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러닝 콘텐츠 공유시스템 모형 개발

        임병노 ( Byung Ro Lim ),김희배 ( Hee Bae Kim ),박인우 ( In Woo Park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2 No.2

        현재 위기에 처한 대학교육의 개선을 위한 노력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e-러닝의 활용은 이러한 노력의 하나로 대학교육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새로운 유비쿼터스 교육환경 속에서 대학교육의 진정한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우수한 e-러닝콘텐츠의 공동개발 및 활용 활성화를 위한 실천적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e-러닝콘텐츠를 공동으로 개발·활용할 수 있는 보다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콘텐츠공유시스템 모형에 대한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국내외 유관 사례 및 문헌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연구결과 콘텐츠공유시스템을 콘텐츠 유형과 서비스 정도에 따라서 디지털저장소, 콘텐츠포털, e-러닝통합형의 세 가지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디지털저장소(Digital Repository)가 자료에 대한 인증과 저장, 검색과 인출에 초점을 두고 있다면 콘텐츠포털은 콘텐츠 자체에 대한 주석과 평가를 통하여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디지털저장소와 콘텐츠포털이 콘텐츠에 대한 저장과 인출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고 볼 때 e-러닝통합형은 콘텐츠에 대한 저장, 인출 외에도 사용자를 대상으로 e-러닝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차별성이 있다. e-러닝통합형은 사용자가 e-러닝강좌를 수강할 수 있도록 학습운영시스템을 구축하여 교수자, 튜터, 운영자를 두고 있다. 따라서 대학간, 산학간 e-러닝강좌를 공유하는 것이 목적일 때는 e-러닝통합형을 활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그러나 e-러닝서비스가 가지는 복잡성 때문에 e-러닝통합형의 경우 e-러닝서비스에 중점을 두다 보면 다양한 콘텐츠를 저장, 검색, 인출하는 기능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세 가지 유형별 특징과 장단점, 이슈 및 실제적인 적용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Currently, there are many efforts being made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troducing e-Learning is one of them. It is regarded as an effective way to enhance competitiveness of higher education. Under new ubiquitous environments, we need practical strategies to develop quality e-Learning contents and share them in effective ways. This study is to identify an effective content sharing system or model, which helps developing and sharing e-Learning contents. Research methods include case studies, literature review, and experts` consulting. Cases includ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on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data, the contents sharing system was categorized into three different types: Digital repository, Contents portal, and e-Learning integration type. The Digital repository type focuses on data qualification, preservation, search and withdrawal.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portal type allows users to annotate and evaluate data or contents. The e-Learning integration type, in addition to these functions, offers e-Learning courses and manages LMS. The e-Learning integration type is different from the other types in terms of its comprehensiveness and service coverage. Therefore, if the main purpose of contents sharing is to share e-Learning courses among universities and between university and corporate, the e-Learning integration type might be appropriate. However, this type is too complex, and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data storage, search, and withdrawal. This study discusses features, strengths and limitations, issues, and application methods of these three types of contents sharing system.

