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Two Beginning Teachers’ Epistemic Discursive Moves and Goals in Small Groups in Mathematics Instruction

        ( Byungeun Pak ) 한국수학교육학회 2021 수학교육연구 Vol.24 No.3

        Students’ participation in epistemic practices, which are related to knowledge construction on the part of students, is becoming a crucial part of learning (Goizueta, 2019). Research on epistemic practices in science education draws attention to teachers’ support of students to engage in epistemic practices in mathematics instruction. The research highlights a need for incorporating epistemic goals, along with conceptual and social goals, into instruction to promote students’ epistemic practices. In this paper, I investigate how teachers interact with students to integrate epistemic goals. I examined 24 interaction excerpts that I identified from six interview transcripts of two beginning teachers’ mathematics instruction. Each excerpt was related to the teachers’ talk about their specific interaction(s) in a small group. I explored how each teacher’s discursive moves and goals were conceptual, social, and epistemic-related as they intervened in small groups. I found that both teachers used conceptual, social, and epistemic discursive move but their discursive moves were related only to social and social goals. This paper suggests supporting teachers to develop epistemic goals in mathematics instruction, particularly in relation to small groups.

      • 포스트소셜 인식방법: 울산의 관광과 고래잡이

        브래들리타타르 ( Bradley Tatar ) 울산과학기술원 인문연구소 2022 포스트휴먼의 조건: 다학제적 탐색 Vol.1 No.0

        본 챕터에서는 한반도의 동남부에 위치한 해안도시 울산의 무형문화유산인 고래잡이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울산의 고래 문화는 1986년 상업포경 금지에 따른 대응방안으로 시작되었다. 지역 내 고래 관련 활동의 핵심 인물들은 새로운 형태의 고래문화를 발전시켰는데, 이들은 대중이 고래를 만나는 새로운 방법들을 고안해 냄으로서 자신들의 정체성 또한 지속적으로 모색하였다. 본 논문은 울산의 고래 문화는 인식방법(epistemic practice)의 한 유형이라고 주장한다. 즉, 울산의 고래 문화는 전문가들이 고래라는 대상을 인간 사회성(human sociality)의 주요 유형으로 설계하고 창조해내는 인식방법(epistemic practice)인 것이다. 이 지적활동은 근대산업사회가 후기자본주의시대의 포스트소셜 방식(the postsocial mode of late-modern capitalism)으로 전환되는 과정의 일환으로, 대상 중심의 지식 형태와 상호작용이 기존의 인간 중심의 사회성(sociality)과 겨루고 곧 이를 대신하게 된다. 울산의 인식 문화(epistemic culture)는 지역주민들이 그들만의 중요한 무언가를 빼앗겼고 고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서만 이 빼앗긴 것을 되찾을 수 있다는 생각이 지역 내 지배적이었던 가운데 형성되었다. 자력으로 전문가로 성장해 현재 활발히 활동 중인 울산 고래문화 전문가들은 욕망이 지식생산의 강력한 동기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한 예시가 된다. 이 전문가들의 지식생산 활동 또한 두 가지 현상의 예시가 되는데, 하나는 고래라는 대상이 지식생산주체인 인간이 갖는 욕망의 구조를 보여준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고래라는 대상의 완전한 물질적 재현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울산의 고래문화는 역동적이고 다양한 면모들을 보여주며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속성을 가진, 대상 중심의 인식방법의 보고(寶庫)이며 이것은 또한 자아발견의 인식은 충족되지 않은 욕망에서 비롯됨을 입증해준다. This chapter examines the development of whale culture as intangible heritage in the southeastern coastal city of Ulsan. Starting out as a reaction against the prohibition of whale hunting in Korea after 1986, the concept of whale culture was developed by a local cadre of Ulsan residents who sought to explore their identity by creating new ways for members of the public to experience an encounter with whales. Here it is argued that whale culture in Ulsan is a mode of epistemic practice, in which experts design and create objects as the central mode of human sociality. This process is part of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 of modern industrial society to the postsocial mode of late-modern capitalism, in which object-centered forms of knowledge and interaction compete with and displace human-centered forms of sociality. The epistemic culture of Ulsan was built around the idea that something valuable has been taken away, which can only be restored through interaction with whales. The activities of the self-made whale culture experts of Ulsan are illustrative of desire-driven knowledge production, through which objects impart the structure of desire, but also become incomplete material representations of the object. As a result, Ulsan’s whale culture is a dynamic, unfolding and continuously changing repertoire of object-centered practice, which validates an episteme of self-discovery built upon the unfulfilled desires.

