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국고전을 활용한 효과적인 장르전환연구

        김려(Jin Li) 한국문화콘텐츠학회 2013 문화예술콘텐츠 Vol.- No.9·10·11

        본고는 신화콘텐츠를 원천소재로 설정하여 다양한 장르로의 전환이 보편화 된 시점에서 효과적인 장르전환 방안을 도출하고자 「백사전」을 원천소재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장르 전환에서 원천소재로 많이 활용이 되고 있는 분야는 고전인데 이는 콘텐츠의 수명 주기를 확장함과 동시에 다양한 콘텐츠로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백사전」의 장르전환을 중심으로 「백사전」이 원천소재에서 원천콘텐츠로, 원천콘텐츠에서 거점콘텐츠로, 다양한 콘텐츠 사례분석을 통하여 고전의 가치와 장르 전환의 법칙을 유추해내고자 하였다. 「백사전」은 원천소재로 다양한 설화가 유전되고 있는데 이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원천소재가 가지고 있는 가치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어 원천콘텐츠, 거점콘텐츠, 다양한 콘텐츠의 작품들의 텍스트분석을 통하여 이들의 특성을 파악하였다.원천콘텐츠가 거점 콘텐츠로 전환되는 데 있어서 필요한 일반론적의 정의로는 원천콘텐츠는 장르전환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요소를 콘텐츠 내부에 포함하고 있어야 하고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대중성 검증이 가능해야 하고, 원천콘텐츠는 그 자체만으로 콘텐츠로서의 완성도가 검증되어야 한다. 거점콘텐츠는 구현매체의 특성, 대중성의 검증, 텍스트가 구현매체에 적합한지에 대한 조건을 들 수 있다.원천콘텐츠「白娘子永鎮雷峰塔」의 특성과 전환조건을 비교·분석하여 원천콘텐츠의 장르전환전략을 도출하였으며 거점콘텐츠도 이와 같은 검증방법을 사용하였다. This article is for exploring a more effective genre adaptation by considering about the coexistence of various genre adaptations based on the original contents. Use the 「the legend of white snake」as the study material to illustrate the adaptation of the myth contents as original contents. Classic portion is the most useful part of original contents which expands period of exist. In this study, emphasis is on exploring skills of genre adaptation and value of Classic by focusing on genre adaptation of “The legend of White Snake”through original sources to contents, original contents to positioned contents and various analysis of contents. This article is talking about the value of the stories derived by the <The Legend of White Snake>. Then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stories by the research of the original contents, Positioned Contents, varies contents. There are several necessary definitions of the transition from original contents to the positioned contents. First of all, the original contents need to have the elements that can transit to the positioned contents. Also, the cost needs to be low and acceptable by the general group. Finally, the original contents are highly identified by completion. As the same time the positioned contents need to satisfy the media characteristics, Recognized by the masses, On the appropriate media.Through the analysis and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the transition conditions of the original contents <BAI NIANG ZI YONG ZHEN LEI FENG TA>, explore the strategy of the genre adaption and also use the same way to the positioned contents.

