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A Study on the Diffusion Strategies of Wood Culture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 Jiyoon Yang ),( Myungsun Yang ),( Yeonjung Han ),( Myungkil Kim ),( Won Joung Hwang ) 한국목재공학회 2023 목재공학 Vol.51 No.6

        The diffusion strategies of wood culture were established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to prepare a diffusion plan of wood culture and wood utilization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due to global warming. ‘Standardization of wood culture’, ‘Valuation of wood culture’, and ‘Habituation of wood culture’ were set as three major implementation strategies and priorities were evaluated. As a result, it was analyzed in the following order: ‘Development of systematic education programs for each age group for rational and efficient use of eco-friendly wood materials and development of wood education standard guidelines linked to the curriculum’, ‘Preparation of scientific basis data on human compatibility and eco-friendliness of wood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wood and wood products’, and ‘Establishment of monitoring and improvement plan through the designation as a model school’. Through this, it was determined that an educational environment, changes in public attitudes through publicity, and expanding opportunities to use wood and wood products were necessary for wood culture diff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derive the diffusion strategies of wood culture and establish a roadmap and policy implementation strategy to revitalize wood culture.

      • SCOPUSKCI등재

        Anti-Inflammatory Effect of Essential Oils Extracted from Wood of Four Coniferous Tree Species (침엽수 4종 목부 정유의 항염증 효과 평가)

        ( Jiyoon YANG ),( Won-Sil CHOI ),( Jae-Woo KIM ),( Sung-Suk LEE ),( Mi-Jin PARK ) 한국목재공학회 2019 목재공학 Vol.47 No.6

        본 연구는 국내산 편백, 소나무, 잣나무, 일본잎갈나무 목부 정유의 항염증 효과를 평가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정유는 각 수종의 목부에서 증류법(hydrodistillation)으로 추출되었다. 추출한 정유들을 GC-MS를 통해 성분 분석한 결과, 편백의 경우 α-cadinol (19.25%), τ-muurolol (14.20%) 및 α-pinene (13.74%)이, 소나무는 α-pinene (47.16%), longifolene (14.31%), β-phellandrene (11.78%) 및 β-pinene (11.02%)이 주요성분이었으며, 잣나무의 경우 α-pinene (13.49%)와 longifolene (10.79%), 낙엽송의 경우 geranyl linalool (23.58%) 및 α-pinene (18.57%)이 주요성분으로 확인되었다. 침엽수 목부 정유들의 항염증 효과는 LPS(Lipopolysaccharide)로 염증반응이 유도된 RBL-2H3 비만세포주에 정유를 처리한 후 IL-4(interleukin-4), IL-13(interleukin-13), β-hexosaminidase의 발현 변화를 조사함으로써 평가하였다. MTT assay를 통한 세포 독성 평가 결과, 침엽수 4종 정유 모두 10-7~10-5% 농도에서 세포 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염증반응이 유도된 RBL-2H3 세포에 침엽수 4종의 목부 정유를 10-7%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LPS 처리군 대비 침엽수 4종의 목부 처리군에서 IL-4와 IL-13의 상대적 발현량이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며, β-hexosaminidase 분비가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침엽수 정유 4종의 IL-4 상대적 발현량은 LPS 처리군 대비 소나무 69.6%, 잣나무 63.2%, 편백 55.1% 그리고 낙엽송 45.8% 감소하였다. IL-13의 상대적 발현량은 소나무 57.8%, 잣나무 57.1%, 편백 51.1% 그리고 낙엽송 34.5% 감소하였다. β-Hexosaminidase 분비의 경우 LPS 처리군 대비 편백 38.1%, 소나무 33.0%, 잣나무 27.4% 그리고 낙엽송 9.1% 억제하였다. Il-4, IL-13 및 β-hexosaminidase 분비를 비교한 결과, 침엽수 목부 정유 4종 중 소나무 정유의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침엽수 4종의 목부 정유는 염증반응을 유발하는 싸이토카인의 발현 억제를 통하여 항염증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ssential oils extracted from the wood of Chamaecyparis obtusa, Pinus densiflora, Pinus koraiensis, and Larix kaempferi. Essential oils were extracted by hydrodistillation, and their chemical components were determined by GC/MS. Major chemical components of these essential oils were α-cadinol (19.25%), τ-muurolol (14.20%), and α-pinene (13.74%) in C. obtusa; α-pinene (47.16%), longifolene (14.31%), β-phellandrene (11.78%), and β-pinene (11.02%) in P. densiflora; α-pinene (13.49%) and longifolene (10.79%) in P. koraiensis, and geranyl linalool (23.58%) and α-pinene (18.57%) in L. kaempferi.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ssential oils,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RBL-2H3 mast cells were treated with these essential oils; then, the changes in the mRNA expression level of the cytokines IL-4 and IL-13 were examined. Further, degranulation was evaluated by measuring β-hexosaminidase release. After LPS-induced RBL-2H3 mast cells were exposed to 10-7% of all types of essential oils, the gene expression levels of IL-4 and IL-13 within the cells remarkably decreased. The relative mRNA expression level of IL-4 was 69.6% in P. densiflora, 63.2% in P. koraiensis, 55.1% in C. obtusa, and 45.8% in L. kaempferi compared with that in the group treated with LPS. The mRNA expression level of L-13 should a similar trend. The inhibitory rate of IL-13 mRNA expression of P. densiflora, P. koraiensis, C. obtusa, and L. kaempferi was 57.8%, 57.1%, 51.1%, and 34.5%, respectively. β-Hexosaminidase release significantly decreased following the treatment with the four types of essential oils. The rate of β-hexosaminidase release were 38.1% C. obtusa; 33.0% P. densiflora; 27.4% P. koraiensis; and 9.1% L. kaempferi. Among all types of essential oils, that extracted from P. densiflora wood showed the highest anti-inflammatory activity. These results show that the tested essential oils exert an anti-inflammatory effect through the inhibition of degranulation and expression of cytokines.

