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안보형사법체계 재정립 방안에 관한 연구

        최진호(Jin-Ho Choi) 한국테러학회 2022 한국테러학회보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정보원법 개정 및 현 국가보안법의 폐지 가능성에 따라 우리나라의 안보형사법체계를 재정립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안보형사법 체계변화에 대한 배경을 명확히 이해하고 안보형사법이 변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함으로써 우리나라 안보형사법의 체계를 살펴보고 국가정보원의 순수 정보기관 전환 및 국가보안법 폐지 가능성에 따른 문제점들을 살펴본 후 향후 우리나라 안보형사법 체계변화가 어떠한 형태로 전환해야 하는 지에 대해 고민을 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만약 국가보안법이 폐지된다면 우리나라 현실에 맞는 ‘新국가안보법’을 제정하여 언제 일어날지 모르는 북한의 도발 및 전 세계적으로 정치, 민족갈등, 종교문제로 인해 위협이 되고 있는 각종 테러와 경제, 산업, 환경, 자원, 기후 등의 문제로 인해 나라별 갈등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국가가 사전에 나서서 예방 및 대응활동을 적극적으로 해야 할 것이다. 안보형사법은 국가의 안보를 지키고 또한 지탱하는 기둥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국가정보원의 순수 정보기관 전환 및 국가보안법 폐지가 된다는 가정 하에 안보형사법 체계변화에 대한 배경 및 필요성을 살펴보고 국가보안법이 폐지가 될 경우 향후 우리나라만의 새로운 안보형사법체계가 어떻게 구축되어야 하는 지에 대해 국가보안법과 어느 정도 유사한 법적 성질을 가지고 있는 테러방지법을 살펴본 후 우리나라 여건에 맞는 新국가안보법이 제정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고 관련 내용이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본 연구의 의미를 두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stablish Korea's security criminal law system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Law and the possibility of repealing the current National Security Law. Accordingly, by clearly understanding the background of changes in the security criminal law system in Korea and recognizing the need for changes in the security criminal law, the system of the security criminal law in Korea was examined, and problems caused by the conversion of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to a pure intelligence agency and the possibility of abolition of the National Security Law were examined.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need for a change in the security criminal law system. Therefore,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investigation authority and the National Security Law will be abolished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Law, the background and necessity of the change in the security criminal law system will be examined, and the national security criminal law, the Criminal Law, the National Security Law, the Anti-Terrorism Law, etc. will be compared and related foreign law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a new security criminal law system unique to Korea should be established when the National Security Law is repealed through consideration.

      • KCI등재후보

        「국가보안법 폐지 후 형법보완론」의 구체적 내용에 대한 형법 이론적 분석 : 열린우리당이 2004년 10월 20일 발의한 형법중개정법률안을 중심으로

        문채규(Moon Chae-Gyu)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07 법학연구 Vol.47 No.2

