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무령왕릉 출토 탄목제품의 과학적인 분석을 통한 명칭재고 및 한반도 내 출토 현황 검토

        유혜선 ( Hei Sun Yu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2 백제문화 Vol.1 No.46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동물모양장식, 대추모양구슬, 목걸이 등은 지금까지 ``탄목`` 혹은 ``탄정``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져 왔다. ``탄목``이나 ``탄정``의 사전적 의미를 보면 ``땔나무나 숯[탄소]제품을 통틀어 이르는 말`` 이라고 설명되어 있는데, 무령왕릉 출토품과 같이 특별한 의미를 지닌 중요한 부장품의 재질을 설명하기에는 다소 부족함이 있다. 그리하여 공주 무령왕릉 출토 탄목제품에 대한 문헌조사와 과학적인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매정``=``제트(jet)``이며, ``흑옥``으로도 지칭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용어를 만들기 보다는 기존에 적합한 용어가 있으나 잘 알려지지 않아서 사용이 저조했던 용어들 중에서 ``탄목`` 이나 ``탄정``을 대신할 수 있는 명칭을 우선적으로 고려한 결과 ``흑옥``이란 용어의 사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리고 중국과 한반도에서 출토된 ``탄목`` 또는 ``탄정`` 유물의 예들을 정리하여 출토지역 및 시기적인 특성에 대한 검토 결과 흑옥제품은 한반도를 비롯하여 중국, 일본에서 모두 확인이 되는데, 중국의 경우는 요령성이나 내몽골자치구 등과 같은 북쪽권역은 물론이고, 남경이나 진강 등 남쪽권역에서도 출토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반도의 경우는 평양지역의 낙랑유적과 백제유적에서 주로 출토되는 경향이 있다. 즉, 출토품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보면 낙랑, 서북한(평양 낙랑토성 등) →마한, 한성백제(김포 운양동, 서울 풍납토성, 서산 부장리) → 웅진백제(공주 무령왕릉, 송산리) →사비백제(부여 왕흥사지, 능산리 절터) 로, 특히 백제권에서 주로 출토되는 특징이 있다. It has been known that animal-shaped ornaments, bead, necklace from King Muryeong`s Tomb were made of ``tanmok`` or ``tanjeong``. In general meaning, ``tanmok`` or ``tanjeong`` is defined as an overall charcoal product, which is not enough to describe quality of artifacts having special and important meaning such as grave goods from King Muryeong`s Tomb. Therefore, literal research and scientific analysis of artifacts from King Muryeong`s Tomb were conducted and it is shown that ``maejeong`` is ``jet`` and it is also called as ``heugok(black jewel)``. In this analysis, we tried searching previously defined term which had been rarely used, rather than creating new one. Among them, we suggest using ``heugok(black jewel)`` instead of ``tanmok`` or ``tanjeong``. When it comes to the spatial and chronological distributions of several charcoal artifacts, heugok(black jewel) products are discovered in Korea, China and Japan. In China, it is excavated from southern region such as Nanjing or Zhenjiang as well as from northen region such as Liaoning or Neimenggu. In Korea, it is mainly found at Nangnang site in Pyeongyang and at Baekje site. The discovered spots of ``heugok(black jewel)`` product in Korea are summarized as follows: Nangnang, Northwestern Korean Peninsula(North Korea)[Nangnangtoseong Earthen Wall in Pyeongyang] → Mahan, Hanseong period of Baekje(Unyang-dong in Gimpo & Pungnaptoseong Earthen Wall in Seoul & Bujang-ri in Seosan) → Ungjin period of Baekje(King Muryeong`s Tomb & Songsan-ri Tomb Complex) → Sabi[Buyeo] period of Baekje(Wangheungsa Temple Site & Neungsan-ri Temple Site in Buyeo). Most of the them belongs to Baekje Kingdom(18 BC-AD 660).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신석기시대 주칠토기의 과학적 분석(2)

