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좋은 법률’을 통한 헌법가치 및 공익실현 방안에 관한 연구

        고인석 동국대학교 비교법문화연구소 2022 比較法硏究 Vol.22 No.2

        The change in social structure to ICT-based society is also easily seen in the area of legislation as well as information access through the Internet and expression of legislative intentions. The activation of Internet use leads to active public opinion and legislative desire based on the interests of the public regarding specific legislation, leading to legislative conflicts. Until now, various legislative principles and theories have been established to resolve legislative conflicts and strengthen the efficiency of legislation. As an institutional mechanism for the realization of "good legislation," the legislative notice system, legislative hearings, and legislative evaluation have been applied during the legislative process. However, The goal for “good legislation” is often a distorted phenomenon that fails to meet the people's legislative needs due to the lack of public opinion formation and influence, legislative lobbying, and public participation channels. Measures to realize “good legislation” will be implemented by improving legislative procedures to expand public participation and reflect active public opinion in the course of legislation. ICT 기반사회로의 사회구조의 변화는 입법의 영역에서도 인터넷을 통한 정책에 대한 정보접근과 정책과 관련한 입법의사의 발현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특정입법에 관하여 국민의 이해관계에 따른 적극적 입법의견제시와 입법관여자의 입법욕구가 과도하게 분출하여 첨예한 입법갈등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그동안 국내 입법학 연구분야에서 입법갈등해소와 입법의 효율성 달성방안 차원에서 다양한 입법이론과 입법원칙이 상당히 정비되고 체계화되어 왔으며, ‘좋은 법률’의 실현을 위한 제도적 장치로서 정부입법계획, 입법공청회, 입법청문회, 입법예고제도, 법안심사제도, 입법평가제도 등이 체계적으로 입법과정에 적용되어왔다. 그러나 여전히 ‘좋은 법률’의 달성을 위한 목표는 입법과정에서의 특정 이해관계집단의 여론 형성력과 영향력, 입법로비, 국민의 입법참여제도의 부족 등으로 국민의 다양한 입법욕구에 부응하지 못하고 특정법률의 제·개정시 왜곡된 입법현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상당히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좋은 법률’의 실현을 위한 입법의 원칙준수, 입법과정의 개선과 입법의 효율성 강화방안에 관하여 입법절차의 개선과 질적 입법의 달성을 위한 제도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국민의 입법참여 확대를 위한 정부입법예고제도 개선 방안

        방극봉 忠南大學校 法學硏究所 2021 法學硏究 Vol.32 No.2

        The legislative notice system is a system that informs the public of the contents of legislation before legislation. Its purpose is to reflect the opinion of the people in the legislation, and it is used as a useful means of democratic legislation that guarantees the people’s participation in legislation. In Korea, it was first introduced by the government in 1983, and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only system in which the people can participate in the government legislative process. At the time of its initial introduction, it was operated on a limited basis due to the passive attitude of the public officials of each ministry concerned about the weight of the legislative work. Since then, it has undergone a gradual development process through expansion of the subject of the legislative notice, the range of persons who can submit opinions, and the period of legislative notice, and it is now reaching the present.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peoples’ participation in legislation, the current system is still evaluated to be inadequate. In order to collect the opinions of the people on the legislation, it is of utmost importance to create conditions for the people to actively submit their opinions. Therefore, several improvements are needed in order to expand the participation of the people and develop into a government legislative notice system that serves democratic legisla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formation on legislation as easily, accurately and as abundantly as possible. Second, the reasons for omitting excessively widespread legislative notices should be drastically reduced, and even if there are special circumstances, the opportunity for the public to submit opinions on the legislative proposal should not be overly limited. Third, it is a very important task to synthesize and organize what opinions the people submitted and how they handled the proposed legislation, and publicize them so that all the people can know. 입법예고제도란 입법에 앞서 입법안의 내용을 국민에게 미리 알리는 제도를 말한다. 그 목적은 입법에 국민의 의사를 반영하려는 데 있으며, 국민의 입법참여를 보장하는 민주적 입법의 유용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83년 정부에 의하여 처음 도입되었고 정부입법절차에서 국민이 참여할 수 있는 사실상 유일한 제도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최초 도입 시에는 입법업무의 가중을 우려한 각 부처 공무원들의 소극적인 태도로 인하여 제한적으로 운영되었으나, 이후 입법예고의 대상, 의견을 제출할 수 있는 자의 범위, 입법예고 기간 등의 확대를 통한 점진적 발전 과정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국민의 입법참여라는 관점에서 보면 현행 정부입법예고제도는 여전히 미흡하다고 평가된다. 입법안에 관한 국민의 의견을 실질적으로 수렴하기 위해서는 국민이 적극적으로 의견을 제출하고자 하는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국민의 참여를 확대하여 민주적 입법에 봉사하는 정부입법예고제도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몇 가지 개선이 필요하다. 첫째, 입법안에 관한 정보를 최대한 쉽게, 정확하게, 풍부하게 제공하고, 입법예고의 대상도 확대하여야 한다. 둘째, 지나치게 광범위한 입법예고 생략사유를 대폭 축소하고, 특별한 사정이 있어 입법예고기간을 단축하는 경우에도 국민이 입법안에 대하여 의견을 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지나치게 제한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예고된 입법안에 대하여 국민이 어떠한 의견을 제출하였는지, 제출한 의견을 어떻게 처리하였는지를 종합·정리하여 국민 모두가 알 수 있도록 공표하는 것도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 KCI등재

