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육계열 대학생의 진로 인식을 통한 대학 진로교육의 방향 탐색

        박정준(JeongJun Park),홍애령(AeRyung Hong)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6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3 No.3

        본 연구는 체육계열 대학생의 진로 지식, 진로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학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문제점에 관한 인식을 바탕으로 체육계열 대학 진로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상적 사례선택을 통해 선정된 체육계열 대학 재학생 및 졸업생 9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귀납적 범주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연구 참여자 검토, 동료 간 협의, 연구자의 성찰을 통해 연구의 진실성을 확보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체육계열 대학생들의 진로 지식 측면에서 먼저 진로 · 직업 분야에 대한 지식은 소속 대학, 전공학과에 따라 매우 한정적인 경향을 보여주었다. 체육계열 대학생들의 진로 준비 방법에 대한 지식은 대학 내 교과활동, 비교과활동, 개인적 부가활동으로 구분되었다. 체육계열 진로 · 직업 전망에 대한 지식은 체육계열 진로 준비 방법에 따라 대조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계열 진로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체육계열 직업에 대한 개인의 적성, 가족의 지원, 대학 교수의 상담과 조력, 특성화된 전공 교과 수업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계열 대학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문제점은 전공 교과과정에서의 진로교육의 미비, 비교과활동에서의 진로교육의 전공 특수성 및 다양성 부족, 체육계열 교수 및 지도자의 진로교육 관심 부족, 체육 진로 및 취업관련 실습환경 부족, 학생의 진로 개척 인식 부족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체육계열 대학 진로교육의 방향으로 체육계열 진로 방향과 범위의 확장, 체계적인 체육 진로교육과정의 개발, 현장 연계 진로체험 및 채용 연계과정의 도입, 체육계열 진로정보 구축 및 서비스 지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directions of career education in sports-related universities, by grasping knowledge on career path perceived by sports-related university students, factors affecting preparation, and problems of university career education programs. This research collected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ing with nine research participants from sports-related universities, chosen through ideal case selection. The study endeavored to obtain research integrity through member-checking, peer consultation, and self-reflection. As research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knowledge on career perceived by sports-related university students showed a very limited tendency depending on the universities, and departments of major they belong to. In addition, knowledge on the methods of career preparation for sports-related university students were mainly in the form of curricular activities,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other personal activities. Knowledge on prospects of sports-related career profession showed contrasting viewpoints depending on their sports-related career preparation methods. Second, factors that affect sports-related career preparation are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the suitability of sports-related profession, support from family, university professors" consulting, and specialized major courses. Third, problems of sports-related university career education programs were pointed out, with items including, absence of career education as major courses, insufficiency in major specialty and variety of career education as extra-curricular activities, lack of understanding from professors and leaders, shortage in career or employment-related practice environments, and deficiency in students’ awareness. Based on such findings, expansion of direction and scope of sports-related career, development of systematic career education program, introduction of field-connected work experience or employment-linked process, building sports-related career information and service support, were proposed.

      • KCI등재

        한국형 체육진로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방향 탐색

        김우석,유정애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0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8 No.1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the systematical sport career education for youth, which reflects the distinctiveness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have not been established in Korea. Lack of goal, content, teaching method and evaluation that are appropriate for Korean youth could not promote the faithfulness and extensibility of sport career educ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urriculum directions for Korean Youth Sport Career Education. Data collection (in-depth interview) was us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had in-depth interviews with a total of 20 sports-related university graduates,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port career specialists, and career counselors to understand the needs and recognition of experts in Korean youth sport career educat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Physical education career experts had various perceptions and demands on the contents, operation, and evaluation of Korean youth sport career education. The contents of the sport career education were required to be composed of the method to find the information of the career and contents that students can design their career by themselves. Also, they demanded the continuity of the operation, strengthening the linkage with local institutions, and the need for professional personnel for the better management of sport career education. As for the evaluation of sport career education, it was able to find that experts have been perceived the importance of 「learning process oriented evalu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exploring curriculum directions of Korean sport career education was discussed. First, there is lack of human resources that can professionally carry out the sport career education in Korea,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fessional training course for implementing curriculum of Korean sport career education. Second, the use of facilities according to curriculum of Korean sport career education can be more flexible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and it needs to expand the diversity of the facilities in connection with local organizations. 우리나라 체육 및 스포츠분야의 특수성을 반영한 체육진로교육이 체계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교육환경이 마련되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 중․고등학교에 적합한 체육진로교육의 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의 방향성 부재는체육진로교육의 충실성과 확장성을 담보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체육진로교육의 교육과정 방향을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한국형 체육진로교육에 대한전문가들의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총 20명의 체육계열 대학교원, 체육교사, 체육진로전문가, 진로진학상담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2~3회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형 체육진로교육의 내용, 운영, 그리고 평가에 관해 체육진로교육 관계자들은 다양한 인식과 요구를 하고 있었다. 먼저 체육진로교육의 내용에 대해서는 체육진로와 관련된 자기이해와 체육진로정보를 찾는 방법, 스스로 체육진로를 설계할 수 있는 내용으로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체육진로교육의 운영에 대해서는 운영의 연속성, 지역기관과의 연계 강화, 전문 인력의 필요성을 요구하고 있었다. 체육진로교육의 평가에 대해서는 ‘과정에 대한 평가’를 지향하는 관계자의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형 체육진로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방향에 대해 다음과 같이 논의하였다. 첫째, 현재 우리나라 체육진로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을 전문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인력이 매우 부족하므로, 체육진로교육 전문 인력 양성과정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한국형 체육진로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의 특성에 따라 시설을 달리 할 수 있고 지역기관과 연계하여 시설의 다양성을 확충할 필요성이 있다.

