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hallenges and Support Systems: A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American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lassrooms

        ( Hwewon Kim ),( Taein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21 No.2

        This paper compare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orea to those in the United States due to the main differences in their supervising systems and duration of fieldwork. This study thus consisted of a survey wherein 67 Korean and American pre-servic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programs examined the challenges they had faced, as well as the support they received during fieldwork and focus group interviews, in order to suggest alternative methods. When compared to American preservice teachers, Korean pre-service teachers had far more difficulties interacting with young children and building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ir mentor teachers. In terms of support and cooperation between the university, the mentor teacher, and the student teacher, there are hug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programs.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us have various implications for practice, research, and policy.

      • KCI등재

        교육실습 중 예비유아교사의 어려움과 갈등의 해결과정 탐색: `제 3의 공간` 개념 적용

        김혜원 ( Kim Hwewon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Bhabha의 제 3의 공간(third space) 개념을 적용하여 교육실습 기간 중 예비유아교사들이 겪는 갈등과 어려움을 해결하는 과정을 탐색 및 해석하고, 공간을 구축하는 데 촉진 요인과 방해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의 예비유아교사 8명의 심층면담과 예비교사가 작성한 저널 등의 자료를 질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예비유아교사가 제3의 공간을 구축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반의 일원이라는 정체성 구축, 학교에서 배운 이론을 현장에서 적용, 유아의 문제해결을 위한 조력, 문제해결전략을 구상을 한다. 제3의 공간 구축을 촉진하는 요인으로 실습지도교사와 유아와의 긍정적 관계형성과 정서적 지원이 있었다. 반면 제3의 공간 구축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제한된 실습기간, 각 실습지마다 요구되는 업무의 차이, 실습생을 위한 지원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와 교육의 방향, 교육실습의 지원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oblem-solving proces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uring student teaching.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cluded 8 pre-service teachers who enroll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a 4-year college. After having in-depth interviews and collecting journals, a qualitative analysis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From the results, first of all, in relation to the process to create a third space, the pre-service teachers are creating an identity as a member of a class, adapting theory to practice, facilitating to solve young children`s problem, and having problem solving strategies. Next, in relation to factors to promote a third space, there are a mentor teacher and young children. Lastly, in relation to factors that hinder a third space, there are a limited period of time for field experience, a difference in responsibilities(tasks) according to placement, and limited support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us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practice, research, and policy.

      •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 집합연수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김혜원(Kim, Hwewon),김선화(Kim, Sunhwa)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학논집 Vol.25 No.5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 집합연수에 참여한 유아교사들의 집합연수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대구 및 경북지역 유치원에 근무 중인 유아교사 195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을 분석하였다. 누리과정 집합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은 연수의 현장 적용 도움 및 연수참여 정도, 연수의 적절성, 연수의 효율성을 위한 지원에 대하여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흥미롭게도 집합연수에 대한 교사의 요구 관련 연구결과는 누리과정 집합연수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관련 연구결과와는 상반되게 나타났다. 유아교사는 이론보다는 실제에 중점을 둔 연수내용, 연수시간 하향 조정, 접근이 용이한 위치의 연수 장소, 연수당 참여 인원 하향 조정, 참여식 연수 등을 개선사항으로 요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직 유아교사교육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 교사교육 지원체계에 관한 정책적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in-servic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he Nuri curriculum.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to determine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195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in Daegu and Gyeongbuk.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mean, standard deviation, and percentage using SPSS 25.0. It was found that in general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in-servic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he Nuri curriculum positively perceived support for field application help, training participation, training appropriateness, and training efficiency. However, the research results related to teachers" need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were contrary to the research results related to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 in-service professional development. Early childhood teachers requested improvement in terms of training content focusing on practice rather than theory, downgrading training hours, location accessibility of training sites,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one training s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seek policies for the teacher support system.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문식성 학습경험과 의미 탐색: 그림책 목록 구성하기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김혜원(Kim, Hwewon)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학논집 Vol.24 No.3

