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이 지각한 통제소재, 부모학습관여, 성취목표지향 수준에 따른 학습몰입의 차이

        김미경(Kim, Mi-Kyung),조규판(Cho, Gyu-P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통제소재, 부모학습관여, 성취목표지향 수준에 따른 학습몰입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부산시 소재 중학생 307명을 대상으로 통제소재, 부모학습관여, 성취목표지향 수준에 따라 학습몰입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통제소재, 부모학습관여, 성취목표지향성을 상, 하 수준으로 범주화하였고 수준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통제소재에 따라 학습몰입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내적 통제소재 수준이 높은학생이 학습몰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적 통제소재 수준이 낮은 학생이 학습몰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학습관여에 따라 학습몰입의 차이가 있다. 학습정보제공 및 조언, 학습방식 존중 수준이 높은 학생이 학습몰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성과 압력 수준에 따른 학습몰입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취목표지향에 따라 학습몰입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수행접근, 수행회피, 숙달접근, 숙달회피 수준이 높은 학생이 학습몰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내재적 통제소재가 높을수록, 부모학습관여가 긍정적인 관여일수록, 성취목표지향이 높을수록 학습몰입의 수준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In this study, it is examined that the differences of learning flow by the level of locus of control, parental academic involvement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with 307 middle school students in Busan, locus of control, parental academic involvement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re categorized as high, low level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learning flow by the level of locus of control, parental academic involvement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the independent t-test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y the level. Results Firs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flow by the locus of control. It was found that students with a high level of internal locus of control have a high level of learning flow, and students with a low level of external locus of control have a high level of learning flow. Second, there is difference in learning flow by the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It was found that students with high levels of providing and advising learning information and respect of the learning method have a high level of learning flow, and the difference in learning flow by the level of pressure for learning performance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flow by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t was found that students with high levels of performance approach, performance avoidance, mastery approach and mastery avoidance have a high level of learning flow. Conclusions The level of learning flow is higher when the locus of control is higher, parental academic involvement is more positive one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s higher.

      • KCI등재

        대학생의 사회적지지와 자기주도학습 간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노수림,배성아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12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elf-directed learn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in this relationship. A total of 236 university students completed a survey consisting of measures of social support,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flow.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se variables, and social support and learning flow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self-directed learning when controlling for gender. A bootstrap approach was used to assess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l support had a direct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and that learning flow mediated this effect. Moreover,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flow mediated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self-directed learn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undergraduates who perceive high social support tend to experience high cognitive and affective flow during learning, and high learning flow may lead to high levels of self-directed learning. Thu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nfluence of learning flow in the social support environment to promote self-directed learning in university student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적지지가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36명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 척도, 자기주도학습 척도, 학습몰입 척도를 실시하였다.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Preacher와 Hayes(2008)가 개발한 SPSS macro를 사용하여 bootstrap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 및 회귀분석 결과 사회적지지,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간에 정적 상관이 있었고, 사회적지지와 학습몰입은 자기주도학습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 검증 결과, 사회적지지가 자기주도학습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고, 사회적지지와 자기주도학습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학습몰입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몰입과 정의적 몰입의 다중매개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이 사회적지지를 높게 지각할수록 자기주도학습 역량이 높고 사회적지지는 학습몰입도를 높여 자기주도학습 역량을 높이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사회적지지는 학습과정에서 인지적 몰입과 정의적 몰입을 높여 자기주도학습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증진을 위해서는 사회적지지 환경 내에서 학습몰입의 영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 KCI등재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몰입요인, 몰입수준, 학업성취 간의 관련성 탐구

        박성익(Park Seong-Ik),김연경(Kim Yeon-Kyo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06 열린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몰입요인들과 몰입수준, 학업성취 간에 관련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규명해 보려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들로서 학습동기관련 요인, 학습과제관련 요인, 상호작용관련 요인으로 분류하였다. 설정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은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을 수강하고 있는 대학생 42명을 표집하였고, 온라인 학습환경을 구축하여 실험을 실시하였고,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실시하였다.<BR>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학습몰입요인들 중에서 학습동기관련 요인으로는 내재적 동기, 학습과제관련 요인으로는 학습과제의 실제성, 상호작용관련 요인으로는 학습자-매체 상호작용이 ‘학습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학습동기관련 요인 중에서 내재적 동기, 학습과제관련 요인 중에서 학습과제의 실제성, 상호작용관련 요인 중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이 ‘학업성취’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내재적 동기와 학습과제 실제성은 학습몰입과 학업성취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넷째, 학습자의 학습몰입은 학업성취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f relationships among learning-flow factors, flow level, achievement under on-line learning environ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steps : ① review on the learning-flow factors which was examined in the earlier studies, ② categorize learning-flow factors into learner"s motivation factors, learning task factors, and interaction factors, ③ build a on-line learning community and conduct an experiment with 42 college students who are taking the "instructional method and educational technology" course in the university, ④ analyse the relationships among learning-flow factors, flow level, achievement under on-line learning environment.<B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BR>  ① Intrinsic motivation among learning motivation related factors, task authenticity among learning task related factors, and learner-media interaction among interaction related factors were found to be critical factors affecting student"s learning-flow.<BR>  ② Intrinsic motivation among learning motivation related factors, task authenticity among learning task related factors, and learner-learner interaction among interaction related factors were essential factors of student"s learning-flow which enhances achievement.<BR>  ③ Learning-flow level was found to be a critical factor affecting achievement.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불일치와 학습몰입의 관계 : 조절초점의 매개효과