        국가보안법은 1948년 여순사건, 제주폭동사건 등 당시 비상시국에 대처한다는 한시법적 성격으로 탄생하여 그간 7차례에 걸쳐 개정되었다. 이 중에는 특기할만한 개정도 몇 차례 있었다. 여소야대가 된 13대 국회(1988-1992)에서 국가보안법은 대표적인 악법으로 지목되어 1991년 야당인 평민당이 '대체입법안’을 제출했으나, 여당인 민자당은 불고지죄 적용대상을 축소하는 등 상당 부분을 개정한 제7차 개정안을 통과시켰고, 이것이 현행 국가보안법으로서 현재 존폐논쟁의 와중에 놓여 있다. 국가보안법의 폐지론이 대두된 배경을 보면, 국가보안법의 규율내용 중 어디 까지가 필요불가결하고, 어느 범위에서 과잉인지, 또 형법상의 국가보안규정과 어떻게 중복되고, 어떻게 서로 보완척인지에 대한 성찰로부터 국가보안법의 폐지론이 비롯되었다기보다는, 국가보안법의 정치적 오 · 남용에 대한 부정적 시각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법규의 오 · 남용 문제와 그 법규 자체의 필요성 및 유용성의 문제는 엄격히 보면 구별되는 문제이다. 물론 하나의 법규가 정치권력적으로 오 · 남용되는 정도가 극심하다면, 그것만으로도 폐지론의 근거가 될 수는 있다. 그러나 그러한 극단적인 경우를 제외한다면, 일반적으로 오 · 남용을 근거로 하는 폐지론이 정당화되기 위해서는 오 · 남용의 폐해가, 오 · 남용에도 불구하고 해당 법규가 갖는 순기능을 압도한다고 평가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법규의 폐지론을 주장할 것이 아니라 개정을 통하여 오 · 남용의 소지를 제거하는 방향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합리적인 처방일 것이기 때문이다. 이는 규범의 존폐문제에서는 규범의 실질적 내용과 그 고유한 취지 및 기능에 대한 검토가 우선되고 또 선행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국가보안법의 존폐를 먼저 전제하지 말고, 현재상황의 진단과 미래의 전망이라는 관점에서 국가보안을 위하여 필요하고 합당한 형법적 규율의 범주가 어디까지이어야 하는가를 먼저 진지하게 검토하는 자세가 앞서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국가보안법의 폐지 후 형법보완론’의 구체적인 내용을 형법 이론적으로 분석해보는 것도 의미 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특히 이 입장에서 국회에 발의된 형법중개정법률안을 국민들이 관심을 갖는 구체적인 가정사례에다가 접목시켜 분석해보면 이렇다. 첫째, 국가보안법의 폐지 후 그 추급효의 인정 문제인데, 이는 논란을 미연에 방지한다는 차원에서 형법중개정법률안에 경과규정을 통하여 입법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재정형법안을 통하여 '북한’을 위한 간첩행위를 규율하는 데에 어려움이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셋째, 김일성 추무집회를 개최하거나 기타 북한을 찬양하는 언동을 하는 경우, 북한 노동당에 가입하는 경우, 자유주의적 시장견제를 부정하는 강령의 공산당을 창당하는 경우, 국내 인사가 북한의 노동당 창립기념식에 참석할 경우, 남한에 김일성 부자를 찬양하거나 주체시장을 전파하기 위하여 연구소를 차리는 경우, 남파공작원과 동해안 여관에서 접선하는 경우 등은 국가보안법에 의하면, 찬양 · 고무죄(제7조), 반국가단체가입죄(제3조), 잠입 · 탈출죄(제6조), 이적단체구성죄(제7조 제3항), 회합 · 통신죄(제8조) 등으로 처벌될 것이나, 개정형법안에 의하면 처벌이 어려워질 수 있다. 넷째, 휴전선을 넘어 남한으로 밀입국하는 경우나 동해안에 출몰한 북한 잠수정을 보고도 성고하지 않은 경우 등도 국가보안법에 의하면 잠입 · 탈출죄(제6조), 불고지죄(제10조)로 처벌될 것이나, 개정형법안으로서는 처벌이 어렵게 된다. The National Security Law has long been under heated debates in our society since its enactment in 1948. Whether to scrape or retain the National Security Law has had a different meaning and a deep context according to the changes of society. It is sure that the National Security Law was abused by government authority and had much of a potency to invade human rights. But on the other hand, it played a positive role of protecting national security from the dangers of communist infiltration. It is also doubtful of denying the law itself for the sake of preventing improper usage. As the debate over whether to scrape or retain the National Security Law has been started, we must scrutinize all provisions of the National Security Law in relation to the criminal law. The authors critically analyzed various proposals of the National Security Law from the historical perspective and suggested democratic compromise under the parliamentary setting. However, the National Security Law shall be substantially amended in a future. Amendments to the law or any new security legislation shall be gradually more and more in line with international human rights standards, For the amendment of the National Security Law, we could primarily consider such provisions concerning the definition of anti-state organization, the crime of applauding or encouraging anti-state organization, the crime of failure to notify the crimes prohibited by the National Security Law to the judicial authorities and so on.

