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화상디자인에 있어서 저작권/디자인권 경로 효과 필터로서의 기능성-화상 요건

        이남경(Lee, Nam Kyoung),신혜은(Shin, Hye Eun)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과학기술과 법 Vol.12 No.2

        In the late 20 century, computer graphic technology enabled graphic image design embodied in a variety of display screens of devices such as a cellular phone. Graphic image designs embodied in display screens became protected by design rights by the revision in the level of guidelines in many countries. However, in this 21th century, computer graphic image designs were freed from display screens thanks to the new 4th generation computer graphic technology. To protect graphic image designs oudside screens in the form of design rights, design laws themselves had to be revised. In South Korea, the 2021 design law made graphic image design automatically fulfill the article of manufacture requirement. Therefore all graphic images can pass over into the arena of design rights. In order to pull out non-functional graphic images which are cultural contents and send them back to the arena of copyrights, Korean design law put a new filter requirement by adding a restriction clause into the definition of graphic image designs. This article reviews the article of manufacture requirement and the restriction of the definition of the graphic image design in the right of intellectual property channeling effect filters. Under the umbrella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law, channeling doctrines, which channel inventions to the arena of utility patent rights, copyright materials to that of copyrights, trademarks to that of trademark rights and designs to that of design rights, play their roles to prevent backdoor patent, backdoor copyright etc. That is because backdoor rights inhibit industrial competition and cultural free expression. The most famous channeling doctrine is the functionality exclusion doctrine which blocks backdoor patents all through in the areas of design law, copyright law and trademark law. This article views that the article of manufacture requirement is a copyright/design right channeling filter that separate applied art copyright materials from design for utilitarian articles. However the article of manufacture requirement cannot be an appropriate copyright/design right channeling filter for graphic image designs. With it, functional graphic image designs cannot enter into the arena of design rights and thus fair competition in the related industry is disturbed. Without it, non-functional graphic image designs pour into the arena of design rights and the freedom of expression is oppressed. This article relates that the new filter introduced in the form of the restriction of the definition of the graphic image design, that is, “provided for use in the operation of the device or displayed as a result of the device performing its function” is in substitute for the article of manufacture requirement in order to separate and channel copyright materials and designs in relation to graphic image designs. This article named the new filter as “the functional-graphicimage-requirement” in order to distinguish it with the so-called functionality exclusion doctrine by shortening the long words “provided for use in the operation of the device or displayed as a result of the device performing its function” to a word, “functional.”

      • KCI등재

        미학적 해석을 통한 근대 가구디자인의 기능미에 관한 연구 - 1920년대 기능주의 의자 디자인의 사례를 중심으로 -

        이은재,인치호 한국가구학회 2023 한국가구학회지 Vol.34 No.1

        In the modernist design initiated by functionalism, function has an inseparable relationship in dialectical unification, not as an alternative term between aesthetics and functionality. Function is a central concept in the identity of design, and it is necessary to redefine the concept of function from an aesthetic point of view in that it is an object of multilayered and contextual discourse beyond usefulness and practicality. Prior to the analysis, we reviewed the concept of functions discussed in architectural discourse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reviewed sociological discussions that examined the appearance of objects changing through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in terms of semiotics. Subsequently, we analyzed how the concept of function has been accepted and expanded in the background of modernist design, focusing on representative examples of modernist chair design in the 1920s. Through this, we reached the conclusion that the concept of function in design extends to aesthetic objects such as visualizing visions, revealing the logic between materials and forms, and acting as social values that imply change. The functional form of modernist design is expanded to aesthetic objects that secure the beauty of suitability and interact with the user's senses by revealing functional images such as usefulness and convenience. And in this context, function no longer means a technical mechanism, but rather has conceptual symbolism. Functionalist design originated from the concept of functional beauty, but it resulted in a direction that followed the aesthetics of function. In order to establish an aesthetic perspective of design, this study attempted to reinterpret and expand the concept of functions inherent in design, starting with interpretation of functions. Based on this, a follow-up study can be conducted to examine the genealogy of functional aesthetics, starting with early modernism and leading to the design of mid-to-late modernism chairs .

