르는 이중구연이라는 동질적 문화권이 형성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중구연과 공반하는 유물 및 무덤구조의 차이가 분명하여, 요동반도 남단 일대의 상마석상층문화, 태자하유적의 마성자문화, 신성자문화, 그리고 그 사이에 석붕을 중심으로 한 쌍방유형이 점이지대적 문화로 존재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동질적 이중구연토기문화 권으로 동검문화가 유입되어 파급되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This article assumes upper Shangmashi culture takes a significantly prominent position in examining various basic cultures in the bronze dagger culture and looking over different local relations at that time. Subdividing upper Shangmashi culture chronologically and comparing it to other remains in surrounding area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cultural traits, how it’s developed and spatiality over time based on existing research findings. It turns out upper Shangmashi culture features jar-shape pottery with double rim and horizontal pattern and it makes its appearance in the relationship with Dazuizi type of Shuangtuozi culture, specifically based on the double-rimed pottery culture in the downstream of Biliu River and eastern Liaodong Peninsula where the double-rimed pottery is dominant. Before upper Shangmashi culture comes into being, Liaodong Peninsula could be classified into Shuangtuozi culture in the southernmost area of Liaodong Peninsula and double-rimed pottery centered culture of the north. Also, various local cultures are developed in the mountain land of Liaodong including Machengzi culture. As Shuangtuozi culture declines, followed by advent of upper Shangmashi culture, such local relations begin to turn around. It’s faced with homogeneous culture area, called ‘the double-rimed pottery’ that encompass even southernmost area of Liaodong Peninsula. For a clear difference between relic and tomb structure that appear with the double-rimed, upper Shangmashi culture in the southernmost part of Liaodong Peninsula, Machengzi culture of relics found in Taizi River, Xinchengzi culture and Shuangfang culture in between characterized by table stones work as a transitional zone. And this study assumes that bronze dagger culture is drawn to such homogeneous double-rimed pottery culture and spreads out.

      • KCI등재

        청동기시대 조기설정 재고

        천선행 ( Seonhaeng Cheon ) 호남고고학회 2015 湖南考古學報 Vol.51 No.-

        청동기시대 조기설정 연구는 전환과정을 설명하는 연구와 별도로, 고고학적 자료를 시공간적으로 이해한다는 측면에서 다루어져 왔다. 그러나 조기에 문화사적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신석기시대 후말기부터 청동기시대 전기까지 조망하며 전환과정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농경을 통해 전환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면, 농경민의 이주배경과 토착민의 대응이라는 한반도 내외적 상황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청동기시대 조기의 내용을 재검토하여 수정하면서 고고자료상에서 전기문화와의 차이점을 재확인하였다. 그리고 기후변화, 지역관계, 농경지 확보와 인구불균형 등의 복합적 계기로 농경민이 한반도로 이주하였다고 추정하였다. 이에 토착 신석기시대인들은 배타적 토지점유방식으로 인해 어쩔 수 없이 농경을 선택하는 수동적인 방식이 아니라, 농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며 수렵채집민에서 농경민으로 전환한 것으로 보았다. 나아가서 청동기시대의 도작은 신석기시대보다 집약화되고, 토착민들은 도작에 필요한 도구제작 기술 및 벼 재배기술을 익혀야한다고 보고 도작농경으로의 시도 및 적응기간이라는 측면을 조기설정 의미로 부여하였다. 이후 본격적으로 농경사회 체제로 전환할 것을 결정한 수렵채집민은 농경에 적합한 새로운 물질문화를 만들어 가고, 결국 도작농경이 한반도 남부 전역으로 광역화되며 물질자료가 한반도화를 거쳐 확산되는 시기를 전기로 보았다. Research on the initial phase of the Korean Bronze Age has been conducted mostly in the culture-historical framework.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cultural implications of this phase, however, it is necessary to hold a broader temporal perspective that encompasses the late and terminal phases of the Neolithic period and the early phase of the Bronze Age. Furthermore, in order to understand this transition in relation to agriculture, various social factors such as the migration of agriculturalists and the reaction of indigenous people need to be carefully considered. This study re-examines the archaeological data of the initial phase of the Bronze Age to find a considerable difference from those of the early phase. It is postulated that agriculturalists migrated to the Korean peninsula due to a web of reasons such as environmental changes, social conflicts, search for arable lands, and/or population-resource imbalance. The indigenous Neolithic population is viewed as people who actively adopted agriculture rather than being forced to accept a new subsistence strategy due the emergence of exclusive land ownership. The initial phase was a time of trial and error, which enabled people to intensify rice agriculture and master agricultural tool making. After the decision has been made by the indigenous population to make a transition to a full-fledged agricultural society, rice agriculture and the related culture spread across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temporally corresponds to the early phase of the Bronze Age.