        입법과정의 개선을 통한 ‘최적화 법률’의 달성방안 연구

        고인석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22 법률실무연구 Vol.10 No.4

        The eruption of people's desire for various policie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and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economy and the rise of beneficial legislative desire for their interest groups are leading to conflicts and conflicts over legislation. Legislative conflicts are leading to the cause of poor legislation by hindering the 'justification and effectiveness of legisl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neficiary group and the burden group over legislation leads to conflicts and conflicts among members of the social community, which acts as a cause of mutual distrust and antagonism among classes and groups, and is a major obstacle to social development. Legislation that resolves legislative conflicts that cause poor legislation and reflects various legislative intentions and lifestyles of the people means "optimization law" as a "good law." Efforts to improve the legislative process to quality legislation will enable the achievement of 'good laws' and 'optimization laws'. In this paper, we will review the causes of legislative conflicts and poor legislation in Korea's legislative process to suggest alternatives to achieve 'good laws' or 'optimization laws' that can guarantee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legislation. 그동안의 민주주의의 발전과 국가경제의 발전에 기반한 국민의 다양한 정책에 대한 욕구의 분출과 자신이 속한 이해관계집단에 대한 수혜적인 입법욕구의 상승은 입법에 대한 갈등과 충돌현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입법갈등은 ‘입법의 정당성과 실효성’을 저해함으로써 부실입법의 원인으로 이어지고 있다. 입법을 둘러싼 수혜자집단과 부담자집단의 관계는 사회공동체 구성원들의 갈등과 충돌로 이어져 계층간·집단간 갈등속에 상호불신과 반목의 원인으로 작용하여 사회발전의 큰 저해요인이 되고 있다. 부실입법의 원인이 되는 입법갈등을 해소하고 국민의 다양한 입법의사와 삶의 양태를 수렴하여 반영한 입법이 바로 ‘좋은 법률’로서의 ‘최적화 법률’을 의미한다. ‘좋은 법률’로서의 ‘최적화 법률’의 달성은 한나라의 역사적·문화적 경험을 반영한 헌법적 가치와 공익실현의 목표하에 입법과정이 진행될 때 가능한 부분이다. 국민의 다양한 입법참여제도의 구축과 입법평가제도의 활성화를 통한 입법의 입안에서 집행에 이르기까지 체계적 관리가 수반될 때 경쟁력 있는 질적 입법의 보장이 가능할 것이다. 원천적으로 완벽한 입법의 달성은 불가능하다. 입법과정에서 끊임없는 질적 입법으로의 개선을 위한 노력이 ‘좋은 법률’ 및 ‘최적화 법률’의 달성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 한국의 입법과정에서 나타나는 입법갈등과 부실입법의 원인을 검토하여 입법의 실효성과 효율성을 담보할 수 있는 ‘좋은 법률’ 또는 ‘최적화 법률’의 달성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스위스와 독일의 지방자치단체의 입법참여에 관한 고찰