        이승태(Lee, SeungTae),장유진(Jang, Yoo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2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자기불일치와 학습몰입의 관계를 검토하고, 이 관계를 조절초점(향상초점, 예방초점)이 매개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전국에 거주하는 4년제 대학의 재학생 및 휴학생을 대상으로 2021년 1월 21일에서 1월 24일까지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30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결과 분석을 위해 SPSS 26.0을 활용해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SPSS PROCESS Macro 3.5의 부트스트래핑 방식으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불일치는 향상초점, 학습몰입과 부적 상관을 보였지만 예방초점과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향상초점은 예방초점과 학습몰입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예방초점도 학습몰입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조절초점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예방초점에 비해 향상초점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컸다. 둘째, 대학생의 자기불일치가 높을수록 학습몰입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자기불일치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향상초점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기불일치가 향상초점을 경유하면 억제된 향상초점으로 인해 학습몰입이 오히려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불일치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예방초점의 매개효과는 억제효과를 발생시켰으나 영향이 유의미하여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불일치가 예방초점을 경유하면 예방초점의 활성화로 학습몰입이 오히려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대학생의 자기불일치가 조절초점을 경유하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의 방향이 달라지므로, 학습몰입을 높이기 위해 자기불일치를 낮추고 향상초점을 높이는 개입이 동시에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discrepancy on learning flow in university studen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regulatory focus, including promotion focus and prevention focus, dur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Methods Three hundred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currently enrolled or on a leave of absence across the country were surveyed through onlin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6.0,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by the bootstrapping method of SPSS PROCESS Macro 3.5. Result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discrepancy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promotion focus and learning flow, whil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with prevention focus. Promotion focu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revention focus and learning flow, and prevention focus also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learning flow.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regulatory focus and learning flow, promotion focus had a greater effect on learning flow than prevention focus. Second, the higher the self-discrepancy of university students, the lower the learning flow. Third, promotion focu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learning flow. When self-discrepancy passed through promotion focus, however, learning flow rather decreased due to the suppressed promotion focus.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learning flow, the mediating effect of prevention focus created a suppression effect. However, the effect was significant and thus partially mediated. When self-discrepancy passed through prevention focus, learning flow rather increased due to the activation of prevention focus. Conclusion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since the direction of the effect on learning flow changes when self-discrepancy passes through regulatory focus, it is necessary to lower self-discrepancy and increase promotion focus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improve learning flow.

      • KCI등재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몰입과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조은미 ( Eun Mi Cho ),한안나 ( Ahn Na Ha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6 No.1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몰입과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효과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학습몰입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2009학년도 2학기 A사이버대학에서 개설된 `인적자원개발론`과목을 수강하는 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사회적 실재감과 학습몰입, 학습효과 변인인 성취도와 참여도, 만족도를 측정하여,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 공변량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사회적 실재감은 학습몰입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인이며(ß= .791), 사회적 실재감의 하위요인에서는 상호지원 및 집중(ß= .477)과 개방적 커뮤니케이션(ß= .259)요인 만이 학습몰입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인임이 밝혀졌다.둘째, 사회적 실재감은 학습자의 성취도(ß= .435), 참여도(ß= .337), 만족도(ß= .764)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셋째,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효과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사회적 실재감은 학습몰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학습몰입을 통해서 학습효과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시사한다.본 연구결과는 사회적 실재감을 높이기 위한 방법이나 학습몰입의 효과를 증진 시키는 방법에 대해 제시하기 보다는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몰입과 학습효과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에 초점을 맞추었다.본 연구는 사회적 실재감과 몰입의 관계,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효과와의 관계, 몰입과 학습효과와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규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 of social presence on learning flow, learning effects in online learning community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 of learning flow on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effects. Data from 150 students who are taking Human resource development subject in the 2nd semester of 2009 at A cyber university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se variables were measured by social presence, learning flow, satisfaction, achievement, and participation of learners. The date was analyzed wi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social presence in online learning community as a variable predicting learning flow proved to be significant(ß= .791), and out of sub-factors of social presence, only mutual support and empathy(ß= .477)and open communication(ß= .259) was a significant variable to predict learning flow. Second, the results of social presence in online learning community as a variable predicting learner`s achievement(ß= .435), participation(ß= .337) and satisfaction(ß= .764) proved to be significant. Third, it was proved that learning flow acted as a mediating variable. That is learning effects appeared to affect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flow. Therefore, learning effects could be evident when learner`s learning flow is high. This study focuses on whether the learner`s social presence has an effect on learning flow and learning effects rather than suggesting methods of stimulating the learner`s socia lpresence, inducing learning flow.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flow,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effects, and learning flow and learning effects are investigated on the whole.