      • KCI등재후보

        A Meta-Analytic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Approach on Academic Achievement in Turkey

        ( Yejun Bae ),( Ercin Sahin ) 한국수학교육학회 2021 수학교육연구 Vol.24 No.3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approach is described as an immersive argument-based science inquiry focusing particularly on learning through epistemic practices. In the literature, several previous studies indicate how academic achievement is positively influenced by the SWH. In addition to these previous studies, several meta-syntheses of qualitative data have been conducted on this particular topic. With these literatures in mind, a quantitative meta-analysis was conducted with ten studies (N = 724)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SWH on student achievement in Turkey. To present a thoroughly detailed report,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following moderators: grade level, subject area, school location, intervention length, and report source. Overall, this study found that in Turkey, the SWH classrooms performed better in academic achievement tests than traditional lecture-based classrooms. Additionally, the SWH is more likely to be effective regardless of grade levels, subject areas, and school locations.

      • KCI등재

        이카루스의 꿈: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는 실체적인가?

        정규원 ( Kyu Won Jung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법학논총 Vol.38 No.4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는 의료행위에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의사의 독단적인 의료행위를 견제하는 장치로 역할을 하여왔다. 그런데 최근에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가 오ㆍ남용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가 절차적 정당화요소가 아닌 실질적 정당화 요소가 되기 위해서는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가 의사 결정에서 현실적으로 가능해야 한다.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의 과정은 (1) 하고자 하는 의료행위에 대한 의료인들 사이에서 어느 정도 합의된 정보가 존재하여야 하며, (2) 의료인은 그러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인식하여야 하며, (3) 의료인은 자기가 인식한 정보를 환자에게 객관적으로 설명하여야 하며, (4)환자는 의료인의 설명을 듣고 이해하여야 하며, (5) 환자는 받아들인 정보들을 자신의 가치 체계에 비추어 숙고하여야 하며, (6) 환자는 그러한 숙고의 결과로써 당해 의료행위를 할 것인지 여부 및 어떤 종류의 의료행위를 할 것인지 등에 대한 의사결정을 하여야 하며, (7) 환자는 자신의 의사결정을 의료인에게 표시하여야 하며, (8) 의료인은 환자의 의사결정을 이해하고 환자의 의사결정을 존중하여 의료행위에 대한 결정을 해야 한다. 개인의 인식능력은 선천적 능력과 경험에 의하여 형성되며 어떠한 인식들 혹은 인식능력은 변형 경험에 의하여 타인과 공유되지 않는다. Paul이 제안한 변형 경험은 의사 측에서 보면 의사가 되기이며, 환자 측에서 보면 환자가 되기이다. 개인의 주관적 경험과 연관되어 있는 인식능력은 개인의 가치체계에도 영향을 준다. 따라서 개인의 의사결정은 주관적 의사결정일 수밖에 없으며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의 과정도 주관적 인식능력과 가치체계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는 의사와 환자의 공동의 의사결정 과정이며 그 과정에서의 오류발생 가능성이 매우 크다. 공동의 의사결정과정에서의 오류는 참여자들의 인식능력과 이해능력의 차이, 동일한 용어의 서로 다른 용법 등에 의하여서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참여자들이 가지고 있는 편견 그리고 사회적 구조에 의한 편견과 부정의, 즉 Fricker가 말하는 증언과정에서의 부정의(Testimonial Injustice)의 영향을 받는다.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는 매우 중요한 절차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공동의 의사결정과정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그 결정에 대하여 책임감과 자부심을 가지게 되며, 어느 한쪽의 독단적 결정에 의하여 행위가 진행되는 것을 방지한다.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의 제자리 찾아주기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Informed consent has served as a device to ensure the patient's right to self-determination and to check doctors' arbitrary medical practices in medical practice. Recently, however, informed consent tends to be excessively abused. In order for informed consent to become a practical justification factor, informed consent based must be possible in realistic decision-making. Valid informed consent requires some elements: (1) some agreed information among medical practitioners, (2) medical practitioners have to objectively recognize such information, (3) medical practitioners have to objectively explain the information to the patient, (4) patient has to listen to and understand the medical practitioner's explanation, (5) patient should consider the information he/she has accepted in light of his/her own value system, (6) patients should make decisions as a result of such consideration, (7) patients should express his/her decision to medical practitioners, and (8) medical practitioners understand and respect patient’s decision. Individual epistemic ability are formed by innate abilities and experiences, and some epistemic ability are not shared with others when that experience is a transformation experience. The epistemic ability related to an individual's subjective experience also affects the individual's value system. Therefore, individual decision-making is bound to be subjective decision-making, and the process of informed consent also affects subjective epistemic ability and cognitive ability and value system. Informed consent is a type of shared decision-making processes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However, there is a very high possibility of errors in the process. Errors in the shared decision-making process are influenced by differences in participants' cognitive and understanding skills, different uses of the same words. In addition, it is influenced by participants' and/or medical practitioners’ prejudices and social structures, and testimonial injustice. Informed consent has a procedural meaning. Those who participate in the shared decision-making process take responsibility and pride in that decision> In addition informed consent prevents the action by arbitrary decision. It is time to find the right place for informed consent.

