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특집 논문 : 동산문도의 정화의식과 실천내용

        정광균(법상) ( Kwang-gyun Jeong(beop Sang) )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2015 전자불전 Vol.17 No.-

        본 고찰은 불교 정화의 배경과 이념을 근원적인 입장에서 돌아봄과 동시에 역사적 의의를 검토하는 것을 주안점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불교정화운동의 주역인 동산 큰스님의 문도의 나아갈 방향을 조망하려는 글이다. 그래서 필자는 불교정화의 배경을 선학의 연구를 참고하여 다음의 10개의 요인에서 찾았다. 그는 임제종운동, 선학원 창건, 승려독립선언서, 백용성의 대처식육 반대, 수좌들의 자생적 정화, 遺敎法會, 식민지불교 청산, 봉암사 결사, 수좌 전용사찰 요구, 불교의 포교 정신 등이다. 불교정화의 이념은 시대와 지역을 초월하여 공존하는 것으로 보면서도, 식민지 불교의 문제점을 극복하려는 고뇌와 지성으로 보았다. 근현대사에서 전개된 불교정화는 큰 역사적 의의를 갖고 있다.그는 청정한 승단을 회복하였기 때문이다. 이런 배경하에서 불교정화가 추진되었지만, 미진한 측면이 많아서 지금도 불교정화를 추진해야할 당위성을 갖는다. 그래서 동산문도는 불교정화의 정신이 부처님의 가르침에 부합하였음을 인식하고, 정화운동에 앞장 선 용성큰스님과 동산큰스님의 정신을 재인식하고 계승해야 한다. 그리고 사상적인 불교정화를 추진한 동산큰스님의 상좌인 성철스님의 정신도 기억해야 한다. 요컨대 동산문도는 용성ㆍ동산ㆍ성철로 이어진 문도들의 불교정화의 계승의식을 유의하면서 근본불교를 실천하는 일에 나서야 할것이다. This study was basically focusing on the background of Buddhist purification and its ideology, and looking over a historical meaning simultaneously. Through this, I``d like to find out which direction the disciples of the reverend Dongsan, a leader of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s, should go forward. So I found out the backgrounds of buddhist purification from the next 10 factors, with the researches on Seon Studies. They are the movement of the Imje order, establishment of Seon Institutes,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by monks, opposition movement against having a wife and eating meats by Baek Yongseong, Seon monks`` autonomous purification, Confucianist dharma society, Ending the colonial buddhism, Movement at the Bong``am monastery, Demands of using the exclusive temples only for Seon monks, and Buddhist missionary spirits etcetera. He thought that the ideology of Buddhist purification was existing over time and districts, as the concerns and intelligence to overcome the problems of colonial Buddhism. The Buddhist purification has a great historical meaning developed in the modern history. Because he recovered the pure Sangha cluster. Under such a background, the buddhist purification was carried out though, there are still lots of loose ends. So it is the right thing to do for buddhist purification. So the School of Dongsan disciples need to recognize that the spirit of buddhist purification was coincided with Buddha``s teachings. And also we need to recognize and succeed to the spirits of the great master Yongseong and Dongsan, who led the purification movement. We should remember the spirit of Seongcheol Sunim, a disciple of the great master Dongsan who carried out the ideological buddhist purification. In other words, the school of Dongsan disciples always need to think of spirits of Buddhist purification by the disciple monks - Yongseong, Dongsan, Seongcheol-and try to do our best for practicing the fundamental Buddhism.

      • KCI등재

        정금오(鄭金烏)의 불교정화운동

        김광식(Gwang Sik Kim)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1 佛敎學報 Vol.0 No.57

