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택임대차보호법상 계약갱신요구권과 계약갱신거절권 - 대법원 2022. 12. 1. 선고 2021다266631 판결의 비판적 검토 -

        이제우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23 고려법학 Vol.- No.108

        On December 1, 2022, the Supreme Court of Korea delivered an important decision on the question of the lessee’s right of renewal and the lessor’s right to refuse renewals under the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This is the first decision on this legal issue since the amendment of the Act that introduced the lessee’s right of renewal in the summer of 2020.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a new owner who purchased the house from the initial owner can, as the lessor, exercise the right to refuse the renewal of the lease (where the intention to actually reside in the house is met), despite the lessee’s exercise of the right to renewal under article 6-3 of the Act. However the Supreme Court’s decision cannot avoid criticism for such a decision. The right to refuse renewals is a Gestaltungsrecht which is inherently intertwined with the contract itself. This means that the right to refuse renewals does not necessarily transfer to the new owner of the house, despite succeeding the former owner in the capacity as the lessor. Given that the Supreme Court has recognized such a limitation of the succession of the lessor’s status before, and considering the nature of the 2020 amendment of the Act that significantly empowered the overall position of lessees, the Supreme Court should have at least considered the possibility of limiting the transfer of the right to refuse renewals as a Gestaltungsrecht. This paper strives to give a critical assessment of the Supreme Court’s decision, with the objective of shedding light on the need to interpret the Act in a manner that is more consistent with the legal nature of the right to refuse renewals.

      • KCI등재

        상대평가에 의한 갱신거절의 정당성

        변성영 한국노동법학회 2018 노동법학 Vol.0 No.68

        If the party fixed-term contract has set a ‘specific requirement’ for renewal of contracts, then both the relative evaluation standard and the absolute evaluation criteria will have a validity as a criterion for judging whether or not they are renewed, unless they deviate from the purpose of determining the ‘certain requirement’. Relative evaluation is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1) Whether the relevant relative evaluation meets the criteria for judging whether or not the ‘certain requirement’ set by the party is met; (2) Whether the requirement has been agreed between the parties; and (3) Whether relative evaluation is objectively or fairly, and (4) Whether relative evaluation is objectively or fairly in general. The present renewal expectation right is merely the right of interpretation of the contract, which can only be recognized when the contract between the parties can be revealed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tract that the contract is renewed if certain requirements are met. In the future, the renewal expectation right jurisprudence should move toward giving legal rights to workers' reasonable expectation. If short-term contracts are repeated, if there is renewal of contracts practice of the same type of worker, if there are objective circumstances that renewal of contracts can expect, such as when there are renewal of contracts requirements and procedures even if they are not specific, There is a need to give legal rights to workers' reasonable expectations regarding renewal. If renewal expectation right is reborn as a more valid right as a right based on an act that is not an incomplete right by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tract, then the worker's renewal of contracts, by the obstacles set by the user under the name "requirements set by the parties" There will be no interruption of rational expectations.

      • KCI등재

        프랑스 기간제 규율에 관한 고찰 -갱신 횟수 제한을 중심으로-

        김상호 ( Sang Ho Kim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法學硏究 Vol.24 No.2