      • KCI우수등재

        인식적 뉴컴 문제와 인식적 결정이론

        정재민(Jaemin Jung) 한국철학회 2021 철학 Vol.- No.146

        실천적 결정이론은 크게 증거적 실천적 결정이론(Evidential Practical Decision Theory)과 인과적 실천적 결정이론(Causal Practical Decision Theory)으로 나뉜다. 그리고 잘 알려진 것처럼 전통적 뉴컴 문제는 우리가 왜 인과적 실천적 결정이론을 받아들여야 하는지에 대한 좋은 이유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런데 최근 인식론에서는 실천적 결정 이론의 핵심적 아이디어가 합리적 믿음과 관련된 다양한 인식적 문제들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도를 하는 이론을 ‘인식적 결정이론 (Epistemic Decision Theory)’이라고 부른다. 인식적 결정이론도 실천적 결정이론과 유사하게 증거적 인식적 결정이론(Evidential Epistemic Decision Theory)과 인과적 인식적 결정이론(Causal Epistemic Decision Theory)으로 나뉜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힐러리 그리브스 (Greaves, 2013)는 인식적 뉴컴 문제를 제시하고, 전통적 뉴컴 문제와 유사하게, 인식적 뉴컴 문제도 우리가 왜 증거적 인식적 결정이론보다 인과적 인식적 결정이론을 받아들여야 하는지에 대한 이유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 논문의 목적은 과연 인식적 뉴컴 문제를 통해 인과적 인식적 결정이론이 증거적 인식적 결정이론보다 합리적 믿음의 본성을 더 잘 포착하는지 여부를 탐구하는 것이다. Roughly speaking, Practical Decision Theory is divided into Evidential Practical Decision Theory and Causal Practical Decision Theory. As well known, many philosophers think that the Newcomb Problem provides good reason for Causal Practical Decision Theory. Similar to Practical Decision Theory, Epistemic Decision Theory is divided into Evidential Epistemic Decision Theory and Causal Epistemic Decision Theory. Interestingly, Hilary Greaves have recently provided the Epistemic Newcomb Problem. She claims that it provides good reason for Causal Epistemic Decision Theory as the Newcomb Problem does for Causal Practical Decision Theory. However, I show that, in light of the crucial difference between Practical Decision Theory/the Newcomb problem and Epistemic Decision Theory/the Epistemic Newcomb problem, the Epistemic Newcomb problem fails to provide as good reason for Epistemic Causal Decision Theory as the Newcomb Problem does for Practical Causal Decision Theory.