      • KCI등재

        대학이러닝에서 학습자의 학습스타일에 따른 학습자 특성과 이러닝 학업성취도 및 만족도, 모바일러닝 수강동기 분석

        최미나(Choi, Mina),노혜란(Rho, Hye-L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대학이러닝에서 수강생들의 학습스타일을 규명하고 학습스타일에 따라 이러닝에 대한 학습효과와 향후 모바일러닝을 수강을 하고자 하는 수강동기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이러닝 만족도와 모바일러닝 수강동기를 측정하기 위한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학습스타일 진단을 위하여 Gregorc의 도구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는 C 대학교에서 이러닝을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161개의 유효한 데이터가 수집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는 첫째, 학습스타일은 구체순차형이 가장 많았고, 남학생은 구체순차형이 여학생은 추상임의형이 많았다. 둘째, 학습스타일에 따라 이러닝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었다. 구체순차형의 학습자가 구체임의형 학습자보다 성적이 높았다. 셋째, 학습스타일에 따라 이러닝 만족도 중 ‘이러닝에서의 상호작용의 충분성’에 대하여 구체순차형 학습자의 만족도가 구체임의형보다 높았다. 넷째, 학습스타일에 따른 모바일러닝 수강 동기는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학습스타일과 학년, 전공에 따른 이러닝 학업성취도와 이러닝 만족도, 모바일러닝 수강동기는 차이가 없었으나, 학습스타일과 성별에 따른 모바일러닝 수강동기 중 일부에서 차이가 있었다. 구체순차형의 여학생의 모바일러닝 전공관련에 대한 동기가 높았고 추상구체형 여학생의 모바일러닝 축약된 핵심내용에 대한 동기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닝과 모바일러닝에서 학습효과를 발휘하는 학습자의 특성이 무엇인지 규명함으로써 학습자 분석에 기반한 이러닝 및 모바일러닝 지원 방안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e-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motive to take mobile learning courses according to learning style in University By analyzing the previous relevant research, it has developed 10 items for measuring e-learning satisfaction and 14 items for measuring motive to take mobile learning courses. To diagnose learning style, I used Gregorc’s Questionaries. The study conducted in June 2015 for students who have taken the e-learning course in University at Chungbuk, 161 valid data was collected. By statistics analysis such as cross-tabulation analysis, ANOVA and MANOVA, I have a several meaningful result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learning style. CS type was higher academic achievement than CR type. Second, there is a difference in e-learn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learning style. CS type was higher e-learning satisfaction than CR type for interaction sufficiency. Third, there i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otive to take mobile learning courses according to learning style. Finally, there i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and e-learn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learning style and gender, but there is in motive. Concerning to motive to take mobile learning courses, CS type’s female has been a high motive for major need, and AS type’s female has been a high motive for mobile learning’s abbreviation. This study, by identifying what learner’s characteristics was to learning effect in e-learning provides a support plan for e-learning and mobile learning.

      • KCI등재후보

        산학연계형 대학 이러닝 학습성과 사례연구

        김희배,박인우,임병노,임정훈 한국기업교육학회 2008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10 No.2

        Recently, e-Learning has been an issue as a new method for higher education. Although building the infrastructure, changing the thoughts and mind of the member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ing system, and expanding hardware are important for facilitating e-Learning for higher education, above all development and use of high-quality e-Learning contents are the most important. In this viewpoint, the institutes of higher education need to find a strategical cooperation with the e-Learning company that develop or serve high-quality e-Learning contents. That is, the issue of development and use of e-Learning contents through cooperation between industry and academy needs to be at the center of discussion. In this perspective, the study aimed at finding empirically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cooperation of academy and industry, that is cooperation between higher educational institutes and e-Learning company through e-Learning contents. The purpose was to be accomplished by presenting an excellent case of the cooperation. With the study, it was identified how to enrich the educational capability of e-Learning and increase the level of member's satisfaction at colleges through cooperation between academy and industry in the future. Furthermore, some valuable implications were derived for where the government, academy, and industry all together focus 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e-Learning educational system based on cooperation between academy and industry. 최근 들어 대학교육의 새로운 방법으로 이러닝이 화두로 등장하고 있다. 대학에서 이러닝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그에 따른 인프라 구축과 구성원들의 인식과 태도 변화, 행재정적인 지원체제의 마련 등 하드웨어의 확충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소프트웨어 중심의 양질의 학습콘텐츠를 보다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활용하도록 하는 일이다. 이렇게 볼 때, 보다 양질의 소프트웨어(콘텐츠)를 개발, 서비스하고 있는 이러닝 산업체와 전략적 제휴를 모색하는 일이 요구된다. 즉, 산학간 콘텐츠의 공동 개발 및 활용 과제가 대학 이러닝 관련 사업 및 정책에서 중요한 이슈로 다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과 민간업체가 이러닝 콘텐츠를 매개로 해서 산학연계형 교육적 효과성을 하나의 실천적 우수사례로 창출할 수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향후 대학과 민간업체가 어떠한 전략적 제휴 과정을 통해서 대학의 이러닝 교육역량을 강화시켜 나가고, 동시에 대학수요자의 이러닝 만족도를 제고시켜 나갈 수 있는지를 확인하게 될 것이다. 더 나아가 산학연계형 이러닝 교육체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정부와 대학, 기업 모두가 고등교육 이러닝 정책의 핵심이 어디에 놓여야 하는지를 시사받을 수 있을 것이다.