      • KCI등재후보

        논문 : 한반도 무문토기문화 형성기의 중국동북지역과의 관계

        천선행 ( Seon Haeng Cheon ) 호남고고학회 2014 湖南考古學報 Vol.48 No.-

        한반도 무문토기문화는 급격하고, 다양하게 전개된다. 이러한 복잡성과 다양성의 이면에는 인접하는 요동반도 토기문화의 지역관계 변동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인식하에, 무문토기문화의 형성과 전개가 중국동북지역 토기문화의 지역관계에 연동한다는 점을 구체화시키고자 하였다. 그 결과, 신석기시대 후기에 산동용산문화가 요동반도로 유입되면서, 압록강하류 일대는 주변지적 성격이 강하다. 한반도 무문토기가 성립되는 신암리Ⅱ기부터는 쌍타자3기·벽류하 유역의 이중구연토기문화·마성자문화·고대산문화의 지역문화가 형성된다. 지역문화의 교류관계 활성화의 연장선상에서 주변문화가 복합적으로 압록강하류, 압록강중상류로 파급되고, 다시 청천강유역 및 한반도 남부로 2차 파급되어 한반도 무문토기문화가 성립한다. 무문토기문화는 신석기시대와 달리 새롭게 복합적 생업경제를 영위한 집단의 이주와 토착집단의 선택적 수용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된다. 무문토기문화 전기에는 한반도 서북부와 남부의 양상이 상이하다. 서북부 특히 청천강·대동강유역은 요동반도 남단의 지역관계 단절, 벽류하유역 일대의 이중구연중심 문화권의 확대에 따라 이중구연토기문화가 형성된다. 반면, 한반도 남부는 청천강유역 주민의 남하로 금강유역에서 형성되는 가락동유형을 제외하고, 여타지역에서는 무문토기의 비일상적 요소만 간헐적이고, 선택적으로 수용된다. 이는 농경을 바탕으로 한 공동체 유지와 관련되는 제의적 측면에만 국한되며, 비파형동검문화 단계에는 중국동북지역과의 교류관계가 정치적 측면 및 선진요소에 대한 적극적 수용이라는 필요성으로 전환된다고 추정하였다. Korean Peninsula`s Plain coarse pottery culture was developed rapidly and variously. This writing focused on an assumption that the transition in regional relationships among adjacent Liaodong Peninsula`s pottery cultures may have affected this complexity and variety. Thus, this writing tried to flesh out the connection betwee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Peninsula`s Plain coarse pottery culture` and ‘the transition in regional relationships among northeastern region of China`s pottery cultures’. As a result of the transition, in the late Neolithic Age, Longshan culture was introduced to Liaodong Peninsula. Since the Sinamri PhaseⅡ, when the Korean Peninsula`s Plain coarse pottery culture begin, the each regional culture of the third period of Shuantuozi, Biliuhe basin, Machengzi, and Gaotaishan become a localized culture. In conjunction with increase of regional cultures` inetrchanges, nearby cultures are spread into the downstream region of Amnok river and mid and upstream region of Amnok river. And these cultures are additionally spread into the Cheongcheon river basin and southern Korean Peninsula, establishing Korean Peninsula`s Plain coarse pottery culture. Unlike the Neolithic Age, the Plain coarse potetry culture was variously developed according to the migration of a new group that newly adopted complex subsistence economy and the selective adoption of the Plain coarse pottery culture of a native group. In the early stage of the Plain coarse pottery culture, the aspect between the northwestern and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is different. In the northwestern part, a zone of the Double rimmed pottery culture was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severance of regional relationship in the south Liaodong Peninsula and the extension of the Double rimmed pottery cultural zone in the Biliuhe basin. In the southern part, only the non-daily stuffs of Plain coarse pottery culture are selectively and intermittently adopted except in the Geum river basin. The selective adoption is limited to ritual stuff, which is related with maintenance of a group focusing on a farming. And in the later time of the early stage of the Plain coarse pottery culture, interchange with the northeastern region of China enter upon a new phase because of the political situation and the necessity for aggressive adoption of advanced elements, along with an establishment of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culture.