      • KCI등재

        SVOD OTT 선택 결정요인 및 오리지널 콘텐츠에 관한 논의

        서성민(Seongmin Seo),김경현(Kyunghyun Kim) 한국문화경제학회 2022 문화경제연구 Vol.25 No.3

        최근 OTT 서비스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안으로 오리지널 콘텐츠 중요성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는 유료 구독형(SVOD) OTT 서비스 시장이 차별화된 재화시장이라는 점과 멀티호밍을 고려하여 소비자 수요함수를 추정하였다. 서비스 선택 시소비자들이 상품 속성에 대하여 이질적인 선호 편차를 가지며,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선호의 이질성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추정된 SVOD OTT 서비스 수요함수를기반으로 소비자의 오리지널 콘텐츠에 대한 한계지불의사액 및 국내 OTT 업체들의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 편 수 증가에 따른 가입자 수 변화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소비자들은 비 오리지널 콘텐츠에 비해 오리지널 콘텐츠에 대한 한계지불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콘텐츠 제작 편 수 증가에 따른 OTT 선택률 증가 역시 비 오리지널 콘텐츠에 비해 오리지널 콘텐츠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국내 SVOD OTT 서비스들이 오리지널 콘텐츠 수를 증가시킬 경우, SVOD OTT 시장이 확대될 여지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나 업계 1위 서비스인 Netflix 선택률의 감소는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importance of original contents of OTT(Over-The-Top) services has increased as a way to strengthen their competitiveness. This paper estimates the consumer demand function for the SVOD(subscription VOD) OTT services considering that SVOD service is a differentiated goods and that consumer multi-homing behaviour exists. We find that consumers have different preferences for product attributes when selecting SVOD OTT services, and that there is heterogeneity of preferences depending on consum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is study also estimates the consumers’ WTP(willingness to pay) for the original contents of OTT services based on the estimated demand function and the change in the number of subscribers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original contents by domestic OTT firms. We find that consumers have a higher WTP for original contents than non-original contents and the increase rate of OTT sel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original contents is also higher than that of non-original contents. The results provide that there is room for the SVOD OTT market to expand, if domestic SVOD OTT services increase the number of original contents, but the decline in the selection rate of Netflix, the leading service in the industry, is small.

      • 원천콘텐츠 <백설공주>의 현대적 변용에 나타나는 여성상 변화 연구 - 영화 <스노우 화이트 앤 더 헌츠맨>을 중심으로

        이채론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2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0 No.-

        Research for female archetype change in modern transformation of the original content <Snow white> - Focused on the film <Snow white and the huntsman> Lee, Chae-Ron Culture industry is a difficult field to measure economic value. However, successful content generates additional values as OSMU by reproduced through changes of media as original content later. First, it is important to have one content showing successful achievement and although it is an excellent content, if understanding of each media and context in progress of converting media is insufficient, it will have difficulties of creating more of additional values using various medias. This research for thesis begins with having attention to creation of content able to generate higher economic value must have understanding of excellent original content. The KHM of Grimm brothers has been used as content for children for time time as continuously used original