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자활사업 제도화에 관한 연구

        조경식 ( Cho Kyung-shik ) 한국행정사학회 2019 韓國行政史學誌 Vol.45 No.-

        본 연구는 한국의 자활사업 제도화에 대해서 고찰하고 그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 것이다. 자활 사업에 대한 제도화는 김영삼 정부의 시범사업을 거쳐 김대중 정부에서 이루어진다. 생활보호법 하에서의 빈곤문제해결에 한계를 인식한 김영삼 정부는 자활사업을 통한 탈빈곤 정책을 모색하게 된다. 1996년부터 자활시범사업이 실시되지만 새로운 자활행정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알맞은 제도적 초석을 다지기에는 무리였다. 생업자금융자 한도액을 증액시켰을지라도 생활보호기준을 상향조정 함으로서 대상자 숫자가 감소하고 취업률이 하락하자 생활보호법상의 탈빈곤 정책과는 별개로 자활사업을 통한 자립지원정책을 모색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새로운 탈빈곤의 제도의 추진에도 불구하고 빈곤층의 특성에 대한 이해부족과 제도가 가져올 부작용, 담당공무원의 전문성 부족, 지정기관의 능력부족 등 모든 자활행정체계의 난맥으로 그 성과는 미비하였다. 김대중 정부에서 국민기초생활보장 법을 제정하여 자활사업에 대한 제도화를 확립하였지만, 자활행정체계의 미비와 담당자의 대상자의 특성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소기의 성과를 낼 수는 없었다.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자활시범사업의 취지를 반영하여 제도화하였지만 근로능력·자활욕구 등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였고 대상자 파악조차 안되는 자활행정체계의 미비로 사업초기부터 많은 문제점이 표출되어 빈곤해 결을 위한 당초 취지가 무색해지고 말았다. 더욱이 자활사업 담당기관의 능력부재는 오늘날까지도 극복 되지 않는 미해결의 과제로 남겨지고 있다. 자활제도화 초기에 빈곤층의 탈빈곤을 위한 제도설계의 미숙은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자활행정의 비효율성에 대한 단초를 제공하고 있다. 초기 자활사업의 행정은 이러한 비판적 시각에도 불고하고 민간단체에서 제안한 빈곤문제해결모델이 제도화로 정착되는 사례를 만들었고 우리나라의 독창적인 모델로 정립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연구를 통하여 제시된 발전적 시각은 첫째, 자활행정은 대상자의 특성, 프로그램의 적실성, 자활사업 시행에 따른 도덕 적 해이 등 대상자의 심리적 갈등 문제 등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둘째, 자활기관을 특성별로 차별화 하여 다양한 특성을 가진 조직이나 기관이 참여하도록 하고 행정체계와 유기적 연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자활사업 담당자의 전문적 지식을 쌓게 하고 사례관리 차원에서 지역의 인적자원의 경험과 지식을 활용한 연계방안을 구축하여야 한다. 넷째, 자활사업이나 탈수급을 위한 질적인 성과는 성별, 생애주기별, 사회 적 배경별로 목표치를 설정하거나 평가가 필요하다. 다섯째, 탈빈곤을 위한 장단기적인 측면에서 산업이나 취업시장의 욕구를 분석하고 맞춤형 프로그램을 실시하여야 한다. 지역의 중소 기업과 산업체와 연계하여 효율적인 자활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examine the initial administration of self-support business system in Korea and draw implications for it. Kim Young-sam administration of the method of business through a system of self-support projects in Kim Dae-jung government. Recognizing the limitations of solving poverty problems under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Living, the Kim Young-sam administration will seek a policy of desertion through self-reliance projects. Although the self-support project has been in effect since 1996, it was too much to lay the proper foundation for the system due to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new self-reliance administration. Even if the ceiling on financial institutions has been raised, the government will seek self-reliance support policies, apart from the self-support policy under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Living and Welfare, as the number of borrowers decreases and employment rates fall as the standard for life protection has been raised. However, despite the implementation of the new system of poverty, the results were insufficient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or, the adverse effects of the system, the lack of expertise of the public officials in charge, and the lack of the ability of the designated institutions. Alth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established institutionalization for self-support projects, Kim Dae-jung government can not achieve the expected results due to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self-reliance administration system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in charge of it.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was institutionalized to reflect the purpose of self-reliance projects, but not fully reflected the ability to work and self-reliance drive. In addition, due to the lack of a self-support system, many problems have been expressed from the beginning of the project, which has overshadowed the original purpose of solving poverty. Moreover, the lack of ability of self-support agencies remains an unsolved task that cannot be overcome even today. The problem of the design of the system for the desertion of the poor from the early days of self-reliance system provides a clue to the inefficiency of self-reliance administration that continues to this day. The administration of the initial self-support projec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has created a case in which the poverty-solving model proposed by private organizations is settled by institutionalization and established as the original model of Korea. The developmental views presented through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reliance administration should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the integrity of the program, the moral hazard resulting from the implementation of the self-support project, etc. Second, the self-reliance institutions should be differentiated by their characteristics so that organizations or institutions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can participate and the administrative system and organic links should be established. Third, the professional knowledge of the person in charge of self-support projects should be cultivated and the experience and knowledge of local human resources should be utilized at the level of case management. Fourth, achievements for self-reliance projects or dehydration should be evaluated by setting goals by gender, life cycle, and social background. Fifth, from the long and short-term perspective, the needs of the industry or the job market should be analyzed and customized programs implemented. And efficient self-support should be made in conjunction with local industries.