        본 연구는 다문화 관련 그림책 목록 구성 프로젝트를 통해서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문식성 학습 경험과 의미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34명이 참여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예비유아교사의 프로젝트 관련 개인저널, 연구자의 현장노트, 예비유아교사들의 그림책 목록 발표자료를 포함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문식성 학습 경험을 살펴보면 수업의 주체가 교수에서 학생으로 이전되는 경험, 갈등과 문제에 대한 능동적 해결 과정 경험. 사회적 문식성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경험이 있다. 다음 예비유아교사들이 경험한 다문화 관련 그림책 목록 구성 프로젝트의 교육적 의미에는 다문화에 대한 감수성 향상하기, 능동적인 독자로서 세상 읽기, 다문화교육 수행을 위한 교사역량 갖추기가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예비교사의 다문화 문식성 학습 경험이 다문화 관련 지식을 습득하고 비판적 사고를 함양하는 효과적이며, 더 나아가 실제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다문화교육의 내실화를 도모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ulticultural literacy learning experiences and meaning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the class of young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The 34 students in the third year of the four–year teacher training institute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 four months. The collected data were the project-related personal journals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ield notes of the researchers, a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lists of picture book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experiences in which the subject of the class transfers from faculty to student, actively resolves conflicts and problems, and utilizes social literacy networks. Next, the meaning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in creating a multicultural picture book list is to increase multicultural sensitivity, change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and literary education through aesthetic reading, and form attitudes as pre-service teacher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vided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and education.

      • KCI등재

        주요 OECD 국가의 유아 언어교육과정 비교 분석: 뉴질랜드, 미국, 영국, 호주, 한국 5개국을 중심으로

        김혜원 ( Hwewon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5

        본 연구는 국가 수준 교육과정을 개발 고시하고 있는 5개국-뉴질랜드, 미국, 영국, 호주, 한국-의 유아언어교육과정을 대상으로 교육목표, 내용 범주 및 내용 체계, 세부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육목표는 각국이 제시하는 언어교육과정의 대상 연령 범위, 각국의 문화적 배경 등 각국의 특성에 따라 교육목표의 내용과 기술방식에서 국가마다 다소 차이가 있었다. 내용 범주 및 내용 체계는 만 3-5세가 공통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 한국과 달리, 다른 국가들은 만 5세부터 시작하여 5학년(미국), Year 1(영국), Year 10(호주), Year 13(뉴질랜드)까지 공통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뉴질랜드의 NZC 언어교육과정의 내용범주는 ‘듣기, 읽기, 보기’ 와 ‘말하기, 쓰기, 발표하기’로 총 2개 영역, 미국의 CCSS 언어교육과정의 내용범주는 ‘읽기’, ‘쓰기’, ‘말하기와 듣기’, ‘말’로 총 4개 영역, 영국의 NC는 말하기, 읽기, 쓰기로 총 3개 영역, 호주의 AC 언어교육과정의 내용범주는 말, 문학, 문해, 총 3개 영역, 한국의 누리과정 언어교육과정의 내용 범주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로 총 4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의 누리과정 세부내용은 관심 갖고 이해하고 경험하는 것으로 기술하고 있는 반면 다른 국가들은 세부 내용에서 예를 포함하며 좀 더 구체적인 기술되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contrast the national language arts curriculums for young children in countries of New Zealand, the United States, England, Australia, and South Korea, in terms of their educational goals, structures and contents, and specific cont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ducational goals of these countries were somewhat different in that they have different ranges of school years for language arts curriculum and cultural contexts. In relation to the system of content in the language arts curriculums, the curriculums of these countries were for 5 years through Grade 5(the US), Year 6(England), Year 10(Australia), Year 13(New Zealand), compared to South Korea in which the curriculum is for 3 years through 5 years. In relation to range and content of languagearts, New Zealand’s NZC consists of ‘listening, reading, and viewing’ and ‘speaking,writing, presenting’; The US’s CCSS consists of ‘reading,’ ‘writing,’ ‘speaking and listening,’ and ‘language’; England’s NC consists of ‘spoken language,’ ‘reading,’ and ‘writing’; Australia’s AC consists of ‘language,’ ‘literature,’ and ‘literacy’; and Korea’s Nuri curriculum consists of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In relation to the specific contents, South Korea just described that children are interested and experience activities related with reading, writing, listening and speaking, while the other countries illustrated these in more detail with specific examples.