      • KCI등재후보

        신석기시대 후말기 이중구연토기 형성과정 재검토

        천선행(Cheon Seon Haeng) 한국신석기학회 2010 한국신석기연구 Vol.- No.20

        본고는 신석기시대 말기 이중구연토기가 무문토기시대로의 전환과정을 엿볼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할거라는 관점에서 공통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이중구연토기 형성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검토하였다. 신석기시대 이중구연토기 형성에 관하여 크게 외부기원설, 자체발생설이 있으며, 각각의 다양한 견해를 검토하여 자체발생설 특히 남부내륙지역 발생설과 남해안지역 발생설을 대상으로 검토하였다. 먼저 남부내륙지역 신석기시대 후말기 토기편년을 수립하고 남해안지역과의 병행 관계를 설정하였다. 그 결과, 이중구연토기가 남해안지역보다 앞서 신석기시대 후기 후엽에 남부내륙지역에서 출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중구연토기는 기존 연구처럼 내륙지역 봉계리식토기의 구연공백부를 유지하는 의식이 제작기법에 투영되어 이중 구연이 형성된 것으로 이해하였다. 한편, 이중구연토기 출현시점, 이중구연형태, 문양 구성으로 볼 때, 이중구연토기가 남해안지역에서 형성될 요건들이 갖추어져 있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내륙지역에서 이중구연토기가 출현한 후 남해안 각지로 확산되어 남해안식 이중 구연토기가 형성되는 시점을 말기로 파악하였다. 이중구연토기의 확산에 따른 남해안식 이중구연토기의 출현을 시기구분 획기로 삼은 이유는 당시 주거양식 변화가 기후환경적 요인과 결합하면서 새로운 변화를 이끌어내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In this paper, the formation of double-rimed pottery still have not been in agreement was examined from a new angle that double-rimed pottery at the end of Neolithic age could be a clue to solve the changing process from the end of Neolithic Age to early Mumon Pottery Age(Bronze Age). There are 2 arguments the origins from outside and occurrence itself. Among a variety of opinions above, I studied especially the occurrence in the southern interior region and the occurrence in the southern coast region. Frist, made the chronology and the parallel-relationship with pottery between the southern interior region and the southern coast regi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double-rimed Pottery had been appeared at the southern interior region in the late phase of the last Neolithic Age. Double-rimed Pottery is formed by consciousness was projected in manufacturing pottery to keep lip part s gap of Bongge-ri type pottery as existing study. Meanwhile, the meaning of Double-rimed Pottery s appearance time, form and design composition, It is sure that factors to form Double-rimed Pottery are not fitted in the southern coast region. After the appearance of Double-rimed Pottery in the southern interior region, I figured out the time being spread to various parts of the southern coast region to the end of the Neolithic Age. Because the spread of double-rimed Pottery derived a new transition due to the change of settlement style combined with climatic environment s factors and change.

      • KCI등재후보

        러시아 沿海州 세형동검 관계유적의 고찰

        姜仁旭(Kang, In-Uk),千羨幸(Cheon, Seon-Haeng) 한국상고사학회 2003 한국상고사학보 Vol.42 No.-

        본고에서는 1960년에 보고된 러시아 연해주 소재 이즈웨스토프까 유적에서 출토된 세형동검반출 유적을 검토하고 더불어 새롭게 알려진 연해주 지방에서 출토된 세형동검 관련 유적?유물을 살펴보았다. 필자들의 조사를 통해서 이즈웨스토프까 유적 이외에도 쉬꼬또프까, 말라야 뽀두쉐치까, 올레니 유적 등에서 세형동검 관련 유물이 발견되었음이 밝혀졌다. 또 새롭게 확인된 이즈웨스토프까 유적 출토의 토기를 통해서 이 유적이 연해주 초기철기시대에 존재했던 끄로우노프까문화에 속함을 밝혔다. 이즈웨스토프까 유적을 포함한 연해주의 세형동검관련 유적은 모두 피터대제만과 아무르만으로 흐르는 쉬꼬또프까 강과 아르떼모프까 강의 하류에 집중 분포한다. 이즈웨스토프까 출토 청동기의 합금비율은 납과 주석이 각각 6%, 3% 내외로 한반도를 비롯한 다른 지역과는 확연히 다른 합금비율을 보인다. 한국의 세형동검관련 유물과 비교할 때 이즈웨스토프까 유적은 세형동검문화의 초기에 해당하는 기원전 3세기 중반 경으로, 쉬꼬또프까 유적은 세형동검문화의 말기에 해당하는 기원전 1세기 중~후반으로 편년할 수 있다. 전기와 후기의 세형동검이 모두 발견되며 단편적이나마 연해주에서 세형동검 관련 유적이 발견되고 있으며, 그 위치가 연해주의 남부 해안가에 집중된다는 것은 향후 한국과 연해주의 기원전 3~0세기의 문화교류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Izvetovka site was found in 1959 by a excavator near the village of Maikhe Primoire Krai, Russia, and the found materials, included slender daggers(細形銅劍) was reported by russian archaeologist in 1960. Because of lack of information about this site, the Izvestovka was undervalued in korean archaeology. In this study, authors reexamine the Izvestovka and another related sites with the view to correlation with korean peninsula and publish newly measured drawings. Nowdays, in the Primorie krai(or maritime region) of Russia were found weveral wites related materials of slender dagger culture. All that sites are belonged to Krounovka culture, dated from 3th c. B.C. to first part of 1st c. A.D.. Contrast to previous Yankovski culture(or shell midden culture), Krounovka culture was based on agricultural economy, which are believed to be influenced from Manchuria and Korea. It is worth to remind that most of these sites are concentrated on the lower basin of Artemovka and Shkotovka rivers, near the East Sea. The composition of bronze implements from Izvestovka were identified as 90% Cu, 6% Pb, and 3% Sn. This portion is characterized to almost bronze from Primorie. Furthermore, bronze from the metallurgical site Petrova, regarded as Krounovka culture had the same portion. Based on the typological analysis of bronze implements, Izvestovka site are dated to the middle of 3th century B.C., and Shkotovka are in the second half of 1st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