      • 지역 e-Learning 지원센터의 기능분석과 중요도 인식에 관한 연구

        정대율,김권수 동의대학교 경제경영전략연구소 2005 經濟經營硏究 Vol.3 No.1

        Today, many universities are confronted with the changing education paradigm such as e-Learning, Distance Education, Virtual University. This IT-based learning paradigm shift is certainly a new opportunity or a threat to our universities. To build a e-Learning system, not only many H/W and S/W resources but also expert personnels are required. An organization such as local university who is week at financial status can't himself plan the system. The Local University Community e-Learning Centers that support the demand of e-Learning requirements for their community are recommended. In order to operate these centers efficiently, the roles and functions of the center should first be defined, and the priorities of their functionalities must be rated. To define the functions of the center and assess their importance rating, we classified the function of it into four dimensions, ① contents development support, ② learning management support, ③ facilities and equipments support, ④ planning and operational management support, and each dimension has 3 or 5 measurement items. Most respondents say that contents development support factor is most important, and learning management support is next. We also tried to find the differences for each factor by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sor. The data showed that there was littl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evaluating the importance of the functions of the center. Nevertheless the cross table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meaning for each groups. Through the analysis, we could have recommended the operational implications for the e-Learning centers.

      • KCI등재후보

        e-Learning 콘텐츠의 캐릭터 Type에 관한 연구

        안용준(Ahn, Yong-Jun),이태구(Lee, Tae-Gu)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1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0 No.2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교육에서도 많은 종류의 e-Learning 학습이 개발되고 있다. 유아나 초등학생용으로는 에듀테인먼트 콘텐츠가 활발하게 제작, 연구되어 오고 있지만 성인대상 e-Learning에서는 에듀테인먼트 요소가 드물게 사용되고 있다. 현재 성인대상 e-Learning에서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에듀테인먼트 요소 중의 하나는 캐릭터를 활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e-Learning 콘텐츠 제작시 어떠한 Type의 캐릭터가 많이 사용되는지를 조사하여 일반 캐릭터 Type과 비교 분석해 보았다. 실사나 Real Type 보다는 흔히 아동용 애니메이션에서 볼 수 있는 2~4등신 정도의 귀엽고 친근한 캐릭터 사용이 많았으며 복장은 깔끔한 정장과 캐주얼정장 Type을 그리고 캐릭터의 종류는 실사나 카툰보다는 일러스트 Type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e-Learning에 사용되는 캐릭터의 기능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학습자에게 적당한 캐릭터가 개발되고 다양한 학습콘텐츠의 캐릭터 연구에 참고가 되었으면 한다. Thanks to IT technology, many different kinds of e-Learning method have been developed for education. While ‘Edu-tainment’ contents for children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been made and researched lively, adult-oriented ‘Edu-tainment’ elements have been rarely used. Recently, one of the most useful ‘Edu-tainment’ elements in e-Learning for adult-oriented is the method of using character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arning characters, which are mostly used and compare them with general type of characters. As a consequence of the study, I have concluded that even the adult using adult-oriented contents has a preference for cute and intimate small characters, which are generally shown in the kid animation film than real picture characters. Furthermore, I have also found that the adult prefers a neat and casual suit type of costume characters. Finally, the study shows that the adult prefers an illustration type of characters to a real picture or a cartoon type of characters. Regarding the functional side of characters used for e-Learning, I hope this study helps to invent suitable characters for an adult learner and research for characters of various learning contents.

      • KCI등재후보

        국악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e-러닝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성기련(Sung, Ki-Ryun),김혜란(Kim, Hye-Ran) 한국국악교육학회 2011 국악교육 Vol.32 No.32