      • SCIESCOPUSKCI등재

        Knowledge-based configuration design of a train bogie

        Lee, Jang-Yong,Han, Soon-Hung 대한기계학회 2010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24 No.12

        The configuration design of a mechanical product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when it is based on a functional model. There are some function-based design methodologies that decompose functions from the abstract level to the concrete level by matching the functions to physical parts. However, executing innovative design is difficult when the function is matched only to pre-defined parts. This paper describes the configuration design process of a train bogie with a design expert system that uses function taxonomy and TRIZ. The design expert system can propose a functional model of a new part that is not on the existing parts list of train bogies. Levels of design knowledge which describe the operations of the mechanical product at different levels of abstraction are introduced. This is the theoretical basis for using TRIZ with the function taxonomy for configuration design. The design expert system is adequate for controlling the design knowledge, which is expressed as knowledge of parts, functional modeling, mapping rules between functions and parts, and TRIZ. The functional model of a new brake system in the bogie is introduced with the design expert system.

      • KCI등재

        A Research on Functionality of Design - Focusing on Examples of Architecture, Transportation, and Product Designs -

        한현석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5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3 No.2

        기능이란 일정한 분야에서 수행하는 역할과 작용을 의미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특정한 기능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 디자인은 존재한다. 좋은 디자인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각도와 관점에서의 많은 고민이 필요하며, 여러 안목에서 특정 디자인이 가지고 있는 약점들을 보완해가는 과정이 요구된다. 결국 제품이라는 것은 인간의 삶에 항상 밀접하게 관련이 있고, 기능이라는 제품의 필수적인 요소로써 제품의 본질을 충족시킨다. 제품이 탄생하게 된 이유는 제품으로 하여금 사용자에게 그들이 원하는 특정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함이고, 이 기능성을 충족시키는 것이 디자인이 추구하는 본질적인 가치와 연계될 수 있다. 좋은 디자인은 이렇게 다양하게 도출된 요소들을 다각적인 관점에서 만족시킬 수 있는 디자인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디자인의 기능성이 어떻게 좋은 디자인과 연계될 수 있는지, 그리고 기능성이 디자인의 심미성, 감성, 지속가능성, 사용성을 포함한 다양한 관점에서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건축, 공간, 제품, 운송디자인의 다양한 사례를 통해서 증명한다. 아울러 디자이너로써 특정한 문제의 본질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관찰력과 창의력을 가지고 효율적으로 문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디자이너만이 가질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이 될 것이다. 결국 좋은 디자인이란 본질의 파악을 통해서 그 본질, 즉 기능성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발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좋은 디자인이란 특정 디자인에 의문을 갖는 다양한 각도의 질문으로부터 성공적으로 답변을 제공해줄 수 있는 디자인이 되어야 할 것이다. Function means a performance of the acts and operation in certain areas. In order to effectively implement a particular function for users, design is required. Good design requires a lot of consideration in terms of the different angles, and complementary process for the weaknesses contained in a specific design. After all, a product is always closely related to human life, and to meet the nature of the product functions as an integral part of the product satisfies essentiality of a product. The reason that the product is created is to provide the specific function that they want to provide to the user. And this functionality may be associated with intrinsic value of this design. Good design can be defined to meet a variety of factors derived from the multi-dimensional aspects. That is how good design and functionality of the design can be linked, and how functional elements are related to aesthetics, emotion, sustainability, and usability of the design through a variety of proven cases of architecture, space, products, and transportation design. In addition, it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s for designer to be able to accurately recognize the nature of certain problems and effectively solve those problems with their ability on observation and creativity. After all, good design is to effectively reflect the essentiality by grasping its genuine essence and which eventually can be described as functionality.

      • KCI등재

        디자인보호법에서의 기능성 원리에 관한 연구

        김종성(Jong-Seong Kim),안상수(Sang-Soo Ah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10