      • KCI등재

        소집단 논변 활동에서 협력적 성찰의 역할 탐색 -학생들의 인식적 고려와 실행을 중심으로-

        조한빛,하희수,김희백 한국과학교육학회 2019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9 No.1

        This study aims to explore students’ epistemic practices and considerations, which are explained as underlying epistemic thoughts that guide their epistemic practices, during argumentation in science classrooms. We also investigated how collaborative reflection facilitated the development of such epistemic considerations. Two seventh-grade class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by engaging in argumentation activities and collaborative reflection after classes. A group with students’ change in epistemic aspects and the influence of collaborative reflection clearly revealed from their practices was chosen as a focus group. We recorded their class discussions and collaborative reflections with the researchers. Transcriptions of the recordings and checklists we collected during the collaborative reflections were used for analysis. Results showed evident changes in the students’ epistemic considerations and practices and four factors facilitating such developments were identified. First, the researcher facilitating the students to recognize each other as collaborators during collaborative reflection led development of epistemic considerations on “audience using the knowledge products.” Second, the collaborative reflection facilitated construction of context for peer interactions where the students encouraged each other to participate in the discussion, resulting in the development of other students’ epistemic considerations on "justifications in knowledge products." Third, the items provided on the checklists explicitly delineated expectations on their practices in argumentation, also facilitating development of epistemic considerations. Lastly, the students’ imitation of the researcher’s pattern of discourse facilitated construction of causal explanation and development of epistemic considerations on "nature of the knowledge product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strategies that develop students’ epistemic considerations and productive epistemic practices in argumentation. 본 연구는 소집단 논변활동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인식적 실행을 토대로 하여 학생들이 지닌 인식적 고려를 파악하고, 수업 실행 중에 나타난 학생들의 인식적 고려 수준의 변화에 협력적 성찰이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소집단 논변 활동과 수업 후 소집단 구성원과의 협력적 성찰을 진행하였다. 협력적 성찰을 진행한 소집단 중에 수업 실행으로 부터 인식적 측면의 변화가 명확히 드러나며, 이 변화에 협력적 성찰이 기여한 바가 분명하게 드러난 소집단을 초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논변 활동에서의 소집단 논의 및 협력적 성찰을 녹화, 녹음하였고, 그 전사본과 협력적 성찰시 활용된 체크리스트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인식적 고려를 지식 산물의 본성, 지식 산물 구성의 정당화, 청중에 대한 인식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그리고 인식적 고려와 실행의 변화에 있어 협력적 성찰이 어떻게 역할을 하였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소집단 학생들이 보인 인식적 고려 수준은 제각각 차이가 있었 으며, 협력적 성찰이 기여한 변화는 5차시 수업 이후에 나타났다. 학생의 인식적 고려 수준의 변화를 촉진하는 요인은 크게 네 가지로 구분되었다. 첫째, 협력적 성찰에서 연구자가 수업 실행에 대한 성찰을 유도하는 과정에서 구성원을 협력자로 인식하는 기회를 제공했고, 이는 ‘청중에 대한 인식’ 측면에서 인식적 고려 수준의 발달을 지원하 였다. 둘째, 협력적 성찰이 기존과는 다른 방식의 동료와의 상호작용이 나타나게 하는 맥락 조성에 기여하였다. 구성원을 협력자로 인식 하고 논변을 발전시키는 과정에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상호작용이 ‘정 당화’ 측면에서 다른 구성원의 인식적 고려 수준 발달을 지원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협력적 성찰에서 제공된 체크리스트가 활동에서 기대하는 바를 명시화함으로써 생산적인 인식적 실행을 촉구하였 고, 이 또한 학생의 인식적 고려 수준의 발달을 지원하였다. 마지막으로 협력적 성찰에서 연구자가 사용한 발화 패턴을 모방한 학생의 인식적 실행은 학생이 인과적 설명 구성을 할 수 있게 촉진하였고, 이는 ‘본성’ 측면에서 인식적 고려 수준의 발달을 지원하였다. 본 연구는 학생의 인식적 고려 수준을 발달시킬 수 있는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발달된 인식적 고려를 바탕으로 생산적인 인식적 실행을 촉진하는 데에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과학 학습의 지식구성 과정에 대한 실제적 인식론 분석

