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읽기 저성취 중학생의 읽기 과정상의 특징 연구 - 읽기에 소요된 시간과 읽기 점검 활동을 중심으로

        김경환 ( Kim Kyoung-hwa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3 한국어문교육 Vol.43 No.-

        본 연구의 목적은 읽기 저성취 중학생의 읽기 과정에 나타난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표준화된 읽기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읽기 저성취 중학생 6명과 읽기 성취 수준이 높은 학생 1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 학생들에게 어휘와 내용 오류가 포함된 자료 3개를 제공하고, 읽기 과정을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 저성취 중학생의 읽기 과정에 소요된 시간은 자신이 생각하는 글 분량, 누적된 읽기 분량 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읽기 저성취 중학생은 읽기 이해 점검 과정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셋째, 회귀적인 과정을 통해 내용 파악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동시에 핵심 내용을 효과적으로 찾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읽기 유창성 측면에서 정확성보다 속도가 부각되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읽기 저성취 중학생의 읽기 과정에 나타난 특징을 ‘낮은 지속성’으로 정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ading process of low-achieving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study selected six low-achievi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one high-achieving student, using a standardized reading test tool. Three materials including vocabulary and content errors were provided to the students selected for the study, and their reading process was observ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ading process of low-achieving middle school students differed depending on the amount of writing, and the accumulated amount of reading. Second, low-achieving middle school students in reading did not appear to pay attention to the reading comprehension check process. Third, it was found that even when they were making efforts to grasp the contents through a recursive process, they could not find the core contents effectively. Fourth, in terms of reading fluency, speed, rather than accuracy, was highlighted. By combining the research results, ‘Low persistence’ was summarized as a characteristic of the reading process of low-achieving middle school students in reading.

      • KCI등재

        학습부진 중학생의 자기개념 프로파일과 가정 및 학교환경 변인의 영향

        김동일(Dongil Kim),임진형(Jinhyung Lim)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21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30 No.1

        본 연구는 학습부진 중학생이 가지는 자기개념의 프로파일을 살펴보고, 프로파일별로 가정 및 학교환경 변인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KELS 2013’의 4차연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잠재 프로파일 분석과 다항 로짓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습부진 중학생의 자기개념은 전반적 높은 수준 집단, 가족 우세 집단, 평균 수준 집단, 전반적 낮은 수준 집단의 4가지 프로파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가정 및 학교환경 변인이 자기개념 프로파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전반적 낮은 집단을 준거로 삼았을 때 전반적 높은 집단에 속하는 데에는 모든 환경 변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가족 우세 집단에 속하는 데에는 부모 상호작용, 부모 정서 지원, 부모 애착, 교우관계가 영향을 미쳤으며, 평균 집단에 속하는 데에는 부모 정서 지원, 부모 애착, 교우관계가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부진 학생의 자기개념 향상을 위한 교육적 중재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elf-concept profiles of middle school low achievers, and investigate the effect of home and school environment on each profile. Latent profile analysis an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were conducted by using the fourth year data of ‘KELS 2013’.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lf-concept profile of middle school low achievers was classified into four groups; high-level balanced group, family dominant group, middle-level balanced group, and low-level balanced group. The results of the effect of environmental variables on self-concept profiles showed that all environmental variables had an impact on being high-level balanced group, when the low-level balanced group was the reference group. Interaction with parents, parental emotional support, attachment, and peer relationship had effects on being family dominant group, while only parental emotional support, attachment, and peer relationship had influences on being middle-level balanced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s to enhance low achieving students’ self-concept were discussed.

      • KCI등재

        Mental Health of Middle School Low Achieving Students and the Impact of Person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임진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mental health between middle school low achieving students and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explore person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mental health. For the study, 1,151 low achieving students and 5,488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were selected from the fourth year data of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2013’ which were collected in 2016, and conducted two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low achieving students revealed statistically higher level of anxiety, depression, and suicidal impulse than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Furthermore, personal variables(gender, physical and academic self-concept, amotivation), home environment variables(interaction with parents, emotional support of parents, parental attachment), and school environment variables(teacher-student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 classroom climate,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had statistically meaningful effects on the mental health of middle school low achieving students. From the results above, discuss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y were described.

      • KCI등재

        중학생의 수학 학업 저성취 영향요인 분석

        임혜정,최윤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3

        목적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수학 학업 저성취 영향요인을 규명하고 실효성 있는 기초학력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방법 경기교육종단연구 초4패널 4-6차 데이터를 이용해 중학교 3년 시기에 해당되는 5,376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행연구분석을 통해 개인특성, 가정배경, 학교맥락 요인 등 다양한 영향요인이 독립변수로 설정되었으며, 고정효과와 확률효과 모형의 장점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모형을 적용하였다. 종속변수는 수학 학업 저성취 수준으로 하위 20% 미만에 해당되는지 여부인 이분형 변수이기 때문에 패널로짓모형이 설정되었다. 결과 개인 내 변화량 중에서는 학습무동기와 수학수업태도가 수학 학업 저성취 가능성에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개인 간 요인중에서는 기대교육수준, 스마트 기기 학습용 및 비학습용 사용 정도, 가정 소득수준 및 부모 학력, 수학 사교육 여부, 수학수업태도, 방과후학교 참여, 학교의 성적으로 인한 차별적 풍토, 읍면 지역과 같은 변수가 학생의 수학 학업 저성취 가능성에 유의한 영향력을발휘하고 있었다. 결론 수학 학업 저성취 가능성에 대해 유의한 영향력이 확인된 변인들을 중심으로 기초학력 보장 종합계획 과 같은 구체적인 정책설계 방향과 연계하여 현장 적용 가능한 실효성 있는 교육적 개입 방향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