        과학기술 발전 등에 따라 다양한 방법 및 기능 등을 하나의 디자인으로 제작하여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현대의 디자인은 단순한 형상만이 아닌 제품의 판매에 핵심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디자인은 어느 정도의 기능성을 갖는 장식적인 물건으로 볼 수 있다. 우리나라는 물건에 대한 디자인을 보호하기 위해 「디자인보호법」이 제 · 개정되었다. 고도화되는 물품에 대한 디자인을 보호하기 위해 여러번의 「디자인보호법」을 개정을 했다. 하지만 현행 「디자인보호법」제34조제4호에 따르면 “물품의 기능을 확보하는 데에 불가결한 형상만으로 된 디자인”은 디자인 등록을 받을 수 없다. 여기서 기능이란 디자인 출원의 대상이 되는 물품이 갖고 있다. 동 규정은 「디자인보호법」에서 규정하는 보호범위에서 벗어난 기술적 사상의 창작에 대해 배타적 독점을 방지하여 산업발전에 저해할 우려를 방지하기 위해 생겨난 규정이다. 하지만 디자인의 기능성과 장식성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현실에서 등록요건으로서의 기능성 개념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 외 디자인 제도에서 기능성 원리에 관한 사례 및 입법례 분석을 통해 기능성 원리에 따른 디자인의 요부판단 및 등록요건으로서의 기능성 원리 연구하였다. 현행 지식재산법상 디자인 기능성 원리에 대한 경계 구분방안과 부당한 경쟁제한 방지 장치로서의 기능성 원리 활용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various methods and functions are produced in one design and products are produced. This is not only a simple shape but also a key element in the sale of products. This is not only a simple shape, but also a key element of product sales. In general, a design can be seen as a decorative object with some functionality. In order to protect the design of these objects, the Design Protection Act was enacted and revised. According to Article 34 Subparagraph 4 of the current Design Protection Act, Designs with only shapes essential for securing the function of goods cannot be registered for design. In other words, the function is the object of the design application. This regulation is a regulation that is created to prevent the concern that it will hinder industrial development by preventing exclusive monopoly on the creation of technical ideas that are out of the scope of protection prescribed by the Design Protection Act. However, the functional concept as a registration requirement is important in the reality that the boundary between design functionality and decorativeness becomes ambiguous. This study examined functional principles as a main judgment and registration requirement of design according to functional principles through case and legislative analysis of functional principles in domestic and foreign design systems, and examined functional principles as a boundary classification pla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an unfair competition restriction prevention device.

      • KCI등재

        디자인권의 보호요건(성립요건)과 관련된 기능성 원리 - 미국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안원모 ( Wonmo Ahn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홍익법학 Vol.19 No.3

        미국 디자인특허 제도에서의 유효성 판단과 관련한 기능성 논의를 살펴보았다. 이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그 논의 내용을 요약하여 볼 수 있다. 첫째, 기능성 판단의 기준과 관련하여, 미국에서는 “오로지 기능적 기준”과 “주로 기능적 기준”에 대한 구분과 논의가 있었다. 그러나 현재 미국의 실무는 “오로지 기능적 기준”으로 해석하는데 대부분 의견이 일치하고 있다. “오로지 기능적” 기준에 의하면, 물품의 형태가 기능적 고려만의 결과이고, 디자이너의 심미적 노력이 전혀 기여하지 않은 경우에, 그러한 디자인은 오로지 기능에 의하여 결정된 것으로, 무효가 되어야 한다. 기능성 판단의 분석 방법과 관련하여, 과거 요소별 분석 방법이 사용된 적도 있으나, 최근 항소법원의 판결들은 전체적 분석 방법이 타당한 분석 방법임을 반복하여 밝히고 있다. 이에 의하면, 디자인의 유효성 판단과 관련한 기능성 조사는, 물품 외관의 분리된 개별적 특징들의 기능성에 대한 조사가 아니라, 물품의 전체적 외관이 기능에 의해서만 결정된 것인지에 대한 조사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기능성 판단의 자료와 관련하여, 미국 실무는 기본적으로 대체디자인의 존재 여부를 가장 중요한 판단 요소로 삼고 있지만, 여전히 복수 요소 접근법도 허용하고 있다. 그러나 디자인의 유효성 판단과 관련하여 기능성 이론이 필요한 정책적 목적은, “디자인권을 통하여 기술적 기능을 독점함으로써 부당하게 경쟁을 제한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라고 보아야 하고, 이러한 정책적 목적은 만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용 가능한 다른 대체디자인이 존재하면, 달성된다고 보아야 한다. 이 점에서 대체디자인 접근법이 타당한 접근법이라고 보아야 한다. 이와 같은 미국에서의 논의를 토대로, 우리나라에서의 등록디자인의 유효성 판단과 관련한 기능성 논의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1) 물품 외관의 모든 특징들이 기술적 기능에 의해서만 결정된 경우에 당해 디자인은 무효가 되어야 한다. (2) 등록디자인의 유효성과 관련된 기능성 조사는, 개별적 특징들의 기능성에 대한 조사가 아니라, 물품의 전체적 외관이 기능에 의해서만 결정된 것인지에 대한 조사가 되어야 한다. (3) 등록디자인의 유효성과 관련된 기능성 조사의 자료는 대체디자인 접근법이 우리 법의 해석상으로도 타당한 접근법이라고 할 수 있다. After considering the functionality doctrine on validity analysis in U.S. design patent system, the following points are confirmed. First, regarding the criteria of functionality judgment in U.S. design patent system, there was controversy between “solely functional standard” and “primarily functional standard.” However, the recent practice of the U.S. agrees that the desirable criteria is “solely functional standard.” According to the “solely functional standard”, if the shape of a product is the result of only functional consideration and designer’s aesthetic effort does not contribute to its appearance at all, such design should be invalid, since it is dictated solely by its function. Regarding the analytical method of judging functionality, the recent decisions of CAFC continuously say that the overall approach is more appropriate than the elemental approach. According to the overall approach, the investigation of functionality on validity of design should be achieved not by whether an individual feature of appearance of a product has functional nature, but by whether the overall appearance of product is dictated solely by its function. Regarding the factors of judging functionality, although the practice of the U.S. basically considers the existing of alternative design as the most critical factor, it still allows the multi-factor test. The policy objective behind the functionality doctrine is to prevent monopolization of functional ideas via a design right. Such purpose of policy can be achieved when there are alternative designs which can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So the alternative design test should be the only test on validity functionality.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in the U.S., a few doctrine on validity functionality in Korea can be confirmed. (1) If all features of a design are dictated solely by its technical function, such design should be invalid. (2) The investigation of functionality on validity of design should be achieved by whether the overall appearance of product is dictated solely by its function. (3) Regarding the factors of judging functionality, the alternative design test should be the only test on validity functionality in Korea, too.

