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몽골의 과학 교과서의 비교 연구 - 에너지와 기후변화 내용을 중심으로 -

        강투무르 다리수엔,김현경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24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1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에너지와 기후변화’를 주제로 몽골과 한국의 초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내용과 삽화 등을 비교하고 양국의 교과서 내용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내용 중에서는 ‘물질의 상태변화’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에너지기후변화 내용을 중심으로 교과서 비교분석을 위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몽골과 한국 초⋅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기술된 ‘물질의 상태변화’에 대한 내용과 삽화를 비교 분석한 후 ‘기후 변화’의 내용과 삽화를 문헌조사 및 분석과 수차례의 전문가 협의를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양국의 초⋅중학교 교과서에는 ‘물질의 상태변화’에 관한 내용은 적절했지만 기후변화에 관한 내용은 부족하며 에너지와 기후변화에 대한 통합적인 내용도 거의 없었다. 양국 과학 교과서의 ‘물질의 상태변화’ 관련 내용은 유사하지만 삽화, 탐구, 응용은 한국 교과서가 더 많았다. 한국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과학 이야기에 ‘기후변화’ 내용이 4개 주제로 다루어진 반면, 몽골 초등학교 교과서는 내용이 1개 주제만 다루고 있다.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는 기후변화 관련 내용이 상대적으로 적고 온실가스 관련 내용만 포함되어 있어 많은 내용을 다루지 못했다.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었다. 첫째, 몽골 초등학교 교과서에 ‘기후변화’ 관련 내용을 추가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한국 교과서의 ‘기후변화’와 관련된 내용은 과학 이야기 부분이 아닌 성취기준과 연관되어 중요하게 다루고 탐구와 연계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과학 교과서는 내용과 삽화에 초점을 맞추는 것 외에 내용의 활용성과 중요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양국의 초⋅중학교 교과서에 ‘날씨’, ‘기후’보다는 ‘기후변화’ 와 관련된 내용을 학생 연령에 맞는 과학적, 사회적 내용으로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contents and illustration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in Mongolia and Korea with the theme of “Energy and Climate Change” and to study their status and trends. This study focused on “change in the state of matter” among the energy components because energy contains many components. The research method is performed in these steps: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ontents and illustrations on “changes in the state of matter” described in the currently used Mongolian and Kore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the contents and illustrations on “climate change” were compared and analyze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xtbooks in both countries had sufficient contents on “changes in the state of matter”; however, content on climate change is lacking and energy and climate change almost had no integrated content. Because of the study, the contents related to “change of state of matter” in the science textbooks of both countries were similar, but the Korean textbook had more illustrations, exploration, and applications. While the Korea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 had four science stories about climate change, the Mongolian elementary school textbook had only one content.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contained relatively little content related to climate change and only included greenhouse gas-related content; therefore, they did not cover much content. Through our research, we would like to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there is a need to consider adding content related to “climate change” to Mongolia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dditionally, it appears that content related to “climate change” in Korean textbooks should be organized as important content related to the achievement process, not as part of science stories, and should be linked to exploration. Second, science classes should place more emphasis on the usefulness and importance of content than on content and illustrations. Lastly, there is a need to include content related to “climate change” rather than “weather” or “climate”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xtbooks in both countries as scientific and social content appropriate for the age of students.

      • KCI등재

        초등학교 3학년 "물질의 상태" 단원에 제시된 예의 기능별 유형 분석 및 학생들의 이해

        백성혜 ( Seoung Hey Paik ),최정인 ( Jung In Choi ),박은주 ( Eun Ju Park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3 No.7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과학적 개념 이해를 돕기 위하여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예를 기능적 유형에 따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의 틀에 따라 교과서에서 부족한 사례를 찾고, 이를 근거로 학생들의 개념에 대한 이해를 알아보는 설문을 개발하였다. 설문을 157명의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에게 투입하여 물질의 상태 및 상태변화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교과서에서 명료화 사례가 제시된 고체의 경우에는 학생들이 상태에 대한 개념 이해도가 높았다. 그러나 액체나 기체의 개념은 이러한 사례가 교과서에 제시되지 않았으며, 학생들의 이해도도 낮았다. 액체와 기체의 경우 안개나 김과 같은 대조의 사례와 확장의 사례를 과학 교과서에 제시함으로써 물질의 상태 및 상태변화에 관련된 학생들의 이해를 돕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amples represented in school science textbooks by the function types for students`` scientific conceptions. According to the framework of analysis, we selected lacking examples in the textbooks, and developed a questionnaire for students. The questionnaire was applied to 157 third grade students to survey their conceptions related to matter states and change of states. The ratio of students`` scientific conceptions related to solid the state was high because distinct examples were represented in the textbook. However, the ratios of students`` scientific conceptions related to the liquid and gas states were low because there were no distinct examples in the science textbook. Contrast examples and expansive examples of liquid and gas such as fog and steam need to be represented in science textbooks in order to help students construct scientific conceptions of matter states and change of states.

      • KCI등재
      • KCI등재

        천문학에서 본 불교우주관

        이시우,심산 한국정토학회 2010 정토학연구 Vol.14 No.-

        자연을 대상으로 하는 천문학과 유사한 불법은 인간을 포함한 우주 만유의 생주이멸과 성주괴공에 대한 이법을 다루면서 만유의 제법실상에 대한 보편타당한 진리를 찾고 또한 실제적 경험과 현실을 중시한다. 따라서 불교는 자연중심적인 사상에 따른 연기법과 중도원리에 근거한 만물의 본성적 우주관을 내포함으로 인간중심적인 여타 종교와 달리 객관적 진리를 중시하는 과학적인 우주적 종교이다. 그러므로 불법은 과학적 탐구 동기를 부여하는 우주철학이며 동시에 현실적인 과정철학이다. The Buddha-dharma is closely related to the astronomy which is applied to the nature. And so the dharma deals with the natural laws of Seongjuimyeol(the four phases of form) and SeongjuGoigong for all things in the universe including human being, looking for the universal validity of Jebeop Silsang(the real state of all elements), and also it attaches much importance to practical experience and actuality. The Buddhism has the natural view of the universe which is based on Yeon-gi and Jungdo(The Middle Way or Path) according to the dominating thought for the nature, and so it is basically different from other religions based on the human intelligence. In this respect, the Buddhism is the scientific and universal religion, attaching great importance to the objective truth of all things. Therefor the Buddha-dharma can be thought as the philosophy of the universe giving rise to a motive for scientific investigation and the philosophy of actual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