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소득수준 격차 및 소득원 차이와 결정요인

        석재은(Seok, Jae Eun),임정기(Lim, Jeong Gi) 한국노년학회 2007 한국노년학 Vol.27 No.1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여성노인 소득실태의 절대적, 상대적 열악성과 소득원 구성의 특이성을 실증적으로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4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원자료'를 이용하여, 노인의 성별 빈곤율 격차를 분석하고, 노인 개인 소득수준의 성별 격차를 분석하였으며, 노인의 성별로 소득원 구성에서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노인의 성별이 노인의 소득수준 및 소득원별 소득수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고,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소득수준 및 소득원별 소득수준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어떤 차이를 가지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여성노인의 빈곤율은 41.2%로 남성노인 빈곤율(31.2%)보다 10% 포인트 높았다. 또한 노인 개인의 소득수준 역시 여성노인의 평균소득은 30만원이 채 안 되는 수준으로, 남성노인 평균소득의 37.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원 구성에서도 성별로 특이한 차이를 보였는데, 여성노인은 절대적 비중에 있어서나 남성노인에 대비한 상대적 비중에서 모두 공공부조이전소득 및 사적이전소득의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성노인이 공적연금이전소득의 상대적 의존도가 높은 것과 비교되는 것으로, 사회보험은 남성친화적이고 공공부조는 여성친화적이라는 내용의 사회보장의 성별 분리를 주장한 선행 연구결과를 실증적으로 뒷받침하는 것이기도 하다. 또한 소득수준 영향요인 분석 결과, 노인의 인적, 가구적 여타 특성을 통제한 경우에도 여성노인이라는 특성이 총소득수준 및 소득원별 소득수준에 부의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부조 소득만이 여성노인의 경우 정의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취약한 소득실태에 놓인 여성노인은 빈곤층에 대한 사후대책적이며 최종안전망인 공공부조 중심으로 보호되는 반면, 사전예방적이고 일차안전망인 공적연금에서는 거의 배제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seeks to examine empirically 'how terrible older women's income conditions are' in the perspective of gender sensitive. The method of this study is making a comparison between income conditions of older women's and men's through secondary analysis using the raw date from 2004 Living Profile and Welfare Service Needs of Older Persons: examine on poverty gap, income gap, and differences of income sources between older women and men; analysis of effect factors on total income level and on income level by sources through using multi-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overty rate of older women is 41.2%, that is higher 10% point than older men's. The average income level of older women is less than 300 thousand won, that is merely 37.5% of older men's. We could also find very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of income sources between older women and men. Older Women depend highly on public assistance transfer income and private transfer income in both absolute and relative proportion. It is compared to older men's that is high relatively proportion of public pension transfer income. These results also support empirically the insistence of precedence studies that exists gender division of social security as to 'social insurance is men-friendly and public assistance is women-friendly'. Though under controlling personal and family characteristics, it appears that older women is the significant negative effect factor on total income level and on income level by most sources, except public assistance transfer income. Our study show that older women in poor income are protected from public assistance which is after-countermeasure and last safety net, while the majority of older women are excluded from public pension which is before-preventive and the first safety net.

      • KCI등재

        사적소득이전과 노후소득보장

        김희삼 한국개발연구원 2008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KDI JEP) Vol.30 No.1

