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치위생(학)과 표준교육과정안 개발

        원복연 ( Bok Yeon Won ),장계원 ( Gye Won Jang ),황미영 ( Mi Yeong Hwang ),김설악 ( Seol Ak Kim ),장종화 ( Jong Hwa Jang ) 한국치위생학회(구 한국치위생교육학회) 2013 한국치위생학회지 Vol.13 No.1

        Objectives: In order to make a proposal of a Korean standard dental hygiene curriculum, the job description of the National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Board was analyzed to prepare a job analysis matrix of dental hygienist to select required core competency. Methods: Data were analyzed to test the job validity of dental hygienist and categorize the duties of dental hygienist. A proposal of a standard dental hygiene curriculum was mapped out by mak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urses necessary for American authorization of dental hygiene curriculum, existing proposals of Korean standard dental hygiene curriculum and the courses of the departments of dental hygiene offered by domestic three-year colleges and four-year universities. Results: Basic medicine courses were reinforced or newly offered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students to transfer to a domestic four-year university or to a foreign university. In the field of clinical dental hygiene and practice, preventive dentistry, prophylaxis and practice were integrated, and the names of the related courses were unified to give a chance for students to engage in comprehensive dental hygiene practice. There were different courses for dental clinical science at present. In this proposal, students should earn 125 credits in total. Conclusions: Standard dental hygiene curriculum proposal was required by three-year and four-year colleges across the nation. To make it happen, the original names of dental hygiene courses should be used, and the dental hygiene certification and evaluation institute that is under the umbrella of the Kore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should lay out the standard of the KSDHEP to facilitate the utilization of the standard dental hygiene curriculum proposal.

      • KCI등재

        표준 한국어 교육과정의 기술 원리 및 적용 방안에 대한 고찰 -세 가지 "표준"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선정 ( Seon Jung Kim ),민경모 ( Kyung Mo Min ) 국어교육학회 2011 國語敎育學硏究 Vol.41 No.-

        본고에서는 ``한글학교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해외 초·중등학교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모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내용 기술 범주 및 등급 체계의 설정, 기술 원리, 적용 방안의 측면에서 살펴봄과 동시에 여러 ``표준``을 상호 연계 내지 통합하고자 할 때 제기될 수 있는 논점들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세 가지 ``표준 교육과정``을 살펴본 결과, 내용 범주 설계의 측면에서는 포괄적 범주 설계를 지향한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모형``과 다른 두 ``표준 교육과정``과의 상호 연계 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모형``이 지향한 ``포괄성의 원리``에서 연유된 바 크다. 반면 세 ``표준``의 등급 체계 설정은 상당히 이질적이어서 현재의 상태에서는 상호 연계 가능성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해외 초·중등학교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이 지향한 ``대응성의 원리``가 다른 두 ``표준 교육과정``과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CEFR의 참조 수준과 한국어능력시험의 숙달도 수준 간의 참조 수준 대응성이 연구되고, 최상위 표준 교육과정의 경우 ``하급의 하위 등급 세분화``와 ``타 교육과정과의 등급 대응성`` 문제를 고려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마지막으로 향후 또 다른 ``표준``과의 연계 문제가 제기되었을 때 상호 비교해 보아야 할 논점으로 ``① 내용 기술 범주의 설계, ② 등급 체계의 설정, ③ 등급과 교육 시수와의 관계, ④ 등급 체계의 준거``의 네 가지를 정리하였다. 이를 통하면 ``표준 교육과정`` 간의 상호 연계 가능성을 보다 쉽게 판별해 볼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common ground and the differences among Standar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for Overseas Korean Schools(OKS), Standar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for Overseas Foreig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OFS), and Standar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for International Use(IU) based on the category of scope, sequence-setting, descriptive principles, and application proposals. It also discusses the issues which can be raised in the mutual liaison or integration of the Standard curricula. As a result of considering the three standard curricula, it is likely that IU, aiming for comprehensive cover, can provide the reciprocal connection with the two other curricula in terms of the design of the category of scope. It maybe a decisive reason that IU aims at inclusive application. However, the probability of a mutual liaison with the three Standard curricula seems to be low, since the sequence-setting is considerably different in kind with one another. It is possible that the "Principle of Correspondence", which OFS aims for, shows considerable difference from the two other curricula.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correspondence of the sequence criteria between 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for languages(CEFR) and TOPIK must be studied, and the detailed segmentation of lower level and how to correspond to other curricula must also be suggested. For future consideration of standard curriculum and the issue for the mutual liaison with other standard curricula, the following topics are suggested to compare:the category of scope, the setting up of seq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levels and the number of school hours, and the criteria for the segmentation of sequence. Through this research, a better way of mutual liaison between the Standard Curricula of Korean Language series can be achieved.