      • KCI등재

        초등학생의 학습성격유형에 따른 학습몰입의 특성

        이윤주(李玧주),지연정(池姸貞)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아시아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습성격유형에 따른 학습몰입의 특성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어, 먼저 초등학교 5학년 120명을 대상으로 학습성격유형, 학습몰입 수준을 검사하여 학습성격유형별 학습몰입의 차이를 하위척도별로 살펴보고, 둘째, 24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인터뷰와 개인심층면담을 통해 학습성격유형별 학습몰입경험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질적 연구방법 중 반복적 비교분석법에 의한 분석과 해석의 절차를 거쳐 연구 결과로 제시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성격유형별로 학습몰입도의 차이가 나타났다. 행동규범탐구형은 학습몰입의 하위요인 중 명확한 목표요인에서, 행동규범이상형은 구체적 피드백요인, 통제감요인, 행위와 의식의 통합요인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평균을 보였다. 둘째, 질적 연구에서는 몰입이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학습성격유형에 따라 아동의 몰입경험의 요소들은 서로 연결되어 다양하고 독특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들은 학습몰입에서 즐거움, 행복함, 성취감을 느꼈으며 부모나 교사, 또래관계, 중요한 타인으로부터 관심과 인정이 주어진 환경에서 더 잘 몰입하였다. 넷째, 아동들은 학교에서 몰입경험을 가장 많이 하였으며 몰입을 자주 경험하는 아동들은 대부분의 활동에서 칭찬과 보상이 주어진 활동에서 더 많은 몰입을 경험하였다. 다섯째, 아동들은 신체적 활동과 흥미와 관심 있는 활동을 통한 즐거움과 성취감이 있을 때 몰입을 경험하였다. 여섯째, 몰입을 인식할 때 더 몰입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아동들은 인터뷰를 하면서 몰입에 대해 집중적으로 생각하게 되면서 더 잘 몰입함을 경험하였다. 이와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상담 및 교육장면에서 본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its effect of learning style learning flow the means depending. The first elementary school 5th grade 120 people targeted learning style, check the of learning flow, learning style the difference between sub scale based on the of learning flow, second, the 24 people targeted focus groups and interviews the learning style and learning flow commitment have collected experience. the collected data is Constant Comparison Method analysis of iterative procedure was presented as the result of a research Study and interpretation are: first, when you compare the overall average learning style and learning flow. actual-spontaneous-routine-conceptual-specific learner of the learning flow sphere ride clear goal of sub factors, and actual-spontaneous-routine-conceptual-global learner of the feedback of the ritual in the relatively higher average integration factors. second, in the context of this qualitative research, learning flow elements of the child"s flow experience, depending on the learning style of natur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variety of unique aspects, and note the difference. third, the flow experience of the children in the enjoyment, happiness, accomplishment, and so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 parent or teacher, couple, attention and recognition from their peers in an environment that is more often given to an flow experience. fourth, the children were the most flow experience at school. praise and reward the more flow experience in a given activity. fifth, children with physical activity and interest, a sense of pleasure and accomplishment through the activities you are interested in, when there was flow experience. sixth, more flow when flow. children involved in the study, and while I think the flow focus on interview techniques better flow experience. as such, information on this study, focusing on counselling and education, and discuss the implication of the scene is limited and suggest the need for subsequent research.

      • KCI등재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 간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

        최미경(Mi-Kyung Choi),조규판(Gyu-Pan Cho) 한국열린교육학회 2022 열린교육연구 Vol.30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간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부산시 소재 B고등학교 학생 29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8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성취목표지향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성취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성취목표지향성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 간의 관계에서 숙달접근목표지향성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다. 셋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 간의 관계에서 수행접근목표지향성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생들의 학습몰입을 촉진하기 위해 성취목표지향성 유형을 고려하여 학교 현장에서 효율적 학습에 대한 교육적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flow of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299 students of B high school located in Busan, and the data of 287 students were finally analyzed.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flow,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he conclusions from the results and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flow,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cond, mastery approach goal orientation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flow. Third, performance approach goal orientation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flow. Based on these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present an educational direction for effective learning in the school field by considering the achievement goal-oriented type in order to promote the learning flow of high school students.