        한국의 기간제 근로자 및 단시간 근로자의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기간제근로자의 경우 2년 이내에서는 반복적으로 갱신이 가능하고 이런 갱신에 대해 규제하는 규율이 없다. 이런 이유에서 학계의 모임에서는 갱신 횟수에 대한 제한 방안에 대하여 논의해왔다. 여기에서 우리가 비교법적 논의, 특히 프랑스 법제와 비교한다면 매우 유용할 것이다. 프랑스는 기간제근로계약과 관련하여 다양한 규율을 두고 있다. 먼저 갱신은 양 계약사이에 공백을 포함하는 연속적 계약과 구별된다. 갱신 횟수 또한 2회로 제한된다. 그리고 이런 규율이 위반된 경우에 그 제재는 그 기간제 계약을 무기계약으로 의제하는 것이다. 다만 그 의제의 법적 효과는 당해 기간제근로자를 당해 사업체에 복직시키는 것을 의미하지 않고 단지 실직에 대한 금전배상권리 부여를 뜻한다. 이와 같은 비교법적 고찰에 기초하여, 한국에서는 기간제근로계약의 갱신 문제에 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하나는 적정한 갱신 횟수 제한은 필요하며 갱신 개념을 벗어난 기간제계약 사이에 공백기를 두는 연속적 계약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Under Korean Act on Protection, etc., of Fixed-term & Part-time Workers, in case of fixed-term workers, their contracts can be renewed repeatedly within 2 years and there is no provision restricting such renewals. That’s why the ways to restrain the number of renewals has recently searched in some academical discussions. Here, it would be very useful for us to compare the relevant problems to other countries such as France. French rules, with respect to Fixed-term Labor Contract, has many regulations in various ways. At first, renewal of contract is differentiated from successive contract with the interruptions between the two contracts. The number of renewals is also reduced to only two times. And if the regulation is violated, the sanction is the re-qualification of the contract to non-fixed term contract. But the legal result of the re-qualification does not always mean the reinstatement of the relevant worker in the business but it gives the worker only the right to demand monetary compensations for losing the job. 62) Base on the comparative study, the author tried to propose proper solutions for the renewal problems of fixed-term labor contract in Korea.

      • 오피스텔 내부시설 및 입지특성이 주거만족도와 재계약의사에 미치는 영향 - 1∼2인 임차인 가구를 중심으로 -

        이지나(Jina Lee),권대중(DaeJung Kwon) 한국부동산융복합학회 2021 부동산융복합연구 Vol.1 No.2

        최근 1인 가구의 증가와 아파트 거주 시 과도한 주거비 부담으로 오피스텔 거주에 대한관심이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이로 인해 오피스텔의 공급은 급격히 증가하였지만 오피스텔주거만족도 및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택지개발사업으로 인해 오피스텔 거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서울시 강서구 일대의 오피스텔 임차인의 주거만족도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내부시설 및 입지특성이 주거만족도와 재계약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재계약의사를 높이기 위한 개선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오피스텔 관리는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 적용됨에 따라 용도와 규모에 맞는 구체적인 법 규정의 부재로 인하여 많은 문제점들에 노출되어 왔다. 이와 같은 문제를 보완하고 오피스텔 주거만족도에 관한 보다 실질적인 개선방안 모색을 위한 발전적인 방향제시및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Owning to the recent increase in one-person households and the excessive burden of housing expenses for apartment dwelling, interests in officetel dwelling have constantly been in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housing satisfaction determinants of officetel tenants. And it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housing satisfaction and the intention of renewal and suggested the improvement plan to raise officetel tenant' intention of renewal. Especially focus on officetel interior facility factors and locational environment factors.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housing satisfaction determinants of officetel itself differentiated from other types of housing and discussed more efficient officetel development and management through the correlation between housing satisfaction and the intention of renewal.

      • KCI등재

        주택임대차보호법상 차임 등의 증감청구권과 소액보증금 제도에 관한 소고

        손연우 ( Son Yeon Woo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법학논총 Vol.33 No.4