      • KCI등재

        FMEA에서 공리적 설계의 계층별 연성기능분석을 이용한 신뢰성 설계의 적용

        최성운 ( Sung-woon Choi ) 대한설비관리학회 2017 대한설비관리학회지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Integrated Design System (IDS) using both the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FMEA) and the Axiomatic Design. The IDS can be reduced by both the design complexity of the functional dependence mapping from axiomatic design and the potentail failure from the functional work breakdown structure of the FMEA. The IDS consists of the following three stages: i)Determination of simplified design mapping path by using functional independence of Functional Requirements(FRs) and Design Parameters(DPs) ii)Calculation of Risk Priority Numbers(RPNs) for hierarchical breakdown systems in response to the Cause-Mode-Effect casual relationship based on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apping iii)Reliability improvement by redesigning the DPs of the Critical Design Tree(CDT) exceeding the desired individual RPNs threshold.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oposed integrated design system of FMEA and axiomatic design, case studies with decoupled design and uncoupled design are presented in this paper.

      • KCI등재

        얀 치홀트와 하라 켄야의 기능적 디자인의 가치

        길상희 ( Gil Sang H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전통적인 양식의 틀을 깨고 신 타이포그래피를 창출한 선구적인 타이포그래퍼인 얀 치홀트(JanTschichod)와 현대 테크놀로지 시대의 넘쳐나는 정보의 속에서 비움과 간결함을 통한 새로운 디자인을 발견하는 그래픽디자이너인 하라 켄야(原_硏哉)의 기능적 디자인을 비교함으로써 시대적 환경과 문화의 변화 속에서 그들이 지키고자 했던 디자인의 가치 파악하고, 이를 통해 앞으로의 디자인이 나아가야 할 지표로 활용될 자료로 삼기 위함이다. 두 디자이너의 특징적 요소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그들의 디자인 개념의 근간이 되었던 모더니즘과 새로운 테크놀로지를 대하는 자세를 통해 각 시대의 기능적 디자인이 추구하는 가치를 비교해 보았다. 얀 치홀트는 단순히 아름다움이 아닌 텍스트에 기초한 외적인 형태, 즉 ‘명료성’을 위한 장식을 배제한 비대칭 타이포그래피를 지향했다. 여백을 배경이 아닌 또 하나의 형태로 활용했으며, 목적 있는 색만을 사용했고 경제성을 염두에 둔 산세리프체와 소문자, 객관적 표현 요소로서의 사진을 활용하였다. 반면 하라 켄야의 디자인은 익숙한 것에서 시작하는, 사고의 공유를 위한 리디자인(redesign), 무색(白)을 활용한 간결한 디자인, 촉각과 같은 감각을 일깨우는 디자인을 비롯하여 환경과 디자인의 순환을 인식하고 배려한 디자인 과정 등이 그 특징이다. 얀 치홀트와 하라 켄야의 기능적 디자인의 가치는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기능적 형태가 바꾸어 놓은 미적 기준이다. 장식적 미가 아닌 단순, 명료한 형태가 가지는 아름다움에 집중하였다. 둘째, 디자인의 과정이 만들어내는 공유의 가치이다. 디자인의 목표가 표현 자체가 아닌 그 디자인이 소통되는 사회에서 공유되는 기능성이다. 셋째, 얀 치홀트와 달리 하라켄야의 기능적 디자인이 환경을 대하는 태도가 가지는 가치이다. 디자인을 통해 소통하고 디자인이 놓이는 환경과 그 순환을 배려하는 자세 또한 오늘날의 기능적 디자인이 취해야 할 덕목이다. This research is based on Jan Tschichold, a pioneering typographer who created a new typography by breaking the traditional style, and a graphic designer who finds a new design through emptiness and simplicity in the overflowing information of the modern technology era. By comparing the functional design of Hara Kenya, we understand the value of the design they intended to protect in the changing environment and culture of the times. They use it as data to be used as an indicator for future design. Before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designers, I compared the values pursued by the functional designs of each era with the attitudes of modernism and new technology, which became the basis of their design concepts. Jan Tschichold aimed at an asymmetric typography that excludes the decoration for the 'externality' based on text, not simply beauty. He uses a blank space not background but also another form. Therefore Apply one space Not two he utilizes colors meaningfully, sans serif type, lowercase or photography by one of objective expression for economic feasibility. On the other hand, Hara Kenya's design is based on recognition and consideration of the circulation of environment and design, including the familiar design, the redesign for sharing of ideas, the