      •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LAW Enforcement Agency in Line with the New Security Situation

        Yoon Hae-sung J-INSTITUTE 2016 Robotics & AI Ethics Vol.1 No.1

        The Korean Peninsula is one and only divided country around the world, which has been divided since the cold war system caused by ideological conflict. In this context, there have been ideological conflicts in our Kore-an society. The North Korean spy cases or the unconstitutional dismissal of political party have been related to the na-tional security issue up to now. Whenever such incidents break out, many issues heat up our society, including the existence and safety of our country, the meaning of democracy and the existence of people who are pro North Korea. However, such cases may not be seen from the prospect of ideological conflict, but from that of national law on how constitutional law and order will be established. Assurance of national security is a precondition to protect people‘s safety, life, freedom and rights. The Con-stitutional law Article 1-2 states that a nation´s sovereignty shall lie in people and all the rights of the nation shall come from people, which means the subject of a modern democracy and constitutional country. However, it is important that people herein means the whole people, and the interest of the entire nation takes prece-dence over that of an individual person. In this regard, the Constitutional law Article 37-2 states that all free-dom and rights of the people may be limited by law in order to guarantee national security. Unlike in the past, all the rights of an accused person or a criminal defendant are now guaranteed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al law and laws even for national security related cases, including the principle of legal pro-cess, the presumption of innocence and the principle of legality. Therefore, national security related cases such as a spy case, does not depend only on such a suspect s own confession or evidence like in the past custom of investigation. Under the current legal system, it will be difficult to give criminal punishment, unless they have clear evidence on a spy or terrorist. The bottom line is that today s national security needs to be beyond the conventional concept, and be con-sidered within a new paradigm where the concept of comprehensive security is focused across an individual and society. In order to ensure national security, it needs to be achieved based on each legal basis. The concept and scope of national security plans need to focus on the concept of comprehensive security, based on National Security Law,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Act, spy and important counterespionage investigation, and im-portant leftist investigation.

      • KCI등재

        중국 개정 반간첩법의 사이버 안보관

        이상우 동국대학교 비교법문화연구소 2023 比較法硏究 Vol.23 No.2

        With the advent of the AI ​​era,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s have become complex. The subject of espionage has diversified, and the scope of espionage has expanded. In response to these changes, China has amended its Anti-espionage Law. The amended law, which has been in force since July 2023, specified data as a subject of regulation, and cyber ​​attacks are also defined as espionage in order to emphasize cyber security. In 2014, China established a national security legal system based on the Comprehensive National Security. In this process, legislation was carried out in two directions: the National Security Law and the Anti-espionage Law. The National Security Law has been regulating cyber security issues along with the Cyber Security Law, Data Security Act,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It was only after the Anti-espionage Law was amended that the Comprehensive National Securit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as expanded. Korea also attempted to enact a basic law on cyber security. However, it was not legislated due to risks of breach of fundamental rights and concerns about private inspections. In addition, cyber security did not become a key subject in the progress of AI legislation. It is evaluated that AI technology can bring about a fundamental change in the nature of national security. In-depth discussions on cyber security should proceed with a understanding of China's cyber security perspective as revealed in the Anti-espionage Law. 인공지능(AI) 시대의 도래로 인하여 전통적·비전통적인 안보 위협이 복잡하게 얽히게 되었고, 간첩행위 주체의 다양화 및 행위영역이 확대되었다. 이와 같은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중국은 2014년 제정된 구(舊) 반간첩법을 개정하였다. 2023년 7월부터 시행 중인 개정법은 ‘데이터’를 규율 대상으로 명시하고, ‘사이버 공격’도 간첩행위로 규정하는 등 ‘사이버 안보’를 강조하였다. 중국은 2014년 ‘총체적 국가안전관’에 기반하여 국가안전 법률체계를 구축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국가안전법’과 ‘반간첩법’이라는 두 가지 방향으로 입법이 진행되었다. 국가안전법은 네트워크안전법·데이터안전법·개인정보보호법과 함께 기술의 발전에 따른 사이버 안보 이슈를 지속적으로 규율해 왔으나, 반간첩법은 개정을 통해 비로소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총체적 국가안전관의 확장을 이루었다. 우리나라는 사이버 안보에 관한 기본법 제정시도가 있었으나, 기본권 침해 이슈와 민간 사찰 우려가 제기되어 현재까지도 입법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AI 법제 입법방향에 관하여 ‘규제와 진흥’을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나, ‘사이버 안보’는 핵심적인 논의 대상으로 부각되진 못하였다. AI 기술이 국가안보의 본질에 근본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평가받고 있는바, 반간첩법에서 나타난 중국의 사이버 안보관을 바로 이해하여, AI 법제 입법과정에서 ‘사이버 안보’ 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되어야 한다.