      • KCI등재

        스포츠진로상담사 양성교육과정 설계방안

        김우석,유정애,차윤석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19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7 No.2

        Recently, much attention on sport career education is rapidly growing in our society. Thus, govermental and societal supports can not be delayed toward the school entrance and the job seeking in sports for student-athletes as well as non-student athletes. In fact, several ago even if various efforts in the national level have been made on the program development and the policy establishment in career education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the outcome in sport career is not big. No professional human resource in sport area has been not educating, whereas professional human resource like a career-counselling teacher in general education career has been systematically educated. Thu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ign the educational curriculum of sport career counsellor who would professionally perform career education and counselling in sport area. For this, data collection were made by various document analysis related to career counselling, interviewing survey with 10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10 career-counselling teachers, and professional meeting with 6 experts. First, six occupational competencies in 4 domains of sport career counselling have been addressed. After a field testing, 9 courses for educating sport career counsellor have been selected. Finally, it was suggested the certification courses for sport career counsellor in this paper. Further, the findings in this paper would be used a evidence of policy and program development in sport career education for non-student athletes and student athletes in Korea. 최근 스포츠분야의 진로교육에 관한 국가사회적 관심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일반 학생뿐만 아 니라 학생 선수(또는 운동중단 선수출신 포함)의 스포츠분야 진로진학 및 취업에 관한 국가사회적 지원은 더 이 상 미룰 수 없게 되었다. 몇 년 전부터 정부차원에서 초·중·고등학생 및 대학생 대상의 진로교육정책 및 진로교 육 프로그램 개발 등의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으나, 스포츠분야의 성과는 미진한 편이다. 이는 일반진로의 경 우 진로진학상담교사와 같은 전문인력 양성을 통해 체계적으로 진로교육을 시행해 오는 반면, 스포츠진로분야에 서는 전문 인력이 양성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분야의 진로교육 및 상담을 전문적으로 진행할 스포츠진로상담사 양성 교육과정을 설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진 로진학상담관련된 다양한 문헌조사, 체육교사 10명과 진로진학상담교사 10명을 대상으로 한 면담조사 및 6명의 전문가협의회 운을 시행하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진로상담사 4개 역에서 6개 직무역량을 도출하 고, 현장교사들의 검증을 거친 후 스포츠진로상담사의 양성 교과목 9개를 선정하다. 이를 바탕으로 스포츠 진로상담사 자격연수과정을 설계하여 제시하다. 본 연구에서 설계된 스포츠진로상담사 양성교육과정은 우리 나라 일반학생과 학생선수의 스포츠진로교육 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에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체육계열 진로 연구동향 분석

        최윤소 ( Yoonso Choi ),이예슬 ( Ye-seul Lee )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1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9 No.1