      • 이문사회학편 : 박정희 정부의 자주적 무기개발과 무기도입 다변화 전략

        조교수 ( Assistant Professor ),엄정식 ( Um Jung Sik ) 공군사관학교 2013 空士論文集 Vol.64 No.2

        본 연구는 비밀해제 된 1차 자료를 통해 1970년대 박정희 정부의 자주적 무기개발 과정을 분석했다. 핵심 질문은 다음과 같다. “1970년대 미국은 한국의 첨단무기 개발에 대해 어떻게 대응했는가? 박정희 정부는 자주국방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어떤 대미전략을 모색했는가? 박정희 정부는 자주국방 정책의 목적으로 미국으로부터의 완전한 자립을 추구했는가?”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첫째, 1970년대 미국 행정부들은 한반도 군비경쟁과 분쟁 가능성을 억제하고 자국의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해 박정희 정부의 자주국방 정책을 통제했다. 특히 미국은 지대지 미사일과 항공기 등 첨단무기에 대해 일관되게 반대했다. 둘째, 박정희 정부는 미국의 통제에 일방적으로 순응하기보다 미국 이외의 국가로부터 무기 및 군사기술을 도입하려는 다변화 전략을 구사했다. 이러한 대미전략에 이어 자주적 무기개발을 지속함으로써 백곰 미사일을 개발하는데 성공했으며 카터 행정부가 추진했던 무기이전 억제정책에도 불구하고 선택적 지원을 받을 수 있었다. 셋째, 박정희 정부는 자주국방 정책의 목적으로 완전한 군사적 자립이 아니라 미국에 대한 정치적 자율성을 추구했으며 미국의 지원을 극대화하고자 했다. This study analyzed the Park Chung Hee administration`s self-reliant defense policy during the 1970s using declassified government documents. Here is the research question. How the U.S. adapted to high-tech weapon development of South Korea during the 1970s? What strategy toward the U.S. was chosen by Park Chung Hee administration for promoting the self-reliant defense policy? Has Park Chung Hee administration promoted the self-reliant defense policy in order to be a complete self-reliance from the U.S? On the result, first, the US administration of 1970s tried to control the South Korea`s self-reliant defense policy for restraining an arms race between two Koreas and possibility of military conflicts, maintaining the U.S. power. Especially, the U.S. had opposed the high-tech weapon development such as surface to surface missiles and aircraft consistently. Second, Park Chung Hee administration adopted the strategy to diversify a weapon and military technology importation rather than adapted unilaterally to the U.S control. Morever, Park`s administration succeeded in the Baekgom missile development through the self-reliant defense policy continuously. Despite of arms transfer restraint policy in the Carter administration, Park`s administration got a selective support from the U.S. Third, Park Chung Hee administration promoted not a complete military autonomy but a political autonomy for the purpose of self-reliant defense policy and also tried to maximize the U.S. support.

      • KCI등재

        「地方行政體制 改編에 關한 特別法」에 對한 考察

        하승완(Ha, Seung-Wan)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1 法學論叢 Vol.18 No.1