      • 시기별 하귤 껍질 정유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양지윤 ( Jiyoon Yang ),박미진 ( Mi-jin Park ),함영석 ( Youngseok Ham ),최원실 ( Won-sil Choi ),안병준 ( Byoung Jun Ahn ) 한국목재공학회 2020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1

        하귤(Citrus X natsudaidai )의 성숙 단계에 따른 정유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하귤은 제주도에서 2019년 3월(과성숙), 9월(미성숙), 12월(성숙)에 각각 채취하였다. 채취한 하귤들의 껍집만 분리하여 증류법(hydrodistillation)으로 정유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정유의 수율과 비중을 측정하였으며, Pantone Color book과 육안으로 비교하여 색상을 분석하였다. 정유의 성분은 GC-MS를 이용하여 정성분석하였으며, KS H ISO 1242에 준하여 산가를 측정하였다. 성숙이 진행될수록 귤피 정유의 색상이 연두색 계열에서 점차 노란색 계열로 변화됨이 관찰되었다(미성숙기 Pale Lime Yellow; 과성숙기 Yellow Iris). 또한, 하귤 껍질로부터 추출한 정유의 수율은 미성숙기가 5.88±0.23%, 성숙기가 2.06±0.09%, 과성숙기는 3.62±0.12%를 보였다. 다른 두 정유와 비교하였을 때, 미성숙기의 정유가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다. 반면에 정유의 비중은 성숙 단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정유의 산가의 경우 미성숙기의 정유 산가가 가장 낮았다(미성숙기 2.104±0.04; 성숙기 4.657±0.01; 과성숙기4.16±0.31). 정유들의 성분분석 결과, 미성숙기의 정유는 23종, 성숙기의 정유는 25종, 과성숙기의 정유는 24종의 휘발성 물질이 검출되었으며, D-limonene, γ-terpinene, α-terpineol 및 β-myrcene 등 16종의 성분들이 공통적으로 검출되었다. 성숙 단계와 상관없이 D-limonene과 γ-terpinene은 모든 정유에서 90% 이상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특이적으로 하귤이 성숙해짐에 따라서 껍질 정유의 D-limonene의 비율은 증가하고, γ-terpinene의 비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전반적으로 성숙 단계에 따라 하귤 껍질 정유의 이화학적 특성이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과실의 성숙 단계에 따른 이화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는 국내 자원의 품질 지표 확립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 공급에 있어 수확벌채의 원목 혼입량 추정

        양지윤(Jiyoon Yang),이재정(Jaejung Lee),정한섭(Hanseob Jeong),한상훈(Sang Hun Han),이수민(Soo Min Lee)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22 신재생에너지 Vol.18 No.4