        본 고찰은 한국 현대불교사의 중요한 사건이었던 불교정화운동의 주역이었던 정금오의 정화운동의 내용을 정리한 글이다. 지금껏, 불교정화운동은 일부 학자들에 의해서 연구되었으나 총체적인 연구까지는 들어가지 못하였다. 총체적·전면적인 연구단계로 나아가려면 정화운동의 개념·명칭·성격·원인·결과·영향 등 다방면에서 접근이 요청된다. 그리고 정화운동에 참여한 승려들에 대한 미시적인 연구도 동시에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고찰의 대상인 정금오는 정화운동의 주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는 연구자들의 손길이 미치지 않았다. 필자는 그간 정화주역에 대한 개별적인 연구를 수행하였으나 정금오에 대해서는 자료부족 등으로 인해 연구를 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최근 문도들이 자료집·증언집을 내는 등 연구 환경의 변화로 인해 정금오의 정화운동 전반적인 내용을 정리하였다. 정금오는 일제 불교하, 제방의 선원에서 수행을 하던 수좌이었다. 그러던 중 그가 1928년 무렵 서울 대각사에서 근대의 고승 백용성을 시봉하는 인연을 가지면서 불교정화운동에 대한 자극을 받았다. 그후 1941년 3월, 선학원에서 개최된 유교법회에 참가하였다. 이 법회는 식민지 불교의 극복, 계율정신의 수호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갖고 있었다. 그가 이 법회에 참가한 것은 선학원, 조선불교선리참구원, 조선불교선종 등 일제하 수좌계 활동의 구도내에 있었기 때문이었다. 해방공간에서도 선학원, 팔달사에서 수행을 하던 정금오는 불교정화운동이 발발하였을 당시 불교 교단정화 대책위원회의 위원장으로 선임되었다. 이는 그가 불교정화운동의 최일선에 서 있었음을 상징적으로 대변한다. 그 이후 정금오는 하동산, 이효봉, 이청담 등 정화주역의 고승들과 다양한 정화활동에 동참하였다. 이후 그는 비구승단의 아사리, 부종정, 감찰원장, 총무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이렇게 그가 정화운동에 적극 참여함은 그의 수행관에서 비롯되었다. 그는 참선수행, 간화선 수행을 최고로 여기었는데, 일제불교 영향으로 수좌들의 수행풍토가 파괴된 것을 개탄하였다. 이에 그는 수행풍토 회복, 참선도량 회복, 정법불교의 지향을 위해서 불교정화는 당연한 것으로 여기었다. 그러나 그는 정화운동이 일단락 되었던 1962년 이후 조계종단에 대한 비판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이는 불교정화운동의 산물이 당초 의도, 이념대로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그는 재정화를 해야 한다는 소신을 개진하면서, 그를 위해 노력을 하였다. 그러나 그는 재정화의 기치를 들기는 하였지만, 그 실천 단계까지는 나가지 못하였다. 그런 과정에서 그는 입적을 하였기 때문이었다. 본고찰은 정금오의 불교정화운동에 대한 최초의 글이기에 부족한 측면이 적지 않을 것이다. 이점은 필자의 후속연구로 보완할 예정이다. This is a paper arranging contents of activities by Jung Gum-Oh who was the leading role in th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I, as the author intended to arrange overall contents of purification movement of Jung Gum-Oh according to the material which was published by Gum-Oh disciple`s society and testimony. Jung Gum-Oh was Seon(zen) monk where he practiced meditation in the Seon temple in everywhere in Korea under the Japanese Empire. He attended the Dharma ceremony of maintaining teachings of the Buddha was held at Seonhakwon (Seon Study Institute) on March, 1941. His participation in this Dharma ceremony was reason that connected with Seonhakwon where was realized the principle of purification influenced from Baek Yong-Sung, as the flag bearer of purification. In space under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Empire, Jung Gum-Oh who had been practicing at Seonhakwon in Seoul and Paldal temple in Suwon was selected as chairman of Preparing Committee for Purification of Buddhist Order at that tim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occurred. This is spoken to us that he was in the front lines of th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After that he served as vice patriarch, director of inspection and president of bhikkhu sangha as joining various purifying activities. His active participation in purification movement started with his view of practice. He deplored the destroy of natural practical characteristics for meditation monks influenced by the Japanese Empire his regarding to practice meditative and practice of Ganhwaseon most. Hereupon he considered Buddhist purification recovery of natural practical characteristics, recovery of mediative places and aim for righteous buddhism. However he had critical awareness about the Jogye Order after the year of 1962 of concluding purification movement. That is to say, because the result of the purification movement was not realized as ideology of purification. Thereupon he strived for its action as stating re-purification movement. But he could not advance to its active step even if he picked up the banner of re-purification.