        맹승호,Maeng, Seungho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8 초등과학교육 Vol.3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pecific terms of epistemic and epistemological by reviewing the literature on epistemological understanding of science learning, examine the necessity of epistemic discourse analysis based on the view of social epistemology, and provide an exemplar of practical epistemology analysis for elementary children's science learning. The review was conducted in terms of meaning and terminology about epistemic or epistemological approach to science learning, epistemology of/for science, and methodologies for epistemic discourse analysis. As an alternative way of epistemic discourse analysis in science classroom I employed practical epistemology analysis (by Wickman), evidence-explanation continuum (by Duschl), and DREEC diagram (by Maeng et al.). The methods were administered to an elementary science class for the third grade where children observed sedimentary rocks. Through the outcomes of analysis I sought to understand the processes how children collected data by observation, identified evidence, and constructed explanations about rocks. During the process of practical epistemology analysis the cases of four categories, such as encounter, stand-fast, gap, and relation, were identified. The sequence of encounter, stand fast, gap, and relation showed how children observed sedimentary rocks and how they came to learn the difference among the rocks. The epistemic features of children's observation discourse, although different from scientists' discourses during their own practices, showed data-only conversation, evidence-driven conversation, or explanation inducing conversation. Thus I argue even elementary children are able to construct their own knowledge and their epistemic practices are productive.

      • KCI우수등재

        인식적 의무와 통약 가능성

        이주한(Joohan Lee) 한국철학회 2019 철학 Vol.- No.138

        인식적 의무는 전통적으로 믿음에 귀속되는 의무로 이해되어 왔다. 그리고 인식적 의무의 이 특징은 인식적 의무를 다른 종류의 의무들과 구분되게 하는, 그리고 더 나아가 다른 종류의 의무들과 통약 불가능하게 하는 주된 요인의 하나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인식적 의무의 믿음 귀속에 대한 최근의 비판적 논의는 인식적 의무의 독특한 지위에 대해 근본적인 물음을 던지게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인식적 의무가 고유한 종류의 의무인지 아니면 다른 종류의 의무들과 통약 가능한 의무인지 논의를 진행한다. 이를 위해 우선, 인식적 의무의 행위 귀속성을 주장하는 이주한의 견해를 간략히 살펴보고, 그러한 견해 하에서 인식적 의무의 고유성이 어떻게 옹호될 수 있는지 주요 논증을 구체적으로 검토한다. 이 논의를 통해, 실천적 이유 구분 가능성에 기대는 고유성 논증과 인식적 이유 내재성에 기대는 고유성 논증 각각의 중심 생각과 그 문제점들이 드러날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인식적 의무는 단순히 고유한 종류의 의무가 아닐뿐더러, 도덕적, 타산적, 미학적 의무 등 다양한 종류의 실천적 의무들과 통약 가능하다는 점이 적극적으로 논의될 것이다. Epistemic duty is traditionally understood as pertaining to belief. And this feature is taken as one of main reasons to think that epistemic duty is distinct from and also incommensurable with other kinds of duties. A recent criticism against the thought that epistemic duty pertains to belief, however, prompts one to question the unique status of epistemic duty.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discusses whether epistemic duty is of its own kind or commensurable with other kinds of duties. To begin, it reviews the recent discussion of Joohan Lee’s, which argues that epistemic duty pertains to act. And then, in light of this, it addresses mains arguments for the view that epistemic duty is of its own kind. From the discussion it will be revealed that the argument relying on intrinsicality of epistemic reason as well as the one relying on distinguishability of practical reasons will not stand the objections against them. And, more positively, it will be shown that not only is epistemic duty not of its own but commensurable with various kinds of duties such as moral, prudential, aesthetic, etc. ones.