      • 의사의 설명의무 범위와 보건의료적 제언 - 대법 2015. 1. 20. 선고 2012다41069 판결을 중심으로 -

        정창우 ( Jeong Chang U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의료·과학기술과 법센터 2017 연세 의료·과학기술과 법 Vol.8 No.2

        대법원 2015. 1. 20. 선고 2012다41069 판결에서는 ① 옥시토신 투여에 의한 유도분만 선택 및 시행과정상 과실유무, ② 양수색전증에 대한처치상의 과실 유무, ③ 설명의무 위반여부가 쟁점이 되었다. ①, ②에 대해 대법원은 피고병원 의료진이 상당한 범위의 재량 안에서 선택한 진료방법으로서 합리성이 있고, 원고들이 주장하는 간접사실들만으로는 개연성이 담보되지 아니하여 과실과 인과관계를 추정할 수 없다고 판단 하였다. ③에 대해서는 망인의 분만당시인 2008년의 의료수준에 비추어, 피고병원 의료진이 양수색전증의 후유증 발생을 예견할 수 없어 이에 대해서는 설명의무를 인정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본 판결의 의의는 ① 개연성이 담보되지 않은 사정만으로는 의료인에게 장래의 위험에 대한 결과예견의무를 물을 수 없고, 동시에 예견할 수 없는 그 장래의 위험은 의사의 설명의무 범위에서도 제외된다는 새로운 법리를 전개한 것과 ② `의료수준이론`의 문제를 다루며 `통상의 의학상식`을 판단함에 있어 `세계 각국의 연구결과`를 적극 고려한 것이다. 의사의 설명의무의 범위에 포함 되는 것은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사항`이다. 중요성 여부는 진료행위 당시의 구체적 환자를 대상으로(주관적 기준), 당시의 의료수준에 비추어 상당하다고 생각되는 사항을 보완하여(객관적 기준) 정해진다. 이에 반해 설명의무의 한계에 해당되는 것으로는 `당시의 의료수준에 비추어 예견할 수 없는 위험`등이 있다. 설명의무는 약자인 환자를 보호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본 판결에서와 같이 `통상의 의학수준`이라는 다분히 의료인 중심의 기준만으로 설명의무의 범위를 정하는 것은 도입취지에 어긋난다. 심지어 본 판결에서는 개연성이라는 또 다른 환자보호의 법리를 차용하여 의료인을 위한 방어 논리로 둔갑시키고 있다. `구체적 환자기준설`을 기준으로 환자에게 중요한 악결과를 설명하고, 그에 대한 의료인의 견해를 `통상의 의학수준`에 따라 보완하여 개진하여야 한다. 또한 의료인은 대체 의료행위 등을 충분히 설명하여, 환자가 각 의료행위의 위험성을 고려하여 최선의 의료행위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한다. 의료법이 개정되어 `전단적 의료행위`를 규제하기 위해 행정벌을 규정하였지만, 설명의무 실천이 지금과 같은 낮은 수준으로 유지될 경우에는 형벌적 제재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 동법 제24조의2 제5항의 표준 서식도 하위법규에서 신속히 제정되어야 한다. 의료인들에 대해서는 대한의사협회 등에서 정기적으로 의료법적 지식을 제공하고, 의료현장에서는 법률전문가가 상주하여 의료 컴플라이언스 시스템을 완비하여야 한다. 환자들에게도 중앙정부와 지자체 차원에서 관련 캠페인을 실시하고 한국소비자원을 중심으로 의료소비자 교육이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통상의학 수준을 판단하는 주된 자료인 `교과서`의 주기적 개정이 이루어져야하고, 판단 자료를 다변화하여 유관기관에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여야 한다. What is included in the scope of Informed Consent is “Important Matter” that affects the Self-Determination of patient. Whether it is important or not is determined for specific patients at the time of medical consultation(subjective criteria), supplementing matters considered to be considerable in light of the medical standard at the time(objective standard). On the contrary, it corresponds to the limitation of Informed Consent, “Danger not foreseeable in light of the medical standard of the time,” etc. “Informed Consent” was introduced to protect patients who are weak. It is contrary to the purpose of introduction to determine the extent of Informed Consent with reference only to doctors, perhaps as “Ordinary Medical Standard” as in this judgment. Furthermore, in this judgment, judges are turning to logic of defense for doctors by borrowing the doctrine of patient`s protection called `Probability,` Doctors should explain important evil consequences to patients based on the "Specific Patients Criteria" and supplement the views of doctors on the basis of “Normal Medical Standards.” In addition, doctors must fully explain alternative medicine practices and give “opportunities” to allow patients to select the best medical practic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danger of each medical practice. The Korean Medical Law was revised and regulated administrative penalty to “The Violation of Informed Consent,” but if medical practice is maintained at a low level like this now, consideration of punitive sanction is necessary. The standard format of Informed Consent, which is regulated on § 24-2 (5) of the same law, must also be enacted promptly by sub-regulations. To doctors,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etc. regularly provide legal knowledge of medical law, and in the medical field, legal experts must stay and complete the medical Compliance System. Even for patients, medical consumer education has to expand, centering on the Korea Consumer Agency, implementing relevant campaigns at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level. In addition, periodical revision of “Textbook” which is the main material to judge the usual medical level will be carried out, diversifying judgment materials and establishing databases for related organizations.