        To respond to global warming,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eco-friendly alternative energy sources. Therefore, unused forest biomass that has been neglected due to a lack of marketability is attracting attention.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unused forest biomass certification system” in 2019, ways of determining quantity of unused forest biomass have steadily increased. However, there have been reported cases whereby unused forest biomass weighed more than the amount of harvested trees. It was found that it was possible that forest resources that can be used as round wood were mixed with unused forest biomas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amount of mixed round wood in the unused forest biomass supply. The relative expression of growing stock/ha versus the amount of final clearing/ha collected was modeled (y=1.490x-94.341, R²=0.861).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round wood was mixed into the unused forest biomass, contributing to the disparity observed between the weighted forest biomass and the amount of trees harvested. In conclusion, proper declaration and certification procedures should be carried out for the use of forest resources and promoting unused forest biomass usage.

      • 국화과 식물정유의 항천식 활성 평가

        양지윤 ( Jiyoon Yang ),박미진 ( Mi-jin Park ),이수연 ( Su-yeon Lee ),윤정하 ( Jeongha Yoon ) 한국목재공학회 2022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2 No.1

        국화과(Asteraceae) 식물은 현화식물 중 세계에서 가장 넓게 분포하며, 식용 가능한 특산 약용식물로서 대량으로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는 국화과 식물인 감국(Chrysanthemum indicum L.)과 곰취(Ligularia fischeri (Ledeb.) Turcz.), 사철쑥(Artemisia capillaris Thunb.), 산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 Herbich), 섬쑥부쟁이(Aster glehnii F.Schmidt) 정유 5종의 항천식 효과를 평가하여 가장 활성이 우수한 정유를 선발하고자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정유는 증류법(hydro-distillation)으로 추출하였으며, GC-MS(Trace 1310/ISQ-LT, ThermoScientific, USA)를 이용하여 구성성분을 분석하였다. 정유의 성분분석 결과, α-pinene, sabinene, β-pinene, germacrene-D, τ-muurolol 성분이 5종의 정유에서 모두 공통으로 검출되었다. NCI-H292 기관지 상피 세포주에 대하여 국화과 정유들의 CCK assay를 통해 세포독성을 조사한 후 5종 정유의 처리 농도를 10<sup>-7</sup>%로 결정하였다. 국화과 식물 5종 정유의 항천식 효과는 1 ug/mL LPS로 염증반응이 유도된 NCI-H292에 정유를 처리한 후 겔 형성 점액 유전자(MUC4, MUC5AC, MUC5B)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IL-6, IL-8)의 발현변화를 조사하였다. 사이토카인의 발현변화를 분석한 결과, 국화과 식물 정유 5종 모두 IL-6 및 IL-8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사철쑥과 산구절초 정유의 활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곰취, 사철쑥, 섬쑥부쟁이 정유는 결합형 점액 유전자인 MUC4와 분비형 점액 유전자인 MUC5B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분비형 점액 유전자인 MUC5AC의 발현은 사철쑥 정유 처리 시 효과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국화과 식물 정유 5종 중 사철쑥 정유의 항천식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며, 주요성분인 α-farnesene(32.87%), caryophyllene(19.14%), β-pinene(7.82%), β-himachalene(6.58%)이 항천식 활성물질로 사료된다.

      • 감귤 껍질 정유의 멜라닌 생성 억제능 평가

        양지윤 ( Jiyoon Yang ),이수연 ( Su-yeon Lee ),박미진 ( Mi-jin Park ),장수경 ( Soo-kyeong Jang ),나현정 ( Hyunjeong Na ),윤정하 ( Jeongha Yoon ) 한국목재공학회 2022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2 No.2

        Citrus is one of the most popular and widely grown fruit crops in the world. To explore the bioactivity of citru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ssential oils from citrus cultivars on melanogenesis. The essential oils were obtained by hydro-distillation, and the chemical composition was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Limonene is a predominant constituent, and other components showed trace amounts. A polymerase chain reaction was used to determine the expression of melanogenesis-related mRNA (TRP-1, TRP-2, and tyrosinase). As a result, the gene expression levels associated melanogenic were remarkably inhibited by (Citrus unshiu X Citurs sinensis) X Citrus reticulata and Citrus reticulata. Overall, the essential oils of Citrus reticulata-based cultivars presented the best bioactivit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itrus reticulata-based cultivars are potential candidates with anti-melanogenesis activity for cosmetics and medicine agents against skin hyperpigment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