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기술환경과 인문 고전

        김재희 한국고전연구학회 2022 한국고전연구 Vol.- No.57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humanities classics in the era of the accelerating Digital Turn. First, in light of L. Floridi’s information philosophy and B. Stiegler’s technology philosophy,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the current digital technology environment is elucidated. Based on this, it highlights the future of the humanities classics in the broader perspective of the PostHumanities that encompasses the Digital Humanities. According to Floridi, the conditions of human life after the computing and information revolution constitute the Infosphere, in which humans and non-humans form a cooperative network as equal informational entities. Stigler focuses on the algorithmic governmentality inherent in this Infosphere and calls for critical vigilance against the weakening of the human intellect. What role should the classics of the humanities play in a digital environment that is moving toward automation and virtualization of the real world? It must aim to recover the creative mental ability overwhelmed by the automated digital system, to uncover the real problems hidden behind the virtual world, and to prepare a new value and meaning of the life of a posthumanizing “human.” Humanities classics should not be limited to simply revitalizing the spirit of the liberal arts in traditional humanities or used for digitalizing humanities texts, but should contribute to discovering and creating the posthumanity that “we who are becoming” should have by triggering critical reflection and a new understanding of “we humans” standing at a historical turning point. 이 논문은 가속화되고 있는 디지털 전환 시대에 요구되는 인문 고전의 역할에 대해 고찰한다. 우선, 플로리디(L. Floridi)의 정보철학과 스티글러(B. Stiegler)의 기술철학에 의거하여 현 단계 디지털 기술환경이 갖는 철학적 의미를 해명한다. 그리고 이에 기초하여, 디지털 인문학을 포괄하는 포스트인문학(PostHumanities)의 더 확장된 전망 속에서 인문 고전의 나아갈 바를 조명한다. 플로리디에 따르면, 컴퓨팅 정보혁명 이후 인간 삶의 조건은 인간과 비인간이 동등한 정보존재자로서 상호협력적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는 인포스피어(Infosphere)가 되었다. 스티글러는 이 인포스피어에 내재한 알고리즘 통치성에 주목하고 인간 지성의 약화에 비판적 경계를 촉구한다. 현실세계의 자동화ㆍ가상화로 치닫는 디지털 환경 속에서 인문 고전은 어떤 역할을 해야하는가? 그것은 자동화된 디지털 시스템에 압도된 창의적 정신능력을 되찾고, 가상세계 배후에 은폐된 현실적 문제들을 밝혀내면서, 포스트휴먼화하는 ‘인간’ 삶의 새로운 가치와 의미를 마련하는 것이다. 인문 고전은 전통 인문학에서 자유학예의 정신을 단순 부활하거나 인문 텍스트의 디지털 데이터화를 위해 쓰이는데 머물러서는 안 된다. 그것은 역사적 전환점에 선 ‘우리, 인간’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새로운 이해를 제공함으로써 ‘생성 중인 그 우리’가 지녀야 할 포스트휴머니티를 발굴하고 창안하는데 기여해야 한다.

      • KCI등재

        Infosphere, Humans as Inforgs, and Human Agency

        신상규 건국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연구소 2023 International Journal of Diaspora&Cultural Critici Vol.13 No.2

        This paper is an attempt to shed light on the nature of the information revolution we are facing by focusing on Floridi’s philosophy of information, specifically his book The Fourth Revolution. I will first briefly explain the concepts of hyperhistory and the infosphere, and then identify the core claim of the Fourth Revolution in anthropology, along with the concept of the “inforg.” Copernicus, Darwin, and Freud each contributed in different ways to the rupture of anthropocentrism and the decentering of the human subject. In Floridi’s Fourth Revolution, the decentering of the human subject is related to the fact that we understand ourselves as inforgs, or information organisms. Focusing on the role of technology in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perception (experience), action, and reality (the world), I argue that the decentering of the human subject in the Fourth Revolution can be found in a shift in our perception of human agency.

      • Building Bridges: Eurocentric to Intercultural Information Ethics

        Gautam, Ayesha,Singh, Deepa World Association for Triple Helix and Future Stra 2021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Vol.20 No.1

        Misguided use, manipulation, misappropriation, disruption and mismanagement of Information deeply affects the infosphere as well as the social and moral fabric of a society. Information ethics is an attempt to bring the creation, organization, dissemination, and use of information within the ambit of ethical standards and moral codes. The diverse and inherently pluralistic nature of societies however puts forth an additional demand on us - to come up with an intercultural information ethics. An intercultural ethics which is other-centric, context sensitive and workable without being homogenizing, patronizing and colonizing. An endeavor in that direction has already been made by proponents of intercultural information ethics like: Charles M. Ess, Fay Sudweeks, Rafael Capurro, Pak-Hang Wong, Soraj Hongladarom et al. In our paper, we propose that the kind of ethical pluralism being sought in the domain of information ethics can be attained by having a reappraisal of the current methodological strategies, by casting a critical relook at the Eurocentric ethical model. This paper analyses the current framework of Intercultural Information Ethics. And in an endeavour to move towards an all-encompassing, other-centric, workable, intercultural, harmonious and compassionate model of 'Pluralistic Information Ethics', it proposes the Indian / Asian philosophical method of 'Samvāda' to the current inventory which includes methods like: 'parrhesia/free speech' and 'interpretive phronēsis.