      • Loop와 HPLC Purification 방법보다 더 높은 비방사능을 보여주는 카트리지 Methylation과 Purification을 이용한 손쉬운 [ <sup>11</sup>C]PIB 합성

        이용석,조용현,이홍재,이윤상,정재민,Lee, Yong-Seok,Cho, Yong-Hyun,Lee, Hong-Jae,Lee, Yun-Sang,Jeong, Jae Min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8 핵의학 기술 Vol.22 No.2

        $[^{11}C]PIB$는 베타아밀로이드($A{\beta}\;plague$)라는 변성 단백질에 결합하여 뇌의 기능과 기억력을 서서히 감퇴시키는 비가역적인 질환인 치매를 조기에 감별할 수 있는 대표적인 방사성의약품이다. 지금까지 많은 실험실에서 $[^{11}C]PIB$는 자동화합성장치에서 $[^{11}C]methyl\;iodide$나 $[^{11}C]methyl\;triflate$를 만든 다음 loop나 vial 방법을 사용하여 methylation을 한 다음 HPLC로 정제를 하는 것이다. 하지만 기존의 보고된 방법은 시간이 오래 걸리며, HPLC와 같은 복잡한 시스템을 필요로 하여 소규모 실험실에서 합성하기에 적합하지 않으며, 최종 product에서 에탄올 함량이 높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카트리지만을 사용하여 카트리지에서 methylation과 purification을 동시에 실시함으로써 합성 시간을 단축하고, 비방사능이 높고, 낮은 에탄올 함량을 가진 $[^{11}C]PIB$를 합성 가능한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가장 널리 사용하는 카트리지 6종(CM, HLB, Alumina, C18, tC18, tC18 environmental을 선택하여 screening test를 실시하였다. 6-OH-BTA-0 1 mg을 c-HXO에 녹인 다음 6개의 카트리지에 loading를 한 다음 0.5 M MSP(pH 5.1) 20 mL로 정제를 한 다음 최종 fraction을 받아서 analytical HPLC로 전구체 잔류량을 측정한 결과 hydrophobicity가 낮은 계열(CM, HLB, Alumina)의 카트리지에서는 완충액으로 정제를 하였을 때 잔류전구체의 양이 많았으나, 탄소함량이 많은 계열의 카트리지(C18, tC18, tC18 environmental)에서는 잔류전구체의 양이 CM, HLB, Alumina 카트리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었다. 완충액의 정제 농도와 부피를 최적화 하기 위하여 screening test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낸 C18 series cartridge를 가지고 추가 실험을 진행하였다. 인산완충액 농도를 10 mM, 20 mM, 30 mM, 40 mM, 50 mM, 250 mM, 500 mM로 변화시켰으며, 에탄올 함량은 20%와 30%로 하여 용출액을 분석하여서, $[^{11}C]PIB$를 카트리지로 합성하기 위한 최적의 조합은 tC18 environmental cartridge와 0.5 M MSP 20 mL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존에 보고된 방법과 cartridge를 비교한 결과, 합성시간에서는 각각 15 ~ 18min, 8 ~ 9 min이 소요되었으며, product activity는 각각 $4.1{\pm}1.4\;GBq$ (n=41), $3.8{\pm}0.9\;GBq$ (n=3), 방사화학적 수율(based on HPLC analysis of the crude product)에서는 $13.9{\pm}4.4%$ (n=41), $12.3{\pm}2.2%$ (n=3)로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며, 비방사능에 있어서는 HPLC purification method가 $78.7{\pm}39.7\;GBq/{\mu}mol$ (n=41), cartridge method가 $420.6{\pm}20.4\;GBq/{\mu}mol$ (n=3)로 카트리지 방법이 기존 방법보다 더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잔류 용매(c-HXO)도 vial or loop method와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며, 에탄올 함량에 있어서는 70%(기존 방법)에서 30%(카트리지 방법)로 두 배 이상 함량이 적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지금까지 알아본바와 같이 cartridge method는 reported method(HPLC purification)에 비하여 더 향상된 결과를 보여준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11}C]PIB$ synthesis has been performed by a loop-methylation and HPLC purification in our lab. However, this method is time-consuming and requires complicated systems. Thus, we developed an on-cartridge method which simplified the synthetic procedure and reduced time greatly by removing HPLC purification step. We compared 6 different cartridges and evaluated the $[^{11}C]PIB$ production yields and specific activities. $[^{11}C]MeOTf$ was synthesized by using TRACERlab FXC Pro and was transferred into the cartridge by blowing with helium gas for 3 min. To remove byproducts and impurities, cartridges were washed out by 20 mL of 30% EtOH in 0.5 M $NaH_2PO_4$ solution (pH 5.1) and 10 mL of distilled water. And then, $[^{11}C]PIB$ was eluted by 5 mL of 30% EtOH in 0.5 M $NaH_2PO_4$ into the collecting vial containing 10 mL saline. Among the 6 cartridges, only tC18 environmental cartridge could remove impurities and byproducts from $[^{11}C]PIB$ completely and showed higher specific activity than traditional HPLC purification method. This method took only 8 ~ 9 min from methylation to formulation. For the tC18 environmental cartridge and conventional HPLC loop methods, the radiochemical yields were $12.3{\pm}2.2%$ and $13.9{\pm}4.4%$, respectively, and the molar activities were $420.6{\pm}20.4GBq/{\mu}mol$ (n=3) and $78.7{\pm}39.7GBq/{\mu}mol$ (n=41), respectively. We successfully developed a facile on-cartridge methylation method for $[^{11}C]PIB$ synthesis which enabled the procedure more simple and rapid, and showed higher molar radio-activity than HPLC purification method.

