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차세대 읽기 평가의 방향 탐색: GISA 평가틀과 읽기 수행 중재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박혜영 한국독서학회 2019 독서연구 Vol.0 No.52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implications for innovative reading assessments by delving into characteristics of Global, Integrated and Scenario-based Assessment(GISA). GISA is recognized as an alternative model to traditional reading assessment because it pursues not only for summative assessment but also formative assessment with utilizing computer system. One feature of GISA is to enlarge constructs in reading assessment to assess socially required reading abilities in Digital era. In addition, from the views of “assessment for learning”, GISA seeks to attain more informations from assessment results so to help students and teachers improve in classroom. Implications we discovered are as allows: 1) constructs enlarged reflects reading abilities which this society is request of. So, we review our reading curriculum that are able to cover those constructs. If not so, we need to add and edit in our reading curriculum. 2) we try to improve reading assessment which gives us more informations for students’ development so that we provide effective feedback to students. 3) new flat-form such as scenario-based assessment should be designed and operated to draw out students’ motivation and engagement as well as validity in reading assessment.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읽기 평가의 특징을 보이고 있는 GISA를 분석하여 새로운 읽기 평가의 방향을 탐색하고, 향후 우리나라 읽기 평가 개선 및 차세대 읽기 평가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광역(Global), 통합형(Integrated), 시나리오 기반 평가(Scenario-based Assessment)로 개발된 GISA는 디지털 시대가 요구하는 읽기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기존의 읽기 능력 구인을 확장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학습을 위한’ 읽기 평가를 지향하면서 평가의 결과를 통해 학생의 발달과 교수학습 개선에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읽기 수행의 중재요인을 설정, 평가도구를 설계했다는 점도 특징적이다. 이러한 GISA 평가의 특징은 앞으로 우리나라 읽기 교육 및 평가를 개선하는 데, 그리고 앞으로 진일보한 읽기 평가도구 개발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첫째, 확장된 읽기 구인은 시대적 필요성과 요구를 반영한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도 국가교육과정에서 해당 요인이 반영되어 있는지 검토하고 학습 요소를 확장, 보완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학습 결과에 대한 평가와 함께 학습 과정에 대한 진단적이고 형성적인 평가를 통해 학생의 발달과 교수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평가를 구안해야 할 것이다. 셋째, 텍스트 중심의 읽기 평가에서 확장하여 학생의 동기와 몰입도를 높일 수 있도록 시나리오 기반 평가와 같은 새로운 형태의 평가 방식이 연구되어야 한다.

      • KCI등재

        실천적 독서 평가 강의의 가능성 탐색을 위한 실행연구

        김종윤 ( Jong Yun Kim ) 한국독서학회 2016 독서연구 Vol.0 No.38

        In reading assessment, there was a widely assumed view that pre.service teachers learn reading assessments when they learn “contents” from reading instruction courses and “methods” from educational evaluation. As an alternative, this study explored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authentic reading assessment courses, which provided pre.service teachers to select and assess students as a reading assessment project. In the project, the teacher candidates should use describe, analyze, and synthesize multiple reading assessments. As an action research, the researcher played an instructor role and included 9 graduate students at an 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This study showed that the main obstacle to reading assessment was attributable to the paucity of reading assessment infrastructures: reading assessment research, tools, and relevant materials. Nevertheless, the research participants revealed that the assessment course achieved several goals: (1) diverse uses of assessment tools, (2) experience of students’ development through ongoing assessment, (3) in.depth qualitative understanding of students’ reading, (4) expansion of interpretive capabilities of assessment results, and (5) self.reflection through assessment failures. Finally, the future directions of reading assessments were discussed.