        주택임대차 보호법 제1조의 목적에서 “이 법은 주거용 건물의 임대차(賃貸借)에 관하여 「민법」에 대한 특례를 규정함으로써 국민 주거생활의 안정을 보장함을 목적으로 한다.”고규정하고 있는데, 이때의 `주거생활의 안정을 보장함`의 대상이 되는 국민은 타인의 집을 임차하는 사람들이다. 다시 말해 주택임대차 보호법은 임대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영세한 임차인을 보호하기 위해 제정한 법률이므로 임차인이 제대로 이해하기 힘들다면 그 법률의 목적에 위배되는 입법이고, 예견된 법적분쟁을 내포하고 있다고 감히 말할 수 있겠다. 임차인은 임대인에 비하여 고급한 법률 서비스를 제공받기가 어려운 것이 보편적인 현실이기에 그들의 권리를 보호하는 법률은 그들이 이해하기 쉽게 제정되어야 함이 마땅하다. 물론, 법을 제정하는 과정에서는 각각의 분쟁 및 서로의 이해관계를 해결하기 위한 공평한 기준을 도출해야 하므로 복잡한 관련이론에 대한 이해, 필요하다면 비교법적인 검토 그리고 통계 등을 반영한 법적·전문적인 논의가 필요함은 당연한 일이다. 다만, 그러한 어려운 과정을 통한 결과물로서의 법률은 하나의 규칙 내지는 기준일 뿐이다. 더도 덜도 아니다. 수범자인 국민들에게 서로 같이 지키자고 만든 질서이고 규칙이므로 가급적 그들이 이해하기 편하게 제시되어야 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된다. 이것은 우리사회에서 한 집안의 `가훈`이나, 학교의 `학칙`· 회사의 `사규` 심지어는 한 학급의 `반훈` 등이 정해질 때, 그 대부분의 구성원이 알 수 없는 `희브리어`로 제정되어서는 안 될 것이라는 보편적인 상식과 별반 다르지 않다. 그러므로 `주택임대차 보호법`에 “당해 주택의 말소되지 않은 최초의 근저당이 설정된 해를 그 적용연도 내지 기준연도로 한다.” 또는 “제8조의 적용은 담보물권 설정 당시의 법령을 기준으로 한다”라는 규정을 주택임대차 보호법 내지 그 시행령의 본문에 산입함이 옳다. 또한 다른 단행 법률에서의 예와 같이, 제8조의 근거기준변화를 별표로 시행령에 넣어 일반국민에게 확인을 용이하도록 하는 편이 더 나으리라고 생각된다. 덧붙여서 주택임대차보호법의 `차임 등의 증감청구권`이 실제 주택임대차에서 그 효용이 찾기 위해서는 상가임대차보호법에서의 `계약갱신청구권`과 같은 규정이 입법화되어야 한다. 그 기간에 대해서는 주택임대차보호법 제4조에서의 최단기간의 보장을 2년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을 반영하여, 2년 정도가 적당하리라고 생각된다. The Housing Lease Protection Law and its enforcement ordinance reflect the reality by placing the central objective of the law on guaranteeing the dwellings of the citizens, especially the duration of residence of small tenants and the stable collection of deposits It is a fact that we have worked on relief of the tenants`s rights through multiple revisions made. Despite the actual provisions on leasehold rules under the Civil Code, it provides special provisions for tenant protection against the conventional Real rights system. However, in spite of the exaggerated positive nature of such a law, there are provisions that are still divergent from reality in the housing lease protection law and its enforcement ordinance, which are composed of many notes. I think that these parts are revised, and some are incorrect to incorporate additional provisions and make them more consistent with the purpose of the law. Under the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the highest priority payment standard for small deposits is not based on the law at the time of the contract of the housing lessee, but the first revolving mortgage that is still effective for registering real estate is the standard. In Article 2 of the Supplementary Provisions of the Enforcement Order, the revised provisions of Article 10 (Applications Concerning Small Deposit Protection, etc.) and Article 11 shall also apply to lease contracts that survive the enforcement of this Order, For those who acquired collateralized property rights for rental housing in advance, they will obey the previous provision. " Since the transitional provision is in the supplementary provision of the enforcement ordinance, it is not easy for the public to understand. The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is a law enacted to protect tenants who are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landlord. Where it is difficult for the tenants to understand the law established for the protection of the tenants, it is a legislation that is contrary to the purpose of the law and encompasses the foreseeable legal dispute. The enactment of the law should not take the way to rule the general public with its difficulty as a weapon. The fact that the tenants is more difficult to receive advanced legal services than the landlord is because it is a general reality that the laws that protect their rights are necessary for them to be easy to understand, but it is natural . Of course, in the process of enacting the law, we must derive fair standards for resolving each dispute. Therefore, although it is necessary to have legal and specialized discussions reflecting complicated theoretical discussions, comparative legal examinations as necessary, statistics etc., it is natural. However, as a result of such a difficult process, the only law is a just rule or reference date. It`s not less than anything. Therefore, it must be legible and understandable for citizens to apply for relief by applying the law. There should be no difficulty to understand. Think about creating a family home, a school rule, a company rule, and a class rule, etc. In the process, It is not different from the universal common sense that it can not be done if the “Hebrew-language" where most of the people can not know. “The first revolving mortgage for which the housing has not been deleted is set as the reference year from the application year" or ”The application of Article 8 is based on the setting of the pledge right, the law at the time" shall be included in the text of the provisional housing lease protection law or its enforcement order. In the enforcement ordinance, the standards of the revised fiscal year(of Article 8) should be tabulated so that the citizens can more easily understand. In the current Housing Lease Protection Law and its enforcement ordinance there is a limitation of “Claim for change”. However, this is an actual housing lease, and legislation such as `Claim for contract renewals` under Commercial Building Lease Protection Act is necessary to find its utility. For that period, it is considered that about two years will be appropriate, reflecting that the shortest term guarantee under Article 4 of the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is stipulated as two years.