content and the <Snow white> is the work with adaptation and transition more than any other work of KHM. The <Snow white> has celebrated its 200th years anniversaryin 2012 and there were two film works having <Snow white> as its motive in hollywood at the same time. Each film work has same basic plot but has different screen color, costume and implementation of characters. Among these, the most noticeable characteristic occurred in progress of fairy tale content known as children's preserves being transferred to public media is highlighted characteristic of german folk tale became original source of KHM. This means that the folk tale was originally adult enjoying target and it contains intrinsic human desire internally. The original content transforms proper to era and tabor is connected to intrinsic human desire and the first content in research of this thesis is to exam existence of folk tale's cruelty in such characteristic. With these cruelty as most contrasting characteristic from modern society and historical society, I would wish to exam changes of female archetype studied in previous KHM to confirm distinction of female archetype existed. Therefore, I have selected the film <Snow white and the huntsman> which shows cruelty that is intrinsic property of german folk tale and changes of female character as analysis target, and to highlight value of <Snow white> as generally useable content and to compare changed female archetype in modern media detailly, selected conscious shape of whole task that witch and step mother, passive behavior of female and <Snow white> have as analysis itmes. Characteristic of folk tale developed and used without disappearing in progress of passing down for long time is on borderline with human amusement that circulating over generations. Based on these, this thesis has meaning on excavation of valuable source content and on providing direction of development in whole generation. 원천콘텐츠 <백설공주>의현대적 변용에 나타나는 여성상 변화 연구- 영화 <스노우 화이트 앤 더 헌츠맨>을 중심으로이채론문화산업은 경제적 가치를 산정하기 어려운 분야다. 하지만 성공한 콘텐츠는 이후 원천콘텐츠로서 매체전환을 통해 확장 재생산 되면서 OSMU로서 부가가치를 창출한다. .우선 하나의 콘텐츠가 성공적인 성과를 보이는것이 중요하며, 훌륭한 콘텐츠일지라도 매체전환의 과정에서 각 매체의 성격과 콘텍스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면 다양한 매체에서 활용되어 보다 많은 부가가치를 생산하기에 어려움을 겪는다. 보다 높은 경제적 가치를 산출해 낼 수 있는 콘텐츠의 발생은 훌륭한 원천콘텐츠에 대한 이해가 수반되어야 함에 주목하며 본 논문의 연구는 시작된다. 그림형제의 KHM은 지속적으로 활용되는 원천콘텐츠로서 어린아이들을위한 콘텐츠로 활용된 지 오래이며, 그 중 <백설공주>는 KHM의 다른 작품들 보다 많은 각색과 전환이 이루어진 작품이다. 2012년은 <백설공주> 탄생 200주년이 되는 해로, 할리우드에서는 <백설공주>를 모티프로 한 작품두 편이 동시에 개봉이 되는 전례를 남겼다. 각 작품은 기본 플롯은 동일하지만 영상의 색감이나 의상, 캐릭터의 구현에 차이점을 드러냈다. 이 중, 어린아이들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동화 콘텐츠가 대중매체로 전이되는 과정에서 발생된 가장 눈에 띄는 특성은 KHM의 원형소스가 된 독일민담의 특성이 부각된 점이다. 이는 민담이 본래 성인들이 향유하던 대상이었으며, 인간이 가진 본질적인 욕망이 내포함을 상징한다. 시대와 소구대상에 알맞게 변용되는 원천콘텐츠는 인간이 가진 본질적인 욕망과 연계되어 있으며 이러한특성에 민담의 잔혹성이 존재함을 확인하는 것이 본 논문의 첫 연구 내용이다. 이러한 잔혹성과 함께 현대 사회와 과거 사회와 가장 대비되는 특성으로여성상의 차별점이 자리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과거 KHM에서 연구된 여성상 유형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에 독일 민담의 본질적 속성인 잔혹성과 여성 캐릭터의 변화가 가장 극명하게 드러나는 영화 <스노우 화이트 앤 더 헌츠맨>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 통시적으로 활용 가능한 콘텐츠로서 <백설공주>의 가치를 조명하고, 현대 영상매체에서 변화된 여성상을 구체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마녀와 계모, 수동적인 여성의 행동, 그리고 <백설공주>가 가진 통과제의 의식 형상을 분석 항목으로 정했다. 오랜 세월 전승되어오는 과정 속에서도 사라지지 않고 콘텐츠로 개발되고활용되는 민담이 가지는 특성은 시대를 넘어 순환하고 있는 인간의 유희와경계선상에 있다. 이를 바탕으로 통시대적으로 가치 있는 원천콘텐츠의 발굴 및 개발에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본 논문의 의의를 둔다.