        e-러닝은 학습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일련의 학습 전개 과정 및 그에 따른 멀티미디어 매체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게 해주고, 언제, 어디서나, 누구든지 학습할 수 있어 학습자의 자기주도적인 학습 환경을 조성해주는 장점을 지닌다. 국악교육에 있어서 e-러닝 콘텐츠의 개발이 중요한 이유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e-러닝 콘텐츠는 다양한 그림과 사진 자료 등을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국악의 문화적 의미와 가치를 부각시키고 이해시키는 데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e-러닝 콘텐츠는 국악에 대해 충분한 전문성을 갖고 있지 않은 교사라고 하더라도 이미 검증의 과정을 거친 수준 높은 음원 자료와 동영상 자료를 수업 자료로 활용하기에 용이하다는 점에서 효용성이 높다. 따라서 국악교육용 e-러닝 콘텐츠를 많이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에 앞서 e-러닝 콘텐츠를 어떤 방향으로 개발하여 활용할 것인가에 대해 국악교육계에서 심도 있는 논의와 방향 정립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e-러닝 콘텐츠의 학습 주제와 각 주제별 학습 목표를 선정하고 교수?학습 방법의 적용 방안을 고찰하기 위해 현재 시행되고 있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e-러닝 콘텐츠를 개발할 때에는 국악의 특징을 잘 살려 가르칠 수 있도록 국악 어법에 맞는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해야 하며, 국악을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 통합적으로 이해시킬 수 있도록 텍스트, 그림, 동영상, 플래시 애니메이션, 음원 등의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를 구조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학교 현장은 학교가 위치한 환경적 요인과 학년 급별 수준에 따라 매우 다양한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같은 주제의 내용이라 하더라도 학습자의 눈높이와 발달 단계, 관심에 맞게 학습 내용을 위계화 하여 설계해야 하며,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를 교사가 선별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고려하여 구성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최근에는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학교 현장에서 e-러닝 이외에도 u-러닝(ubiquitous-Learning)이나 s-러닝(smart-Learning)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새로운 접근 방법이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e-러닝 콘텐츠 개발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한 논의가 심화되고 그를 토대로 질 높은 콘텐츠가 다양하게 개발된다면, 이후 그 결과가 새로운 환경과 매체를 통한 국악교육용 콘텐츠의 개발과 활용에도 확대되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국악교육의 질적 제고와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E-Learning helps all people use a series of processes that enables them to develop the learning skills necessary for accomplishing learning goals and using various multimedia. E-Learning can be done anywhere at any time, so it can create a self-initiated learning environment. The reasons why it is important to develop e-Learning contents in relation to providing education on Korean music are as follows. First, e-Learning can be effectively used to emphasize or stress particular points to students and can help them understand the cultural meanings and values of Korean music by using diverse paintings and photos. Second, e-Learning is highly effective in that teachers can easily use high-standard sound sources or videos which already have been verified by e-Learning developers as suitable material without the need to worry about separately preparing for lessons. It certainly is important to develop diverse e-Learning contents when teaching Korean music, but the developmental direction and utilization of e-Learning contents should be established first.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7 to prepare a foundation for systematically developing e-Learning contents and selected learning themes from e-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goals for each theme based on it. In developing e-Learning contents, the prope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hen teaching Korean music should be applied to make the most of its special features. A focus was placed on structurally suggesting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such as tests, pictures, videos, flashcards and sound sources, to make students comprehensively understand Korean traditional music in socio-cultural contexts. As schools can be very different from one another depending on environmental factors, location and the class levels, it is important to compose contents by taking into account the possibility that teachers can selectively use them depending on learners’ levels, development stages and interests, even if the themes of the contents are the same. In line with our rapidly changing times, schools have recently begun to emphasize new approaches using various media, such as ubiquitous-Learning or smart-Learning, in addition to e-Learning. If there are lively and intelligent discussions on desirable directions for e-Learning contents development and diverse upgraded contents are developed based on them, they will be able to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contents for Korean music education through new environments and new media in the future and Korean music education will be vitalized in a desirable direction.

      • KCI등재

        이러닝 종사자의 직무별 역량기반 교육체계 개발 연구

        최미나 ( Mi Na Choi ),장은정 ( Eun Jung Ja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이러닝 전문 인력의 수요 급증과 교육 필요에 부응하기 위해 이러닝 종사자 전체 직무에 따른 역량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역량기반 교육체계를 개발하여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 이러닝 기업의 임원진과 종사자를 대상으로 FGI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러닝 컨설턴트, 이러닝 교수설계자, 이러닝 콘텐츠 개발자, 이러닝 시스템 개발자, 이러닝 서비스 운영자의 정의 및 직무를 분석하고 직무별 역량을 도출하였다. FGI는 15명, 설문조사는 174명이 참여하였고, 각 직무에 대한 역량모델을 도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역량기반 교육체계를 개발하였다. 역량기반 교육체계는 역량의 유형에 따라 기본역량, 이러닝 소양역량, 일반역량, 핵심역량으로 구분하고, 숙련도에 따라 신입과 경력으로 구분하여 전체 교육체계도와 5개 직무에 대한 교육체계도를 제시 하였다. 이러닝에 대한 개념, 교수학습설계, 시스템에 대한 이해와 창의적 사고력 등 이러닝 종사자가 갖추어야할 기본공통 교과 4개가 도출되었고, 이러닝 최신기술 및 동향, 세계진출 전략 등에 대한 이해, SCORM, 품질인증, 고용보험 환급규정, 표준화 등에 대한 지식, 프로젝트 관리, 프레젠테이션, 커뮤니케이션 등에 대한 기술 등 15개의 이러닝 소양역량 관련 교과가 도출되었다. 각 직무별로는 이러닝 컨설턴트, 이러닝 교수설계자, 이러닝 콘텐츠 개발자가 각 10개 교과, 이러닝 시스템 개발자 11개교과, 이러닝 서비스 운영자 7개 교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닝 종사자 전체를 위해 체계적인 교육체계를 총체적인 관점에서 마련하고, 국내 이러닝 산업 현장을 반영한 역량 중심의 교육체계를 개발하여 이러닝 전문 인력 양성의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nd suggesting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e-learning. We analyzed job competency of e-learning workers to meet demand and educational need of e-learning professionals. For this study, we conducted FGI and questionnaires targeting executives and workers in e-learning related companies, analyzed definition and job of e-learning consultant,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 e-learning contents developer, e-learning system engineer, and e-learning service manager, and derived competency according to jobs. Also, we developed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rough deriving competency model according to each group of job. We divided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to basic competency, e-learning literacy, general competency, core competency according to types of competency and into the novice and the master according to proficiency level and then, suggested a holistic curriculum of 5 groups of job.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drew a systematic curriculum in the holistic viewpoint of entire workers in e-learning, developed a curriculum focusing on a competency that reflected a domestic field of e-learning industries, and suggested a practical way of fostering e-learning professionals.