        The National Assembly passed the 「Special Act on Reorganization of Local Administration System」 on September 16, 2010 and the government announced it on October 1, 2010. Since then reorganization of the local administration system has been implemented based on the act. As the reorganization of the local administration system brought changes to areas of local self-governing bodies and is related to the rights of the people in the Constitution along with the self-governing rights of local self-governing bodies, it should be considered based on the Constitution or principles of constitutional ideology rather than political and legal aspects. The National Assembly has gone through lots of discussion through the special committee for local self-governing bodies for such a long time to deal with such problems in advance and to implement nationwide and unified reorganization according to reasonable standards and principles. However, this act is not satisfactory and has a few problems in that it can not properly deal with desires and future of the people for reorganization of the local administration system and substantial self-governance. It targeted only basic local self-governing bodies although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political sects discussed reorganization of all the governing bodies, basic or metropolitan. Although the Constitution regulates the types of self-governing bodies as a base of self-governance, they are regional, spatial, locational and legal ranges. As units of self-governance is closely related with local administrative districts or types, if they are too large, small, more or less, the value of self-governance can not be properly realized. Therefore, in consideration that the 「Constitution」 or constitutional ideology commands that the types of self-governance shall be regulated within ranges to realize the value and essence of self-governance, legislators should enact acts on self-governance to reinforce it in political, social and legal aspects and the types of self-governing bodies or local administration systems or district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same way. However, this act did not meet such expectation. As abrogation, division and merger of self-governing bodies under active implementation of self-governance is closely related with basic rights of the people, merger and abolition of individual bodies should reflect the opinion of the people to realize procedural justice, which corresponds with the ideology of basic rights assurance in Constitution if not national and unified reorganization of local administration systems in accordance with certain national standards. However, the merger procedure based on this act optionally reflects the public opinion according to needs of the competent minister. It gives a limit to or damages the equal rights, the right to vote and self-governance as grassroots democracy, and does harm to decentralization and self-governing right against the trend of national development through reinforced self-governanc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fact that this act attempts reorganization of only basic self-governing bodies for conurbation and did not introduce referendum system for merger of basic self-governing bodies is fit for basic rights of the people and self-governing system and presents proper direction of reorganization of local administration systems. 국회는 2010. 9. 16. 그 동안 논의해 오던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특별법」을 통과시키고, 정부는 2010. 10. 1. 이 법을 공포하여 같은 날부터 이 법이 시행됨으로써 그 동안 논의되어 오던 지방행정체제개편은 이 법에 의하여 추진되게 되었다. 지방행정체제의 개편은 지방자치단체의 영역에 대한 변경을 가져와 당해 지방자치단체의 자치권과 더불어 그 주민의 헌법상 권리와도 관계되는 것이어서 정치적ㆍ법률적 측면보다도 헌법이나 헌법이념적 원리에서 출발하여야 할 것이다. 국회가 지방행정체제개편 특별위원회를 구성하여 오랜 기간 많은 논의를 거친 것은 바로 이러한 문제점 등을 사전에 정리하고 합리적인 기준과 원칙에 따라 전국적ㆍ통일적인 지방행정체제의 개편을 위한 것이었다고 보아야 한다. 그런데 이 법은 지금까지의 국회나 정치권에서 광역지방자치단체와 기초지방자치단체를 가리지 않고 이를 개편하는 것을 논의했던 것과는 달리 기초 지방자치단체만을 대상으로 통합을 추진하도록 하여 이 법이 국가의 백년대계와 지방자치의 내실화를 위한 지방행정체제개편 이라는 국민의 여망과 미래를 담은 것이라고 보기에는 미흡하기 짝이 없는데다가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비록 헌법이 지방자치의 기본이 되는 지방자치단체의 종류를 법률로 정하도록 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지방자치단체의 종류는 지방 자치의 지역적ㆍ공간적ㆍ장소적ㆍ법률적 범위가 되는 것이고, 지방자치의 단위는 바로 지방행정구역이나 종류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 그것이 너무 크거나 작거나, 너무 많거나 적을 경우 풀뿌리 민주주의의 원리로서의 지방자치라는 가치를 제대로 실현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헌법이나 헌법이념은 지방자치라는 가치와 본질이 제대로 실현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의 지방 자치단체의 종류를 법률로 정할 것을 명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입법자는 정치적ㆍ사회적ㆍ법률적 의미에서의 지방자치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지방자치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야 하고, 그것은 각 지역에 있어서의 지방자치의 기준이 되는 지방자치단체의 종류와 지방행정체제나 지방행정구역의 획정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라고 할 것임에도 이 법은 그러한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지방자치가 본격적으로 실시되어 생활자치가 정착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방자치단체의 폐치ㆍ분합과 같은 문제는 주민의 기본권과의 관계에서 중대한 연관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므로 국가가 법령에 의하여 일정한 기준에 따라 전국적ㆍ통일적인 지방행정체제의 개편을 하는 경우라면 몰라도 개별적으로 기초지방자치단체를 통ㆍ폐합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주민의 의사가 제대로 반영되는 절차적 정의가 실현되는 것이 헌법상의 기본권보장 이념에도 합치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 법에 의한 기초지방자치단체의 통합절차에서 그 통합의 주인인 주민의 의사반영이 필수적인 것이 아니라 주무장관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만 반영할 수 있도록 한 것은 주건재민(主權在民)과 지방자치제도를 보장한 헌법과 헌법이념이 추구하고 보장하는 국민의 평등권과 참정권 및 풀뿌리 민주주의로서의 지방자치를 제약하거나 훼손하고, 지방자치의 강화를 통한 국가발전이라는 시대적 흐름에 반하여 지방분권과 지방자치권을 形骸化시키는 것이라고 아니할 수 없다. 따라서 本稿에서는 이 법의 규정 중에서 지방행정체제의 개편을 기초지방자치단체만을 대상으로 하면서 그 광역화를 꾀하고 있는 점과 기초지방자치단체의 통합에 주민투표제도를 필요적으로 도입하지 않은 점 등이 헌법과 헌법이념이 추구하는 국민의 기본권과 지방자치제도의 적합한 것인가의 여부를 살펴 이 법에 따른 지방행정체제 개편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일본에서의 지방자치와 지방교육자치의 관계에 관한 연구