      • KCI등재

        디지털 텍스트 읽기 능력과 디지털 텍스트 읽기 평가에 대한 일고찰

        옥현진 한국국어교육학회 2013 새국어교육 Vol.0 No.94

        Considering current digital technology needs a certain level of digital literacy, especially digital text reading competence, for both this generation and the next generation,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n educational implication by reviewing existing research/projects on digital text reading competence. Also, focusing on the OECD Digital Reading Assessment (DRA) and Online Reading Comprehension Assessment (ORCA) of the University of Connecticut, this study closely examined the framework and the method of implementation of the digital text reading assessments and then tried to provid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assessments. Implication based on this analysis was followed at the end of the study focusing on the necessity of the development of a thread of the curriculum for digital text reading competence, the preparation for a digital text reading assessment, and follow-up studies.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해 디지털 텍스트 읽기 능력의 중요성과 교육적 필요성이 현안으로 대두됨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디지털 텍스트 읽기 능력의 하위 요소를 검토한 뒤 읽기교육의 내용으로 새롭게 추가해야 할 요소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디지털 텍스트 읽기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기존 평가도구의 특징을 살펴보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제고하기 위해 개선해야 할 부분들을 점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OECD의 디지털 읽기 평가(Digital Reading Assessment)와 코네티컷 대학의 온라인 읽기 이해 평가(Online Reading Comprehension Assessment)의 평가틀과 평가 방식을 중심으로 디지털 텍스트 읽기 능력을 구성하는 하위 요소와 평가 시행 방식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고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디지털 텍스트 읽기 능력과 관련된 후속 연구의 필요성과 구체적인 연구 방향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독서 평가 문항의 내용 타당도 분석

        김은애(Kim, Eun-ae),주세형(Ju, Se-hyeong)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0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4 No.1