        본 연구는 체육계열 진로에 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체육계열 진로에 관한 논의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 제언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토픽모델링 분석기법을 활용하였으며, ‘체육’과 ‘진로‘를 키워드로 하여 체육진로에 관한 논의가 시작 된 1967년 이후 모든 학술연구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설정하였다. 토픽모델링을 적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육과 진로를 키워드로 적용한 결과 총 7가지의 상위범주(양적연구, 운동선수 진로, 청소년 진로교육, 교육과정, 진로지원 정책, 진로준비를 위한 활동, 진로역량)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주로 설문조사를 통한 양적접근이 진로연구에서 다수 이루어짐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체육계열의 특수성에 따라 ’운동선수‘들의 은퇴 후 진로선택에 대한 스트레스 등이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진로교육과 교육과정 그리고 진로지원 정책은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청년 실업률 해소를 위해 국가차원의 적극적인 움직임이 반영된 것으로 보여진다. 다음으로 나타난 진로준비를 위한 활동 및 진로역량 범주는 체육계열 학과 학생들의 진로 선택에 대한 인식부재와 경험 부족으로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선택을 위한 다양한 기회의 제공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ways in which discussions on career in the area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should be discussed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of career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To achieve the purpose, topic modeling analysis was utilized as a research method with two main key-words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and ‘Career’ since the discussions on career in PE and sports areas in 1967.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a total of 7 categories as follow: 1) quantitative research, 2) careers on athletes, 3) career education for juvenile, curriculum, policies on career support, activities for preparing career, and career competency. First of all, there have been many quantitative research(surveys and experiments) on career in the field of PE and sports. The result of this study also reflected negative issues in choosing career of athletes after their retirement. In addition, career issues such as career education, curriculum, and its policies have been continuously supported in the government level. Lastly, the last two categories(activities for preparing career and career competency) have shown that more research on the absence of awareness and its competency of career in order to provide various opportunities fo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PE and sports.

      • KCI우수등재

        체육전공 대학생의 진로 교육 방안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이원일(Weon-IlLee),이은영(Eun-YoungLee),이경준(KyoungJune),진연경(YeonKyungJin) 한국체육학회 2019 한국체육학회지 Vol.58 No.3

        본 연구는 청년실업 해소를 위한 대학 진로교육의 중요성 및 필요성 증대에 따라 대학 체육 전공자 진로교육에서 현장의 요구가 반영된 효과적이고 실용적인 진로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체계적 문헌 고찰(PRISMA)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최종 선별된 38개의 문헌에서 체육계열 전공 진로 교육에서 고려해야 할 ‘학생의 진로 결정관련 요인’, 체육계열 전공 교육과정 내 진로 교육 문제점, 개선방안의 세 가지 측면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였다. 첫째, 학생들의 진로 결정은 학생 개인의 내적(전공 만족도, 자기 효능감, 진로 장애) 외적 요인(진로상담 유무, 진로여건, 직업위상)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둘째, 체육 진로교육 현황은 교육과정 내 진로교육 미비, 전공교수의 지원 부족, 현장경험지원 미비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물에서 제시한 개선방안은 체계적 진로교육과정 개발(지도자 역량 함양, 직업 전문성 중심 교육과정 재구조화, 체계적 교육과정 운영)과 적합한 진로교육환경(대학과 사회 연계 인프라 구축, 체육계열 진로 정보 구축)제공 측면에서 고찰되었다. 이후 학생 진로 관련 요구와 연계된 진로교육과정 개발 필요, 체육계열 진로관련 정보 자료 체계화 미비, 체육계열 전공 진로 교육 현황 관련 연구물 부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ffective and practical career plans reflecting demand of the field, in regard to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who major in physical education, as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career education at a university level are increasing.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PRISMA) methodology was used for this study. From 38 pieces of literature that were finally selected for this study, research results were put together from three perspectives as follows: 1. ‘Factors Related to Students’ Decision-Making for Career’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career education for physical education majors; 2. Problems of Career Education in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3. Improvement Plans. First, it was found that students’ decision-making for career is affected by individuals’ personal internal factors (i.e., satisfaction with major, self-efficacy, and career barrier) and external factors (i.e., counselling history on career paths, career conditions, and the status of related jobs). Second, the state of career education for physical education majors was found to be insufficient in terms of a lack of career education in the curriculum, a lack of support from major professors, and a lack of support for field experience. Third, improvement plans were suggested from the following perspectives: development of systematic career education curriculum (i.e., fostering leadership, reorganization of curriculum focused on career specialty, and operation of systematic curriculum); provision of an adequate environment for career education (i.e., establishment of infrastructure that links the university to society and collection of information on career paths for physical education majors). Moreover, the necessity to develop career education curriculum in connection with demand of students regarding career, the lack of systematic information on career paths of physical education majors, and the lack of researches on career education for physical education majors were discussed in this study.