      • 실무상 관점에서 본 안보형사법의 현실과 과제

        차범준(Cha, Bum-June) 한국안보형사법학회 2017 안보형사법연구 Vol.1 No.2

        대한민국의 안보형사법제는 전통적으로 북한의 대남혁명전략에 대한 대응을 1차적 목표로 운영되어 왔으나, 최근 급변하는 국제정세와 급속도로 발전하는 과학기술은 우리의 안보환경을 다변화시켰고, 그에 따라 국가가 보호해야 할 안보 영역과 범위는 더욱 넓어졌다고 할 수 있다. 전통적인 안보형사법 영역으로는 국가보안 범죄(체제안보), 출입국 범죄(국경안보), 테러 등을 들 수 있으나, 국가경제·국민생활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는 기술유출 범죄(경제안보), 사이버 테러(정보안보) 등도 그 중요성 및 파급력에 비추어 새로운 안보형사법의 영역으로 편입하여 국가안보 관점에서 접근 및 대응방안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본 발표문에서는 위와 같은 전통적인 안보형사법 영역뿐만 아니라 새로운 안보형사법영역으로 포함시킬 수 있는 영역에 대하여 우리 사회에서 발생하는 주요 사례들과 그에 대한 법제를 간단히 소개하고, 각 영역별로 주요 외국의 법제 및 대응 시스템을 간략히 살펴본 후, 우리 현실에 맞는 실무상, 법제상 개선점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The national security and criminal law in Republic of Korea against threats to national security has traditionally been operated with the primary goal of responding to North Korea s revolutionary strategy toward South Korea. However, constant changes in international environment and rapid progress in scientific technology have diversified our security environment, and the range and scope of national security which should be protected by the State have been broadened. Traditionally, the field of national security and criminal law against threats to national security includes crimes against national security(security of the regime), crimes of illegal immigration(border security), and terrorism. However, various kinds of crimes such as crime of espionage, cyber terrorism(information security) should be incorporated into the realm of new criminal law against threat to national security in light of its importance and influence and prepared for its countermeasures in perspective of national security. This study briefly introduced the major cases in our society and the legislative system about the area that can be included as a new criminal law against threats to national security as well as the national security and criminal law on national security. In addition, it briefly reviewed the foreign legal systems and response system in related issues, suggesting improvements in practice and law in Korea.

      • KCI등재

        국가보안법 존치 당위성에 관한 고찰

        채성준 ( Chae Seong-joon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법학논총 Vol.41 No.3

        본 연구는 국가보안법이 제정된 지 70년이 다가오는 현 시점에서 아직까지 왜 존폐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지를 검토하고, 우리나라의 안보현실에서 국가보안법 폐지가 과연 타당한 지에 대한 결론을 찾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가보안법의 주요내용과 제정배경 및 존폐논란 실태를 심층 검토하는 한편, 이를 북한 및 주요국의 안보관련 법 체제에 대입시켜 분석함으로써 국가보안법 존치의 당위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국가보안법이 제정된 이후 현재까지 존치하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북한이 우리나라 자유민주주의 체제의 붕괴를 목표로 하는 대남적화전략을 포기하지 않고 있는 엄중한 안보현실과 관련이 있음을 알수 있었다. 둘째, 현재 거론되고 있는 국가보안법 폐지 주장과 관련된 제반 문제점은 7차례의 법 개정 과정과 대법원 및 헌재의 판례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개선되어 왔으며, 법 악용 우려는 민주화 이후 언론과 시민단체 등의 감시활동이 활발한 우리 사회 수준에서 볼 때 기우에 불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북한이 남한과 전 세계의 공산화를 지상과제로 삼아 반국가범죄 등에 대해 우리 국가보안법보다 더 가혹한 법제를 유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세계 주요국들도 각기 자국 상황에 부합하는 안보관련 법제를 유지하고 있는 현실에서 우리가 앞장서 국가보안법을 폐지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다만, 국가보안법 역시 정치의 산물이므로 시대변화에 맞춰 기본적인 법 정신은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남북관계 진전에 장애가 되거나 국민기본권 침해 및 위헌성 소지와 같은 비합리적인 부분을 선제적으로 보완해 나갈 필요가 있음을 제기하고자 한다. The National Security Law was enacted in order to prevent the anti-government activities of left-wing forces from establishing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1948. However, from the time of the enactment of the law, problems such as infringement of the basic rights of the people and abuse of the law enforcement agencies have been raised. And in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the abolition of the National Security Law is argued ag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onclusion about whether the abolition of the National Security Law is valid in Korea. We examine the main contents of the National Security Law, the background of its enactment, and the current state of controversy at the present time, while analyzing our security realities and the security systems of North Korea and major countr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fundamental reason why the National Security Law has not lost its identity since the enactment of the National Security Law is related to the serious security reality that North Korea has not abandoned its strategy aiming at the collapse of our liberal democracy. Second, the National Security Law has been constantly improving through the process of revising the law seven times and the precedents of the Supreme Court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Third, North Korea maintains a harsher legal system for anti-state crimes based on communism and major nations in the world maintain security-related legislation. Finally, if there is an unreasonable part of the National Security Law,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make a preemptive supplement.