        This paper assumes that content validity matters much in reading assessment and, therefore, Korean language curriculum which has high content validity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literacy in the curricula of other content subjects. With the assumption, the paper raises an issue that the content validity in the current reading assessment items is low, and criticizes the problem from two aspects: achievement standard and assessment standard(rubric). Lastly, the assessment items are deeply analyzed based on those standards. In consequence, the curricula of these three evaluated subjects, 'Korean language,' 'Ethics,' 'Law and Society' all lack the clear statements of the achievement standard in the curricula. In addition, the assessment standards are not properly included, either.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specifically, the assessment standards are quite close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However, there is no assessment standard found in 'Ethics' curriculum; it only gives assessment topics and the related scores. 'Law and Society' curriculum also has the same problem. Moreover, the assessment items are biased to the questions regarding detailed knowledges and inferences. Therefore, it is appropriate to say that the reading assessments of the curricula evaluated are not much different from one another, except for knowledge contents of the subjects. In addition, the reading assessments of the three have not achieved 'the essential of the reading assessment.' The basic cause of this problem comes from lack of careful plans and detailed setups of the achievement/assessment standards by teachers themselves. Secondly, the teachers are reluctant to search for the proper tools to accomplish the content validity. Lastly, they are not aware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ading assessment and literacy. With the findings, I insist that a firm 'reading assessment standard' be set up, primarily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which literacy is rooted in and manages the functions of language. It is necessary that the current unstructured assessment system be re-examined, and the achievement standard in reading assessment, focused on functions and strategies, be set up first. The structured standard is essential to improving literacy and affects reading skills in all of the curricula; although knowledge and attitude are also important elements. Secondly, the assessment tool(rubric) must be designed carefully, so that assessment can be performed well. The elaboration of the tool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ontent validity in the assessment process and the overall education as well. Thirdly, the assessment tool, which persists with multiple-choice tests must be gradually replaced with to another appropriate form of assessment tool that can clearly reveal the content validity. Provided that teachers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can give a valid reading assessment with higher content validity through accomplishing the suggested steps, it would be a fine example for the curricula of other subjects and, in turn, we can expect the improvement in literacy of the learners as well. 본고는 독서 평가에 있어 내용 타당도가 매우 중요하며 내용 타당도높은 국어과의 독서평가가 다른 내용교과의 문식력(Literacy)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을 전제하였다. 이 전제 아래 현행 독서 평가문항의 내용타당도가 매우 낮다는 문제를 제기하고 이 문제점을 성취기준, 평가기준(루브릭)측면에서 비판한 뒤 제시된 성취기준, 평가기준을 바탕으 로 문항을 분석하였다.분석 결과, 평가 대상으로 삼은 「국어」, 「도덕」, 「법과 사회」 세 과목모두 ‘성취기준’이 제시되지 않았다. 또한 명확한 ‘평가기준’ 또한 제시되지 않았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국어」과의 평가기준은 성취기준에가까웠으며 「도덕」과의 경우 평가기준이 아닌 평가주제와 배점만을 제시했다. 「법과 사회」과의 경우도 배점만을 제시하였다. 문항의 경우 세부지식의 이해 및 추론에 치우친 문제가 주류를 이루었다.그러므로 세 과목의 독서 평가는 과목과 교과 지식이 다를 뿐 독서 평가의 유형은 크게 다른 점이 없다고 볼 수 있다. 또한 3과목의 독서 평가모두 ‘독서 평가 본질’을 구현했다고 보기 어렵다.이러한 문제는 근본 원인은 교사들 스스로 독서 평가에 대한 치밀한계획과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을 구체적으로 설정하지 못한 데에서 연유한다. 또한 내용타당도를 구현할 수 있는 적절한 도구를 심도 있게 연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독서평가와 내용 문식성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인식하지 못했기 때문이다.그러므로 타당성 있는 독서평가가 이루어지기 위해서 문식성의 근간이되는 ‘언어’의 기능을 다루는 국어과에서 먼저 ‘독서 평가의 기준’을 명확하게 세워야 할 것을 주장한다. 기존의 체계 없는 평가 과정을 과감하게반성하고 우선, 독서평가의 성취기준을 기능과 전략 중심으로 명확하게세워야 한다. 지식과 태도도 중요하지만 기능과 전략 중심의 체계적 성취기준은 문식력 향상에 필수요소이며 교과독서 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기때문이다.둘째, 평가도구(루브릭)을 정교하게 세워 올바른 평가가 이루어질 수있도록 해야 한다. 평가도구의 정교화는 평가의 내용타당도 신장과 더불 어 교육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셋째, 선다형에 머물고 있는 독서 평가 도구가 내용타당도를 드러내기 에 적절할 수 있는 도구로 대치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결과적으로 이러한 절차를 거쳐 교사가 내용 타당도 높은 국어과 독서평가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면 다른 내용교과의 독서 평가에도 모범적기준이 될 수 있을 것이며 학습자의 탁월한 내용 문식력 향상을 기대할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기획 주제 : 문학과 독서의 상생적 조망 ; 읽기 능력 평가의 현황과 과제 -문학 평가와의 유관성을 중심으로-