      • KCI등재

        교원양성기관의 유아교육과 학생이 재학 중에 경험하는 갈등

        김혜원(Kim, Hwewo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7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4년제 교원양성기관의 학생들이 재학 중에 경험하는 학년별 갈등과 그 갈등을 야기하는 요인에 대해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4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1-4학년 학생 69명이다. 자료수집 방법은 개별면담, 집단 면담과 같은 심층면담이 주가 되었고, 그림그리기, 연구자저널을 참고하여 연구결과를 해석하는데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경험하는 갈등을 학년별로 살펴보면 1학년은 학과선택결정과 학과 적응에 대한 갈등, 2학년은 유아교사로서의 자질과 적성 유무에 대한 고민, 3학년은 좋은 교사로서의 자질과 책임감에 대한 고민, 4학년은 졸업과 취업에 대한 고민과 관련하여 갈등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러한 갈등을 야기하는 요인을 살펴보면 내적 요인은 예비교사의 불확신, 교사역할에 대한 부담, 학과만족도, 교사효능감이고, 외적 요인은 가족을 포함한 주변 사람들이라는 인적 요인과 유아교육과 학과 특성이라는 환경적 요인이 있다. 유아교육과 학생들이 재학 중에 경험하는 갈등과 그 갈등을 야기하는 요인을 살펴보는 것은 현재 유아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 및 운영에 대한 효율성 재검토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nflicts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and the factors that cause them. Participants were 69 undergraduate students from first year to fourth year. Data include in–depth interviews, participants’ drawing, and researcher’s journal.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n relation to conflicts experienced by the grade level, first years conflicted with the choice decision of the major, the second years were concerned about the competence as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third years were concerned about their competence and responsibilities as good teachers, and the fourth years were concerned about career and job. The factors that cause these conflicts are internal factors such as the uncertainty of the pre-service teachers, the burden of the teacher role, the satisfaction of the department, the teaching efficacy, external factors are the human factors such as the family members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characteristics of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for eff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 preparation program and educational policy.

      • KCI등재

        유아 문해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2000년부터 2019년까지

        김혜원(Kim, Hwe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7

        본 연구는 유아 문해 관련 국내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추후 유아 문해 분야의 체계적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유아 문해 관련 등재 학술지 논문 총 194편을 연구시기별, 연구대상별, 연구방법별, 연구영역별, 연구주제별 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연구시기별로는 2000년 중반부터 증가세를 보이다가 최근 10년간 유아 문해 관련 연구의 수행이 감소하는 추세임을 알 수 있다. 연구대상별로는 유아 대상 연구가 가장 많았고, 성인 대상 연구, 유아와 성인 대상 혼합 연구, 문헌 연구, 문해교육환경 연구 순이었다. 연구방법별로는 양적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질적 연구가, 문헌 연구, 혼합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영역별로는 읽기와 쓰기를 모두 다룬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읽기만 다룬 연구, 쓰기만 다룬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주제별로는 교수법이 가장 많았으며, 읽기 발달, 문해 발달, 쓰기 발달, 교수 매체, 부모 환경,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교사 환경, 물리적 환경, 교육과정 이론/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유아 문해 분야의 연구 발전을 위해 필요한 연구방향 및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search trends in early literacy studies published in Korea from 2000 to 2019, in order to understand overall aspects in research topics, periods, methods, and subjects in early literacy studies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early literacy stud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the number of researches related to early literacy has been on the rise since the mid-2000s by research period, but has declined in the last 10 years. By study subject, studies on young children were the most, followed by studies on adults, mixed studies on young children and adults, literature studies, and studies on literacy education environment. By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was the most, followed by qualitative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and mixed research. By research area, studies that dealt with both reading and writing were the most, followed by studies dealing only with reading and those dealing with only writing. By research subject, teaching method was the most common, followed by reading development, literacy development, writing development, teaching media, parental environment,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teacher environment, physical environment, and curriculum theory/area.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 direction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necessary for the future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field of early literacy were presented.