        문명현(Moon, Myung-Hyun) 한국비교공법학회 2018 공법학연구 Vol.19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일본에서의 일반지방자치와 지방교육자치의 관계를 고찰하여 우리나라 지방교육자치의 개선방안을 위한 시사점을 얻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본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에 의한 평화헌법의 제정으로 미국식의 새로운 지방교육행정체제로 개편하였다. 지방교육의 기본이념으로서 교육의 기회균등, 교육수준의 유지향상 및 지역의 실정에 적합한 교육의 진흥을 위한 국가와 지방공공단체의 적절한 역할분담 및 상호협력을 취하고 있다. 그에 따른 기본원리로서 교육행정의 지방분권화, 일반행정으로부터의 분리․독립, 주민통제의 원칙을 도입하였으며, 이의 실현을 위하여 지방교육행정체제로서 교육위원회제도를 도입하였다. 일본의 지방교육자치제도는 미국의 영향으로 지방분권이 중시되는 지방교육자치행정을 하고 있으나 각 단계별 교육행정기관 간의 연계성이 강조되고 합의제 집행기관인 교육위원회를 두고 있어 지방분권과 중앙집권적 교육행정이 잘 조화된 체계라 할 수 있다. 교육에 있어서 중앙과 지방의 관계에 대하여는 특히 지방분권개혁추진법, 교육기본법, 지방교육행정법 등에서 제시하고 있다. 교육행정과 일반행정을 통합하여 지방교육자치를 강화하고 있으며, 지방자치단체에서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조직은 각 자치단체에 공통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교육위원회와 지방의회,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교육에 관한 주요 기능을 자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일본의 경우 지방재정과 지방교육재정이 일원화되어 있는 체계이며, 지방교부세를 통해 지방 간의 재정조정이 이루어진다. 이는 누리예산의 편성 등 지방교육의 재정부담으로 인한 정치적 논란이 일고 있는 우리나라의 상황에 시사점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일본의 지방교육자치제도는 각 지역에 적합한 지역적 교육기능을 회복하고 지역의 모든 교육주체가 공동체의식을 발휘하여 정상적인 학교교육을 위하여 고심하는 우리나라의 현황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data to obtain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local self-government of education in Korea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local self-government of education in Japan. After the Second World War, Japan was reorganized into a new American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 due to the establishment of pacifist constitution by the United States. As the basic ideology of local education, it takes proper role allocation and mutual cooperation of national and local public organizations to promote equalization of education opportunities, improvement of education level and promotion of education suitable for local situation. As a basic principle, local decentralizati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separation and independence from general administration, and the principle of inhabitants’ control were introduced, and to this end, the education committee system was introduced as local education administrative system. Although the local self-government of education system in Japan has local self-government of education administration that emphasizes local decentralization due to the influence of the United States, the linkage between educational administration agencies at each stage is emphasized while having an education committee, a collegiate administrative agency. It is a harmonious system between local decentralization and centralized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n education is presented, in particular, by the Decentralization Reform Promotion Law, the Basic Education Law, and the Local Education Administration Law. Local self-government of education is strengthened by integrating education administration and general administration. In the local government, the organization related to local self-government of education is divided into the education committee and the local council, which are common to each local government, and the head of local government to perform the major functions of education independently. In addition, in Japan, local finance and local education finance are unified, and financial adjustment is made between provinces through local allocation tax. This suggests the situation in Korea where political controversy arises due to financial burden of local education such as the budget of Nuri Curriculum. Such local self-government of education system in Japan will be able to restore the local educational function suitable for each region and help the situation of our country where all the educational agencies in the region show community consciousness and struggle for normal school education.

      • KCI등재

        공직 내 변혁적리더십과 공무원의 적극행정과의 관계성 연구: 행태적 매개효과 및 채용제도와 직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재형,김성엽,오수연,박성민 서울행정학회 2020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31 No.3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public sector and active administration of public officials in order to strengthen the active administration of public officials in a situation where the role of government and public officials is urgently needed nationwide, such as COVID-19. Specifically, it was intended to study the impa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he active administration of public officials through the medium of public officials' behavior (learning orientation, self-efficacy,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It was also intended to present practical implications to the government's personnel strategy by verifying the impact of the recruitment system and rank in relation to transformational leadership, learning orientation, self-efficacy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active administr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positive influence on learning orientation, self-efficacy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respectively, learning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have positive influence o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has positive influence on active administration. In additi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positive influence on public service motivation through each medium of learning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learning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have positive influence on active administration through public service motivation. However, it has been shown that the recruitment system has a significant effect as a moderator variable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that the grad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as a moderator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active administ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duce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in terms of the operation of government personnel administration.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public sector can be exercised. In addition, in order to enhance learning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permanent learning system, revitalize the learning organization of public officials, and provide customized contents for individual learner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measures to enhance public service motiv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influence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on active administration, and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actively engage in personnel management and strategically utilize public officials' behavior that varies depending on their types of recruitment and grade. 본 연구는 최근 COVID-19와 같이 국가적으로 정부 및 공무원의 역할이 절실히 요구되는 현실에서 공무원의 적극행정 강화를 위해 공직 내 변혁적리더십과 공무원의 적극행정과의 관계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 다. 구체적으로는 공직사회 상사의 변혁적리더십이 공무원의 행태(학습지향성, 자기효능감, 공공봉사동기)를 매개로 공무원의 적극행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변혁적리더십, 학습지향성, 자기효능감 과 공공봉사동기와의 관계에서, 그리고 공공봉사동기와 적극행정과의 관계에서 채용제도와 직급의 영향 여 부를 검증하여 정부 인사전략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변혁적리더십은 학습지향성, 자기효능감과 공공봉사동기에 각각 정(+)의 영향, 학습지향성과자기효능감은 공공봉사동기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고, 공공봉사동기는 적극행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변혁적리더십은 학습지향성과 자기효능감 각각을 매개로 공공봉사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변혁적리더십과 학습지향성, 자기효능감은 공공봉사동기를 매개로 적극행정에 정(+)의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채용제도는 자기효능감과 공공봉사동기와의 관계에서만 조절변수로서 유 의한 영향을, 직급은 자기효능감과 공공봉사동기와의 관계와 공공봉사동기와 적극행정과의 관계에서 조절변 수로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로 정부 인사행정 운영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먼저, 공직 내변혁적리더십이 발휘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또한, 학습지향성과 자기효능감을 제고하기 위해 상시 학습제도의 개편, 공무원 학습조직의 활성화, 개별학습자 맞춤형 컨텐츠 제공이 필요하다. 그리고 공공봉사동 기가 적극행정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하여 공공봉사동기 제고방안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채용유형과 직급에 따라 달라지는 공무원의 행태를 적극적으로 인사관리에 포섭하여 전략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교육자치의 제도개혁방향: 교육행정기관구성을 중심으로