      • 국가보안법상 반국가단체 활동동조죄의 위헌성

        여경수(Yeo, Gyeong-Su) 전남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2019 인권법평론 Vol.- No.22

        이 글에서는 국가보안법상 반국가단체 활동동조죄와 관련된 헌법재판소의 결정(헌재 2018. 3. 29. 2016헌바361)을 중심으로, 해당 조문의 위헌성을 분석하고자한다. 국가보안법 제7조에서는, ‘찬양・고무・선전 또는 이에 동조하거나 국가변 란을 선전・선동한 자는 7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는 규정이 있다. 이 규정과 관련된 위헌성에 관한 문제가 우리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이글에서는 국가보안법상 반국가단체 활동동조죄 규정이 헌법상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지 여부와 명확성의 원칙에 위반되는지의 여부가 논점이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첫째, 반국가단체 활동동조죄에서 ‘동조’행위 자체로는 우리나라의 국가안보에 관한 실질적인 해악을 끼칠 명백한 위험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럼 에도, 동조행위를 형사처벌 하는 것은 헌법 제21조에서 보장하는 표현의 자유를 지나치게 제한한다. 반국가단체 활동동조죄에서 ‘동조’의 의미가 불명확하다. 판례의 해석에 따르면, 반국가단체 활동동조죄는 “반국가단체의 선전・선동과 그 활동과 동일한 내용의 주장을 하거나 이에 합치되는 행위를 하여 반국가단체 등의 활동에 호응・가세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 개념의 불명확성로 인해 서는 수사기관이나 법원의 자의적인 개입이 가능하다. 반국가단체 활동동 조죄는 헌법 제12조와 제13조에 근거한 죄형법정주의에서 파생되는 명확 성의 원칙에 위배되는지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 글은 궁극적으로는, 국가보안법상 반국가단체 활동동조죄의 입법적인 개선작업의 연구 자료가 되고자한다. This article aims at examining the crime of Sympathy with anti-state groups of the National Security Law. The National Security Law was enacted on December 1, 1948. A major criticism of the National Security Law is that it is a blatant violation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standards and constitution. This thesis focused on the constitutional court of the National Security Law. Probably the most-criticized section of the National Security Law is Article 7, which punishes those praising or sympathizing with an anti-state group. Those who praise, encourage or propagate with an anti-state group will be imprisoned up to seven years. 1. The action of in concert with pro-enemy does not, in itself, contain the possibility of distribution, and it is hardly perceived as a risk to the existence and security of the state. Hence, the part propagate with in the Pro-Enemy Actions Clause fails to fulfill the least restrictive means requirement. Hence, propagate with in the Pro-Enemy Actions provision infringes on the freedom of expression, ultimately violating the Constitution. At the international level, the right to freedom of expression is recognised under article 19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and guaranteed by article 19 ICCPR. Domestically, the freedom of speech, press, assembly and association as well as the freedom of conscience are enshrined in the Constitution.2. The sympathy with anti-state groups in clause of the National Security Law refers to working in cooperation with or joining the activities of anti-state organizations, etc. by echoing or acting along the same lines of those activities such as propagation and instigation. National Security Law has long been criticised by international and national experts for its unclear phrasing that allows for a broad interpretation. Words such as “Sympathy” are not defined clearly in the law. The rule of clarity under the principle of nulla poena sine lege. The article 12 clause, the article 13 of the constitution carry the banner of this principle. The principle that there must be no crime or punishment except in accordance with fixed, predetermined law, which guarantee function of rule of law. Hence, The “Sympathy with anti-state groups” Clause violates the void-for-vagueness doctrine as a requirement for the nulla poena sine lege principle. The propagate with anti-state groups in the Pro-Enemy Actions Clause of the National Security Law should be amended to conform to the constitution. The National Assembly must urgently amend article 7 as to make it compatible with the constitutional rights of citizens such as freedom of expression.