      • KCI등재

        헌법제정권력: 갱신(更新) 중의 개념

        조동은 한국헌법학회 2023 憲法學硏究 Vol.29 No.2

        The concept of constituent power is often invoked in jurisprudence and literature to account for the origin and supremacy of the constitution, the limits of constitutional amendment, and the basis of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Nevertheless, the concept of constituent power has been under criticism for quite some time, and there remains today some full-fledged arguments to dispense with it as a mythical concept, unnecessary or harmful. In order to answer the question of whether the concept of constituent power has meaning and value on the horizon of constitutional law scholarship today, it might be useful to confront these contemporary criticisms alongside a consideration of the history of the concept. A noteworthy point in the historical examination of the concept of constitutional power is the fact that Sieyès tried to distance the concept of constituent power from that of sovereignty. While Sieyès proposed ‘pouvoir constituant’ as a concept that expresses the ‘the political authority of the people’, he rejected the idea of sovereignty as a “monastic” and “colossal” that cannot give adequate explanatory function of modern form of political legitimacy. Carl Schmitt, on the other hand, who inherited the concept of constituent power from Sieyès but closely linked it to the concept of sovereignty, used the unmediated delegation of constituent power as a basis for justifying a transitional sovereign dictatorship that suspended all separation of powers. Contemporary critiques of the concept of constituent power take several forms. A positivist version suggests that the concept of constituent power as a immediate presence without representation, “das formlos Formende” is itself inconceivable. In addition, the concept reduces the question of validity and legitimacy of the legal order to the question of “who” created the constitution, while the circumstances regarding the enactment of a legal norm cannot be an independent, determinative basis for the obligation to obey the law. A normativist version argues that the concept of constituent power fails to explain coherently the problem of law's authority for it locates the source of law's authority outside the legal order. But as emphasized by Fuller and Dworkin, the authority of law is better explained by the internal morality of the legal order and this renders the concept of constituent power unnecessary. The former view contends that constitutions can only be justified in terms of their conformity to extralegal moral and practical considerations, and thus a concept of constituent power that centers on the question of “who” made them loses its importance. The latter view argues that constitutions can be justified through internal morality of the law itself, and thus the question of constitutional authority that locates the source of