        김남희 ( Nam Hee Kim ) 한국독서학회 2009 독서연구 Vol.0 No.22

        이 연구는 대규모 평가의 평가틀을 중심으로, 기존의 읽기 능력 평가가 측정하고자 하는 평가 내용을 검토하고 국제 동향과 비교함으로써, 읽기 능력전반을 충실히 평가하기 위해 읽기와 문학 평가가 공동으로 모색하여야 할 과제를 고찰하고 있다. 읽기 능력에 대한 온전한 평가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문학 수용 능력을 포괄한 읽기 능력 전반에 대한 이론적 구도 설정과 세부평가 내용 구안 과정에서 읽기 평가와 문학 평가 공동의 모색이 중요하지 않을 수 없다. 읽기 능력을 평가하는 국내의 대규모 평가로는 대학수학능력시험과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가 대표적이다. 읽기 능력 평가의 국제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평가로는 미국의 SAT와 OECD 주관의 PISA가 대표적이다. 학업성취도 평가를 제외한 국내·외 대규모 언어 영역 평가는 대체로 문학 텍스트에 대한 읽기 능력을 읽기 능력 일반의 범주에 포괄하여 평가하고 있었다. 그러나 평가틀 차원에서 읽기 능력과 문학 능력의 상관 관계를 명시하고 있는 것은 아니었기에, 이들 평가가 암묵적으로 전제하고 있는 읽기 평가와 문학 평가의 유관성을 적극적으로 요목화할 필요가 있다. 읽기 평가와 문학 평가는 읽기 능력의 하위 영역에 대한 접근, 서사적 사고를 요하는 추론 능력의 강조, 사회적 행위로서의 읽기에 대한 관심 등의 차원에서 깊이 연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유관성을 고려하면서, 읽기 평가와 문학 평가가 교육과정에 의해 구획된 영역 경계를 초월하여 인간의 읽기 능력전반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과제들에 대한 공동의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첫째, 읽기 능력 전체를 조망하는 평가 구조를 이론 차원에서 구안하기 위해, 읽기 능력을 구성하는 하위 요소를 명확히 밝혀 평가의 구인 타당 도를 제고해야 한다. 둘째, 서사적 사고 과정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 도구 개발을 중심으로, 추론 능력에 대한 평가 방법을 적극적으로 모색하여야 한다. 셋째, 사회적 행위로서의 읽기를 강조하는 최근의 읽기관 변화를 평가 구조와 평가 도구에 반영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ject which both assessment of reading and assessment of literary should solve for rating general reading literacy. So I examined the contents of assessment of reading literacy and made a comparison with global trend based on the frameworks of existing assessment.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re typical test for assessment of reading literacy in domestic scale. We also have SAT in U.S. and OECD PISA for international test of reading literacy assessment. These kinds of tests classified reading literacy on literary texts as a category of general reading literacy. Therefore I tried to prove the relevance between assessment of reading literacy and assessment of literary competency in this study. Regarding such relevance, following items should be investigated in assessment of reading literacy and assessment of literary competency together. 1) Framework to cover the whole phase of reading literacy should be established theoretically through proving of fundamental elements of reading literacy. 2) We should develop the assessment tools for assessing the inferential process like narrative thinking. 3)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reading is important as social act.

      • KCI등재

        비평적 읽기와 시 교육에서의 수행평가

        선주원 ( Ju Won Seon ) 한국문학교육학회 2003 문학교육학 Vol.11 No.-

        This thesis discussed how poem reading relate performance assessment in the spot of poem lesson, how a student embody critic about poem text. For this, this thesis discussed a student`s poem reading of poem lesson in perspectives of critical reading, then, critical reading divide interpretive reading and formative reading, examined how performance assessment be accomplished about this reading. For being accomplished of assessment in poem education. it is requested literary competence of literary teacher and qualitative change of literary experience. new perspective and strategy about assessment ways, classroom discourse must be formed for student`s literary competence and literary experience. For this, poem education does not remain analysis about poem text, For this, poem education does not remain analysis about poem text, requests critical reading that does and does not regard in the same light, about formed sense in the text based on close reading and reflects self-life. Viewing this perspective, performance assessment in literary field is not intense different with performance assessment of language education, has close relation. Also, performance assessment of literary field is not different with speaking, hearing, reading, writing but is mutual integrated. But performance assessment of literary field as coordinate action of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about literary text, is more essential. Essential reason that teaches and learns literary text, is for that reflects self life and forms newly self life based on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literary text.