      • KCI등재

        원천콘텐츠의 거점콘텐츠 전환 전략 연구

        박영호(Young Ho Par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는 원천콘텐츠를 거점콘텐츠로 전환하기위한 전략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의 전환 전략은 활자매체를 영상매체로 전환하고자 할 때 요구되는 구체적인 방법을 의미한다. 원천콘텐츠가 좋은 작품이라고 해서 거점콘텐츠로 전환하였을 때 기대하는 결과가 반드시 보증되는 것은 아니다. 체계적인 전환 전략에 관한 논의가 필요한 것은 바로 이런 점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설 <열녀문의 비밀>과 영화 <조선 명탐정>을 대상으로 원천콘텐츠의 거점 콘텐츠 전환 전략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논의를 효과적으로 전개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먼저 소설 <열녀문의 비밀>이 거점콘텐츠로 전환될 수 있는 원천콘텐츠로서의 가치를 확보하고 있는가를 점검하였다. 이어 영화 <조선 명탐정>을 대상으로 거점콘 텐츠로의 전환 전략을 ``단순화 전략``과 ``안정화 전략``으로 나누어서 고찰하고,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전환 전략의 활용 방안과 기대 효과를 제시하는 것으로 논의를 마무리하였다. 문화콘텐츠 전환은 장르와 매체를 가리지 않는다는 점에서 전환 전략에 관한 논의 또한 다양한 관점에서 진행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소설 <열녀문의 비밀>과 영화 <조선명탐정>으로 그 범위를 제한 하였다. 이는 논의의 구체성과 결과의 실효성을 함께 기대할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그리고 문화콘텐츠 전환이 보편적 현상이 되어 버린 현대의 문화적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합리적인 전환을 모색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일정한 의의를 갖는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본 연구 주제와 관련을 맺고 있는 다양한 분야의 선행연구 결과와 각종 문헌 자료 및 국내외의 각종 네트워크와 개인 블로그 그리고 D/B 등을 인터넷을 이용하여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가 원천콘텐츠를 거점콘텐츠로 전환하고자 할 때 요구되는 전환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about the adaptation strategy from original contents to positioned Contents. The adaptation strategy means definite method which is demanded on the Adaptation from written materials to visual medias. As everyone knows, culture contents demands strategic thinking for the ``hi-risk`` avoiding because of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 feature like ``hi-cost`` and ``hi-return`` in culture contents industry. The good original contents is not always guarantee the intended results. The discussion for the systematic adaptation strategy is needed for this reason. So,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examine the adaptation strategy through the novel <The Secret of a virtuous women gate> and the film <Detective K, 2011>. For the effective study, the research method is used as follows. first, novel < The secret of a virtuous women gate> was examined for the having quality that would be worth as a original content which turns to positioned contents. as successor, ``simplifying strategy`` and ``stabilizing strategy`` would be suggested as a adaptation strategy for the position conten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film <Detective K>. The adaptation of culture contents would be discussed on diverse point of view and adaptation strategy because of that culture contents adaptation do not classify the genre and media. but the research range is limited on the novel <The secret of a virtuous women gate> and the film <Detective K> in this study. because of the concreteness of discussion and effectiveness. and this study has some meaning because of that reasonable finding of adaptation is suggested in the environmental situation nowadays-culture contents adaptation is supposed to be universal phenomenon. For this result, diverse results of former study, written materials, networks, personal blogs and internet D/B which are concerned about the subject of this study are synthetically considered. so I hope this study would contribute for the making of adaptation strategy which is needed to adapt from original contents to positioned contents.

      • KCI등재

        원천콘텐츠 〈백설공주〉의 현대적 변용에 나타나는 여성상 변화 연구

        이채론(Lee, Chae-Ron)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2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5 No.-