        유혜선,장성윤 국립중앙박물관 2000 박물관보존과학 Vol.2 No.-

        본 연구는 동남해안 및 도서지방의 신석기시대 주칠토기 23점에 대한 과학적 분석의 일환으로서 먼저 태토성분, 소성온도, 안료성분 및 안료두께를 분석한 데에 이어 태토성분에 대한 통계적인 고찰 및 경도분석을 통한 안료성분의 역할을 보강하여 재정리한 것이다. 유도결합플라즈마분광기(ICP-AES)와 엑스선형광분석기(XRF)를 사용하여 태토의 성분분석을 실시하였고, 이 분석결과에 대한 다변량해석(PCA : 주성분분석법)을 수행한 결과, 토기의 태토는 범방, 욕지도, 나머지 지역의 3개 군으로 분류되었다. 또 태토와 안료의 경도를 토기 표면으로부터 깊이별로 측정한 결과, 산화철이 다량 포함된 안료층의 경도가 태토층보다 높았고 이를 통해 산화철이 고온소성시 경도를 크게 하는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안료층의 경도가 태토층 보다 높은 것은 안료층도 소성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토기성형시 안료를 먼저 바른 후 토기가 구워졌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This study, a part of scientific analysis of the 23 Neolithic red earthenwares excavated from southeastern coast and islands. We analyzed earthenware through statistical method and hardness analysis of clay, following the analysis of clay composition, its firing temperature, pigment composition and its thickness. Clay composition was analyzed by using ICP-AES and XRF, and the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ne of multivariate methods) was used for classification. As a result, clay of the earthenware was classified into 3 groups(Bumbang, Youkjido and other sites). In addition, hardness analysis of pigment and clay based on the depth of earthenware surface showed that pigment layer containing lots of Fe₂O₃ had higher hardness than clay part, which can be interpreted that Fe₂O₃ contributes to raising hardness in case of high temperature firing. The fact that pigment hardness is higher than that of clay part implies that pigment was applied before firing.

      • KCI등재후보

        법천리출토 생선뼈에 대한 잔존지방산 분석(2)

        유혜선,정영주 국립중앙박물관 2000 박물관보존과학 Vol.2 No.-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residual fatty acid of the unidentified 26 fish bone samples which were excavated from Bupchon-ri in Wonju, Kangwon provi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ish kind by comparing the residual fatty acid analysis with the reference data of croaker, shark, herring and weakfish. Fatty acid was separated by gas chromatography and distribution pattern was analyzed by calculating composition of each sampl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one of multivariate analysis method was used to understand fatty acid distribution data. 江原道 原州市 富論面 法泉里古境(4號境)에서 출토된 생선뼈 중 종류를 확인 할 수 없었던 생선뼈 26점에 대한 잔존지방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앞서 분류한 4종류의 생선(조기, 상어, 준치, 민어)뼈에 대한 잔존 지방산 분석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어류종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은 가스크로마토그라피(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지방산을 분리하였고, 각각의 含量을 계산하여 시료별 지방산 분포패턴을 확인하였다. 지방산분포 데이터의 해석을 위해서 多變數分類法 중 주성분분석법을 이용하였다.

      • KCI등재후보

        건조제를 이용한 벽부형진열장 밀폐도 간접측정

        유혜선,김명남,이승은 국립중앙박물관 2001 박물관보존과학 Vol.3 No.-

        박물관 진열장의 기밀성은 일반적으로 CO₂ 추적가스를 이용한 밀폐도를 측정함으로서 조사되어 왔지만 진열장 내부에 구멍을 내야하는 점은 사용 전이나 사용 중인 진열장에 대한 밀폐도 측정에 적용하는데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이에 진열장의 형상을 변화시키지 않고, 진열장의 밀폐도를 간접측정함으로서 사용 전이나 필요에 따라서는 전시중인 진열장에 대한 밀폐도를 측정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밀폐도 간접측정법은 진열장 내부의 온습도 변화와 습도조절제(Art-sorb)의 중량변화를 통해 진열장의 기밀도를 간접적으로 알아보는 방법이다. 실험은 동일장소에 시공된 3개의 벽부형진열장을 대상으로 진열장내 조명을 켜지 않고 Art-sorb와 온습도 수집기를 넣고 12일간 진행하였다. 각 진열장내 온도와 습도 변동분을 주변변동분으로 나눠 변동율로 나타냈으며, 그 결과 온도 변동율에서는 벽부장A(0.67)가 벽부장B(0.69)나 벽부장C(0.79)보다 변동율이 적었으며 습도 변동율에서도 벽부장A(0.12)가 벽부장B(0.19)나 벽부장C(0.72)보다 변동율이 적어 기밀도가 가장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CO₂추적가스를 이용한 직접 밀폐도 측정에서의 공기교환율에 대하여 간접 밀폐도 측정에서의 습도변동율을 대입해 보았다. The airtightness of museum cases in museums was measured by using CO₂ tracing gas, but it has been pointed that it has a problem with measuring the airtightness of a museum case which has a hole inside before it is used or while is being used. So studies tried to come up with alternatives which make it possible to measure the airtightness of a museum case before it is used or while it is being used if necessary by indirectly measuring the airtightness of the museum case without changing its form. Indirect measuring is done by measuring the change of Art-sorb weight and the chang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museum case. Experiments were made for 12 days with three builtin wall case installed at the same place without turning on the lights but with Art sorb and the data logger of temperature and humidity put into museum case. The change rate was produced with the chang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museum case divided by that of those around museum case. As a result, the temperature change rate of museum case A(0.67) was lower than that of museum case B(0.69) or museum case C(0.79). The humidity change rate of museum case A(0.12) was lower than that of museum case B(0.19) or museum case C(0.72) showing that its airtightness was the best. Also in the direct airtightness measurement by CO₂ tracing gas, the air exchange rate was compared with the humidity change rate by Art-sorb in the indirect measurement.