      • KCI등재

        과학적 지식 탐색 과정에서 초등학생들의 인식적 정서와 이를 이끄는 인지적 평가 요인 탐색

        허민아,오필석,한문현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9 초등과학교육 Vol.38 No.4

        This study explores the types of epistemic emotions that elementary-school students experience in science classes and the cognitive appraisal factors that affect these emotions. Thirty-two fourth-grade students of an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do, South Korea, participated in 20 science periods and wrote emotional diaries at the end of each class. In addition, the researcher conducted follow-up interviews to investigate the types of cognitive appraisal factors that caused the students to experience specific epistemic emotions that were recorded in their emotional diaries. The emotional diaries and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of qualitative analysi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tudents experienced various positive and negative epistemic emotions. In addition, the cognitive appraisal factors experienced by the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curriculum knowledge, experimental materials, experimental content, students, teachers, themselves, and integrated factors. We discussed that students’ epistemic emotions are constructed cognitively and socially and that students inevitably experience negative epistemic emotions during science classes.

      • KCI등재

        초등학생들의 인식적 권위 부여하기: 인식적 권위를 향상시키는 두 수업의 교수 전략 분석

        강은희(Kang, Eu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8

        이 연구에서는 기존에 개발된 두 수업 자료(‘애완동물 안내문 만들기’, ‘질병을 일으키는 작은 생물’)를 분석하여 초등학생들의 인식적 권위를 향상시키기 위한 수업을 설계할 때 교사가 고려할 수 있는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두 개의 수업에서 계획하고 수행한 세부적인 교수 실행을 추출하였고, 이를 분석하는 인식적 권위의 분석틀을 고안하였다. 인식적 권위의 분석틀은 지식의 유형에 따라 내용 지식에 관한 내용적 측면, 지식 구성 활동에 관한 실행적 측면, 수업 운영 지식에 관한 운영적 측면으로 구분된다. 연구결과에서는 각 세부 측면에서 권위의 소유권이 누구에게 있는지, 이를 위해 수업 자료 개발과 실제 수업 상황에서 어떠한 전략을 사용했고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정리하였다. 두 수업에서 내용적인 측면과 실행적인 측면은 교사와 학생이 권한을 공유하거나 학생들에게 전적으로 권한을 주고자 하였으며, 운영적인 측면은 대부분 교사가 권한을 가지는 방식으로 수업을 계획하고 수행하였다. 그러나 운영적인 측면은 수업에서 계획한 것과 달리 실제 수업 상황에서 학생들이 활동을 진행하면서 능동적으로 주도권을 잡으려 하기도 하였다. 두 수업에서 학생들에게 부여한 인식적 권위는 유사하면서도 실제 수업 실행과 세부적인 측면에서는 차이가 있었는데, 수업의 목표에 따라 구체적인 활동과 전략이 다를 수 있으며, 어떠한 실행에서 학생들에게 권한을 부여할지에 따라 수업을 다양하게 계획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wo activities(“Making a pet poster” and “Disease-causing small creatures”) and suggest strategies to improve elementary students epistemic authority. First, the detailed instructional practices in the two activities were extracted and the analysis framework of epistemic authority was devised. Epistemic authority was classified into three aspects - content, practical and operational aspects - according to the t pe of knowledge. In the results, it was analyzed who owned the authority, what strategies were used and which meaning was had in each details implementation. Two activities shared the authority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content and practical aspects. In the operational aspects, the activities were designed for teacher to have the authority. However, students tried to take the lead actively in the actual class situation. The epistemic authorities given to the students in the two activities were similar,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ctual practice and the details of the lesson. Specific activities and strategies might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goals of the lesson, and the activities can be designed in a variety of ways, depending on what authority students are empow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