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부영역 선택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 사회복지영역과 비사회복지영역 및 비기부 집단의 비교

        강철희 ( Chul Hee Kang ),변은지 ( An Gie Byun ),구지윤 ( Ji Youn Ku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1 사회복지정책 Vol.38 No.1

        본 연구는 나눔문화 확산과 관련하여 흥미로운 주제인 일반시민의 기부영역 선택행동을 탐색적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아름다운 재단 기부문화연구소가 격년으로 전국민을 대상(시민 1,016명)으로 실시하고 있는 조사 자료 『Giving Korea』2008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기부선택 분야를 대상 영역 중심의 네 범주(사회복지영역 비사회복지영역-사회복지 및 비사회복지영역 모두·비기부)로 구분하여 기부자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해 보았다. 기부자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심리사회·행동적 요인(사회기관에 대한 신뢰, 나눔사회화, 자원봉사 경험)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해서는 다항로짓회귀분석모형(multinominal logit model)을 사용하였다. 우도비 검증 결과, 심리사회·행동적 요인 중 사회기관에 대한 신뢰와 나눔사 회화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에서는 연령, 결혼상태, 종교(개신교), 연평균가구소득, 직업(자영업과 화이트칼라)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사회·행동적 요인 중 자원봉사활동의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제한적인 수준 (marginal level)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전까지 발표된 기부참여 여부 혹은 기부 노력 수준 등에 관한 분석을 넘어 국내에서는 전혀 다루어지지 않았던 주제인 기부자의 기부영역 선택에 관심을 두고 선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와 관련하여 실증적으로 새롭게 탐색했다는데 의미를 갖는다. 아울러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영역에 집중하는 기부자들의 속성을 파악함으로써 사회복지 기관의 자원개발과정에서 중요한 표적 인구집단이 될 수 있는 이들에 대한 이해를 제고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도 실천적 함의를 갖는다.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choice behavior of Korean citizens on giving target areas, which is an interesting topic regarding the cultivation of giving culture. Using Giving Korea 2008 data constructed from the biennial survey of the entire nation(1,016 citizens) by the Beautiful Foundation, this study classifies giving areas into four categories (only social welfare area, only non-social welfare area, comprehensive giving- giving to both areas, non-giving) and analyzes factors influencing their choice in giving. It examines the effects of citizens` demographic factors (age, gender, education, religion, marital status, occupation, and household income) and socio-psychological behavioral factors (trust toward social institutions, socialization of giving, volunteering experience). For the analysis, this study employs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result of likelihood ratio test shows that trust toward social institutions and socialization of giving among socio-psychological behavioral factor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choice behavior in selecting an giving area. Among demographic factors, age, marital status, religion(protestant), household income, occupation (self-employed and white collar)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citizens` choice behavior. Volunteering experience in socio-psychological behavioral factors shows statistical significance at a marginal level. It is a first study on citizens`` choice behavior related to giving areas; it guides a new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factors affecting choice behavior on the target areas of giving. It also has a practical implication in guiding fund-raising strategie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by identifying attributes of donors concentrating on social welfare area. It broadens and promotes the understanding regarding such donors` characteristics and behavior whom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should continuously care for and cultivate.