        김찬동(Kim, Chan-Dong),최진혁(Choi, Jin-Hyuk) 한국지방정부학회 2016 지방정부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교육자치를 둘러싼 제도개혁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일반행정과 교육행정과의 관계를 개념적, 역사적으로 분석하고 교육영역자치의 주요 논쟁점을 정리한 다음 주요 제도개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지방자치발전위원회는 일반행정과 교육행정의 연계통합을 정책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교육계에서는 교육감선거를 지속하는 것이 교육자치라고 하고 있으나, 행정학계에서는 교육행정기관장의 선출을 선거로 하는 것은 지방자치의 본질은 아니라는 관점을 가지고 있다. 즉 지방자치의 본질은 국가로부터의 자치권을 지방정부가 가지는 것이지, 지방정부의 행정영역의 하나에 불과한 교육행정영역에 자치권을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어디까지나 지방정부의 자치권에서 파생되는 것에 불과하므로 교육행정기관은 일반행정기관으로부터 독립하거나, 선거를 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고 본다. 교육자치는 교육자의 자치이고 학교의 자치이다. 이 관점에서 보면, 학교나 교사가 교육행정기관으로부터 지나친 규제나 통제를 받는 것도 교육자치에 반하는 것이다. 진정한 교육자치는 보충성의 원칙에 입각하여 광역계층보다는 기초계층에서 우선하여 실시해야 하는 것이고, 교육위원회는 집행체로서 성격을 가지고 지방의회가 의결체의 역할을 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광역계층에서는 교육위원회는 지방의회의 상임위원회로 있고, 교육감은 교육위원회에서 선출하거나 광역단체장이 지방의회의 동의로 임명하는 것이 지방자치의 본질에 부합한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entangle the conflicts for institutional reform of educational autonomy. Through a conceptual and a historical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l administration and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solutions to institutional reform of educational autonomy are suggested as follows.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Local Autonomy Development(PCLAD) have propeled the linkage and integration of the general administration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educational academic circles asserts that the educational autonomy is to voting on election of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But the public administration academic circles insist that it is not essential point of educational autonomy to vote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In other word, the essence of local autonomy is the local government’s right of self-governmen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not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s right of self-government from the local government.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s right of self-government is derived from the right of self-government of the local government. The educational right of self-government means the teacher’s autonomy and school’s self administration. The strong control of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to teachers and schools is contrary to the educational autonomy. The pure autonomy of educational domain is the elementary administrative tier’s right of self-government. Also, the committee of education is the executive organization of the wide area’s administrative tier. As a results, in the wide area’s administrative tier the committee of education is located on the local council and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is elected by agreement of local council or by appointment of city mayor or governor of the province.

      • KCI등재

        공직 내 변혁적리더십과 공무원의 적극행정과의 관계성 연구: 행태적 매개효과 및 채용제도와 직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재형(Kim, Jae Hyoung),김성엽(Kim, Sung Yeop),오수연(Oh, Su Yeon),박성민(Park, Sung Min) 서울행정학회 2020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최근 COVID-19와 같이 국가적으로 정부 및 공무원의 역할이 절실히 요구되는 현실에서 공무원의 적극행정 강화를 위해 공직 내 변혁적리더십과 공무원의 적극행정과의 관계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공직사회 상사의 변혁적리더십이 공무원의 행태(학습지향성, 자기효능감, 공공봉사동기)를 매개로 공무원의 적극행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변혁적리더십, 학습지향성, 자기효능감과 공공봉사동기와의 관계에서, 그리고 공공봉사동기와 적극행정과의 관계에서 채용제도와 직급의 영향 여부를 검증하여 정부 인사전략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변혁적리더십은 학습지향성, 자기효능감과 공공봉사동기에 각각 정(+)의 영향, 학습지향성과 자기효능감은 공공봉사동기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고, 공공봉사동기는 적극행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변혁적리더십은 학습지향성과 자기효능감 각각을 매개로 공공봉사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변혁적리더십과 학습지향성, 자기효능감은 공공봉사동기를 매개로 적극행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채용제도는 자기효능감과 공공봉사동기와의 관계에서만 조절변수로서 유의한 영향을, 직급은 자기효능감과 공공봉사동기와의 관계와 공공봉사동기와 적극행정과의 관계에서 조절변수로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로 정부 인사행정 운영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먼저, 공직 내 변혁적리더십이 발휘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또한, 학습지향성과 자기효능감을 제고하기 위해 상시 학습제도의 개편, 공무원 학습조직의 활성화, 개별학습자 맞춤형 컨텐츠 제공이 필요하다. 그리고 공공봉사동기가 적극행정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하여 공공봉사동기 제고방안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채용유형과 직급에 따라 달라지는 공무원의 행태를 적극적으로 인사관리에 포섭하여 전략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public sector and active administration of public officials in order to strengthen the active administration of public officials in a situation where the role of government and public officials is urgently needed nationwide, such as COVID-19. Specifically, it was intended to study the impa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he active administration of public officials through the medium of public officials" behavior (learning orientation, self-efficacy,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It was also intended to present practical implications to the government"s personnel strategy by verifying the impact of the recruitment system and rank in relation to transformational leadership, learning orientation, self-efficacy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active administr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positive influence on learning orientation, self-efficacy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respectively, learning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have positive influence o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has positive influence on active administration. In additi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positive influence on public service motivation through each medium of learning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learning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have positive influence on active administration through public service motivation. However, it has been shown that the recruitment system has a significant effect as a moderator variable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that the grad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as a moderator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active administ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duce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in terms of the operation of government personnel administration.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public sector can be exercised. In addition, in order to enhance learning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permanent learning system, revitalize the learning organization of public officials, and provide customized contents for individual learner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measures to enhance public service motiv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influence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on active administration, and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actively engage in personnel management and strategically utilize public officials" behavior that varies depending on their types of recruitment and grade.