        Using data from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KLIPS), this study investigates private income transfers in Korea, where adult children have undertaken the most responsibility of supporting their elderly parents without well-established social safety net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KLIPS data, three out of five households provided some type of support for their aged parents and two out of five households of the elderly received financial support from their adult children on a regular base. However, the private income transfers in Korea are not enough to alleviate the impact of the fall in the earned income of those who retired and are approaching an age of needing financial assistance from external source. The monthly income of those at least the age of 75, even with the earning of their spouses, is below the staggering amount of 450,000 won, which indicates that the elderly in Korea are at high risk of poverty. In order to analyze microeconomic factors affecting the private income transfers to the elderly parents, the following three samples extracted from the KLIPS data are used: a sample of respondents of age 50 or older with detailed information on their financial status; a five-year household panel sample in which their unobserved family-specific and time-invariant characteristics can be controlled by the fixed-effects model; and a sample of the younger split-off household in which characteristics of both the elderly household and their adult children household can be controlled simultaneously. The results of estimating private income transfer models using these sampl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ominant motive lies on the children-to-parent altruistic relationship. Additionally, another is based on exchange motive, which is paid to the elderly parents who take care of their grandchildren. Second, the amount of private income transfers has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income of the elderly parents, while being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income of the adult children. However, its income elasticity is not that high. Third, the amount of private income transfers shows a pattern of reaching the highest level when the elderly parents are in the age of 75 years old, following a decreasing pattern thereafter. Fourth, public assistance, such as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benefit, appears to crowd out private transfers. Private transfers have fared better than public transfers in alleviating elderly poverty, but the role of public transfers has been increasing rapidly since the welfare expansion after the financial crisis in the late 1990s, so that one of four elderly people depends on public transfers as their main income source in 2003. As of the same year, however, there existed and occupied 12% of the elderly households those who seemed eligible for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benefit but did not receive any public assistance. To remove elderly poverty, government may need to improve welfare delivery system as well as to increase welfare budget for the poor. In the face of persistent elderly poverty and increasing demand for public support for the elderly, which will lead to increasing government debt, welfare policy needs targeting toward the neediest rather than expanding universal benefits that have less effect of income redistribution and heavier cost. Identifying every disadvantaged elderly in dire need for economic support and providing them with the basic livelihood security would be the most important and imminent responsibility that we all should assume to prepare for the growing aged population, and this also should accompany measures to utilize the elderly workforce with enough capability and strong will to work.

      • KCI등재

        부산시 노인가구의 공적 이전과 사적 이전의 관계: 소득 이전과 서비스 이전을 중심으로

        진재문 ( Jin Jae-moon ),김수영 ( Kim Soo-young ),문경주 ( Moon Kyung-joo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6 사회복지정책 Vol.43 No.4

        본 연구는 부산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가구를 대상으로 공적 이전과 사적 이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기존 연구와는 다르게 사적 서비스 이전을 종속변수로 포함하였다. 분석은 부산복지개발원에서 2015년에 구축한 `부산광역시 노인실태 및 정책 체감도 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Tobit 분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첫째, 부산시 노인에 대한 공적 이전액은 사적 이전유무 및 사적 이전액에 대하여 대체관계를 보이고 있다. 둘째, 노인에 대한 공적 이전액은 자녀들의 노인에 대한 사적 병간호서비스 및 가사지원서비스의 이전유무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다. 셋째, 공적으로 제공된 요양 및 돌봄 서비스와 가사지원서비스의 이용경험은 공적소득이전의 가능성과 이전량, 그리고 사적인 병간호 및 가사지원 서비스의 이전 가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문화적 요인으로서의 부모에 대한 관심은 사적 소득이전 보다는 사적 서비스 이전에 정의 관계를 보여줄 가능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public transfer and private transfer for the elderly in Busan, Korea. The analysis was based on the survey data that BSWDI had built in 2015. The data is `The survey for the actual condition of the elderly and the sensory level of policy`. The study was performed with basic data analysis, Tobit regression, and logistic regression.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ublic income transfer for the elderly crowded out the amount of private income transfers, and reduced the probability of private income transfers from their children. This supports the displacement relation between public transfer and private transfer. Second, the public income transfer for the elderly could not influence on the probability of private service(nursing and housework) transfers from children. Third, the public service transfer for the elderly could not have an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mount and the probability of private service(nursing and housework) transfers. Fourth, the phone call frequency with parents, the income level of parents, the health of parents, and the location of children`s residence had an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robability of private nursing service transfers.