      • 이청담의 불교정화 정신과 조선불교학인대회

        김광식 진주산업대학교 2004 청담기술연구소 Vol.2004 No.-

        한국 현대불교사의 중심 사건이며, 조계종단의 재정비를 기한 것은 불교정화운동이다. 본 고찰은 불교정화운동을 상징하는 승려인 이청담의 정화정신의 실체를 찾아보고, 그 정신이 언제 구체화되었는가를 설명하였다. 즉, 그의 불교정화의 근본은 무엇이고, 왜 그는 불교의 정화를 치열하게 강조하였는가를 살펴보았다. 이청담의 불교정화는 교단정화, 신도정화, 사회정화라는 구도를 갖는다. 이 구도하에서 그의 불교정화 정신은 우리 민족의 역사와 얼이 담긴 불교의 정화 및 재건이었다. 이를 위해서 최우선적인 것이 수행자 중심의 승단을 만드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그의 불교정화는 그가 승려 초기 시절인 1928년 3월, 각황사에서 개최된 전국학인대회에서 본격화되었다. 당시 그는 불교개혁을 위해 전국 강원의 학인들을 결집시켜 대회를 주도하였다. 즉 그는 불교정화를 위한 불교교육의 개혁을 강조 학인대회를 준비, 주관하였다. 요컨대 이청담이 입산출가한 1925년부터 입적한 1971년까지 불교정화라는 정신이 그의 일생을 관통하였던 것이다. It was th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that was a central event of the Buddhist history in Korea and gave improvement in Jogye order. This study sought for the substance of venerable Chung-dam's purification mind or the symbol of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and explained when the mind was materialized. Namely, it deserves special emphasis on what is the foundation of Buddhist purification and why he emphasized it particularly. His Buddhist purification consists of a religious order, a Buddhist and a society purification. This is to say, his Buddhist purification was the purification and reconstruction of Buddhism containing our people's history and spirit. In order to do this, it was required to make the religious order leaded by Buddhists first of all. However, during the years of a Buddhist priest, his thought was really unfolded in the national conference for Buddhist students(people who are in the progress of practice) held in 1928, March in the Gakhwang temple. At the moment, he gathered Buddhist students from national temples for Buddhist reformation and supervised the national conference. In other words, he prepared and supervised it in order to emphasize the reformation of Buddhist education for Buddhist purification. After all, the spirit of Buddhist purification played an important roll in venerable Chung-dam's life from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in 1925 to nirvana in 1971.