      • KCI등재후보

        행정심판과 지방자치

        문상덕(Mun Sang Deok)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06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6 No.2

        1984년 제정되고 1985년부터 시행된 행정심판법은 행정심판기구의 확대 개편을 통하여 행정심판에 대한 수요 증가에 대응하면서, 청구인의 심판절차상의 편의 및 절차적 권익을 도모하였고, 헌법에 표명된 행정심판에의 사법절차의 확대 적용을 통하여 행정구제적 기능과 역할을 제고하는 방향으로 발전되어 왔다. 그런데 지방자치제가 복원된 현재에 있어서는 행정심판의 권익구제기능의 확대가 지방자치권의 침해 가능성으로 이어질 수 있어 행정심판제도의 보완이 요청된다 하겠다. 독일과 프랑스, 일본 등에 있어 특히 자치사무에 관한 자치행정청의 처분에 대하여는 그 처분청 스스로가 재결청이 되도록 하고 있는 점이라든가, 자치행정청 이외의 기관에 의한 행정심판이 허용되는 경우에도 그 심리 및 재결의 범위는 위법사유에만 국한되고 자치행정청의 재량적ㆍ정책적 당ㆍ부당의 문제에 대하여는 재결로서 관여할 수 없게 한 점 등은, 행정심판의 구제적 기능을 중시하면서도 지방자치단체의 자치권 보호를 기하려는 입법목적에 있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행정심판제도는 그 도입 시에 지방자치의 미 실시로 인하여 지방자치단체를 독립적 법주체 내지 대등한 행정주체로 인정하려는 전제가 부족하였고, 현재에 있어서도 지방자치단체의 사무를 위임사무(단체위임사무와 기관위임사무)와 자치사무로 구분하고 사무에 따른 국가기관 등의 감독적 관여의 방법이나 범위, 그에 대한 불복수단 등을 이원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지방자치법과, 심판대상인 처분과 관련된 사무에 관하여 위임사무ㆍ자치사무 여부를 구분함이 없이 지방자치단체의 모든 사무에 관한 자치행정청(단체장 등)의 처분에 대하여 통일적인 행정심판기구 및 절차(심리ㆍ재결절차)를 채택ㆍ유지하고 있는 행정심판법의 비정합적 규율구조로 인해, 지방자치법상 의도된 자치권 보호의 정신이 적어도 행정심판법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 되어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현행 행정심판법에 의할 때, 자치사무에 관한 처분취소심판의 경우, 행정심판을 통한 자치권 침해의 양상은 다음의 세 가지 측면에서 지적될 수 있다. 예컨대 피청구인이 시ㆍ도지사인 경우에는 i) 그 취소심판의 심리ㆍ의결과 그에 따른 재결을 모두 처분청이 소속된 법주체(시ㆍ도)가 아닌 별개의 법주체로서의 국가의 행정기관인 국무총리행정심판위원회와 주무부장관이 각각 담당하게 되어, 행정의 자기통제가 타자통제로 변질된다는 점, ii) 심판 청구에 대한 심리 내지 의결(재결)의 범위도 처분의 위법성 뿐 아니라 부당성에까지 미치기 때문에, 지방자치단체의 독자적 정책의 당ㆍ부당의 문제가 타자통제에 의한 심리의 대상이 된다는 점, iii) 처분의 위험 또는 부당을 이유로 한 인용재결(취소재결)로 패배한 피청구인(시ㆍ도지사)에게 불복제소권을 인정하지 않음으로 인해(해석론은 별개), 행정심판기관에 의한 재결이 당해 법률분쟁의 종국적인 결정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 등이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행정구제적 목적과 지방자치권 보장의 조화를 도모하는 행정 심판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그 개선방안으로 먼저, 지방자치법이 채택하고 있는 사무구분체제를 고려하여, 행정심판의 경우에도 위임사무와 자치사무에 대하여 각각 행정심판의 절차를 이원화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즉 위임사무 관련 처분에 대해서는 현행 행정심판법의 체제를 그대로 유지하여도 무방하되, 지방자치단체의 자치 사무 관련 처분에 대하여는 먼저 해석론으로서 자치사무에 대해서는 이론적으로 소관감독행정기관이 없다고 보아 그 재결청도 행정심판법 제5조 제2항 제3호에 따라 그 밖에 소관 감독행정기관이 없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고 처분청인 시ㆍ도지사 스스로가 재결청이 된다고 해석하는 방안이다. 그리고 해석론적 한계를 보완하는 입법론으로는, 자치사무와 관련해서는 당해 단체장의 처분에 대해 소관 감독행정기관이 없는 경우로서 처분청(단체장) 스스로가 재결청이 된다는 점을 명문으로 규정하고, 단체장 소속 행정기관이나 하부 행정기관의 자치사무 관련 처분에 대하여는 상급청이자 감독청으로서의 단체장이 재결청이 되도록 규정하여야 한다고 본다. 그리고 이 경우 처분청 스스로가 재결청이 되므로 행정심판의 공정성ㆍ객관성을 담보하기 위하여 위원의 위촉에 있어서 15인의 위원 중 7인은 단체장이 직접 위촉하고 과반수인 8인은 지방의회가 추천하는 인사를 단체장이 위촉하도록 하며, 행정심판위원회 위원장은 민간위원 중에서 전체 위원의 투표로서 다수표를 얻는 자로 정하고, 모든 행정심판 회의에 있어서는 변호사와 법률학 교수를 반드시 각 1인 이상 지정되도록 하는 규정을 신설할 필요성이 크며, 기초지방자치단체인 시ㆍ군ㆍ구에도 소속 행정심판위원회가 설치되어야 한다 The Administrative Appeals Act established in 1984 and come into effect in 1985 has been developed mostly for the administrative relief. However in the era of local self-government, the expansion of the relief function of Administrative Appeals can come to infringe on the right of self-government. In Germany, France and Japan, not the agency of central government or another body corporate(another local government) but the agency of local government which takes an administrative act(measure) on it s own affairs becomes the agency for the adjudication(decision) of administrative appeals by itself. And that is for the guarantee of the right of self-government. The Administrative Appeals Act in force doesn t know the difference of delegated affairs and it s own affairs of local government unlike Local Self-Government Act. In the concrete, there are some problems in Administrative Appeals Act in force like these. i) There is no guarantee of self-control in the administrative appeals on it s own affairs of local government, ii) Not only illegality but also unreasonableness of the acts of administrative agencies can be judged by another body corporate. iii) There is no guarantee of locus standi to the agency which is lost a suit in administrative appeals. Therefore, I d like to insist on next three points. First, it needs that the administrative appeals procedures must be divided into two different procedures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 of affairs(delegated affairs and it s own affairs) of local government. Especially, the agency of local government which takes an administrative act(measure) on it s own affairs should become the agency for the adjudication(decision) of administrative appeals by itself for the guarantee of the right of self-government. Second, the chief of administrative appeals commission should be elected by mutual vote and administrative appeals commission of city, county, ward(district) should be organized. Third, an opportunity of new trial to the Administrative Appeals Commission, a body established under the Prime Minister should be given to the agency which is defeated in the administrative appeals and the locus standi should be given to the agency which is defeated in the new trial.