      • KCI등재

        노인가구의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의 빈곤감소효과 및 두 이전소득 간의 관계 연구

        신혜리 ( Hye Ri Shin ),남승희 ( Seung Hee Nam ),이다미 ( Dah Mi Lee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4 社會科學硏究 Vol.40 No.1

        본 연구는 노인가구의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의 빈곤감소효과를 살펴보고, 두 이전소득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노인가구의 이전소득 향상을 위한 정책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1년 국민노후보장패널 4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노인 가구 2,120가구를 분석한 결과,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 모두 빈곤감소효과를 갖고 있음이 밝혀졌으며 공적이전소득이 사적이전소득에게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두 이전소득은 대체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함의를 가진다. 첫째,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은 대체관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갈수록 감소하고 있는 사적이전소득을 감안하여 공적이전소득의 확대가 필요할 것이며 둘째, 저학력, 비경제활동, 저소득층일수록 사적이전소득의 금액이 높다는 분석결과는 취약계층일수록 사적이전소득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사회보장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nti-poverty effectiveness of public and private transfers of elderly households and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transfers and private transfers in order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post-transfer income of elderly households. Using fourth panel data of the year 2011 from KReIS(Korean Retirement & Income Study), 2,120 elderly households were analyzed to find that both public transfers and private transfers had effects on reducing poverty. Public transfers had the crowding-out effect on private transfers, thus suggesting that public transfers supplant private ones. The findings of the study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because the data analysis shows that public-income transfers supplant private transfers, it is predicted that the expansion of public transfers is necessary as private transfers are decreasing. Second, the results show higher private transfer amounts for the less educated, economically inactive, and lower-income population, which implies higher dependency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on private transfers. Therefore, social security for this group of people needs to be strengthened.

      • KCI등재

        소득계층별 공적이전소득의 불평등 변화분석

        이용재,김용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8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6 No.12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using the concentration index calculation method from 1996 to 2016 by using the household trend survey data to confirm the difference of income transfer income and inequality in public transfer incom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ublic transfer income concentration index in 1996 was concentrated on the high income group with +0.2774, but since 2009, the concentration index has been negative (-), which has concentrated on the low income group. However, the effect of redistribution of income was small. Second, the average public transfer income of low - income households increased significantly while the number of high income earners decreased. It is gradually improving that public transfer income did not play a role in the improvement of income inequality. Third, public transfer income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in all income classes, and the rate of increase is low in the low income class and slow in the high income class, so the public transfer income of the low income class is higher than that of the high income class. In sum, the inequality of public transfer income by income class in Korea is gradually improving, but it is not considered to be a level that can improve the inequality between income groups. 본 연구는 공적이전소득의 소득계층별 차이와 불평등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된 연구로 1996년부터 2016년까지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소득계층별 공적이전소득 평균금액의 변화를 관찰하고 집중지수를 산출하였다.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적이전소득의 소득계층별 집중지수 산출결과, 1996년 공적이전소득 집중지수는 +0.2774로 고소득층에 집중되어 있었지만, 2009년 이후 집중지수가 음(-)의 값이 되면서 저소득층에 집중되는 현상이 2016년까지 지속되었다. 그러나 집중지수 절대 값이 적어서 소득재분배 효과가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전체 평균 공적이전소득 대비 해당 소득분위의 평균 공적이전소득의 비율변화를 확인한 결과, 저소득층의 평균 공적이전소득 증가가 매우 큰 반면에 고소득층은 적어서 전체 평균으로 수렴되어가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었다. 저소득층에 제공되는 공적이전소득액이 적어서 소득불평등의 개선에 공적이전제도가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던 것이 점차 개선되고 있는 것이다. 셋째, 공적이전소득의 소득계층별 평균액 변화를 확인한 결과 모든 소득계층에서 공적이전소득은 지속적으로 증가해왔으며, 그 증가속도가 저소득층이 빠르고 고소득층이 느려서 최근에는 저소득층의 공적이전소득이 고소득층에 비해서 많았다. 따라서 우리나라 소득계층별 공적이전소득의 불평등은 점차 개선되고 있지만, 소득계층간 불평등을 개선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닌 것으로 평가된다.