      • KCI등재

        조절초점, 학습몰입,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박혜영(Hye-Young Park) 한국무역연구원 2019 무역연구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on the influence of the regulatory focus variables on learning outcomes. In this study, regulatory focus was set as the independent variable, learning outcomes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learning flow as the mediating variable.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215 university students in South-Korea. The data was analyzed statistically utiliz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SPSS 20.0 and AMOS 20.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omotion focus has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flow. Second, prevention focus was found to be insignificant and negatively related to learning flow. Third, promotion focu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and positively related to learning outcomes. Fourth, prevention focus has a negative influence on learning outcomes. Fifth, learning flow was found to be insignificant and positively related to learning outcomes. The findings suggest that learning flow plays a role by partially mediating between promotion focus and learning outcom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rain learners to adopt regulatory focus in order to improve learners’ learning outcome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they found the new path that leads to a promotion focus and a prevention focus as a factor of learning flow.

      • KCI등재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의 구조분석

        김지운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tructural theoretical model that can explain the learning flow of online distance education participants and to clarify the structural causal relationship among related variables that affect the learning flow of cyber university learners. Study results found a modified final model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it based on the structural research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explained the learning flow of cyber university learners.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flow of cyber university learners, it was found that intrinsic motiv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earning flow. Third,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verifi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flow of cyber university learners, it was found that academic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flow. Fourth, as a result of empirical verifi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 learning flow of cyber university learners, it was found that the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flow. Such research results can be used to suggest a strategic direction for successful settlement and diffusion of a new paradigm of online non-face-to-face distance education, which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본 연구는 온라인 원격교육 참여자의 학습몰입을 설명할 수 있는 구조적 이론모형을 제안하고자,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A사이버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이며, 편의표집으로 대상자를 선정하고 직접설문조사와 우편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수는 272명이며, 분석 방법은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 첫째,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학습몰입을 설명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구조적 연구모형을 기반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적합성을 가지는 수정된 최종모형을 도출하였다. 둘째,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학습몰입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내재적 동기는 학습몰입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검증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습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과 학습몰입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검증 결과,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은 학습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온라인 비대면 원격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한 성공적인 정착과 확산을 위한 전략적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웹기반 평생학습자의 학습플로우 경험의 원인과 결과변수에 대한 연구: 경영학 전공을 중심으로

        박경환 한국경영교육학회 2011 경영교육연구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use and consequence variables of flow experience in learning on the web-based lifelong learner. The participants of the present study were 205 lifelong learner. And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test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The result of this empirical study exhibits that 3 antecedent variables of flow experience in learning- flow conditions(△R^2=.484), autotelic personality(△R^2=.010),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 quality(△R^2=.013)- have positive effects on flow experience in learning. But self-directed learning does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added effects. And flow experience in learning has positive effects on the consequence variables of flow experience in learning- self-reported academic achievement(△R^2=.176), objective academic achievement(△R^2=.11), expected task efficacy(△R^2=.186). Especially, immediate feedback of flow conditions has positive effects on flow experience(43.8%), and sense of control has positive effects on self-reported academic achievement(13.9%), objective academic achievement(8.3%), expected task efficacy(16.5%). How to enhance flow experience in learning on the web-based lifelong learners was discussed on this paper. 본 연구는 경영학전공 웹기반 평생학습자를 대상으로 Csikszentmihalyi의 플로우 이론을 적용하여 학습과정을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하여 205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학습플로우 경험에 미치는 원인변수로서 학습플로우 조건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갖고 있었다(R2=.484). 그 외 웹기반 학습환경의 질과 자기목적적 성격은 유의하였지만 낮은 수준의 설명력의 증가를 가져왔다(△R2=.023). 자기주도학습은 유의한 설명력의 증가가 없었다. 학습플로우 조건의 하위변수 중에서는 즉각적 피드백이 학습플로우 경험의 43.8%를 설명하였다. 학습플로우 경험은 종속변수인 자기보고식 학업성취도(R2=.176), 객관적 학업성취도(△R2=.110), 기대과업수행효능감(△R2=.186)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학습플로우 경험의 하위변수 중에서 통제감이 학업성취도와 기대과업수행효능감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다. 이밖에 본 연구는 경영학 전공 웹기반 평생학습자의 학습플로우 경험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과 학습플로우 경험의 결과에 대하여 상세하게 논의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