      • KCI등재

        환경 변화에 따른 스포츠 관련 전공의 진로 교육 내실화 방안

        구강본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4 코칭능력개발지 Vol.26 No.4

        이 연구는 취업시장의 환경 변화를 예측하여 스포츠 관련 전공 학생들의 진로 교육 내실화를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15년 이상의 학생 상담 경력이 있는 대학교수와 지도자 10명으로 선정하였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 문제를 구성하여사전 질문지를 통해 FGI 인터뷰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1차 대면 FGI와 2차 비대면 FGI을 실시하였고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결과를 토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시장의 환경 변화에 대한 거시적 대응이 필요하다. 취업시장의 변화에 따른 교육환경의 개선과 스포츠 시장의 근원적 개선을 통해 학생들의 진로 선택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생들이진로 불안을 경험하지 않도록 대학과 학과 차원의 역할이 강조되어야 하며 프로그램의 개선과 진로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담론이 필요하다. 셋째, 대학 진로 교육의 내실화를 위해 진로 취업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과(비교과)를 체계적으로 학생들에게 제공하여야 한다. 전문교재의 개발과 전문 강사의 육성을 병행할 때 진로 교육이 정착할 수 있다. 넷째, 진로 교육 내실화를 위해 지역사회와의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취업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지역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지역 정주형 취업에 관심이 필요하다. 지역인재의 지역 정주를 통한 지역과 지역기업의 성장은 상호작용을 통해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향후 정량적 통계 부분과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 설계가 병행될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methods that enhance career education for sports related majors by predicting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job market. A total of 10 faculty members and coaches who have more than 15 years of student counseling experie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earch questions were formula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FGI interview questions were developed through preliminary questionnaire. In-person FGI interviews were conducted followed by remote FGI interviews. A constant comparison method was employed for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macro response is needed for the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job market. Specifically, it may be required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 as well as fundamental sport market to expand students’ career options. Second, the college and department level approaches should be emphasized to reduce students’ anxiety regarding their future career. Specifically, it was necessary to have discourses that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career related program improvement as well as career education. Third, career and employment preparation programs must be developed to reinforce college career education, and provide curriculum (non-curriculum) to students systemically. A career education can be establish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books along with the training of professional instructors. Fourth, it was necessary to build a network with the local community to enhance career education. In order to resolve employment imbalances and overcome regional crises, interest in regional residential employment will be needed. In addit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local companies and the students with local talent will be able to create maximum effect of the region and local companies’ growth. Looking ahead, future studies should focus on providing specific solutions using quantitative methods is warranted.

      • KCI등재

        경력단절여성을 위한 스포츠 직업교육프로그램의 사회적 함의

        문보라,김범식,김용은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5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use of women's participation and motivationprograms will experience a career break,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that are seeing at career breakcauses and recognition and is no relationship. Als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opinions of sportsvocational education program participants and administrators to understand the social implicationsand issues of the sport and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For this purpose, the quantitative and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o the mixing method are combined. In quantitativeresearch, which is the first step operated by Seo-gu Incheon, Yesan, Pohang, Namwon, Yeosu,Seo-gu Gwangju New Job Center for Women(Saeil Center) to participate in sports vocationaleducation programs a total of 232 people were surveyed. Data analysis is frequency analysis,chi-square test of correlation studie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0.0 program. Qualitativeresearch program participants in 9 patients, a total of 16 participants were selected as representativeseven people wer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as follows. First,the age and experience disconnection between the cause of those surveyed were found to bestatistically correlated. Second, the monthly income and career break period between the subjects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correlated. Third, education and motivation of those surveyed betweenprogram participation showed that a statistically relevant. Social implications and challenges ofsports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significance of sport vocationaleducation program to maximize efficiencies through the re-employment policies based on re-entry,employment linked to the social and meritocracy were as likely to find a job group. Second, theissue of sports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was found to be conflicting views on the shoppingenemies angry, training time, the adequacy of training. Third, social perception and construction ofthe barrier is cultural bias against employment in age, those in the male-dominated culture. 본 연구에서는 여성새로일하기센터 내 스포츠 직업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하고 있는 여성들의 개인적 특성이 경력단절 원인 및 참가동기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스포츠 직업교육프로그램 담당자와운영자의 다양한 경험과 의견을 탐색하여 스포츠 직업교육프로그램의 사회적 의미와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양적ㆍ질적 방법이 결합된 혼합연구방법(mixed method)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혼합연구의 첫 단계인 양적연구에서는 인천 서구, 충남 예산, 경북 포항, 전북 남원, 전남 여수, 광주 서구새일센터에서 운영하는 스포츠 직업교육프로그램 참가 여성 총 2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14년 4월부터 6월까지 공동연구자들과 함께 각 센터에 직접 방문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최종 수집된 자료는 SPSS 20.0프로그램의 이용하여 빈도분석, 검정(Chi-Square test)중 상관성 연구를 실시하였다. 질적연구에서는 사례연구에 의한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경력단절을 경험한 후 재취업을 위해 스포츠 직업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하고 있는 참가자 9명, 해당 스포츠 직업교육프로그램 담당자 7명으로 총 16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선정된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약 1시간 30분에서 2시간 이내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연령과 경력단절 원인, 조사대상자의 월수입과 경력단절 기간,조사대상자의 학력과 프로그램 참가동기 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스포츠 직업교육프로그램의 사회적 의미는 사회로의 재진출 기반, 취업 연계를 통한 재취업정책 효율성의 극대화, 능력위주 직업군으로서의 가능성 모색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 직업교육프로그램의 문제점은 교육의 쇼핑화, 교육시간 적절성에 대한 상충적 견해로 나타났다.