        문화산업은 경제적 가치를 산정하기 어려운 분야다. 하지만 성공한 콘텐츠는 이후 원천콘텐츠로서 매체전환을 통해 확장 재생산 되면서 OSMU로서 부가가치를 창출한다. .우선 하나의 콘텐츠가 성공적인 성과를 보이는 것이 중요하며, 훌륭한 콘텐츠일지라도 매체전환의 과정에서 각 매체의 성격과 콘텍스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면 다양한 매체에서 활용되어 보다 많은 부가가치를 생산하기에 어려움을 겪는다. 보다 높은 경제적 가치를 산출해 낼 수 있는 콘텐츠의 발생은 훌륭한 원천콘텐츠에 대한 이해가 수반되어야 함에 주목하며 본 논문의 연구는 시작된다. 그림형제의 KHM은 지속적으로 활용되는 원천콘텐츠로서 어린아이들을 위한 콘텐츠로 활용된 지 오래이며, 그 중 〈백설공주〉는 KHM의 다른 작품들 보다 많은 각색과 전환이 이루어진 작품이다. 2012년은 〈백설공주〉 탄생 200주년이 되는 해로, 할리우드에서는 〈백설공주〉를 모티프로 한 작품 두 편이 동시에 개봉이 되는 전례를 남겼다. 각 작품은 기본 플롯은 동일하지만 영상의 색감이나 의상, 캐릭터의 구현에 차이점을 드러냈다. 이 중, 어린아이들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동화 콘텐츠가 대중매체로 전이되는 과정에서 발생된 가장 눈에 띄는 특성은 KHM의 원형소스가 된 독일민담의 특성이 부각된 점이다. 이는 민담이 본래 성인들이 향유하던 대상이었으며, 인간이 가진 본질적인 욕망이 내포함을 상징한다. 시대와 소구대상에 알맞게 변용되는 원천콘텐츠는 인간이 가진 본질적인 욕망과 연계되어 있으며 이러한 특성에 민담의 잔혹성이 존재함을 확인하는 것이 본 논문의 첫 연구 내용이다. 이러한 잔혹성과 함께 현대 사회와 과거 사회와 가장 대비되는 특성으로 여성상의 차별점이 자리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과거 KHM에서 연구된 여성상 유형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에 독일 민담의 본질적 속성인 잔혹성과 여성 캐릭터의 변화가 가장 극명하게 드러나는 영화 〈스노우 화이트 앤 더 헌츠맨〉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 통시적으로 활용 가능한 콘텐츠로서 〈백설공주〉의 가치를 조명하고, 현대 영상매체에서 변화된 여성상을 구체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마녀와 계모, 수동적인 여성의 행동, 그리고 〈백설공주〉가 가진 통과제의 의식 형상을 분석 항목으로 정했다. 오랜 세월 전승되어오는 과정 속에서도 사라지지 않고 콘텐츠로 개발되고 활용되는 민담이 가지는 특성은 시대를 넘어 순환하고 있는 인간의 유희와 경계선상에 있다. 이를 바탕으로 통시대적으로 가치 있는 원천콘텐츠의 발굴 및 개발에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본 논문의 의의를 둔다. Culture industry is a difficult field to measure economic value. However, successful content generates additional values as OSMU by reproduced through changes of media as original content later. First, it is important to have one content showing successful achievement and although it is an excellent content, if understanding of each media and context in progress of converting media is insufficient, it will have difficulties of creating more of additional values using various medias. This research for thesis begins with having attention to creation of content able to generate higher economic value must have understanding of excellent original content. The KHM of Grimm brothers has been used as content for children for time time as continuously used original content and the 〈Snow white〉 is the work with adaptation and transition more than any other work of KHM. The 〈Snow white〉 has celebrated its 200th years anniversaryin 2012 and there were two film works having 〈Snow white〉 as its motive in hollywood at the same time. Each film work has same basic plot but has different screen color, costume and implementation of characters. Among these, the most noticeable characteristic occurred in progress of fairy tale content known as children’s preserves being transferred to public media is highlighted characteristic of german folk tale became original source of KHM. This means that the folk tale was originally adult enjoying target and it contains intrinsic human desire internally. The original content transforms proper to era and tabor is connected to intrinsic human desire and the first content in research of this thesis is to exam existence of folk tale’s cruelty in such characteristic. With these cruelty as most contrasting characteristic from modern society and historical society, I would wish to exam changes of female archetype studied in previous KHM to confirm distinction of female archetype existed. Therefore, I have selected the film 〈Snow white and the huntsman〉 which shows cruelty that is intrinsic property of german folk tale and changes of female character as analysis target, and to highlight value of 〈Snow white〉 as generally useable content and to compare changed female archetype in modern media detailly, selected conscious shape of whole task that witch and step mother, passive behavior of female and 〈Snow white〉 have as analysis itmes. Characteristic of folk tale developed and used without disappearing in progress of passing down for long time is on borderline with human amusement that circulating over generations. Based on these, this thesis has meaning on excavation of valuable source content and on providing direction of development in whole generation.

      • KCI등재후보

        한국 문화콘텐츠학의 현황과 전망

        박기수 대중서사학회 2006 대중서사연구 Vol.- No.16

        This article aims at forming foundation to prescribe study of cultural contents based on practical and productive discussion. Considering character of cultural contents, that covers a wide range of genre, media, and field, I advanced the discussion focused on storytelling. Of course this argument should premise cultural contents' distinction. The various genre of Korean cultural contents have been launched into market successfully, and the basis for creating higher value-added business with one source multi use was set up. It has excellent enjoyer with strong point that they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of cultural contents. Now the strong point is connected to giving shape to the cultural contents to make it more productive and long lasting model. It is necessary to discuss totally, practically and concretely on the basis of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for this arguments. The discussion of storytelling as cultural contents study should be advanced with the total view of following points. 1) strategy to develop original source to secure good quality storytelling. 2) storytelling strategy on how to make secured source into cultural contents effectively. 3) strategy to actualize enjoyment with embodied storytelling and strategy to expand one source multi use. 4) literacy strategy for cultural contents storytelling. The result of above should be researched in the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When it can be systemized theoretically and logically, it can also secure academic trust and authority. Key Words Korean Cultural Contents, Storytelling, original source, storytelling strategy, enjoyment, one source multi use, literacy, the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 KCI등재