      • KCI등재후보

        나전칠기함 모서리 보강재료의 잔존지방산 분석

        유혜선 국립중앙박물관 1999 박물관보존과학 Vol.1 No.-

        조선시대 나전칠기함(유물번호: 덕4182) 상태조사 중에 발견한 白骨의 모서리 補强材에 대한 殘存脂防酸 分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콜레스테롤의 함량이 높아 동물성 재료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가스크로마토그라프 분석을 통해 그 지방산 組成이 상어가죽[鼓皮]과 유사한 패턴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 분석결과에 따라 나전칠기함의 손상된 보강재를 새로운 상어가죽으로 代替 復元 하였다. Residual fatty acid of the basic material[Backgol] for reinforcement used on the edges of the lacquer ware inlaid box of Joseon Dynasty was analyzed. The result showed that it contained considerable amount of cholesterol. So it was confirmed to be animal material. Gas chromatography showed that its fatty acid composition is similar to that of sharkskin.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results, the damaged area of the object was restored by using sharkskin as a material for reinforcement.

      • KCI등재후보

        황남대총 98호분 출토 유리의 과학적 분석

        조경미,유혜선,강형태 국립중앙박물관 1999 박물관보존과학 Vol.1 No.-

        황남대총 98호분 북분과 남분에서 출토된 유리시료 40점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유리의 성분조성은 주사전자현미경-에너지분산형분광기(SEM-EDS)를 사용하여 정량분석 하였고 다변량해석법을 통하여 시료를 분류하였다. 그 결과 시료 40점 모두 Na₂O를 약 20%정도 함유한 소다-석회(Na₂O CaO-SiO₂)유리임을 확인하였으며, 다시 5개 주성분(SiO₂, AI₂O₃, Na₂O, CaO, K₂O)으로 다변량해석[주성분분석(PCA)]을 실시한 결과 2개의 群으로 분류되었다. I 群에 포함된 시료는 Al₂O₃의 농도가 9.7%로 높고 CaO의 농도는 2.2%인데 비하여 Ⅱ群에서는 각각 3.2%,4.9%의 범위로 나타났다. 특히 시료 No.12의 노란 색으로 편석된 부분을 미소부위 XRD로 분석한 결과 PbSnO₃임을 국내 최초로 확인할 수 있었다. 鉛을 함유한 시료 중 No.12, 17은 열이온화질량분석기(TIMS)로 납동위원소비를 측정하였고 선형판별식 분석법(SLDA)을 이용하여 납의 산지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각각 중국 남부, 한국 남부의 납광석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Elemental analysis of 40 glass samples from the Northern Tomb and the Southern Tomb of Hwangnam-daechong No. 98 was performed. Fourteen compositions of each sample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by SEM-EDS and glass samples were classified by multivariate analysis such as PCA. All of 40 samples were confirmed to be Na₂O CaO-SiO₂ system with about 20% of Na₂O. Sample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by doing PCA on concentrations of 5 major elements (SiO₂, AI₂O₃, Na₂O, CaO, K₂O). Samples included in group I showed the concentration of AI₂O₃ is about 9.7% and that of CaO, about 2.2%. In group II, concentration of Al₂O₃ is about 3.2% and that of CaO, about 4.9%. Especially yellow grains embedded in sample No.12 were shown to be PbSnO₃ by micro XRD, which was the first coloring material ever found in Korea. Lead isotope ratios of samples No.12 and No.17 which contained lead were measured by TIMS. The origin of lead was traced by means of multivariate analysis such as SLDA. The result showed that lead from southern China and southern Korea had been used for making glass.