      • KCI등재

        기획 주제 : 구성주의와 독서 ; 구성주의 읽기 평가의 내용과 방법

        이성영 ( Seong Young Lee ) 한국독서학회 2007 독서연구 Vol.0 No.18

        구성주의 평가는 다면적이고 지속적으로 학습자에 대한 정보를 수집으로써 그들에 대한 이해를 구성해 가는 평가로서, 평가 내용 차원에서는 학습자들 각각이 지니고 있는 총체적인 구성적 특성을 평가하려고 하며, 평가 방법차원에서는 평가 맥락의 실제성과 평가 정보들 상호간의 소통성을 추구한다. 구성주의 평가와 수행평가의 가장 두드러진 차이는 평가 목표나 평가 기준의사전 제시 여부에 있다. 읽기 평가에서 구성주의의 지향을 살려내기 위해서는 텍스트의 의미 구성뿐 아니라 학습과 내면화, 과제 해결을 위한 읽기, 협력적 읽기, 읽기에 대한 태도와 습관, 그리고 읽기에 대한 메타적 인식과 조절 양상까지 평가의 내용으로 확대해야 한다. 이들 여섯 가지 평가 내용의 범주는 병렬 관계가 아니라 위계 관계에 있다. 구성주의 읽기 평가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는 가급적 다양한 평가 방법을 골고루 활용해야 하지만, 통합 평가, 직접 평가, 과정 평가, 지속적 평가, 비형식적 평가, 질적 평가, 자기 평가, 동료 평가 등을 상대적으로 더 활용해야 하며, 이를 위해 사고 구술법이나 사고 기술법, 포트폴리오 평가, 발문법, 관찰법 등의 평가 기법을 활용할 수 있다. KWL 활동지 평가 또한 구성주의 읽기 평가를 실천할 수 있는 한 방편이 될 수 있다. Assessment in the view point of constructivism is constructing understanding about learner through collecting information in terms of many-sided and continuous manner. It pursuits to assess each individual learner`s holistic and constructive traits in the level of contents, and it pursuits contextual authenticity in assessment and communicativeness among many sorts of information in the level of methods. We have to involve not only constructing text meaning but also learning, reading for problem-solving, cooperative reading, attitude toward reading and reading habits, monitoring and controlling reading processes in order to realize the ideal of constructivism in reading assessment. These six categories of contents consist of not parallel relation but hierarchical relation in each other. Although we have to use many kinds of assessment types evenly among all in order to realize the purport of constructive reading assessment, also we can use holistic assessment, direct assessment, process assessment, continuous assessment, non-formal assessment, qualitative assessment, self assessment, peer assessment more often which fit in with constructivism. And we can use such assessment tools as thinking-aloud method, thinking-writing method, portfolio method, questioning method, observing method which coincide with constructivism. Also KWL excise paper can be effectively used to realize the purport of constructive reading assessment.

      • KCI등재후보

        포트폴리오 평가 문식성 진단을 위한 기준 개발

        김소현(Kim So-hyun)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0 교육연구 Vol.48 No.-

        This study is aimed at suggesting the useful examination standards for teachers who use reading portfolio assessment in Korean language class of middle school. The reading portfolio assessment is the useful to assess the authentic reading skill of students appropriately. In addition, it is aimed at producing the systematic and accumulative assessment result throughout students' reading activities through long-term plan. Therefore, the assessment literac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s heavily required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reading portfolio assessment and perform it efficiently. The reading portfolio assessment literacy is the concept including the knowledge, functions and attitudes, which are needed in the process of planning and performing the reading skill assessment.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necessity of reading portfolio assessment literacy which is required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suggested the check-up lists around the categories consisting the assessment literacy and detailed standards. 이 연구는 중등학교 국어 수업에서 읽기 포트폴리오 평가를 활용하는 교사들에게 유용한 진단 기준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읽기 포트폴리오 평가는 학생들의 실제적인 읽기 능력을 타당하게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평가 도구이다. 또한, 장기적인 계획을 통해 학생들의 읽기 활동 전반에서의 체계적이고 누적적인 평가 결과의 산출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읽기 포트폴리오 평가의 본질을 이해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국어 교사의 평가 문식성이 강하게 요구된다. 읽기 포트폴리오 평가 문식성은 국어 교사가 읽기 영역의 평가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어 교사에게 필요한 읽기 포트폴리오 평가 문식성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평가 문식성을 구성하는 범주와 세부적인 기준들을 중심으로 진단 문항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이해’를 넘어 ‘활용’으로; 실제적 평가로서의 읽기 포트폴리오 평가 재조명