        류지웅 유럽헌법학회 2023 유럽헌법연구 Vol.- No.4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legal systems of Switzerland and Germany to expand the participation of local governments in legislation in Korea. Today, opinions and participation of local governments are expanding through the strengthening of local autonomy and the expansion of decentralization. Currently, in Korea, local governments can indirectly present their opinions, participate in public hearings, hearings, etc. through the Local Autonomy Act, the National Assembly Act, and the legislative operation regulations, and these procedures remain objects, not subjects. In order to improve thi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legal systems of Switzerland and Germany, where local governments and local government associations are actively participating as legislators and related parties in relation to autonomy, and review their implications for Korea. In the case of Switzerland, Kenton is widely recognized for his participation in legislation. To this end, the federal constitution stipulates in detail. Legislative participation is also recognized by expanding diplomatic affairs, and strong legislative participation is promoted through the right to request a referendum, and similar to Germany, federal senators can be formed as representatives of Canton to participate in parliamentary legislation.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gislative participation systems of Swiss and German local government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re shown. First, legislative participation in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National Assembly is very actively recognized. On the other hand, in Germany, local governments and associations of local governments generally recognize limited and passive participation in legislation in the National Assembly. However, as a supplement to this, local governments are actively realizing legislative participation in the National Assembly through the exercise of members of the Federal Council or the right to vote. In Switzerland and Germany, the scope of affairs related to local governments is widely recognized for the scope of legislation that local governments and local government councils can participate in, but legislative participation is not limited to legislation, but even zero, rules, and plans are recognized. In order for local governments and local government councils to actively present their opinions on local autonomy and improve the legal system, including legislative participation by local governments It is thought that allowing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at the same national level to participate in actual state legislation and policies as State Council members could be a way to expand the institutional guarantees of local governments guaranteed under the constitution.

      • KCI등재

        미국의 부동산권리와 등기제도

        변우주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학회 2022 民事法理論과 實務 Vol.26 No.1

        법제의 통일화 요청이 있는 계약법 영역과는 달리 부동산 등 기제도와 같은 물권법은 각국의 관습과 전통에 기반을 두고 규 율되고 있다는 점에서 영미의 등기제도는 우리나라와는 본질적 으로 차이가 많은 부분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 우리 법제에서 의 등기제도에 관한 연구는 영미법계의 부동산 등기제도에 대 해서는 관심이 덜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미 국의 상호관계와 그 밀접성을 고려할 때 미국의 법제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과 지속적인 관심의 필요성은 다른 법제에의 비 교연구에 비해 결코 뒤처지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또한, 해외 부동산 취득의 관심 증가에 따라 미국에 거주하는 우리 교민을 비롯하여 국내 거주자인 우리 국민의 재산권 보호의 필요성을 고려할 때에, 미국의 부동산법제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이 있다. 다만, 미국에서의 부동산 권리의 내용으로서 소유 또는 소유 권에 관한 개념은 우리의 법제와 상당히 다를 뿐만 아니라 그 유형이 세분화되어 있으며, 또한 연방제 국가인 이유로 각 주 (州)마다의 부동산에 관한 입법이 다양하여, 미국 전체의 부동 산법제의 일반론을 도출하는 것도 쉽지 않다. 뿐만아니라, 미국 의 부동산등기제도는 우리나라의 부동산등기제도가 모범으로 삼았던 독일, 프랑스의 제도와는 달리 미정비 상태에 있는 부분 이 많은 반면 이에 따라 독특한 발전을 이루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미국 부동산등기제도의 중심을 이루는 것은 증서등록제도 (Recording System)이다. 이 제도의 기원은 미국 식민지 시대 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며 공시제도로서는 전근대적인 것이 라 할 수 있어 많은 결점을 가지고 있다. 미국과 같은 고도로 발달한 자본주의 국가에서 이러한 전근대적 제도가 계속되고 있다는 것 자체가 의외이지만, 이를 지속하게 해주는 가장 큰 이유로 부동산 권원보험(Title Insurance)의 존재를 들 수 있 다. 그러나 부동산 권원보험은 증서등록제도의 결함을 근본적으 로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미봉책에 불과하며, 부동산 권원보험 이 보급될수록 증서등록제도의 근본적인 개선이 어려워져 미국 부동산등기제도의 근대화는 멀어지게 되는 딜레마에 빠지게 된 다는 문제도 있다. 본고에서는 미국 부동산등기제도에 관한 특징을 이해하기 위 해, 미국에서의 부동산의 개념 및 부동산권리에 관한 유형을 검 토하고, 부동산 거래의 과정에서의 부동산 양도증서의 등록과정 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Real rights laws such as the real estate registration system are regulated based on the customs and traditions of each country. In this respect, the British-American registration system is essentially different from Korea. Accordingly, it is true that there was less interest in the real estate registration system of the British and American in the past. There is a great need to understand the U.S. real estate legislation in that interest in overseas real estate is increasing and the need for protection of Korean residents is requested. However, the concept of ownership or ownership as the content of real estate rights in the United States is not only quite different from our legislation, but its type is subdivided. The center of the U.S. real estate registration system is the Recording System. The role of the U.S. ‘Recording System’, which contains the registration of ‘deed’, is to stabilize and clarify rights relations. It can be said that the purpose and function of the registration system in Korea are similar. In this pap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 real estate registration system, the concept of real estate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type of real estate rights were reviewed. In addition, the registration of ‘deed’ in the process of real estate transactions was reviewed.