      • KCI등재후보

        종교인구의 자선적기부 행태에 관한 연구

        정상원(Jong, Sangwon),변은지(Byun, Angie) 한국비영리학회 2013 한국비영리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종교인구의 자선적 기부행동에 있어 기부처 선택행동을 고찰하기 위하여 이들의 선행요인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9년에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개신교인 1,523명을 대상으로 조사된 자료를 활용하여, 기부처 선택행동을 네 범주(출석교회, 비영리기관, 출석교회 및 비영리기관, 비기부)로 구분하여 기부자의 기부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해 보았다. 선행요인으로 결속적·교량적 사회자 본, 종교성과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하여 다항로짓회귀분석(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우도비 검증 결과, 사회자본 요인 중에서는 교회내부의 연결망크기와 비영리기관에 대한 신뢰, 사회봉사 참여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종교성 요인 중에는 십일조 납부가 유의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 요인은 연령, 학력, 소득에서만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전까지 발표된 기부에 관한 연구 중에서 특정 종교를 가진 시민을 대상으로 자선적 기부처 선택행동에 관심을 두고 사회자본의 유형과 종교성의 선행요인을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검증한데 의미가 있으며 종교와 관련한 민간자원에 대한 이해와 개발전략 수립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secular giving behavior among Protestants, which is an interesting topic regarding the relation of religion and civic engagement. The data was collected from church-going Protestants 1,523 who lived in capital area. This study classifies secular giving types into four categories (only church almsgiving, only giving to charitable organizations, comprehensive giving-giving to both, and non-giving) and analyzes factors influencing their choice. It examines the effects of bonding and bridging types of social capital(network, trust, secular volunteering), relgiosity(importance of religion, church attendance, religious volunteering, tithe), and demographic factors. For the analysis, this study employs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result of likelihood ratio test shows that among social capital factors, network within church members, trust toward charitable organizations, secular volunteering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selecting giving places. And church attendance, tithe, and some demographic factors are significant as well. Especially using Protestants religious traditions as measures of bonding and bridging social capital in and out of church, this study empirically test how these different forms of social capital affect choice behavior of selecting giving places. Our results suggest that Protestants have higher dedication on helping needy but the bonding type social capital promote only giving to their own church, conversely, the bridging type social capital and comprehensive type social capital foster bridging type of giving. This article shows how the social capital that groups cultivate in communities need not always benefit communities as a whole.

      • KCI등재

        기부지역 선택행동에 대한 영향요인 탐색: 국내기부와 해외기부의 비교를 중심으로

        강철희 ( Chul Hee Kang ),구지윤 ( Ji Youn Ku ),박소현 ( So Hyun Park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1 사회복지정책 Vol.38 No.3

        본 연구는 최근 우리사회에서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해외기부행동과 관련된 현상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특히 해외기부행동에 대한 관심에서 본 연구는 기부자를 크게 세 범주(해외만 기부, 국내와 해외 모두 기부, 국내만 기부)로 구분하고, 이 중 국내만 기부하는 집단을 준거집단으로 하여 기부 지역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자료는 아름다운재단 기부문화연구소에서 전국민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Giving Korea 2010 자료를 활용하였다. 기부자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인구사회학적 요인, 심리 행동적 요인(사회기관 신뢰, 자원봉사 경험), 기부동기 및 고려 요인(기부동기, 기부 시 고려사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분석을 위해서는 다항로짓회귀분석모형(multinominal logit model)을 사용하였다.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에서는 성별과 연가구 소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교(무교와 가톨릭)와 직업(주부/학생/무직과 농임어업/자영업)은 제한적인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 행동적 요인으로는 정부 기업 언론에 대한 신뢰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자원봉사 정기성(비자원봉사와 비정기성)은 제한적인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부동기 및 고려 요인으로는 내적동기(동정심), 외적동기(경제적 여유, 세제혜택, 주변인물의 요청, 가족의 전통과 문화), 기부 시 고려사항(기관의 신뢰성, 우리사회 개선효과)이 유의한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전에 기부자를 동질적 집단으로 가정한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보다 세분화된 기부자 집단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는데 기여하는 의의를 지닌다. 또한 향후 확대 가능성이 높은 해외기부에 대한 새로운 지식기반을 마련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이해의 토대를 구축하였다는 측면에서도 연구의 의미를 갖는다.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international giving and more comprehensive giving (combined giving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giving) which are growing rapidly in Korean society. In order to understand such giving behaviors, this study classifies donors into three categories by giving area (domestic giving only, international giving only, international and domestic giving) and analyzes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choice in giving by setting the domestic giving group as a reference group and comparing with it. For the analysis, this study utilized the Giving Korea 2010 data constructed by the biennial national survey by the Beautiful Foundation. It examines the effects of citizens` demographic factor (age, gender, education, household income, religion, marital status, and occupation), psychological behavioral factor (trust toward social institutions and volunteering experience), and the factor of motivation and consideration in giving (giving motivation and considerations in giving-trust level of the charity organization, reputation level of the charity organization, and impact level by the charity organization) by employing a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results show that gender and household income in demographic factor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donors` choice of combined giv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giving) and religion and occupation also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at a marginal level. In psychological behavioral factor, trust toward government business corporation media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nternational giving and irregular participation in volunteering has statistical significance on the combined giv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giving) at a marginal level. Finally, in the factor of motivation and consideration in giving, internal motivation (sympathy), external motivation (financial affordability, tax benefit, solicitation from significant others, family`s tradition and culture), trust level of the charity organization and impact level by the charity organization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donors` combined giv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giving). As the first study on domestic giving, international giving, and combined giving in Korea, this study broadens and promotes the understanding on such giving behaviors and influential factors. Moreover, it can contribute to setting a new foundation of knowledge for further research in this topic.