      • KCI등재

        만암 불교정화의 재인식

        김광식 한국정토학회 2023 정토학연구 Vol.40 No.-

        본 고찰은 한국 근현대 불교사에서 다양한 행적을 남긴 고승인 만암의 불교정화에 대한 재인식을 시도한 글이다. 만암은 백양사를 거점으로 활동한 고승인데, 그는 불교정화를 백양사를 비롯한 전라도 지방의 해방공간에서 독자적으로 실천하였다. 또한 정화운동이 전개된 공간에서도 불교정화에 대한 옹호적인 행보를 갔다. 그러나 그의 불교정화에 대한 의식, 노선, 성격 등에 대한 연구는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렀다. 이런 전제하에서 필자는 이 글에서 두가지 측면을 초점으로 인식했다. 첫째는 만암 불교정화에 대한 노선 및 지성을 역사적으로 복권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껏 그의 불교정화의 정신과 행보는 조계종단과 태고종단에서 적절한 평가를 받지 못했다. 이를 극복하고자 함이다. 둘째는 만암 불교정화는 일제하 공간, 해방공간, 정화운동 공간에서 지속적으로 추진되었다는 점이다. 즉 필자는 일제하 만암의 백양사 활동(수행, 선농불교, 화합 공동체)도 불교정화의 관점에서 살피고자 한다. 이런 초점을 갖고 연구, 서술된 이 글이 이 분야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다. 특히 만암, 백양사, 불교정화운동사, 전라도 지방사, 고승 등의 연구에 참고되길 바란다. his consideration is an attempt to re-recognize the Buddhist purification of Manam(만암), a high priest who left various traces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Buddhist history of Korea. Manam was a high priest who was active at Baekyangsa Temple(백양사), and he independently practiced Buddhist purification in the liberation space of Jeolla-do, including Baekyangsa Temple. He also took an advocacy for Buddhist purification in the space where the purification movement was developed. However, studies on his consciousness, line, and character of Buddhist purification remained at a rudimentary stage. Under this premise, I have recognized two aspects as the focus in this article. First, it is necessary to historically reinstate the line and intelligence for Manam Buddhist purification. So far, his spirit and steps of Buddhist purification have not been properly evaluated in the Jogye Order and the Taego Order. to overcome this. The second is that Manam Buddhist purification was continuously promoted in the space under Japanese rule, the space of liberation, and the space of the purification movement. In other words, I would like to examine Baekyangsa's activities (ascetic practice, Seonnong Buddhism, and harmonious community) in Manam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from the perspective of Buddhist purification. This article, researched and described with this focus, will be helpful for research in this field. In particular, research on Manam, Baekyangsa,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history, Jeolla-do local history, and high monks will be applicable.