      • Relevance’s of using E-Learning Systems & Technology in INDIA : Tutoring Practice

        M. R. M. VeeraManickam,M. Mohanapriya,Debnath Bhattacharyya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u- and e- Service, Scienc Vol.9 No.8

        Traditional classroom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are not in full-fledged utilizing latest new technology for teaching learning system at various college levels which in high demand. This article describe valuable concept to get awareness to the principal governing educational sector in India to the vital need of shifting from traditional system to an e-learning practice system using Data centers deployments and latest technology. In advance it focuses on significance necessity of infrastructure which is high demand to use in educational institute to improve effectiveness and value of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hrough e-learning. Major issues are in Indian Educational Sector is e-learning system decentralized model and proposed model provides solution for centralized system features and illustrate its importance of Cloud Datacenter model-Dac and its significances.

      • KCI등재

        e-러닝과 u-러닝의 차이점에 대한 교사의 인식 실태 분석

        조규락 ( Kyoo Lak Cho ),김선연 ( Sun Yun Kim ),우석구 ( Suk Koo Woo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현장의 교사들이 e-러닝과 u-러닝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 차이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직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e-러닝과 u-러닝에 대한 인식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와 해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익숙성 측면에서 절대 다수의 교사들이 u-러닝과 달리 e-러닝 개념에 익숙해 있었다. e-러닝은 널리 퍼진 개념이지만 u-러닝은 서서히 알려져 가고 있는 개념으로 보인다. 둘째, 친근성 측면에서도 다수의 교사들이 u-러닝에 친근성을 갖고 있지 못하였다. u-러닝은 자신의 체험과 업무와 관련이 없다고 인식한 것이다. 셋째, "e"와 "u"의 의미와 정의에 관해서도 e-러닝보다는 u-러닝에 있어서 훨씬 다수의 교사들이 그 알파벳의 의미와 정의를 모르고 있었다. u-러닝에 익숙하지도 친근하지도 않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넷째, 관심도의 경우에도 u-러닝이 e-러닝보다 관심도가 많이 낮았다. e-러닝 만큼 u-러닝이 학교에 보급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다섯째, e-러닝과 u-러닝의 교사와 학교교육에 영향력 측면에서는 e-러닝과 u-러닝 모두 영향을 줄 것으로 믿고 있었다. 그러나 어느 것도 교사의 자발적인 교육체제로 보지는 않았다. 때문에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여섯째, 다수의 교사들이 모두 e-러닝과 u-러닝 모두 연수 경험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다양한 연수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수업경험에 있어서도 다수의 교사들이 현장의 수업에서 e-러닝과 u-러닝을 이용한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많은 교사들이 기회가 되면 연수를 받을 의향이 있으며 수업에서의 이용을 고려하고 있었다. e-러닝과 u-러닝의 보급에 노력을 해야 할 명분으로 보인다. 끝으로 많은 교사들이 e-러닝과 u-러닝은 다르다고 생각하고 있었지만 별개의 교육체제가 아니라 e-러닝을 대체할 발전된 교육체제로서 u-러닝을 파악하고 있었다. u-러닝으로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 e-러닝이 자연스럽게 교수-학습과정에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school teachers` awareness of e-Learning and u-Learning.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survey research, subjects of which were school teachers. The results and its interpretations were as follows: First, unlike u-Learning, absolute majority of teachers was well acquainted with e-Learning. It appears that the concept of e-Learning is widespread, whereas that of u-Learning is not. Second, unlike e-Learning, many teachers were not familiar to u-Learning. They answered that u-Learning would not be related to their work yet. Third, some teachers did not know the meaning of "e" while majority of teachers did not know the meaning of "u". One possible reason is that they are not familiar and intimate with u-Learning. Fourth, teachers` interest in u-Learning was lower than that in e-Learning. It seems that u-Learning is less popular than e-Learning in school settings. Fifth, majority of teachers agreed that not only e-Learning but also u-Learning would affect on teachers and schooling. Sixth, majority of teachers barely had training experience on u-Learning as well as on e-Learning. Seventh, many teachers did not utilize e-Learning and u-Learning in their classes. Varied training and education about e-Learning and u-Learning would be necessary. Finally, many teachers regarded e-Learning and u-Learning as being different each other. However, they did not think e-Learning and u-Learning were totally different education systems, but they thought of u-Learning as an alternative, developed education system. It shows that for u-learning to be successfully introduced into schooling, e-Learning should be implemented gradually.