      • KCI등재

        한국의 시대별 자활복지행정에 관한 연구: 자활사업 제도화 이전을 중심으로

        조경식 ( Kyung Shik Cho ) 한국행정사학회 2011 韓國行政史學誌 Vol.28 No.-

        본 연구는 1961년 생활보호법의 제정의 시기부터 자활사업의 제도화 이전인 제6공화국시대까지의 자활복지행정의 역사를 고찰하여 오늘날의 자활복지정책에 합의를 도출하고자 한 것이다. 외원에 의한 구호정책으로 시작된 우리나라 초기의 구호정책은 제3공화국에 접어들어 법적제도가 마련되었고, 새마을 운동으로 촉발된 자조·자립의 정신은 1980년대의 민간자활운동으로 이어져 1996년 이후 제도화의 촉발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제5공화국에서는 복지사회의 건설을 국정지표로 삼고 생활보호대상자들을 위한 자활지원체계를 정비하고 지원하는 방안이 모색되었지만, 자활사업의 효율성측면에서는 극복해야 할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제6공화국에서는 사회복지서비스전달체계의 전문화가 시도되고 자활대상자에 대한 지원이 확대되었지만 취로사업의 축소로 자활사업은 한계에 도달하게 된다. 김영삼정부는 이러한 한계상황을 타개하기 위하여 자활공동체운동에서 자립지원에 대한 정책적 아이디어를 얻고자 생산공동체운동진영의 건의를 받아들여 생산공동체모형을 도입하고 제도화하기에 이른다. This study attempts at analyzing self-supporting policy and drawing the policy implication for new self-supporting policy by researching the history of self-supporting administration in Korea from the livelihood protection law of 1961 to the institutionalization of self-supporting program of 1996. The early relief policy of korea being started by foreign aid was institutionalized in the third republic of Korea in 1961, the sprit of self-help and self-supporting emphasized by Saemaul Movement, being precipitant on the institutionalization, has continued on without ceasing until citizen`s self-supporting campaign of the nineteen eighties. The construction of social welfare was emphasized as the goal of the fifth republic of Korea and self-supporting system for welfare recipients was organized, but many problems were found to be overcome in various aspects of self-supporting program. The specialization of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was tried and the aid for welfare recipients was expanded in the sixth republic of Korea, but self-supporting program limited with the reduction of job-producing project. Kim, young-sam government tried to get ideas of self-supporting policy for the sake of improving this situation on the self-supporting community movements. The model of production community was finally introduced by its adopting suggestion of production community movement camp.