      • KCI등재

        변월주의 불교정화와 태고종

        김광식 대각사상연구원 2018 大覺思想 Vol.30 No.-

        This report is about Byeon-Wolju(변월주) of the Buddhist purification of the Mayor, the Buddhist monk of Baek-yeongseon(백용성), the modern high priest. So far, the study on the variation of the moon has begun recently, and there are many fields to study about it. In this study, I summarized the contents and character of his Buddhist purification house. His argument, however, is related to the character and career of his native species. Therefore, his Buddhist purification pavilion and the position of Buddhist purification of the Taego order are many to be considered in various aspects. In this study, the following aspects were noted. First, he was a disciple of Baek-YongSung, and how he perceived YongSeong's purification idea. Second, what was the activity of the Maynyeol when the purification movement occurred. Third, it is how he perceived th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that began when he was in Haeinsa Temple. Fourth, the Mayor insisted on the purification of Buddhism in the exotic Taego order to which he belonged. However, there is a question of whether his argument was accepted in the antichrist. Fifth, it can be considered a comparison with the Buddhist purgatory of Hwang-Sungki (Professor of Dongguk University), who had a similar idea to that of Changwonju. I hope that this review will become a stimulant for a new understanding of the life and thought of the Alluvial period. It is hoped that research on Buddhist purification of Buddhism and Buddhist reform of Taego order will be sparked. So I hope to start a new study on Buddhist purification. 본 고찰은 근대 고승인 백용성의 법제자인 변월주의 불교정화에 대한 글이다. 지금껏 변월주에 대한 연구는 최근에 시작되었지만, 그에 대해서는 연구할 분야가 많다. 그래서 본 고찰에서는 그의 불교정화관의 내용과 성격을 정리하였다. 그런데 그의 주장은 그가 소속된 태고종의 성격, 진로와 연관이 된다. 때문에 그의 불교정화관과 태고종의 불교정화에 대한 입장은 여러 측면에서 고찰할 대상이 많다. 이와 같은 전제에서 본 고찰에서는 다음의 측면을 유의하였다. 첫째, 변월주는 백용성 제자이었는데, 그는 백용성의 정화사상을 어떻게 인식하였는가이다. 둘째, 변월주는 정화운동이 일어났을 때에 어떤 활동을 하였는가이다. 셋째, 변월주는 그가 해인사에 있을 때에 시작된 불교정화운동을 어떻게 인식하였는가이다. 넷째, 변월주는 그가 속한 태고종단에서 불교정화를 주장하였다. 그런데 그의 주장은 태고종단에서 수용되었는가에 대한 문제가 있다. 다섯째, 변월주와 유사한 생각을 갖고 있었던 황성기(동국대 교수)의 불교정화관과의 비교를 고려할 수 있다. 이 고찰이 변월주의 생애와 사상을 새롭게 이해하는 자극제가 되길 기대한다. 그리고 태고종단의 불교정화, 불교혁신 등에 대한 연구가 촉발되길 바란다. 그래서 불교정화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시작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신어, 순화어 그리고 조화로운 순화 정책 방향 연구

        김순옥,신중진 한국어의미학회 2022 한국어 의미학 Vol.77 No.-

        This paper reviews the concept of purifying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irection of research it is headed in as discussed by researchers of language purification. It further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refined words in terms of their maintenance and policy. Current line of research in language purification is limited in that it is restricted to generating refined terms. In order to overcome such limitation, the need to address the fundamental questions of ‘why’ and ‘how’ language purification should take place is highlighted. Successful language purification may be achieved provided the goals of purification as well as those put forth by the policies are clear and explicit. Six steps of language purification and how they should be implemented as a policy is suggested. Finally, the paper argues that language purification as a policy must be met with close inspection and evaluation, whose findings should be reincorporated into the process of creating refined words, allowing for a purification policy that is harmonious.