      • KCI등재

        이러닝 도입의 개인 수용ㆍ확산요인에 관한 연구: 공공 직업훈련 인력양성 P대학 사례

        황석 한국직업교육학회 2008 職業 敎育 硏究 Vol.27 No.3

        This study purported to elicit factors affecting acceptance and diffusion and find relationships among them in the individual decision-making in the diffusion process of e-learning by analyzing user perception differences. It combined a model of five stages in the innovation-decision process and technical acceptance model to develop a model for this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d that large percentage of professors in the institution infrequently and tentatively uses e-learning tools and lack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available for effective e-learning. Recognition of e-learning characteristics, system support, and subjective norms were recognized as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individual acceptance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To improve recognition of e-learning characteristics, it was recommended to share the methods and effects of successful e-learning initiatives in field while decreasing negative perceptions. Specifically, it is imperative to provide e-learn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strategy for major subjects. Considering e-learning efforts and regulations of the educational foundation of this case have been skeptically regarded and that systemic support negatively affects individual acceptanc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ystematic and integrated support system rather than to use fragmented and situationally fluctuating support strategy. 직업교육훈련기관의 이러닝 도입은 다른 교육기관과 마찬가지로 교육 테크놀로지의 기술적 차원을 불균형적으로 부각시켜 도입을 하는 경우에 교육훈련 현장에 적용하기 어려우며 기대했던 효과를 거둘 수 없다. 교육 테크놀로지의 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기관적, 사회적, 정책적, 개인적 차원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기술적 도입 이후의 중요한 관심은 도입된 기술의 사용을 결정하는 사용자의 의사결정 과정을 중심으로 한 개인적 차원의 수용과 확산이다. 본 연구는 새로운 시도인 이러닝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중심으로 확산과정에서 개인의 의사결정과 관련된 수용ㆍ확산 요인을 도출하고 이들의 영향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실용적으로는 이러닝이 보다 효과적으로 확산, 활용될 수 있게 하는 확산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목적을 위해 Rogers의 의사결정 모델과 기술수용 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중에서 이러닝 활용상황을 보면 높은 비율의 교수자가 상호작용이 포함되지 않는 자료정리 등의 기능을 시험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효과적인 이러닝 교수ㆍ학습방법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한 요인으로는 이러닝 인지도, 환경 지원, 혁신 성향이 개인 수용에 영향을 미치며 확산을 위한 전략으로 가장 효과적인 것은 이러닝의 특성을 위주로 한 인지도 향상이었다. 이를 위해 직업훈련의 각 분야에서 사례를 중심으로 이러닝 방법론, 교수ㆍ학습방법, 효과 등을 공유하는 것, 그리고 부정적인 인식을 감소하기 위해 체계적인 조사와 해결방안을 제안하였다. 환경 지원이 부(-)의 방향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대학법인의 이러닝 관련 노력과 규정들이 부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는 것을 시사하므로 현재의 환경 지원의 단편적이고 상황 변동적인 지원 전략을 수정하여 종합적이고 체제적인 지원 시스템으로 전환하고 개선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