      • 초고층 건축물 화재시 피난공간 기준 제안에 관한 연구

        박상규(Park, Sang-Gyu),노삼규(Roh, Sam-Kew)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8 No.춘계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 건축물에서의 화재 발생시 피난상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재실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피난공간을 제시하고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또한 피난공간의 기준 마련을 위해서 고려해야 할 인자들을 도출하고 도출된 인자들을 각각의 해결방안에 의한 논증을 통해 피난공간의 기준을 제안하였다. This thesis analyzed the evacuation problem when fire breaks out in the super-high-rise buildings and proposed the refuge areas as a method of seeking for the residents' safety and considered its necessity. And drew out the factors which should be considered to prepare refuge area standard, and demonstrated those drawn factors for solution one by one and then proposed as the refuge standard.

      • KCI등재

        연구지원사업 표준점수 산정방식 개선 연구

        양정모(Jeong-Mo Yang),이태종(TaeJong Lee),한승환(Sung-Hwan Han) 한국교육평가학회 2009 교육평가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연구지원기관에서 발생하는 업무 중 연구과제 선정과정의 합리성과 선진성 확보를 위해 추진되었다. 연구지원과제의 심사 시 다수의 심사자의 점수를 종합하여 평균치를 산정하는 과정에서 평균보다 지나치게 높거나 낮은 점수를 배제하여 심사자의 편향된 정보를 최대한 줄이는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지원기관의 지원데이터를 활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적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연구결과를 뒷받침하는 일반적인 통계이론을 소개하고, 선진연구지원기관인 NSF, NIH, AHRC 등의 연구지원사업 선정 방식에 대한 선행연구를 소개하여 본 연구 결과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심사자의 연구지원과제별 평가점수의 평균값의 구간추정을 T분포를 이용하여 극단치를 제거한 후 평균을 계산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기존의 방식을 개선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연구지원과제의 심사자 수에 따라 T분포의 구간추정계수를 결정하여 95% 신뢰구간으로 평균값을 추정하여 구간을 벗어난 심사자의 점수를 배제하는 원리이다. 또한 연구과제 선정에 있어서 동료평가의 의견을 최대한 수용한다는 기본 정책을 반영할 수 있는 제도적 보완장치를 심사패널의 건전성을 판단할 수 있는 구간(band)를 통해서 제시하였다. 이 방식은 통계적 극단치 제거 방식을 택하기 전 심사패널의 최대점수와 최소점수의 차이가 만점의 30%를 벗어나지 않을 경우 단순 산술평균을 내고, 벗어날 경우 T분포 95% 구간추정방법을 통해 극단치를 배제하는 것이다. 아울러 단순한 통계기법을 적용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예외의 경우에 대해서 정책적 판단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일반적인 통계기법이 연구지원의 틀에서 효과적으로 적용되는 과정을 실제 연구지원기관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검증한 것으로서 실용성이 큰 결과이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give a efficient and scientific system for evaluating grant proposals to research support organization. We suggest a new method to calculate reviewer's results on evaluating research grant proposals. We use a confidence interval estimation for deleting biased points (relatively too high, too low). We choose points from evaluators which are in the 95% confidence interval. Before applying confidence interval estimation method, we first calculate the difference of points between the highest and the lowest points of evaluators in the review panel. Now if the difference is less than 30% of a perfect score(for example, 100), we calculate just arithmetic mean of all reviewers' points. Otherwise we choose the confidence interval estimation method. This is a scientific approach to assess research grant proposals. We propose an innovative research grant supporting system and give a political decision process for a exceptional case from statistical result. KRF (Korea Research Foundation) is a representative governmental research funding agency of Korea like NSF (National Science Foundation) in USA. We give various examples for evaluating research grant proposal from other country. In fact, our result is a very efficient and suitable for Korea's situation.