        김소현 한국국어교육학회 2010 새국어교육 Vol.0 No.84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tend the concept of reading, and then to review the necessity of reading portfolio assessment as an authentic and valid assessment method. For this purpose, I examined existing concepts of reading and suggested extended concept of reading in accordance with changing situation and context of students' reading. I suggested that the concept of reading should be changed from a dimension of 'understanding' for fixed texts into a dimension of 'using' in the authentic reading contexts. I also criticized that most existing researches about the reading assessment are simply criticizing for the actual condition of reading assessment and are insisting needs of improvement, without any review on authentic and alternative methods of reading assessment. To complement those researches, I focused on the trait of reading portfolio as an instrument that can assess extended reading skills authentically and validly. Lastly, I examined the special qualities of reading portfolio assessment. 이 연구의 목적은 읽기의 개념을 확장하고, 이에 따른 실제적인 읽기 능력을 평가하는 가장 타당한 평가 방법으로서 읽기 포트폴리오의 필요성을 재조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읽기 개념을 검토한 후, 다변화된 학습자들의 읽기 환경과 맥락에 따른 확장된 읽기 개념을 제시하였다. 읽기의 개념은 고정된 텍스트를 이해하는 수준에서 실제적인 읽기 맥락과 상황 속에서의 활용의 개념으로 확장되어야 함을 지적하였다. 또한, 기존의 읽기 평가 연구들이 평가 실태에 대한 비판과 함께 개선의 필요성에 대한 당위적인 명제만을 제시하며 실제적이고 대안적인 연구 방법에 대한 조명이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확장된 읽기 능력을 실제적이고 타당하게 평가해 주는 평가 도구로서 읽기 포트폴리오의 특성을 재조명하였다.

      • KCI등재

        자동문항생성 기법을 활용한 읽기 평가 개발에 대한 시론 : 사실적 독해 문항 모형을 중심으로

        오규설 ( Oh¸ Kyu-seol ) 청람어문교육학회 2022 청람어문교육 Vol.- No.87

        본 연구는 교실 평가의 디지털 전환과 관련하여 평가 공학의 한 분야인 자동문항생성을 활용한 디지털 형태의 읽기 평가의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평가 공학적 접근은 측정 및 평가 설계와 평가 도구 개발의 디지털화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이는 읽기 평가의 타당도 제고에 기여하는 한 방안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평가 공학의 관점에서 AIG의 개념을 검토하고, 읽기 평가에서 문항 모형을 활용한 디지털 전환의 이론적 토대를 제시하였다. 특히 텍스트 명제 분석에 기반하여 읽기 평가 문항 모형을 설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논의에 기반하여 실제 사실적 독해영역의 문항 모형 개발 사례를 검토하였다. 하나의 텍스트에 대해 8개의 문항 형식으로 구성된 문항 모형을 검토하여 읽기 평가에서 자동문항생성의 실행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이 연구는 읽기 평가 설계 지식을 디지털화하여 코드로 구현한 점, 텍스트 이해를 평가하기 위한 명제 분석 기반의 평가 내용을 구성한 점, 코드화를 통한 문항 형식의 다양성(Versatility)을 구현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후 효과적 선지 설계, NLP 기술과의 접목, 적응형 평가, 학습을 위한 평가로 나아갈 수 있는 AIG를 활용한 읽기 평가 연구의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About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classroom assessment, this paper discussed the possibility of digital reading assessment using automatic item generation, a field of assessment engineering. The assessment engineering approach focuses on the digitization of measurement and assessment design and development of assessment tools, which can be one way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validity of reading assessment. To this end, the concept of AIG was reviewed from the viewpoint of assessment engineering. This paper presented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digital transformation using the item model in reading assessment. In particular, a method to design a reading assessment item model based on text proposition analysis was presented. Based on this discussion, this paper reviewed the case of item model development in the reading comprehension area. And this study discussed the feasibility of automatic item generation in reading assessment by examining the item model consisting of 8 item formats for one tex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reading assessment design knowledge was digitized and implemented as a code, the proposition analysis-based assessment content to assess text comprehension was composed, and the versatility of the item format was realized through coding. Afterward, the future works of reading assessment research using AIG, which can progress to effective predictive design, grafting with NLP technology, adaptive assessment, and assessment for learning,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