      • KCI등재

        현대 정보·사이버전의 효용성과 향후 과제

        이상호,조윤영 세종연구소 2009 국가전략 Vol.15 No.3

        The apostles of RMA(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 have convinced both military and public during recent years on the effectiveness of Information War(IW) as a new highly functional style of warfare which can lift the fog of war and achieve victory against many present and future challenges. However, the war in Iraq since 2003 has proven such a claim was premature. Although there have been some real achievements, the actual practice of IW is difficult to apply. Furthermore, despite some visible successes on the operational level, the effectiveness of IW on the strategic level is questionable. In fact, the Iraqi insurgents and Al-Quaeda are as adept as the West in waging IW, as they methodically employed unconventional ‘asymmetric’ tactics and manipulate media. While IW offers great advantages in information-driven battlefield, there should be a realization the actual victory cannot be achieved with information alone especially on the strategic level. This is the dilemma which West has to address, in particular, in future struggles against the unconventional opponents. 군사개혁주의(RMA) 추종자들이 정보전(IW)을 지지하는 가장 큰 이유는 정보전이 전쟁에서 불확실성을 제거하여 승리를 보장해 줄 수 있는 새롭고도 효과적인 수단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2003년 발발한 이라크전의 경우를 보면 이런 주장이 과연 타당성이 있는 것인가 의심을 품게 한다. 당시 정보전의 효과가 일부 증명되었고 특히 작전차원에서의 전쟁수행 중 다양한 전과를 이룩하기도 했으나, 정보전의 실전 수행에는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결국 이라크전을 전략적 차원에서 평가할 경우 정보전의 효용성에 대해 의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 실제 이라크 반군이나 알카에다와 같은 테러 조직의 경우 정보를 비대칭 전술의 도구로 활용하면서 서방의 언론을 왜곡하여 그들의 주장을 전파하고 전과를 과시하는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는 교활함을 보였다. 따라서 정보전이 정보화된 전장 환경에서 대단한 우위를 보이는 것은 사실이나, 전략적 차원에서 정보전 능력만으로 전쟁의 승리를 얻을 수 있다는 믿음은 착각에 불과하다. 향후 미국을 포함한 서방은 이런 딜레마를 반듯이 극복해야만 비대칭전술을 구사하는 비정규 세력을 상대로 미래 전쟁에 승리를 보장받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인공 지능 시대의 정보 윤리학: 플로리디의 '새로운' 윤리학

        목광수 한국과학철학회 2017 과학철학 Vol.20 No.3

        Luciano Floridi shows that established theories of ethics, such as utilitarianism and deontology, cannot respond to new issues such as artificial evil, which happens in an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proposes that his ethics of information can do effectively. Floridi argues that his ethics of information is effective to find out new issues through the method of (levels of) abstraction and proposes ethical principles, in which metaphysical entropy should be prevented or removed and information entities should be flourished. Florid's ethics of information is a patient-oriented, ontocentirc macroethics, which is differentiated from established theories of ethics. The purpose of this discussion paper is to examine critically whether Floridi's ethics of information is morally justifiable. I doubt that Floridi's theory of ethics is morally justifiable in that his theory is not only vulnerable to the critique of moral relativism, but also is hard to escape from the problem of the naturalistic fallacy. In order to respond to these critiques, I recommend that Floridi's theory of information should include a concept of morality which can effectively support his theory from a normative perspective, that his theory should argue which level of abstraction is appropriate to his theory of ethics, and that his theory should try to explicate how his theory can relate to established theories of ethics. I argue that if Flordi's theory of ethics is supplemented through these recommendations, it could be an appropriate ethics of information in an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플로리디는 인공지능 시대의 정보 사회에서 나타나는 인공적 해악과 같은 새로운 윤리적 문제들이 기존의 윤리학을 통해 적절하게 대응될 수 없다는 것을 보이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자신의 정보 철학에 토대를 둔 정보 윤리학을 제시한다. 플로리디의 정보 윤리학은 기존의 철학과 윤리학에서 포착되기 어려운 윤리적 문제와 존재들을 추상화 방법론을 통해 효과적으로 포착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형이상학적 엔트로피를 줄이고 정보 환경과 정보 유기체의 번영을 도모해야 한다는 정보 윤리의 원칙을 제시한다. 이러한 플로리디의 정보 윤리학은 기존의 윤리학과 차별되는 피동자와 존재 중심적인 거시 윤리학이다. 본 토론 논문의 목적은 이렇게 제시된 플로리디의 윤리학이 이 시대에 적합한 정보 윤리학인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특히 플로리디의 정보 윤리학이 인공지능 시대의 ‘새로운’ 윤리학이 될 수 있을지를 검토하고, 이러한 목표를 위해 보완할 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플로리디의 정보 윤리학이 제시하는 인식론적 방법과 논의가 사실과 가치를 구분하지 못해 야기되는 자연주의적 오류로 인해 도덕적 차원에서는 정당화될 수 있을지 의심스러울 뿐만 아니라, 상대주의적 비판에도 취약하다고 분석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플로리디의 정보 윤리학은 이론의 토대가 되는 도덕성 또는 규범성 개념에 대한 설명을 보충해야 할 뿐만 아니라, 정보 윤리학이 작동하는 추상화 층위를 도덕적으로 정당화할 필요가 있으며, 정보 윤리학이 기존 윤리학을 대체하거나 포괄하기보다는 기존 윤리학과의 협력적 관계 설정을 통해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