      • KCI등재

        공개수배제도의 입법화 내용에 관한 연구

        문봉규(Moon, Bong-Gyu) 한국형사법학회 2013 刑事法硏究 Vol.25 No.1

        Most wanted system for the criminal suspects is a way of investigation used in order to arrest them effectively at an early stage. In particular, in case of committing grave crimes focused on big social interests, investigation agency shall open the case to the public through mass media in order to catch wanted persons as soon as possible. A big issue raised is that it is possible for investigation authority to violate the right of wanted person legally protected such as not opening of criminal record and of his/her private life including violating the principle of innocent presumption. It is also possible for wanted person to be stigmatized the criminal as well as to open his/her name, picture, family relations, and privacy to the public through mass media before taking final judgement as a guilty. It is therefore possible for wanted person to violate his/her human rights much more valuable than detention or any kind of criminal penalty. In order to solve this issue raised, the best alternative plan makes an legislation on wanted system. Legislation on wanted system should be included investigation agency related, stringent requirements for wanted, the scope of mass media(ex, radio, television, newspapers, internet, poster, etc), the period of official notice, reasons of revocation, and so on.

      • KCI등재

        일반법 논문 : 공개수배제도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문봉규 ( Bong Gyu Moon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法學硏究 Vol.18 No.3

        수배제도는 도주하는 범죄피의자를 조기에 효율적으로 체포하기 위하여 운영되는 수사기법이다. 우리나라에서 운영되고 있는 수배제도는 경찰청 훈령인 범죄수사규칙과 예규인 지명수배규칙 등에 근거하여 지명수배, 지명통보, 공개수배 등이 행사되고 있다. 수사기관은 도주하는 범죄피의자(수배자)를 조기에 체포하지 못할 경우 또는 사회적 관심과 이목을 집중시키는 강력사건일 경우에 보충적 수단으로 수배자의 범죄사실, 성명 등을 매스컴 등에 공개한다. 수사기관에서 수배자를 공개하는 주된 목적은 범죄피의자를 조기에 체포하여 2차적인 동일한 또는 유사한 범죄피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부족한 범죄관련 정보를 시민들에게 구하여 어떠한 범죄라도 강력하게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기 위함이다. 문제는 수사기관에서 수배자의 신상정보를 공개할 때에 형사소송법상 근거법률의 부재로 인하여 무죄추정의 법리를 포함하여 피의사실공표죄에 해당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유죄로 확정판결이 되기도 전에 범죄피의자 자신의 이름과 사진뿐만 아니라 그의 전과사실 같은 과거 경력이나 가족관계 또는 이성 관계 같은 사생활을 공개함으로써 법원의 최종적인 유죄의 확정판결을 받기도 전에 범죄자라는 낙인이 찍히게 된다. 따라서 공개수배자는 구속이나 형벌보다도 더 중대한 수배자의 인권을 침해당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대안은 수배제도에 대한 근거 법률을 입법화하는 것이다. Most wanted system for the criminal suspects operating by police is a way of investigating used in order to arrest them effectively at an early stage. The kind of most wanted persons divide into most wanted criminal suspects, most wanted criminal suspects reported to the public, and wanted criminal suspects reported to the policemen based on criminal investigation rule as an instruction and wanted criminal rule as an established rule enacted respectively by Police Authority. Investigating authority can open valuable information on the most wanted person such as name, facts constituting an offence to the public through mass media if he/she is not arrested by police at an early state. In particular, in case of committing grave crimes focused on big social interests, investigating authority shall open the case to the public through mass media in order to catch the fugitive criminal as soon as possible. There are two main objects of opening the criminal suspects to the public through mass media. One is to protect innocent people from the damage of same or similar crimes. The other is not only to show strong will of investigating authority for arresting the fugitive criminal suspects to the public but also to request ordinary people of the valuabl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rime. A big issue raised is that it is possible for investigating authority to violate the right of most wanted person legally protected such as a crime of publication of facts of suspected crime including violating the principle of innocent presumption. It is also possible for wanted person to be stigmatized the criminal suspects as well as to open his/her name, picture, family relations, privacy, and so on to the public through mass media before taking final judgement as a guilty. It is therefore possible for most wanted person to violate his/her human rights much more valuable than detention or any kind of criminal penalty. In order to solve this issue raised, the best alternative plan makes an legislation on most wanted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