simple design using colorless (white) Design process and so on. The values of the functional design of Jan Tschichold and Hara Kenya can be summarized in three ways. First, functional forms are the aesthetic standards that have changed. I focused on the beauty of simple, clear forms that are not decorative. Second, the process of design is the value of sharing. The goal of design is not the expression itself, but the functionality shared in a society where the design is communicated. Third, the functional design of Hara Kenya, unlike Jan Tschichold, is the value of attitude toward the environment. The environment in which design communicates through design and the attitude that cares about its circulation is also a virtue that today's functional design should take.

      • KCI등재

        기능주의 이론의 디자인 적용에 대한 연구 -탈코트 파슨스를 중심으로-

        정진우 ( Jin Woo Jung ),장광집 ( Kwang Chib Cha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6

        탈코트 파슨스에 의해 학문적 체계를 갖춘 기능주의 이론은 디자인 대상의 총합인 사회 체계를 설명하고 그 체계가 유지·발전하는 원리를 제공한다. 본 논문은 기능주의 이론이 어떻게 사회 체계를 설명하는가와 어떻게 디자인과정에 적용되는가를 파슨스의 이론을 통해 그 답을 찾고자 한다. 본 연구는 문헌조사를 중심으로 기능주의의 개념을 조사하고 체계의 형성·유지·발전에 대한 이론을 도식화하고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 및 20세기 초의 디자인 과정에서 기능주의가 어떻게 관여하는지 논의하였다. 또한 최근 급변하는 디자인 패러다임에 대한 디자인 방법으로서의 기능주의가 부가적으로 논의되었다. 또 다른 연구의 시도로 최근 급변하는 디자인 패러다임에 대한디자인 방법으로서의 기능주의가 논의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능주의를 통해 사회 체계의 유지·발전이 설명될 수 있다는 사실과 과학적 관리법과 근대 디자인 과정에 기능주의가 많은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또한 기능주의를 적용한 디자인이 디자인 대상과 디자인 과정 자체의 기능을 개선하였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복잡한 층위를 갖는 디자인 대상에 총체적인 문제해결 방법으로서 기능주의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말로설명할 수 없는 디자이너의 직관에 의한 디자인이 아닌 말로 설명할 수 있고, 전달될 수 있고, 교육이 가능한 디자인의 구조와 과정을 밝혔다는 것에 의의를 둘 수 있다. 물리적 조건으로 인한 연구의 한계는 다양한 분야의 디자인 사례를 수집하여 다양한 학문적 준거틀로 분석함으로써 극복될 수 있을 것이다. The functionalism theory established academic system by Talcott Parsons explains social systems as t he totality of d esign objects and provides the principle of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the systems. Thus, through the theory by Parsons,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answer about how the functionalism theory explain the social systems and how the theory apply to design process. This study explored the concept of the functionalism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schematized the formation,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the systems and discussed about how the functionalism affect on Taylor’s scientific management and the design process in early 20th century. As another research attempt, the functionalism as the design method for recently transilient design paradigm was discusse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facts that the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the society can be explained through the functionalism and that the functionalism affects on the scientific management and the design process in the modern era. Also, the study found that the design applied functionalism improve the function of design objects and design process itself, and suggested the functionalism design as the problem solving methods for design objects with complicated layer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can be told that the structure and process of the design, not the design by designer’s intuition, that can be described by language, communicated, educated, was explained. The limit of the research by physical condition can be overcome through the collecting various design cases and analysing the cases with various academic frame of reference.