their authority outside the legal order is not raised in the first place. The view that the constituent power is “das formlos Formende”, the presence of the people without representation, however, may be just one interpretation of constituent power, but not the only one. Rather, Sieyès' concept which emphasizes the limited powers of the extraordinary representative in constitution-making, seems to be closely linked to considerations on the process of representation. In addition, understanding constitution-making power as extra-legal authority without any normative dimension or ‘plenitudo potestatis’, free of any legal constraints seems to be a distinctively Schmittian interpretation.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the concept of the constitution that the critiques presuppose underscores the meaning of positive ‘written’ constitution as a product of actual political processes.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n a serious manner the problem of mystification and possible misuse of the concept of constitutional power that these criticisms highlight. It is my suggestion that the prospect of overcomi... 헌법제정권력 개념은 헌법 판례나 문헌에서 헌법의 원천과 우위, 헌법개정의 한계, 헌법해석의 근거 등을 설명하기 위하여 종종 소환되고 있다. 그럼에도 헌법제정권력 개념에 대한 비판론 역시 상당기간 존재해 왔고, 불필요하거나 해악을 초래하는 신화적 개념이라는 이유로 그 개념적 시민권을 박탈하자는 주장이 오늘날까지도 제기되고 있다. 헌법제정권력 개념이 오늘날 헌법학의 지평에서 의미와 가치를 가지는지의 문제에 답변하기 위해서는 그 개념의 역사에 관한 고찰과 더불어 이러한 현대적 비판론을 검토해 보는 것이 하나의 유용한 접근방식일 수 있다. 헌법제정권력 개념의 발생사적 점검과 관련하여 주목할 만한 지점은 시에예스 본인이 주권 개념과 헌법제정권력 개념을 차별화하고 거리를 두려 한 대목이다. 시에예스는 인민이 정치적 권위로서의 지위를 확보해 나가는 역사적 상황 속에서 그 권위의 속성과 원리를 표현하는 개념으로 헌법제정권력을 제안하였고, 그와 동시에 주권 개념은 헌법제정권력 개념이 내포하는 권력의 제도적 분립을 설명할 수 없는 ‘수도원적’이고 ‘거신적’인 관념이라는 이유로 배척하였다. 반면, 시에예스로부터 헌법제정권력 개념을 계승하면서도 이를 주권 개념과 긴밀하게 결부시킨 칼 슈미트는 모든 권력분립을 중단시키는 과도기적 주권적 독재를 정당화하는 근거로 헌법제정권력의 무매개적 위임을 원용하였다. 헌법제정권력 개념에 대한 현대의 비판적 입론들은 여러 형태로 제기된다. 대표 없는 현존, “형식 없는 형성자”로서의 헌법제정권력 개념은 그 자체로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헌법제정권력 개념은 법질서의 효력과 정통성을 ‘누가’ 최고규범인 헌법을 제정했는지의 문제로 환원시키는데 누가 법규범을 만들었는지는 법준수의무를 창출하는 독자적 근거가 될 수 없다는 주장이 그 중 하나이다(실증주의적 버전). 다른 한편, 헌법제정권력 개념은 법의 권위의 원천을 법질서 외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일관성 있게 법의 권위 문제를 설명하는 데 실패하며, 풀러나 드워킨이 강조하는 법질서 내적 도덕성만으로 법의 권위 문제를 설명하는 것이 더 타당하다는 주장도 제기된다(규범주의적, 원리주의적 버전). 전자는 헌법은 법외적인 도덕적, 실체적 고려들에 합치되는지 여부에 따라 정당화될 수 있을 뿐이므로 ‘누가’ 제정했는지의 문제를 중심에 놓는 헌법제정권력 개념은 필요치 않다고 보는 반면, 후자는 헌법이 법 내적 도덕성을 통해 정당화될 수 있으므로 법질서 외부에 그 효력의 근거를 위치시키는 헌법제정권력 개념이 당초 불필요하다고 보는 것이다. 그러나 헌법제정권력 개념이 대표관계 및 대표과정과 아무런 관계가 없다고 보는 것은 헌법제정권력에 대한 특정한 해석에 관한 것일 수는 있어도 유일하게 가능한 해석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오히려 헌법제정에 있어 특별대표의 한정된 권한을 강조하는 시에예스의 헌법제정권력 개념에는 대표관계와 대표과정에 대한 고려가 긴밀하게 결부되어 있다고 보인다. 또한 헌법제정권력을 아무런 규범적 차원을 가지지 않는 사실적 권위 또는 법적 제약 없는 전능한 권한으로 이해하는 것도 슈미트적 해석에 과도하게 경도된 것으로 보인다. 비판론들이 전제하고 있는 헌법 개념이 정치과정의 산물이라는 실정헌법의 속성을 외면하거나 과소평가하고 있다는 점도 간과하여 ...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기간제근로자 사용사유 제한 입법의 주요 쟁점과 체계