      • KCI등재

        Advice Giving in College EFL Writing Tutorials

        Yong-Yae Park 담화·인지언어학회 2011 담화와 인지 Vol.18 No.3

        This paper explores interactional practices observed in advice giving on grammar and word choices in College EFL writing tutorials within the framework of conversation analysis. The data for the study include 14 audio-taped writing tutorial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tutor’s advice giving on grammar is mostly done in the tutor’s first turn in a straightforward manner. By contrast, advice giving on word choices takes stepwise entry and shows several patterns: First, the base pattern involves the tutor’s request for clarification in his/her first turn, the tutee’s response, and the actual advice giving. Next, the base sequence may get expanded. In one of the variations, the tutor asks questions about the source of the problematic word choices after the initial clarification request. It is shown that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problems, the types of questions used in various patterns differ as well. Regardless of these differences, however, the questions before advice giving all seem to be doing the same preliminary interactional work of establishing the relevance of advice giving, as found elsewhere (Heritage and Sefi 1992; Vehvilainen 2001, etc.). Finally, the study suggests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including learners’ use of a dictionary.

      • KCI등재

        낳을 권리로서의 재생산권에 대한 미디어 담론분석: ‘자발적 비혼모’ 보도 기사를 중심으로

        류숙진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2 아시아여성연구 Vol.61 No.2

        This study analyzes the present discourse regarding the right to give birth and draws implications on the same while examining the emerging case of "single mother by choice" reported through the mass media. The collected data included 335 news articles provided by the Korea Press Foundation, and significant observations were made through text min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discourse on single mothers by choice was reported through the media and aspects such as the motivation and method, cultural and institutional differences related to unmarried childbirth, and social reactions or cognitive changes were found. In addition, perspectives that approach unmarried childbirth as a personal choice or right were extracted, and those related to diverse families were also mentioned. If the discourse of reproduction rights as rights to be born through the semantic network of key words is constructed, the rights to be born in our society can be composed to the extent that individuals' right to choose, self-determination, birth, and family equality are discussed. There is an emphasis on the need to improve social prejudice against the family and reorganize laws and systems so as to align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is emphasized to guarantee the right to give birth. Through the above results, we propose the need to materialize the discussion so that the discussion on the rights to give birth can be accepted as an alternative discourse that recognizes the reproduction rights of various reproduction agents and advocates their rights. 이 글은 대중매체를 통해 보도된 ‘자발적 비혼모’의 등장 사례를 중심으로 낳을권리로서의 재생산권에 대한 현재적 담론을 구성하고 함의를 도출하는 탐색적 연구이다. 수집자료는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제공하는 뉴스기사 335건을 대상으로 텍스트마이닝을 통해 주요 단어들을 추출하고, 의미 연결망 분석을 수행하여 담론으로 구성하였다. 분석 결과 자발적 비혼모 담론은 대중매체를 통해 자발적 비혼모가 보도되고TV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계기들을 중심으로 비혼 출산의 동기와 방식, 비혼 출산과관련된 국가 간 차이, 사회적 반응이나 인식적 변화 등의 단어들이 나타났다. 또한 비혼출산을 개인적 선택과 권리로 접근하는 단어들도 추출되었으며, 다양한 가족들과관련된 단어들도 언급되었다. 핵심 단어들의 의미적 연결망을 통해 낳을 권리로서의재생산권의 담론을 구성하면 우리 사회에서의 낳을 권리는 개인의 선택권과 자기결정권, 출산권, 가족구성권으로서 논의되는 정도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낳을 권리를보장하기 위해서는 가족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개선하고 시대적 변화에 부합하도록법과 제도를 정비할 필요성이 강조된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낳을 권리에 대한 논의가다양한 재생산 주체들의 재생산권을 인정하고, 그들의 권리를 옹호하는 대안담론으로수용될 수 있도록 논의를 구체화할 필요성을 제안한다

      • KCI등재

        읽기 선다형(選多型) 평가(評價) 문항(問項) 개발(開發)의 절차(節次)와 실제(實際)