      • 한글자판 국제표준 제정전략

        김하진 한국어정보학회 2018 한국어정보학 Vol.20 No.2

        Hereafter, It is very important project for KS X and KCS,KO to establish the International Standards. This is a study on the definition of the ISs(International Standards) and on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o establish the ISs from Korean National Standards of keyboards on the Hangul, and on the general procedure to produce the ISs. Lastly, we have studied on the strategies to achieve them.

      • KCI등재

        보행밀도를 고려한 보행전용존 폭의 연구

        정우진,오흥운 한국도로학회 2019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21 No.1

        PURPOSES : This study aims to propose widths of pedestrian zon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idewalk areas, pedestrian volumes, and pedestrian density. METHODS : We derived a pedestrian zone formula considering the maximum pedestrian volumes, mean intervals between pedestrians (pedestrian density), occupancy widths of pedestrians, and average speed of pedestrians. We compare the widths obtained using the formula with the existing Korean standards. RESULTS: Considering the pedestrian volumes and density, the pedestrian zone widths of neighborhood main sidewalk areas are determined to be 1.4~4.5 m, whereas those of commercial sidewalk areas are determined to be 1.4~2.9 m. CONCLUSIONS: Existing Korean regulations and guidelines provide a uniform standard sidewalk width. However, this study proposed a formula for determining pedestrian zone widths considering pedestrian volumes, characteristics of the sidewalk area, and pedestrian density.

      • KCI등재

        Membership Wholesale Club에서의 상품 진열유형이 적재효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표준규격을 중심으로