      • KCI등재

        이전소득의 독거노인가구 빈곤경감 효과 비교

        김수영(Kim, Sooyoung),이강훈(Lee, Kanghoon) 한국노년학회 2009 한국노년학 Vol.29 No.4

        2008년 기초노령연금제도가 시행되면서 공적 노후소득보장의 근거가 마련되었다. 하지만 아직 기초노령연금은 보조수당의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소득보장제도로서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기에는 미흡한 수준이며, 경제적 자립이 어려운 노인들은 총소득 중 여전히 사적이전소득 의존율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경제활동이 원활하지 못하거나 공적소득보장제도의 적용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노인가구의 빈곤율은 노인이 아닌 가구에 비해 더 높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적이전소득이 노후 생활보장의 핵심적인 수단이 되어야 한다는 전제에서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이 노인가구의 빈곤을 어느 정도 경감시키는가를 비교해 보았다. 특히 노인인구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더 취약한 독거노인가구를 대상으로 하여 공적 및 사적 이전소득의 빈곤경감 효과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공적 소득보장제도의 중요성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65세 이상 혼자 사는 독거노인가구이며, 분석자료는 통계청의 가계조사 중 2006년-2008년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독거노인가구의 빈곤정도와 이전소득의 빈곤경감 정도를 상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우리나라 전체인구 및 전체 노인가구의 빈곤율과 비교하였고, 독거노인가구에 속한 하위집단의 빈곤정도와 이전소득의 빈곤경감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성별, 연령, 경제활동 여부 등 인구사회학적인 특성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가구 전체의 빈곤율은 기초노령연금 및 장기요양보험제도가 시행된 2008년 이후에도 전년대비 감소하지 않았다. 둘째, 독거노인가구를 포함한 노인가구에서 두 가구 중 한 가구는 절대빈곤상태에 놓여 있으며, 특히 독거노인가구 중 여성, 비근로, 저학력, 고령, 농어촌 노인가구의 빈곤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셋째, 독거노인가구의 빈곤감소에서 공적이전에 의한 빈곤감소효과가 조금씩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여전히 사적이전에 의한 빈곤감소가 공적이전에 의한 빈곤감소보다 더 크게 기여하였다. 넷째, 공적이전효과 중에서는 생계비 지원 등의 사회보장 수혜효과가 공적연금효과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As the basic old-age pension system was enforced in 2008, the base for old-age income security was founded. However, due to the basic old-age pension played a minor role as assistant allowance, it did not reach to sufficient level to cover full income security system. It is estimated that the dependency on private transfer income among the elderly who are difficult to be economically independent is still high. Therefore the poverty rate of the elderly households, who are not economically active or who are not protected by old-age income security system, is more likely to be higher than that of non-elderly household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public transfer income system should become a central means of old-age life guarantee, this study examined the poverty mitigation effects among the elderly households by comparing the private transfer income and the public transfer income.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single-elderly-households who have been considered the most vulnerable to poverty. We used 2006- 2008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dataset that contained single-elderly who were older than 65 years old. To understand the conditions of poverty among single-elderly-households and the degree of poverty-reducing effect originated from income transfer system, we compared the poverty rates of total households and the whole elderly households. Next, we analysed the poverty of the single-elderly-households by social demographic factors such as gender, age, and economic activity. Our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overty rate of the whole elderly households were not reduced, even though the basic old-age pension and long-term care management system were enforced in 2008. Second, half of the elderly households including single-elderly-households belonged to the absolute poverty line. Relatively higher level of poverty among the single-elderly-households was found especially those who were female, unemployed, low-educated, older, and rural single-elderly-households. Third, the effect of the public transfer income on mitigating the single-elderly-households poverty showed a little progress. However, even greater poverty reducing effect was found by the private transfer income system. Fourth, in a group of the public transfer systems, the public assistance such as supporting living costs contributed more to reduce poverty of the elderly population than the public pension system did.