      • 학술논문 : 국가안보체제 확립 방안 -국가안보 기본법이 필요하다-

        손수태 ( Soo Tae Sohn ) 한국군사학회 2015 군사논단 Vol.84 No.-

        This study is to analyze Korea``s National Security System and suggest an alternative to it. Korea has some vulnerabilities that divide public opinion triggered by inter-Korean conflicts and leadership changes in relation to political tendencies. In order to buildup of national power, South Korea must upgrade the national security law and system and, therefore improve efficient control tower and mechanism. South Korea conducts the tasks on the Organization of National Armed Forces, the Conscription System, National Mobilization, running Intelligence Agencies and National Security Tasks legislated by each department. It is necessary to make a ``National Security Basic Law`` controlled by national security agency. It can enact or dispose a law. The working-level departments in the National Security Agency which are supported and strengthened by ``National Security Basic Law`` can execute control tower roles designated by ``National Security Basic Law``. National Security System secures nation``s legitimacy and national identity. It is provided by an institutional strategies and supported by leadership of National Assembly and the President. The government makes persistent efforts to strengthen national security consciousness and national unity.

      • KCI등재

        뉴테러리즘에 대한 안보형사법 체계 재정립 :「국민보호와 공공안전을 위한 테러방지법」에 의해 처벌될 수 없는 테러범죄 유형들을 중점으로

        손창현 한국테러학회 2023 한국테러학회보 Vol.16 No.2

        In the global trend of actively responding to new terrorism, such as enacting anti-terrorism laws in the form of 'hostile criminal law' or revising existing laws, the Republic of Korea is also a legislative device to respond to terrorist crimes in 2016. On February 2, the 「Anti-Terrorism Act for National Protection and Public Safety」was enacted. However, as the current security and criminal law does not cover all actors of terrorist crime, the boundaries of the punishment targets are very ambiguous, and each position in the legal system is shaking. In the special security situ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where the terrorist threats of international terrorist crime organizations and the terrorist threats of North Korea, a warring partner in a state of armistice, exist, the security and criminal law system of the Republic of Korea can effectively respond to all types of terrorist crimes.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targets and roles of the “Anti-Terrorism Act for Safety””Criminal Law”“National Security Act”.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problems of the current security and criminal law system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Anti-Terrorism Act for National Protection and Public Safety」. After judging whether criminal types can be punished by the existing「Criminal Law」, the limitations of「Criminal Law」were pointed out. Third, the types of terrorist crimes that could not be punished by the「Anti-Terrorism Act for National Protection and Public Safety」After determining whether punishment is possible under the「National Security Act」, it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the「National Security Act」. 세계 각 국이 ‘적대형법’ 성격의 테러방지법을 제정하거나 기존의 법률을 개정하는 등 뉴테러리즘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하는 세계적 추세 속에서, 대한민국 역시 테러범죄에 대응하기 위한 입법적 장치로서 2016년 3월 2일「국민보호와 공공안전을 위한 테러방지법」이 제정되었다. 하지만 테러범죄의 모든 행위주체들을 포괄하지 못하면서, 現 안보형사법은 그 처벌대상의 경계선이 매우 모호해져 법체계에서 각각의 위치가 흔들리고 있는 실정이다. 국제 테러범죄조직의 테러위협과 휴전상태의 교전상대국인 북한의 테러위협이 상존하는 대한민국의 특수한 안보상황 속에서, 대한민국의 안보형사법 체계가 모든 테러범죄 유형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국민보호와 공공안전을 위한 테러방지법」「형법」「국가보안법」의 적용 대상과 역할을 분명하게 하는 것이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이에 이 연구는 첫째,「국민보호와 공공안전을 위한 테러방지법」의 한계점으로 인한 現 안보형사법 체계의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둘째,「국민보호와 공공안전을 위한 테러방지법」에 의해 처벌될 수 없는 테러범죄 유형들을 기존의「형법」에 의해 처벌 가능한지를 판단한 후 그에 따른「형법」의 한계점을 지적하였고 셋째,「국민보호와 공공안전을 위한 테러방지법」에 의해 처벌될 수 없는 테러범죄 유형들을 기존의「국가보안법」에 의해 처벌 가능한지를 판단한 후 그에 따른「국가보안법」의 한계점을 지적하였고 마지막으로, 남북분단의 특수한 안보환경을 고려한 대한민국만의 대테러 체계를 제시하며 이에 따른 안보형사법의 정비 방향들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국가안보 패러다임의 변화와 정보 · 수사 융합에 대한 법규범적 연구