        조임영(Im-Young Jo)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8 産業關係硏究 Vol.28 No.2

        기간제근로자 사용의 남용과 확산에 따른 입법 정책적 대안으로서 기간제근로자 사용사유 제한이 유력하게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교법적 분석을 통해 기간제근로자 사용사유 제한 입법과 관련한 주요 쟁점 및 입법의 체계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기간제근로자 사용사유 제한 입법의 법체계적 정합성을 확보하고 사용사유의 획정 및 기간제 근로계약의 유효성에 대한 법해석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법률에서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이 원칙이며, 기간제 근로계약은 명확하고 일시적인 업무의 이행을 위해 예외적․보충적인 경우에 한하여 허용됨을 규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구체화하여 기간제 근로계약의 이용이 허용되는 사유를 한정적으로 열거하는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타당하며, 그 구체적인 사유는 일시적 결원 근로자 등의 대체, 노동력 수요의 변동 및 업무의 성질에 따른 필요에 따라 기간제고용을 사용하는 것이 불가피한 경우로 구분하여 각각에 해당할 수 있는 사유들로 한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더불어 고용정책 등에 따라 상시 · 지속적 업무에 대해 기간제 근로계약을 허용할 경우에는 고용불안정화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취업취약자 등으로 적용대상자의 범위를 한정하며 계약기간의 상한을 설정하고 갱신횟수를 제한하는 것이 타당하다. 기간제 근로계약의 사용기간, 계약갱신 및 연속 등에 대한 제한이 필요하며, 이는 개별적인 사용사유별로 남용의 여지, 고용불안정의 방지와 기업 인력운용의 유연성 확보와 조화 등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일정한 위험 작업 등에 대해서는 그 성질을 고려할 때 기간제근로자의 사용을 금지 또는 제한할 필요가 있다. 기간제 근로계약에 관한 법률 적용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사유, 사용기간 등을 포함하는 서면의 근로계약 작성, 근로자대표기구에 의한 통제시스템의 도입, 법률 위반에 대한 민 · 형사 제재 등에 대한 규정이 필요하다. The problems concerning the use of fixed-term employment contracts has been raised as a keen issue. For these reasons, there are continued calls for the legislation limiting the case of an use of fixed-term employment contracts. This article studies the regimes of the legal regulations limiting the grounds for concluding a fixed-term employment contracts. This article show that the legal regulations should be drafted to include the following intentions. It must establish the principle that contracts of an indefinite duration are the general form of employment relationship between employers and workers. A fixed-term employment contracts cannot be used for a position that relates to the company‘s normal and permanent business activities. A fixed-term employment contracts can only be concluded for the following reasons. (ⅰ) Replacement of a temporarily absent employee (ⅱ) Temporary need of additional work capacity (ⅲ) Seasonal work (ⅳ) In certain business sectors where it is common practice not to conclude permanent employment contracts givens the type of the work performed or the temporary nature of the jobs. The ground for concluding a fixed-term employment contract must be set out at the time the fixed-term contract is executed, and they must be clearly ststed in writing in the contract. otherwise, the fixed-term contract is deemed to be an indefinite-term contract.