      • KCI등재

        제주특별자치도 행정체제 개편과 고도의 자치권 실현 방안

        신용인 ( Shin Yong-in ) 법과사회이론학회(구 법과사회이론연구회) 2017 법과 사회 Vol.0 No.55

        종래 제주지역의 행정체제는 광역지방자치단체로 제주도, 기초지방자체단체로 제주시, 서귀포시, 북제주군, 남제주군이 있었으나, 2006. 7. 1. 제주특별자치도가 출범하면서 4개의 기초지방자치단체가 모두 폐지되고, 제주시, 서귀포시 2개 행정시가 설치되었다. 이로 인해 자치사무의 모든 권한이 도지사에게 집중되고 주민자치가 크게 후퇴하여 고도의 자치권 보장이라는 제주특별자치도의 설치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생겼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2017. 2. 제주특별자치도 행정체제개편위원회가 구성되어 같은 해 6월까지 용역과 여론 수렴 등 활동 결과 행정시장 직선제를 최적의 대안으로 원희룡 지사에게 권고했다. 그러나 행정시장 직선제의 경우 행정시가 제주 특별자치도의 하부행정기관으로서의 지위를 벗어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고도의 자치권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행정시장 직선제보다는 기초지방자치단체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대안이다. 이와 관련 기초지방자치단체의 규모가 문제되는데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와 스위스, 프랑스, 독일, 스페인, 미국, 영국 등 선진국의 사례, 지방자치는 효율 성보다 민주성이 더 중요하고 민주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주민에게 보다 가까운 자치단위가 바람직하다는 점 등을 감안할 때 기초자치단체는 행정시 단위 보다는 읍ㆍ면ㆍ동 단위로 구성하는 것이 타당하다. 읍ㆍ면ㆍ동이 지방자치단체로 전환될 경우 단체장인 읍ㆍ면ㆍ동장은 해당 읍ㆍ면ㆍ동의 주민이 직접선거로 선출한다. 또한 지방의회인 읍ㆍ면ㆍ동의회는 현행 읍ㆍ면ㆍ동 주민자치위원회를 강화ㆍ전환하는 형태로 두면 된다. 현행 주민자치위원회는 주민자치위원 선발에 추첨제를 도입하여 주민 누구나 자유롭고 평등하게 참여할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주민대표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한편, 읍ㆍ면ㆍ동이 고도의 자치권을 누리기 위해서는 읍ㆍ면ㆍ동 자치와 관련된 제주특별자치도의 의사결정과정에 읍ㆍ면ㆍ동 대표가 직접 참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제주특별자치도의 조례 제정과 개폐, 예산 심의 등 주요 의사결정과정 에 참여하는 지역대표형 상원인 제주특별자치도 민회의 설치가 필요하다. On july 1, 2006,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as established, and all the basic local governments such as Cheju city, Seogwipo city, North jeju-gun and South jeju-gun were abolished. Instead, Jeju administrative city and Seogwipo administrative city were established. This caused the problem that all the authority of self-government affairs was concentrated on the governor and residents` autonomy was greatly retreated. But this does not meet the purpose of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hich guaranteed high autonomy. In February of 2017,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Administrative System Reorganization Committee was formed to solve these problems. As a result of the activities for 5 months, the committee concluded that the direct election system is an optimal alternative to elect the administrative mayor and recommended it to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governor Won Hee-ryong. However, in the case of direct election system of the administrative mayor,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administrative city is bound to the status as a subordinate administrative agency of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In order to realize high autonomy, it is more desirable to establish basic local governments than having the direct election system. The problem is how to determine the size of the basic local government. Democracy is more important than efficiency in local autonomy, and in order to secure democracy, basic local governments should have more interactions with the resident. Also, Plato`s and Aristotle`s views, as well as cases of developed countries such as Switzerland, France, Germany, Spain,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show that it is reasonable for the basic local governments to set up the scale of the eupㆍmyeonㆍdong rather than the administrative city. When eupㆍmyeonㆍdong are transformed into local governments, heads of eupㆍ myeonㆍdong are elected directly by the residents of each areas. The councils of eupㆍmyeonㆍdong, which are local councils, can be made in the form of strengthening and transforming the resident autonomy committees. The resident autonomy committees of eup, myeon, and dong have been able to secure residents` representation by introducing sortition systems to select resident autonomy committee members, giving everyone an opportunity to participate freely and equally. In order for eupㆍmyeonㆍdong to be assured of the high autonomy, it is necessary for the delegates of eupㆍmyeonㆍdong to participate directly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related to the autonomy affairs of eupㆍmyeonㆍdong in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Unit. 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ssembly, which is the representative of the eupㆍmyeonㆍ dong, participating in major decision making processes such as the enactments, revisions, abolitions of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Ordinance, and the budget review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