        한희원(Han, Hee Won) 한국법학회 2017 법학연구 Vol.66 No.-

        1991년 냉전 종식 이후 국가안보 성격과 패러다임은 크게 변했다. 현대국가의 국가안보 패러다임은 전쟁(warfighting)에서 범죄와의 전투(crimefighting)로 묘사된다. 국가정보는 주권국가 국가안보 정책에의 서비스 자료이다. 그러므로 국가안보의 성격이나 방향의 변화에 따라 서 정보의 방향성이나 조직체계도 변모하게 된다. 오늘날 정보기구는 국가안보를 위협하는 수준의 범죄와의 전투도 주된 임무로 부여받았다. 물론 우리의 경우에는 북한과의 전쟁도 현실이고 전쟁에 대한 예지력 발휘와 대응은 정보기구의 가장 중요한 임무이다. 결론적으로 냉전시대와는 비교할 수 없는 다양한 안보위협세력의 등장과 세계의 글로벌화는 정보와 수사의 밀접한 융합을 요청한다. 그럴 경우에만 변모된 안보위협세력으로부터 주권국가의 안전을 수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고는 이를 법치적 관점에서 천착한다. Nowadays, not only traditional national security crimes but also so called supra-national security threats like terrorism, international organized crime, cyber security threats, weapons of mass destruction proliferation pose realistic and direct threats to the national security. The end of the Cold War was not a end of intelligence consume. On the contrary it has changed the nature of the threats to our national security profoundly. Transnational phenomena such as terrorism, narcotics trafficking, alien smuggling, and the smuggling of nuclear material have been recognized to have profound security implications for many sovereign states. These so-called new security threats issues have been placed under the broad label of supranational security threats which demand collaboration between intelligence and law enforcement. Those issues have changed not only the policy discourse but it also has changed the exercise of public power of sovereign states. However a growing gap between traditional security concepts and paradigms and the contemporary practice of security policy and public power has brought many absurd and unreasonable results. Most of them are increasingly defining their security interests more in terms of crimefighting than in terms of warfighting, and more in terms of deterring law evasions and fusion between law enforcement and intelligence and than in terms of deterring military invasions. From all those point of views, in this thesis, I examine how the coercive apparatus of the state has been reconfigured and redeployed, especially after the cold war period. Specifically, I trace the growing fusion between law enforcement and national security missions, institutions, strategies, and technologies in U.S.A. This thesis explores the consequences of these changes for the traditional agenda of security studies, and argue that these changes reflect both a militarization of policing and a domestication of soldiering too. This Article examines four categories of national security crimes treason, espionage, sabotage, and terrorism and the applicable statutes available to combat these threats. For effective investigation against national security crimes, combination with other information is essential, such as that of policy community, national intelligence: which forewarns threats to national security; provides support and protection to our forces; strengthens our efforts against terrorism and spies. This article contains details of the other country’s experiences and intelligence reform effort for the practical lessons to 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