      • 청담의 불교(교단)정체성과 정화운동의 전개과정

        유승무 진주산업대학교 2004 청담기술연구소 Vol.2004 No.-

        이 글의 목적은 정체성과 정화운동의 전개과정 사이의 상관관계를 재해석해 보는데 있다. 이에 우리는 제 2 장에서 정체성과 사회운동사이의 관련성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시도해 보았다. 특히 우리는 여성운동, 인종차별철폐운동, 소수자운동 등 신사회운동을 운동 주체의 정체성 인식과 연관하여 해석하고 있는 이탈리아 사회학자 멜루치(Alberto Melucci)의 이론을 본 연구의 이론적 기반으로 삼았다. 제 3 장에서 맥락 간 상호작용이라는 이해방식에 따라 청담의 생애사적 배경 속에서 청담의 불교(교단) 정체성의 형성과정을 추적해 보았다. 그 결과 우리는 정화운동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 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요인은 불교 본래성과는 거리가 먼 당시의 불교 내적 상황, 즉 불교의 타락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한국불교(교단)은 철저한 지계를 통한 청정성 속에서 선수행을 추구하였는데 일제식민통치의 영향으로 대처화됨으로써 결정적으로 타락하게 되었고 그 본래의 모습을 상실했으며 따라서 정화를 통해 그 본래의 모습을 회복해야 한다는 것이 당시 청담의 불교(교단) 정체성이었다. 그렇다면 이러한 청담의 정체성이 집합적 정체성 및 정화운동의 전개과정에서는 어떻게 작용하였는가? 제 4 장에서 우리는 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제 4 장에서 우리는 정화운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이전에 이미 청담은 대자적 정체성을 형성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봉암사 결사를 통해 집합적 정체성의 형성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정화운동의 촉발요인인 이승만의 정화유시에도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때문에 우리는 정화운동의 본격적인 전개과정이 이러한 정체성을 강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통합종단 이후 분종은 그러한 정체성의 당연한 귀결이라는 것이 우리의 최종적인 판단이다. 이는 결국 이 글의 전제, 이론적 논의, 그리고 가설이 지지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렇게 볼 때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일반이론적 함의를 지닌다. 즉 정화운동의 발생 및 전개과정뿐만 아니라 특히 통합종단 이후 다시 분종으로 귀결된 것은 대처 측과 비구 측 사이의 ‘집단적 정체성’의 차이가 본질적이고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인데, 이는 정체성 요인이 정화운동의 본질적인 요인임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비계급적 사회운동의 결정적인 요인일 수 있음을 함의하고 있다. 나아가 이러한 발견은 집합적 정체성 개념이 최근의 신사회운동 분석의 범위를 넘어 훨씬 더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이 개념은 세계 2 차대전 이후 각종 민족해방운동을 분석함에 있어서도 상당히 유용하리라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terpret the mutual relation between the identity and the progress of purification movement. In chapter 2, it was attempted a theoretical discussion about the relevancy of the identity and social movement. Especially, it was based on an Italian socialist, Melucci(Alberto Melucci)'s theory which new society movements such as feminism, abolition of racial discrimination, minority movement etc. was understood with the identity recognition as the subjectivity. In chapter 3, according to the understanding method of interaction between words, the progress of venerable Chung-dam's Buddhist order identity was examined in his life background. Of the result, the closer cause to feel the necessity of purification movement was the then internal problem of Buddhism, in short, corruption of Buddhism far from the Buddhist originality. Korean Buddhist order pursued firmly zen asceticism in the purity through observing the Buddhist commandments. It was corrupted definitely by becoming married Buddhist priests under the affection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lost their own figures. So venerable Chung-dam thought Buddhist order identity must make the original figures recovered by the purification. So then how did his identity work in the progress of collective identity and purification movement? In chapter 4, venerable Chung-dam had already established self identity and affected the formation of collective identity by a religious fraternity in the Bong-am temple before the purification movement began in earnest. Especially, it has effect on Jeonghwayisi(Seong-man Lee's presidential instruction for purification) giving rise to purification movement. So the real progress of purification movement worked as the strengthening cause. It is natural of orders to be divided into after the unification of orders. It means it supports the premise, theoretical discussion and assumption of this study.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general implements as follows. Buddhist orders were divided again after occurrence and progress of purification movement as well as the unification of orders because essential and definite cause was 'group identity' between married Buddhist priests and Bigu or Buddhist priests. The cause of identity could imply the definite cause of non-classical society movement as well as the essential cause purification movement. In advance, these discoveries show collective identity notion would be applied more extensively beyond the analysis of recent new society movement. Especially, the thought would be very useful in order to analyze various movements for the emancipation of people since World War Ⅱ.