        이도영(李道榮) ( Lee Do-you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3

        문항을 개발하려면, 문항 설계·지문 제작·문두와 답지 작성 단계를 거쳐야 한다. 설계 단계에서는 평가할 내용(독해력의 수준)과 문항의 난이도를 결정해야 하며, 지문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문항을 설계해야 한다. 지문 제작 단계에서는 평가의 타당도와 학생들의 이해 수준을 고려하여 교육적이 면서도 양질의 지문을 제작해야 한다. 지문은 여러 평가 문항을 출제할 수 있도록 정보가 풍부해야 한다. 또한 지문의 완성도를 최대한 높이고 읽을 가치가 있는 지문을 제작해야 한다. 문두에는 평가할 내용을 담아야 하며, 독해력의 특성을 고려하여 문두의 서술어를 선택해야 한다. 답지 작성 시에는 먼저 정답지를 작성하고 오답지를 작성해야 하며, 지문의 내용을 있는 그대로 가져와서는 안 된다. 지문의 내용, 지문 밖의 내용, 배경지식, 거시 명제 · 미시 명제 등을 결합하여 난이도를 고려한 답지를 제작해야 한다. To develop an item, you have to go through the steps of designing an item, producing a given writings, making a question, and answering items. In the design phase, the evaluation content and the difficulty of the question should be determined, and the item should be designed to understand the given writings well. In the given writings production stage, high-quality given writings should be produced considering the validity and level of students. Given writings should be informative enough to handle multiple evaluation items. You should also make your given writings as readable and readable as possible. The question should contain the content to be evaluated, and the predicate should be chosen considering the nature of reading comprehension. The answering items must be filled out first, and the contents of the given writings should not be intactly taken. The answering items should be made considering the difficulty level by combining the contents of the given writings, the contents outside the given writings, background knowledge, and macro and micro propositions.

      • KCI등재

        읽기 選多型 評價 問項 開發의 節次와 實際

        이도영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4

        To develop an item, you have to go through the steps of designing an item, producing a given writings, making a question, and answering items. In the design phase, the evaluation content and the difficulty of the question should be determined, and the item should be designed to understand the given writings well. In the given writings production stage, high-quality given writings should be produced considering the validity and level of students. Given writings should be informative enough to handle multiple evaluation items. You should also make your given writings as readable and readable as possible. The question should contain the content to be evaluated, and the predicate should be chosen considering the nature of reading comprehension. The answering items must be filled out first, and the contents of the given writings should not be intactly taken. The answering items should be made considering the difficulty level by combining the contents of the given writings, the contents outside the given writings, background knowledge, and macro and micro propositions. 이도영, 2019, 읽기 선다형 평가 문항 개발의 절차와 실제, 183 : 409~432 문항을 개발하려면, 문항 설계·지문 제작·문두와 답지 작성 단계를 거쳐야 한다. 설계 단계에서는 평가할 내용(독해력의 수준)과 문항의 난이도를 결정해야 하며, 지문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문항을 설계해야 한다. 지문 제작 단계에서는 평가의 타당도와 학생들의 이해 수준을 고려하여 교육적이면서도 양질의 지문을 제작해야 한다. 지문은 여러 평가 문항을 출제할 수 있도록 정보가 풍부해야 한다. 또한 지문의 완성도를 최대한 높이고 읽을 가치가 있는 지문을 제작해야 한다. 문두에는 평가할 내용을 담아야 하며, 독해력의 특성을 고려하여 문두의 서술어를 선택해야 한다. 답지 작성 시에는 먼저 정답지를 작성하고 오답지를 작성해야 하며, 지문의 내용을 있는 그대로 가져와서는 안 된다. 지문의 내용, 지문 밖의 내용, 배경 지식, 거시 명제·미시 명제 등을 결합하여 난이도를 고려한 답지를 제작해야 한다.

      • “특수 아동을 위한 영화 교육 교안 연구”에 관한 연구

        변미진 ( Byun Mi Jin ) 한국영화교육학회 2009 영화교육연구 Vol.11 No.-

        According to the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 was enacted in 1994, Special education for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 mental retardation, physical disabilities, emotional disorders-including autistic children-and language disorders, learning disabilities, health problems, etc. are divided. However, film education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of the target when compared to the less studied or performed. This study of special education for children through film,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raining and educational films.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Hold this position for effective teaching and conducting research was expected. Special classes for children in special schools run and received no training, but Special classes and considering my application is also a clear understanding. This study applied a special case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rough the appropriate film to offer teaching and research will be a good exam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