        정성태 한국물류학회 2019 물류학회지 Vol.29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management efficiency by analyzing the loading efficiency of each loading pattern of MWC quantitatively. In the case of the block type and brick type, the average loading efficiency of the T-12 palle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T-11 pallet, In the case of the pinwheel type, the T-11 pallet is higher than the T-12 pallet. In the T-11 pallet, the pinwheel type loading pattern is the largest part of the improvement of loading efficiency, In the case of the block type, the loading efficiency was confirmed as the lowest with 75.2%. In the T-11 pallet, the pinwheel type loading patter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improving the loading efficiency, In the case of the block type, the loading efficiency was confirmed as the lowest with 75.2%. In the case of the T-12 type, the block type was found to be 96.2%, the highest loading efficiency pattern. It was confirmed that the case of MWC A, which is being supplied as a T-12 type wooden pallet, is composed of block and brick loading products and display patterns. On the other hand, MWC B and MWC C, which are supplied as T-11 type plastic pallets, have an average loading efficiency of 97.4% when they are pin wheel type rather than block type and brick type, More than 90% of the standard specifications are also diversified into 51 types, confirming that the product and display pattern should be composed of pin wheel loading type. MWC B and MWC C, which are delivered as T-11 pallets, are delivered in the same block and brick loading styles as MWC A, not pinwheel, but do not take into account logistics efficiency. It was confirmed that. In this case, more than 90% of the block loading standard standards proposed in this study (T-11 type pallets) and 36 types of standard standards (T-12 type pallets) can prevent the loss of logistics, In the case of the brick loading type, it is confirmed that the load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through the use of 21 types (T-11 type pallets) and 24 types of standard standards (T-12 type pallets) of 90% or more. 본 연구에서는 MWC 각 적재패턴 별 적재효율을 분석함으로써 물류측면의 요인도 고려되고 반영되어야 함을 정량적으로 분석 하여 경영효율화를 제고하고자 한 것이다. 블록적재형과 벽돌적재형의 경우 T-11형 파렛트 보다는 T-12형 파렛트의 평균 적재효 율이 높았으며, 핀휠적재형의 경우에는 T-11형 파렛트가 T-12형 파렛트 보다 평균 적재효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T-11형 파렛트에서 핀휠형 적재패턴이 적재효율 향상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블록형의 경우 75.2%로 적재효율이 가장 낮은 패턴으로 확인된 것이다. T-12형의 경우 블록형이 96.2%로 가장 높은 적재효율의 패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T-12형 목재 파렛트로 납품되고 있는 MWC A사에 있어서 블록적재형 및 벽돌적재형으로 제품 및 진열패턴이 구성되고 있는 점은 바람직한 경 우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T-11형 플라스틱 파렛트로 납품되고 있는 MWC B사와 MWC C사의 경우 블록적재형 및 벽돌적재 형 보다는 핀휠적재형일 경우 평균 적재효율이 97.4%로 매우 높으며, 90% 이상의 표준규격 역시 51종으로 다양하므로 핀휠적재형 으로 제품 및 진열패턴이 구성되어야 함을 확인해 주고 있다. T-11형 파렛트로 납품되고 있는 MWC B사와 MWC C사에 있어서 핀휠적재형이 아닌 MWC A사와 동일한 블록적재형 및 벽돌적재형으로 납품이 이루어지고 있는 점은 물류측면의 적재효율이 고려 되지 않은 것이다. 이 경우 본 연구에서 제안된 90% 이상의 블록적재형 표준규격 17종(T-11형 파렛트)과 36종의 표준규격(T-12형 파렛트)을 통해 물류의 손실을 예방할 수 있으며, 벽돌적재형의 경우에도 90% 이상의 표준규격 21종(T-11형 파렛트)과 24종의 표 준규격(T-12형 파렛트)의 사용을 통해 적재효율이 제고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 이공계 대학생 글쓰기 상담 연구― 제안서를 중심으로

        김인경 돈암어문학회 2010 돈암어문학 Vol.- No.23

        본고에서는 이공계 학생들의 ‘제안서’ 작성을 위한 실제적인 글쓰기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한성대학교에서 운영하는 글쓰기 상담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3단계로 상담을 진행했다. 먼저 1단계 ‘기초지식 사전 점검’에서는 내담자들이 갖고 있는 제안서에 대한 기초 지식을 점검함으로써 제안서 상담의 핵심 영역을 설정할 수 있었고, 제안서 작성에 대한 내담자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게 했다. 2단계 ‘목차 상담을 통한 구성 점검’에서는 세 팀의 목차를 비교․분석함으로써 1장 수행 목적, 2장 결과물 개요, 3장 결과물, 4장 수행 추진 체계 및 일정, 5장 참고 자료 등으로 공통적인 구성 체제의 표준안을 제시했다. 3단계 ‘내용 상담을 통한 서술 점검’에서는 프로젝트 수행 목적에 해당하는 프로젝트 동기, 프로젝트 가치, 프로젝트로 인해 얻는 것들에 대해 4항목을 중심으로 수정·보완하는 상담을 진행하여 내용 서술의 중요 기준점을 제시했다. 이와 같이 제안서를 중심으로 한 이공계 글쓰기 상담 연구는 이공계 학생들에게 제안서 작성을 위한 목차 구성의 표준안과 내용 서술의 기준점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이공계 학생들의 제안서 작성을 위한 교수 학습 사례가 되어 이공계 글쓰기 교육을 보다 폭넓게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actual writing methodology for preparing ‘proposal’ in engineering students. For this, the advice was progressed with 3 stages based on the writing advice program, which is operated by Hansung University. First of all, in ‘prior inspection of basic knowledge’ as stage 1, the core sphere of advice in proposal could be established by inspecting basic knowledge on proposal that interviewees have. Also, interviewees’ positive participation in preparing proposal was allowed to be possibly induced. In ‘inspection of composition through advice of contents’ as stage 2, the contents in three team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us, the standard of common compositional system was suggested such as the objective of performance in Chapter 1, the overview of results in Chapter 2, the results in Chapter 3, the system and schedule of driving performance in Chapter 4, and references in Chapter 5. In ‘inspection of description through the advice of substance’ as stage 3, the important standard of describing the central substance by making it modified and supplemented centering on 4 items as for a motive of project, which corresponds to the objective of performing project, the value of project, and those that were obtained by project. In this way, a research on the engineering writing advice centering on proposal suggests the standard of forming contents and the important standard for describing substance in order to prepare proposal to the engineering students. This will be able to be an opportunity available for arranging a real writing example as one suggestion of communication education for the engineering students.