        온라인 동영상 콘텐츠 유형별 프리롤 광고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윤연주(Yeon-Joo Yun),이영주(Yeong-Ju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4

        본 연구는 온라인 동영상 콘텐츠를 시청하기 전에 재생되는 프리롤(pre-roll) 광고의 회피 요인을 탐색하고자 방송 콘텐츠 클립과 웹 오리지널 콘텐츠로 구분하여 이용 동기를 살펴보고, 콘텐츠 요인과 광고 요인이 광고 회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방송 콘텐츠 클립은 오락성/습관성 이용 및 사회적 교류가 높을수록, 웹 콘텐츠는 오락성/이용편리성 및 선택적 이용 동기가 높을수록 이용시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방송 콘텐츠 클립의 경우 지각된 침입성이 광고회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웹 콘텐츠는 광고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유의미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콘텐츠 선호도나 인게이지먼트와 같은 콘텐츠 요인은 광고 회피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pre-roll ads played before watching online video contents, and to investigate the using motives by dividing them into broadcasting contents clips and web original contents. The results show that broadcast contents clips have higher use of entertainment/habitual use and social interaction, and that the use time of web content is higher when entertainment/convenience and selective use motivation are higher. Second, perceived invasion has the greatest effect on ad avoidance in broadcasting contents clip, and positive attitude toward advertisement is a significant factor in web contents. Content factors such as content preference and engagement did not affect the avoidance of pre-roll ad.

      • KCI등재

        ‘장자못 전설’ 문화콘텐츠 개발을 통한 민속의 현대적 계승

        이규훈(Kyu-Hoo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9

        이 연구는 ‘장자못 전설’의 활용 양상을 살펴보고 콘텐츠 개발을 시도해 봄으로써 민속의 현대적 계승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오랜 세월 동안 민간에서 전승된 민속인 설화는 익명의 다중에 의해 향유된 이야기 콘텐츠이다. 특정 연못, 바위의 유래를 알려주는 ‘장자못 전설’의 원천서사와 문화요소들은 문화콘텐츠로 개발될 수 있다. ‘장자못 전설’은 영상콘텐츠로 개발되거나 지역에 따라 축제나 동제의 기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전설과 관련된 축제나 대회가 활성화되려면 민속?관광 분야에서 원천서사와 관련된 다양한 문화콘텐츠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장자못 전설’ 원천서사 보존은 전설에 대한 대중들의 접근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전설에 내재한 각종 문화요소들은 일관되고 효과적인 콘텐츠로 개발되고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콘텐츠 개발을 통해 설화 등 민속은 현대에도 보편성을 획득하여 계승될 수 있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of the modern succession of folklore by attempting the creation culture contents and looking into the aspects of using ‘Jangjamot Legend’. Folk tale which has been handed down among people for many years is that story contents that are enjoyed by anonymous many people. The original narration and the cultural elements of ‘Jangjamot Legend’ which show the origin of a certain pond and rock can be used for creation of culture contents. The legend has been created the video contents or used the origin of the village ritual and festival in different areas. If the festival and the contest related to the legend is activated, more contents of the original narration will be created by the folklore or tourism. The preservation of the original narration will be easily accessed by the mass about ‘Jangjamot Legend’. The cultural elements which are inherent in the legend shall cause the creation of consistent and effective contents. Through these contents creation, folklore will be passed on to the next generation with the obtain of universality in the modern times.