      • KCI등재

        학기 초의 유아의 쓰기 질

        김혜원 ( Hwewon Ki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연 초의 만 5세 유아들이 쓰기의 질과 기본 문해 기술과 쓰기의 질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미국 중서부의 한 주에 위치한 도시와 그 근교 세 곳의 유치원 만 5세 103명 유아이다. 본 연구에 참여한 유아들을 대상으로 쓰기와 다섯 가지의 문해 검사(이름쓰기, 소문자 인식, 알파벳 쓰기, 소리-글자 관계, 첫 음소 분절)를 실시하였다. 결과로서, 유치원 연 초에, 유아들은 간단한 등장인물 또는 상황을 그림으로 그렸고, 이는 그들의 쓰기와 약간 관계가 있다. 유아의 반 정도는 비 관례적 쓰기를 한다. 그들이 쓰기를 읽을 때는 두 개 또는 세 개의 생각을 표현하는 반면, 그들의 실제로 작성한 쓰기에서는 한 개 또는 두 개의 생각의 표현되어 있었다. 문해 기술과 관련하여서는, 유아들은 몇몇의 대문자와 함께 자신의 이름을 쓸 수 있었고, 28개의 소문자 중 대략 18개를 인지하고 있었다. 알파벳 쓰기의 경우, 일부는 반대 형태로 쓰기도 했고, 16개 중 대략 10개의 글자-소리 관계를 알고 있었다. 10개의 단어 중 7.6개의 첫 음소를 분절 할 수 있었다. 쓰기의 질의 수준과 각각의 다섯 개의 기본 문해 기술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전반적으로 기본 문해 지식은 쓰기 질의 41%를 예측한다고 볼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quality of written compositions produced by kindergarteners at the beginning of the school year and the relationship of foundational literacy skills to quality of writing.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cluded 103 kindergarteners from three urban and suburban elementary schools in a Midwestern state in the United States. The participating children completed two main tasks for this study: writing task and literacy assessments. In the results, at the beginning of the school year, children drew a simple character or setting, which was slightly related to their writing. Half of the kindergarteners used unconventional forms of writing; and they expressed one or two ideas in their written composition, whereas they expressed two or three ideas in their spoken composition. In relation to characteristics of foundational literacy skills. children were able to write their first names with some capitals; they recognized approximately 18 letters among 28 lower case letters; for alphabet writing, children`s letters were recognizable, but had some reversals; they knew approximately 10 of 16 letter-sounds; and, they segmented 7.6 beginning phonemes out of 10 word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quality of written compositions and each of five foundational skills. Overall foundational knowledge accounted for 41% of the variance in writing quality.

      • KCI등재

        유초 연계 관점에서 본 만 5세 쓰기교육 관련 유치원 교사의 신념과 실제 교육현황 비교

        김창복(Kim, Chang-Bok),김혜원(Kim, Hwewo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7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만 5세 쓰기에 대한 그들의 신념과 실제 교육현황을 조사하고 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인천 지역의 유치원 교사 181명을 연구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만 5세 쓰기교육의 주체자에 대한 교사 신념은 유아였으나 실제는 학부모와 교사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쓰기교육 내용에 대한 교사 신념은 주로 누리과정 범위였으나 실제에서는 초등학교 1-2학년군의 높은 내용 범위까지 확장되고 있었다. 쓰기교육방법으로는 교사의 신념과 실제에서 대체로 유아교육의 적합한 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쓰기교육 제공 시 초등 입학을 고려해야 한다는 응답은 높은 편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바람직한 쓰기교육의 유초연계교육을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개선과 함께 교사교육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about writing for 5 years and teaching practices. The subjects were a total of 181 in-service teacher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from previous research and through meetings with experts in this area. The questionnaire includes a priority for writing education, contents for writing education, effective methods for writing education, writing activities for transition to primary school. As a result of this study, in term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about writing for 5 years, they responded that they should consider young children when they teach and that the most effective way to teach writing is when young children want to do themselves. In term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es for teaching writing, they responded that they determine writing level on request of parents, and that they teach writing beyond national curriculum level.

      • KCI등재

        영아반 교실 도서영역의 정보그림책 비치 실태와 정보그림책에 대한 교사의 인식

        김혜원(Hwewon Kim),조은주(Eunju J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7

        목적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교실 내 도서영역의 정보그림책 비치 실태를 조사하고 정보그림책에 대한 영아교사의 인식을 탐색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대구 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 8곳의 총 24개 영아반 교실을 3개월 동안 매달 1회씩 총 72회 방문하여 도서영역에 비치되어 있는 정보그림책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반 영아교사 24명과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영아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전체 그림책 장르 중 정보그림책 비율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별로 살펴보면 영아반 교실 도서영역에는 사회과학, 순수과학, 생태⋅환경 관련 정보그림책이 많이 비치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영아반 교실 도서영역에는 개념책과 확인책이 많이 비치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교사들은 정보그림책이 영아에게 유익한 책이자 어려운 책이고, 다양한 간접 경험을 제공하고, 도서영역에 비치할 때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 영아를 위한 그림책 제공 방안과 예비 및 현직교사교육을 위한 내용 및 방향성을 도출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informational picturebooks in the book area in the daycare centers and to explore the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lated to informational picturebooks. Methods A total of 24 classrooms of 8 daycare centers located in Daegu were visited 72 times, once a month for 3 months, to collect information related to informational picturebooks, and to conduct interviews with 24 infant teachers.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informational picturebooks decreased as the age increased. For the subject, it was found that there are many informational picturebooks related to social science, science, and ecology and environment in the book area of the toddler classroom. For the writing style, it was found that there are many concept books and confirmation books in the book area of the toddler classroom.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at informational picturebooks were useful and difficult books for infants, and provided various indirect experiences. Conclusion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suggest implications for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