      • KCI등재

        이공계 대학생 글쓰기 상담 연구

        김인경(Kim In-Kyung) 돈암어문학회 2010 돈암어문학 Vol.- No.23

        본고에서는 이공계 학생들의 ‘제안서’ 작성을 위한 실제적인 글쓰기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한성대학교에서 운영하는 글쓰기 상담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3단계로 상담을 진행했다. 먼저 1단계 ‘기초지식 사전 점검’에서는 내담자들이 갖고 있는 제안서에 대한 기초 지식을 점검함으로써 제안서 상담의 핵심 영역을 설정할 수 있었고, 제안서 작성에 대한 내담자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게 했다. 2단계 ‘목차 상담을 통한 구성 점검’에서는 세 팀의 목차를 비교ㆍ분석함으로써 1장 수행 목적, 2장 결과물 개요 3장 결과물, 4장 수행 추진 체계 및 일정, 5장 참고 자료 등으로 공통적인 구성 체제의 표준안을 제시했다. 3단계 ‘내용 상담을 통한 서술 점검’에서는 프로젝트 수행 목적에 해당하는 프로젝트 동기, 프로젝트 가치, 프로젝트로 인해 얻는 것들에 대해 4 항목을 중심으로 수정ㆍ보완하는 상담을 진행하여 내용 서술의 중요 기준점을 제시했다. 이와 같이 제안서를 중심으로 한 이공계 글쓰기 상담 연구는 이공계 학생들에게 제안서 작성을 위한 목차 구성의 표준안과 내용 서술의 기준점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이공계 학생들의 제안서 작성을 위한 교수 학습 사례가 되어 이공계 글쓰기 교육을 보다 폭넓게 할 수 있는 계기가될 것이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actual writing methodology for preparing 'proposal' in engineering students. For this, the advice was progressed with 3 stages based on the writing advice program, which is operated by Hansung University. First of all, in 'prior inspection of basic knowledge' as stage 1, the core sphere of advice in proposal could be established by inspecting basic knowledge on proposal that interviewees have. Also, interviewees' positive participation in preparing proposal was allowed to be possibly induced. In 'inspection of composition through advice of contents' as stage 2, the contents in three team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us, the standard of common compositional system was suggested such as the objective of performance in Chapter 1, the overview of results in Chapter 2, the results in Chapter 3, the system and schedule of driving performance in Chapter 4, and references in Chapter 5. In 'inspection of description through the advice of substance' as stage 3, the important standard of describing the central substance by making it modified and supplemented centering on 4 items as for a motive of project, which corresponds to the objective of performing project, the value of project, and those that were obtained by project. In this way, a research on the engineering writing advice centering on proposal suggests the standard of forming contents and the important standard for describing substance in order to prepare proposal to the engineering students. nus will be able to be an opportunity available for arranging a real writing example as one suggestion of communication education for the engineering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