      • KCI등재

        바울의 갱신 사상(更新 思想)과 1907년 평양 대부흥 운동 - 고린도후서 5장 11-21절의 ‘새로운 피조물’을 중심으로: 바울의 갱신 사상(更新 思想)과 1907년 평양 대부흥 운동

        배재욱(Bae Jae-Woog)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07 신학사상 Vol.0 No.139

          한국 교회에서 1907년 평양 대부흥 운동은 한국 교회의 갱신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사건이다. 갱신은 인간 구원 사상에 관련되는 말로 “질적으로 새로운 것”을 의미하는 말로 사용된다. 인간의 갱신은 인간의 죄로부터 하나님의 용서를 통해 이루어진다(참조. 시 51:7, 10, 12; 겔 36:25f). 인간 갱신을 위해서 성령이 인간 속에 근본적인 변화를 만들었다(비교. 겔 37:14).   고린도후서 5:21은 그리스도가 십자가 대속(代贖)이 인간의 죄 문제를 해결한다는 사실을 말한다. 그리스도의 죽음을 통해 인간 속에 갱신이 이루어지며 새롭게 맺어진 계약으로 인하여 모든 민족이 약속을 가지게 된다(참조. 마 26:28; 막 14:24; 고전 11:25). 이 “새 계약’의 약속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이루어졌다. 이 “새 계약”은 보다 나은 계약(히 7:22)으로 “영원한 계약”(히 13:20)이다.   갱신은 성령을 통하여 인간 속에 일어나는 근본적인 변화이다. 성령의 새롭게 하심은 인간 개인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킨다. 바울은 고린도후서 5:17에서 “누구든지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새로운 피조물이라 이전 것은 지나갔으니 보라 새 것이 되었도다”고 말한다. 새 피조물은 그리스도 안에서 갱신된 새로운 사람이다. 그런데 이 갱신은 그리스도의 속죄 죽음에 기인된다(참조. 고후 5:14-15). “갱신”은 개인의 삶의 변화에 그쳐서는 안 되고 교회 공동체와 민족과 국가의 변화로 나아가야 한다.   평양 대부흥 운동은 그리스도 안에서 경험하는 갱신된 새로운 삶의 변화를 한국인에게 이루었다. 구세주 되신 예수 그리스도는 갱신된 자의 변화만 아니라, 그들의 가정에도 많은 변화를 이루었다. 그리스도인들은 “그리스도 안에서” 갱신된 자로 살지만 여전히 죄악에 노출되어 있고, 세상 속에서 환난을 당하고 어렵다. 그러나 약속을 믿기 때문에 인내하며 절망하지 말고 희망이신 그리스도를 바라며 “평화”를 이루기 위해(참조. 롬 12:18; 엠 2:14-15) 노력하며 그리스도의 평화를 세상 속에서 펼쳐가야 할 것이다.   The 1907 revival in Pyungyang was an extremely valuable event for Korean Church renewal. The word "renewal" refers both to the quality of newness and salvation. The renewal of human is achieved through God"s forgiveness of human"s sin (cf. Ps 51:7, 10, 12 ; Ez 36:25f.). It is for this renewal that the Holy Spirit has made fundamental changes in human (cf. Ez 37: 14).   2 Cor 5:21 says that Jesus" redemptive power solves all problems of human sin. The whole nation has been promised a new covenant, because Christ"s death has renewed all mankind (cf. Matt 26:28; Mk 14:24 ; 1 Cor 11:25). This "New covenant" is completed and realized in Jesus Christ. It is also a superior (Heb 7:22) and "eternal" covenant (Heb 13:20).   "Renewal" means, fundamental change in all people through the Holy Spirit. Renewal through the Holy Spirit brings substantial change to everyone. In 2 Cor 5:17, Paul says, "So if anyone is in Christ, there is a new creation: everything old has passed away; see I have created all things new!" A renewed human is a new creature in Jesus Christ. This renewal is a result of the death of Christ (cf. 2 Cor 5:14-15). The term "renewal" is not limited to changes in an individual life, but includes changes within the church and the nation itself.   The 1907 Revival in Pyungyang, Korea, marked the rededication of many new lives to Christ. Jesus Christ accomplishes momentous changes in the lives of not only individuals, but families as well. Christians live "in Christ" as new persons, but they are still exposed to sin, afflicted with trouble, and experience the hardships of this world. However, because Christians believe in the promises of God, they need to lead patient and faithful lives, pursuing Christ the true hope, and spreading the peace of Christ to the world(cf. Rom 12: 18 ; Eph 2:1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