      • KCI등재후보

        원주 법천리출토 금동식리에 대한 연구

        권혁남,유혜선 국립중앙박물관 2001 박물관보존과학 Vol.3 No.-

        Scientific analysis are carried on gilded ornamental shoes, which have been excavated from tomb No 1. and No 4. in Beopcheon-ri, Wonju dated from Baekje Period. This object is a very important because it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metal-making techniques of that period. Thus, this article illustrates the investigation conducted to reveal how the object was created using what materials and techniques. Instead of the spikes-attached to the bottom plate of the object-that couldn't be sampled, a sample of a decorative rivet showing a similar structure to the spikes-attached to the other parts of the shoes-was prepared for a cross-section examination. Using radiography and microscopes, it was found that the head of a spike was placed and then punched to the gilded plate, so it can be held to the shoes. Under the SEM-EDS, the cross-section of the rivet shows that the gilding layer was applied before the attachment of the rivets. It also shows that the gilding layer is distributed unevenly and there are empty spaces indicating amalgam gilding was employed. This was confirmed as Mercury was detected on the SEM-EDS analysis of the object. The examination of the microstructure of the plate using the SEM-EDS revealed that the object is made of a single copper alloy plate with recrystallized twining and non metallic white inclusions, which found to be lead in this case. 백제 문화의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는 원주 법천리 고분군 중 1호분과 4호분에서 금동식리편이 발굴되었다. 특히 이 식리에는 스파이크가 존재하여 백제의 식리 제작과 금동 기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곳에서 출토된 식리편을 분석하여 식리의 제작 방법, 당시 사용된 동의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스파이크는 투과X-선과 현미경 등을 통해 관찰해 본 결과 하나의 몸체로 제작되어 머리 부분을 두드려 금동판에 부착하였다. 이 금동판은 대부분 구리로 되어 있으며 재결정에 의한 쌍정이 나타나고 있고, 비금속 개재물의 EDS 분석 결과 납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금동판이 두 개로 되어있다는 증거가 나타나지 않아 장식용으로 리벳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금동판의 도금은 금도금층의 두께가 불균일하고 내부가 비어 있으며 EDS 분석에서 수은이 검출되는 것으로 보아 아말감법에 의한 도금을 하였다.

      • KCI등재후보

        밀폐장내 실리카겔의 습도조절 효과 연구

        김명남,유혜선 국립중앙박물관 2000 박물관보존과학 Vol.2 No.-

        본 실험은 국립박물관을 비롯한 현재 국내외 박물관 및 미술관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습도조절제(ART-SORB)의 효능을 측정하여 미소환경 조절시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축적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험은 외기의 영향을 배제시키고 습도조절제만의 효과를 측정하고자 밀폐조건하에서 수행하였다. 보관장 크기를 고려한 일정량의 ART-SORB 및 카세트(cassette) 형태의 ART-SORB를 투여하여 습도조절 능력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체적당 정량을 사용한 실험에선 10~17시간 후 목표습도에 도달하였고, 카세트 단위의 과량의 ART-SORB 사용시에는 5~6시간 시간 내에 목표습도에 도달하였으며, 50〜70% RH 범위내에서 습도 조절이 가능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ART-SORB는 저습조건에서 습도를 상승시키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었으며, 고습조건에서는 습도조절 능력이 미약했다. 그러므로 ART-SORB는 높은 습도조건이 요구되는 유물 (목기, 칠기류,서화류 등)의 미소환경관리에 보다 효과적인 완충재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실험은 밀폐성이 우수한 보관장에서의 실험이므로 실제진열장에 그대로 적용된다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밀폐성이 보장되는 진열장이 우선 마련되어야 습도조절제의 효과가 크게 발휘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ART-SORB which is commonly used in museums and galleries at home and abroad including National Museum of Korea, so as to collect useful information to control micro-environment.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ir-tight condition in order to eval-uate only the effect of ART-SORB excluding any influence from outside factors. A certain amount of ART SORB considering the case size and ART-SORB in cassette type were used to evaluate the humidity con trolling capability. The result showed that target humidity was reached in 10~17 hours in case of using corresponding amount of ART-SORB to the cubic volume and in 5~6 hours in case of excessive use of cassette type ART-SORB. And it also showed that humidity can be controlled in the range of RH 50-70%. In addition, ART-SORB was excellent at raising humidity at low humidity and poor at high humidity. There-fore, ART-SORB turned out to be an effective humidity buffer for controlling micro-environment of such artifacts as wooden ware, lacquer ware and paintings, which require high humidity. However, unfortunately, there are some difficulties in applying this result to real condition, given the fact that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firm air-tight case. Therefore, ART-SORB can be fully effective only in firm air-tight c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