      • KCI등재

        노인의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사회적 지지의 다중매개효과

        이형하(Hyoung-Ha Le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6 No.6

        본 연구에서는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이 노인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우울과 사회적 지지가 다중매개효과를 가지는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KReLS: Korean Retirement & Income Study) 데이터 중 7차 패널자료(2017년도)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노인의 공적이전소득이 많을수록 우울 수준은 낮아졌으며, 사회적 지지는 높아졌고, 삶의 만족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노인의 공적이전소득, 사적이전소득이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우울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셋째, 노인의 공적이전소득, 사적이전소득이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사회적 지지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넷째, 노인의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과 사회적 지지의 다중매개효과가 유의함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근거해, 노인의 사회적 지지망 강화를 위한 Community Care 사업의 활성화 등의 정책적 제안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have a multiple mediating effect in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public and private transfer income. To this end, the 7th panel data (2017) among the data of the Korean Retirement & Income Study (KReLS) was used for analysis,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analyzed that the higher the public transfer income of the elderly, the lower the level of depression,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and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life. Seco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was verified in the influence of the elderly’s public transfer income and private transfer income on life satisfaction. Thir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verified in the influence of the elderly’s public transfer income and private transfer income on life satisfaction. Fourth, it was verified that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in the effect of the elderly’s public and private transfer income on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policy proposals were made, such as revitalizing the Community Care program to strengthen the social support network of the elderly.

      • KCI등재

        공적이전소득이 근로소득과 사적이전소득에 미치는 영향: 국민기초생활보장 장기수급자의 구조적 문제 분석

        이석민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5 行政論叢 Vol.53 No.3

        이 글은 기초생활보장수급을 탈피하지 못하고 있는 절대빈곤층의 공적이전소득이 근로소득 및 사적이전소득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연립방정식모형으로 살펴보았다. 그 연구결과를 보면 공적이전소득의 증가가 근로소득 및 사적이전소득을 구축하는 유의미한 통계적 영향관계가 발견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결과의 원인들로는 수급을 탈피하지 못하는 계층의 고연령 및 근로 무능력이라는 문제점과, 사적이전소득의 작은 비중과 낮은 변화가능성 등으로 파악된다. 본 연구자료에 의한 결과를 근거로 보았을 때, 이와 같은 결론은 모두 전통적인 노동경제학의 이론으로 설명하기 힘든 부분들로서 절대빈곤층의 수급탈피를 위해서는 근로소득과 사적이전소득 유인보다는 공적이전소득의 증가가 보다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public transfer income to long-term recipient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on work and private transfer income using simultaneous equation models. This study did not find, however, that public transfers statistically impact income from labor and private transfers, which was generally accepted in previous studies. One reason is that a lot of long-term recipients are elderly people lacking labor ability. Another is that private transfer supports recipients receive from family members are very low, which is not likely to change. These results are difficult to explain with classical economics. Thu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more increases in public transfers are needed than more labor income or private transfers in order to help long-term recipients exit poverty.