      • 고전요가와 하타요가 정화법의 현대적 적용

        김미경(Kim, Mee Kyung) 한국요가학회 2016 요가학연구 Vol.- No.16

        요가철학에서 정화의 개념은 수련 과정이나 수련으로 얻은 결과에 용해되어 있다. 그것은 특정한 수련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요가 이론에 편재하는 개념이며 폭넓게 적용되는 수련의 토대다. 현대사회에서 우리는 도덕관념이 희박해지는 현상을 흔히 목격한다. 학교나 직장에서의 따돌림은 인간관계에서 자기제어와 공감의 상실 등으로 도덕적 인지력의 문제점을 드러낸다. 본 논문은 흔히 현실성이 없는 것으로 인식되어 수련자의 관심에서 벗어날 수 있는 요가의 덕목을 정화의 관점에서 조명함으로써 다양한 기법으로 발전하고 있는 현대 요가수련에 적용할 수 있는 요가 정화법 의 본래 목적을 환기하는데 중점을 둔다. 고전요가의 정화법은 도덕적 훈련을 강조하는 10가지 수련덕목에서 시작된다. 이들 수련덕목이 잘 훈련되면 정화된 신체와 마음작용의 제어에서 비롯된 집중의 힘이 생긴다. 그 힘은 좌법과 호흡수련 등으로 이어지고 삼매를 위한 밑거름으로 작용한다. 하타요가 정화법은 신체적, 생리적 정화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Hathapradipika(이하 HP) 4.25에서 해탈의 경지는 쿰바카를 통해 프라나와 마음이 소멸할 때 성취된다고 말한다. 요가의 도덕적 덕목들은 수련자가 해야 할 기초훈련이지만 요가자세나 호흡훈련에 비하여 그 중요성이 간과되는 경향이 있다. 본 논문은 고전요가의 8가지 요가수행법을 정화의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써 요가수련이 부여하는 다각적인 정화의 개념을 부각시킨다. 한편 신체적, 생리적 정화의 중요성과 방법론을 밝힌 HP 정화법에서는 이들 정화법이 현대인의 일상적 질병을 예방하는데 기여하고 완전한 건강을 위한 디딤돌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In Yoga philosophy, the concept of purification has been dissolved in the process of the practices or the result of that practice. It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actices but widespread concept in all yoga theories and widely applied foundation of practice. We often observe the phenomenon that the moral sense has be-come diluted in the modern society. Ostracizing at schools and workplaces shows the problems in the moral cognition because of loss of self-control and sympathy in human relations. This study is focused on reminding us of the original purpose of yoga purification that can be applied to the modern yoga practice, which has been developing with various techniques by illuminating the virtue of yoga, which may be out of yoga practitioner’s interest as it is commonly considered not to be realistic. The purification of the classical yoga begins with 10 virtues of practice, which emphasize the moral training. If the virtues are well trained, the power of concentration is generated from the purified body and the control of mental factors. The power leads to asana and pranayama practices and works as a foundation for samadhi. The purification of hatha yoga is focused on physical and physiological purification. In Hathapradipika(Ⅳ.25), it is told that the state of nirvana is reached when prana and mind dissipates through kumbhaka. While the ethical virtues of Yoga are the basic training for the practitioners, it tends to overlook the importance compared with the yoga poses or breathing training. This paper emphasizes the multi-faceted concepts of purification given by yoga training through considering 8 yoga practice methods of the ancient yoga from the perspectives of purification. Meanwhile, the HP purification that identified the importance and method of physical and physiological purification suggests the possibilities that these purification methods will contribute to preventing general diseases of the modern people and can serve as a stepping stone for complete health.

      • Necessity of purification during bacterial DNA extraction with environmental soils

        Hyun Jeong Lim,Jung-Hyun Choi,Ahjeong Son 환경독성보건학회 2017 환경독성보건학회지 Vol.32 No.-

        Complexity and heterogeneity of soil samples have often implied the inclusion of purification steps in conventional DNA extraction for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ssays. Unfortunately the purification steps are also time and labor intensive. Therefore the necessity of DNA purification was re-visited and investigated for a variety of environmental soil samples that contained various amounts of PCR inhibitors. Bead beating and centrifugation was used as the baseline (without purification) method for DNA extraction. Its performance was compared with that of conventional DNA extraction kit (with purification). The necessity criteria for DNA purification were established with environmental soil samples. Using lysis conditions at 3000 rpm for 3 minutes with 0.1 mm glass beads, centrifugation time of 10 minutes and 1:10 dilution ratio, the baseline method outperformed conventional DNA extraction on cell seeded sand samples. Further investigation with PCR inhibitors (i.e., humic acids, clay, and magnesium [Mg]) showed that sand samples containing less than 10 μg/g humic acids and 70% clay may not require purifications. Interestingly, the inhibition pattern of Mg ion was different from other inhibitors due to the complexation interaction of Mg ion with DNA fragments. It was concluded that DNA extraction method without purification is suitable for soil samples that have less than 10 μg/g of humic acids, less than 70% clay content and less than 0.01% Mg ion cont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