      • KCI등재

        체육계열 입시생의 스포츠가치관이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병규(Lee, Byung-Kyu),김준(Kim, Jun) 한국체육과학회 2016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5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sports values,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students preparing for entrance to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For this, 188 people are selected from 10 sports academy us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SPSS 21.0 FOR Windows statistical package is used and the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social value, economic value, and physical value in sports values of students preparing for entrance to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attitude maturity. Second, economic value and physical value in sports value of students preparing for entrance to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KCI등재

        체육계열학과 진로교육과 전문성 강화 방안 탐색

        김경숙(Kyung Sook Kim),주성순(Sung Soon Ju)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5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2 No.2

        오늘날 사회의 분업화와 전문화는 개개인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의 특성화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체육전문인의 역할 확대 및 전문성 역시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체육 관련학과 전공생들의 낮은 취업률, 전공에 대한 정체성과 전문성 인식의 저하, 불안정한 고용시장 등으로 인해서 체육전공자들의 경쟁력과 전문성 강화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문적 역량을 갖춘 체육전문인 양성과 체육전공의 입지를 확고히 할 수 있는 체육계열학과 진로교육과 전문성 강화 방안을 모색하여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우선 기존의 관련 문헌 및 자료를 분석하여 체육계열학 진로와 전문성 관련요인과 현황을 양성교육과정, 진로와 자격제도, 체육관련 직업의 수요와 공급, 재교육과정, 근무여건중심으로 파악하였다. 이를 근거로 진로교육과 전문성 강화 방안으로서 체육전문인 교육과 진로교육 강화, 체육관련 취업현장의 확보 및 확대, 체육학 하위 학문 간의 연구공동체 형성, 스포츠 전문직에 따른 표준화된 교육과정과 진로교육 개발을 구체적으로 제언하였다. 체육계열학과 진로교육과 전문성 강화에 대한 노력은 체육학과의 입지와 중요성 확보 그리고 체육전문인의 지위강화를 위해 매우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방안들이 체육전문인 양성 강화뿐만 아니라 체육학의 학문성과 전문성 구축에 기여하길 바란다. As society gets more specialized and professionalized, individuals need to build up specialization in their social functions and roles. In the same vein, sport professionals need to expand their roles and professionalism in their areas. However, as students in majoring in Sports experience low employment rate, identity problems and unstable job markets, it gets more significant for sports related majors to improve competency and specialized capacity for students. Given this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s and suggests the way to educate students with professionalism and competency. To achieve that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education programs, career program and qualification standards, demand and supply, re-education curriculum, job environment as primary factors for enhanced professionalism in sports related majors. This study suggests for four strategies as follows: 1) it needs to enhance current education curriculum and career education to make sport professionals; 2) it needs to expand job markets for students who major in sports; 3) it needs to build up research and education communities among sport related sub-disciplines; and 4) it needs to devise standardized sport studies curriculum and career education based on sport job markets. In sum, it is highly important to make more efforts for strengthening career education in sports related departments and professionalism of students in order to advancing status of sport departments and sport professionals. This study hopes to contribute to enhancing education for sport professionals as well as advancing scholarship and professionalism in sport.

      • KCI등재

        스포츠계열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육환경과 전공만족 및 진로행동준비의 관계모형 검증

        심재영(Shim, Jae-Young) 한국체육과학회 2020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9 No.6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environment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in sports, major satisfaction and preparation for career behavior. The model suitability index of the research model, which set the educational environment perceived by sports students as an exogenous variable, the major satisfaction as the mediator, and the preparation of career behavior as an endogenous variable, was found to be good. There was a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major. Based on these finding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sports-based educational environment influences th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Therefore, learner-centered changes will be needed in various fields such as professor lectures, curriculum, facilities, and employment information among various factor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sports students. In particular, the instructor said that it is important to develop and apply programs such as comparisons for lectures and preparation for career behaviors, job information, industry-university relations, field trips and trainings, and job interviews. As a result, students are rapidly melted into the ever-changing sports trends, and more active attitudes are prepared in preparation for career behavior through self-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since this study is for a limited number of local students, it will require a broader understanding of local students, access to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urther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