      • KCI등재

        기획논문 : 의료비 지출을 고려한 계층별 노인 가구의 공적이전소득 수준 예측에 관한 연구

        정미화 ( Mi Hwa Chung ) 한국여성경제학회 2013 여성경제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가구의 소득수준에 따라 5분위로 구분하여 주요 소득원과 가장 부담이 되는 비용을 분석하고 있다. 본 분석을 위해 독립변수로는 노인가구의 근로소득 및 사업소득, 재산소득, 사적이전소득, 공적이전소득, 기타소득이며, 종속변수는 노인가구가 가 장 부담을 느끼는 지출항목이다. 가구의 소득은 보통 월 일회 발생하여 응답자가 소득구성 항목과 금액을 대부분 정확하게 기억할 수 있는 명목척도인 반면에, 가구의 지출은 지출금액의 변동성이 크고, 지출의 종류 및 빈도도 매우 많아 가장 부담이 되는 항목을 응답하도록 한 서열척도이다. 따라서 판별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각 집단의 분산-공분산 차이 검정을 실시한 결과, 변수들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존재하였다. 판별분석에서는 정준판별식을 측정하였으며, 또한 Cross-validation 추정법에 의해 오분류비율을 추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적중률을 계산한 결과, 전체 표본을 대상으로 하는 적중률은 50.36%였다. 각 소득분위별 오분류비율을 측정한 결과, 적중률은 소득 제1분위는 53.92%, 제2 분위는 45.98%, 제3분위는 48.29%, 제4분위는 41.41%, 제5분위는 46.79%로 나타났다. 소득 3분위에서 의료비의 부담이 가장 큰 가구의 공적이전소득과 비교할 때, 소득 1분위와 2분위는 공적이전소득이 각각 월평균 10.58만원씩과 2.3만원씩이 부족하다. 따라서 정부는 적어도 이 규모 이상의 공적이전소득을 소득 1분위와 2분위에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main source of income and the highest cost burden according to the five-quintile income level of elderly households in Korea. The discriminant analysis is used for the purpose.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earned income, business income, property income, private and public transfer income, and other income.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highest cost burden of elderly households. We performed the variance-covariance difference test prior to the discriminant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re ar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variables. In the discriminant analysis, we found the parameter estimates of the canonical discriminant model and estimated the misclassification rate by Cross-Validation methods. The results show that the hit rate in total sample is 50.36%. According to the misclassification rate of each income level, hit rates are 53.92% in the 1st quintile, 45.98% in the 2nd quintile, 48.29% in the 3rd quintile, 41.41% in the 4th quintile and 46.79% in the last quintile. In comparison with the public transfer income of the highest medical expense burden in the 3rd quintile income level, the 1st and 2nd quintile households have insufficient public transfer income of 105.8 thousand and 23 thousand won by monthly each. For this reason, the government, at least, there is a need to provide households of the 1st and 2nd quintile income level in the public transfer income over the scale these.

      • KCI등재

        노인가구의 빈곤 실태와 소득이전 효과에 관한 연구: 빈곤율, 빈곤갭, 소득이전을 중심으로

        진재문 ( Jae Moon Jjn ),김수영 ( Soo Young Kim ),문경주 ( Kyung Joo Moon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4 사회복지정책 Vol.41 No.3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자료 13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절대빈곤, 상대빈곤의 빈곤율과 빈곤갭의 규모를 밝히고, 공적소득이전과 사적소득이전이 노인가구의 절대빈곤율, 상대빈곤율을 어느 정도 감소시키는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고, 특히 그동안 간과되어 왔던 빈곤갭에 대한 소득이전의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노인가구의 절대빈곤율은 비노인가구의 5배가 넘었고 상대빈곤율 역시 약 4배 가까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중산층 비율은 비노인가구의 약 60% 정도에 불과하여 전반적으로 비노인가구에 비하여 노인가구의 빈곤이 매우 심각함을 보여주고 있다. 소득이전의 효과를 보면 공적이전의 빈곤율 및 빈곤갭의 감소 효과는 미미한 반면, 사적소득이전은 빈곤율을 약 13.5%p 감소시키고, 빈곤갭은 약 2/3 가까이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가구의 빈곤에 대한 경감은 사회보장에 의한 공적소득이전 보다는 사적소득이전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들의 노후 경제적 안정을 위해 공적연금 같은 사회보장을 강화하는 것과 함께, 사적소득이전체계를 견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공동체의 형성이 중요함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absolute poverty rate, the relative poverty rate, and the poverty gap of elderly-headed households in Korea. And this study analysed the reduction-effects of the public income transfer and the private income transfer on the poverty rate and the poverty gap. Analysing was based on the 13th wave of the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KLIPS)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bsolute poverty rate of elderly-headed households got to fivefold compared to non-elderly-headed households, and got to about fourfold in the relative poverty rate. The rate of middle class in elderly-headed households attained only 60% compared to the one of non-elderly-headed households. Second, on poverty rate and the poverty gap, the reduction-effect of the private income transfer was much stronger than the public income transfer. Absolute poverty rate has decreased about 13.5%, and the poverty gap has decreased by two-thirds through the private income transfer to elderly-headed households. We think that Korean society has to make more solidaristic and filial community and that Korean government has to reinforce social security system for the elderly. When those happen, income transfers can be worked more eff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