      • KCI등재

        디자인보호법상 물품의 기능을 확보하는 데에 불가결한 형상만으로 된 디자인에 관한 고찰

        정태호(Jung, Tae-Ho)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法學論叢 Vol.35 No.-

        디자인보호법 제34조 제4호에서는 “물품의 기능을 확보하는 데에 불가결한 형상만으로 된 디자인”은 디자인등록을 받을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해당 규정에 관한 대법원 판결로서는 유일하게 대법원 2006. 1. 13. 선고 2005후841 판결(이하, “대상판결”이라 함)만이 존재하므로, 대상판결을 분석함으로써 해당 규정의 판단 법리를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물품의 기능을 확보하는 데에 불가결한 형상’이란 물품의 기술적 기능을 확보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결정되어 버린 형상을 말하는데, ‘물품의 기능에 관련된 형상’이라고 하더라도 그 기능을 확보할 수 있는 선택 가능한 대체적인 형상이 존재한다면 해당 규정에서 말하는 물품의 기능적 형상에 해당한다고 할 수 없다. 대상판결은 ‘물품의 기능을 확보하는 데에 불가결한 형상’의 범위에 대해서 수요자들이 그 물품을 볼 때 특정 형상을 당연히 있어야 할 부분으로 여김으로써 그 형상에 대해서 별다른 심미감을 느끼지 못하는 정도까지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대상판결을 통해서 대법원이 디자인의 기능성 판단에 있어서 ‘유일기능기준’을 적용하고 있음도 역시 확인할 수 있다. 결국 디자인에서 그 본질과 관련되어 기능성과 장식성 간의 경계는 더욱 모호해지고 있고, 그 경계를 명확히 구분하는 것이 점점 어려워져 가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디자인보호법상 “물품의 기능을 확보하는 데에 불가결한 형상만으로 된 디자인”에 관한 해석은 더욱 중요하여 질 것이다. 따라서 대상판결에서의 판단 법리를 토대로 하여 이에 관한 심도있는 연구가 앞으로 구체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Article 34, (4) of the Design Protection Act states that “a design consisting solely of a shape that is indispensable to secure the functions of the article” shall not be registered. By the way, there is only Supreme Court Decision 2005Hu841 Decided January 13, 2006(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ubject decision”) as a Supreme Court Decision related to this provision. Therefore, we need to study legal principles of determination on this provision by analyzing the subject decision. ‘A shape that is indispensable to secure the functions of the article’ means a shape that is decided to be indispensable to secure the functions of the article and ‘a shape related to the functions of the article’ can’t be a functional shape of the article on this provision if there is any alternative shape to secure the functions of the article. The subject decision shows that the scope of ‘a shape that is indispensable to secure the functions of the article’ should reach the extent that consumers don’t feel aesthetic particularly on the shape by regarding the shape as a indispensable part when they see the article. And according to the subject decision, we can see that Supreme Court have applied ‘solely functional standard’ to determining the functionality of design. In conclusion, because of ambiguous boundary between functionality and ornamentality on the nature of a design, it becomes to be more difficult for us to distinguish between the two and thus it will be more important that we determine whether a certain design is “a design consisting solely of a shape that is indispensable to secure the functions of the article” in Design Protection Act. Therefore, we should make an in-depth study on this provision concretely from now on based on legal principles of determination in the subject deci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