      • KCI등재

        디지털시대의 문화예술콘텐츠 플랫폼에 관한 연구 - 구글 아트앤컬처를 중심으로 -

        최정은 ( Choi Joung Eun ),김면 ( Kim Myou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롭게 진화하는 디지털 시대에 문화예술콘텐츠 플랫폼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 활용 가능성과 기반을 확대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2011년 공식 론칭하여 현재 1000개 이상의 전 세계 문화예술기관 파트너쉽을 맺고 있는 ‘구글 아트앤컬처’를 선정하였는데, 그 이유는 뮤지엄과 시각예술 기반의 문화예술콘텐츠 플랫폼 중 가장 규모가 크고 활성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대상 분석을 위해 국내외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이 프로젝트가 사례로 연구된 분야는 주로 디지털 문화재 아카이브 및 가상 뮤지엄이며, 플랫폼 관점에서는 연구가 부재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에 문화와 경제 분야의 국제기구인 UNESCO(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와 UNCTAD(국제연합무역개발회의)의 정의와 국내 실정에 기반하여 문화예술콘텐츠에 대한 개념을 고찰하였으며, 플랫폼 연구에 대한 문헌조사를 실시하였다. ‘구글 아트앤컬처’와 관련된 국내외 기사와 학술자료, 평론, 인터뷰 자료 등을 조사하고, 직접 사용·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본 플랫폼은 가치 활동 플랫폼이며, 미래 신기술 및 문화 산업, 예술 분야의 원천콘텐츠로 활용될 가능성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플랫폼의 콘텐츠와 기능들을 분석한 활용 가능성은 다음과 같다. 1)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의 큐레이션 2) VR·AR의 초월적 경험과 감각의 확장 3) 문화예술 원천콘텐츠로서의 경쟁력 확보이다. 플랫폼과 콘텐츠에 적용되는 새로운 기술적 기능을 경험하는 것은 디지털 신인류로서의 새로운 감각과 사유 체계로 접근하는 계기가 된다. 문화예술 종사자와 전문가들은 이러한 플랫폼 환경의 가능성을 인식하고, 공급자 측면의 사용자 입지와 영향력을 확보하기 위해 보다 적극적인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들의 플랫폼 활동과 가치 생산이 새로운 디지털시대의 예술 패러다임을 마련하고, 미래 산업 문화예술콘텐츠 창작의 원천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This study aims at expanding the usability and infrastructure through an analysis of an arts and cultural contents platform in the new evolving digital era. “Google Arts & Culture”, which was launched in 2011 and now has over 1000 partnerships with art and cultural institutes throughout the world,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since the platform is the biggest and most active among platforms of museums and the visual art field. As a result of reviewing advanc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for analysis, the research areas, which primarily used digital heritages archives and virtual museum studies, were not found in the platform field. Based on the domestic situation and the definition of UNESCO and UNCTA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which represent both culture and economy, the definition of arts and cultural contents was established, and a literature search of platform study was initiated. The researcher investigated “Google Arts & Culture”, analyzing the subject through domestic and international scholarly articles and research, critiques and interviews. The conclusion is that the platform is considered a platform for Creating Shared Value (CSV), and it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as original contents for new technology, cultural industry and the art field in the future. The application possibilities by analyzing the contents and features of the platform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Curation by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2) Transcendental experiences and extension of senses by Virtual, Augmented Reality (VR·AR) 3) Competitive advantages as original contents. Experiencing the technology applied to the platform and contents create an opportunity to approach new senses and system of thought as the Homo Digitus. More attention and effort on the part of professionals in art and culture is required to gain positions and influence as Supply-side Users of platform because the activities and creation of shared value in the platform of arts and cultural contents that could be applied in various ways in future industry and technology will become the origins of creativity for arts and cultural contents in the new digital era.

      • KCI등재

        A Study on Extraction and Comparison of Digital Content Key Frame in UCC Service Environment

        장은겸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1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Vol.14 No.8

        In this paper, we proposed a mechanism that prevents indiscreet use of digital contents, verifies created content’s copyrights to provide services to granted user and protects digital contents by law by authenticating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whenever an infringement of copyright occurs in UCC environments. The proposed mechanism uses specific information and features of contents as copyrights authentication information without additional information. Also, provides the fact of violation by inferring the modification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s. That means this mechanism infers same or similar value from the contents; fraudulent use of content, modification of content color, modification of content format, modification of content resolution and illegal use of frame not principal key frame. In that point, we found that the inferred value from the content differed according to features of content mod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