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flection on the Use of Blended Learning at a Korean University

        ( Katie Mae Klemsen ),( Myeong Hee Seong ) 범태평양응용언어학회 2012 범태평양응용언어학회지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tudents`` satisfaction and investigate the potential of improved learning outcomes in smart and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This paper reflects on the experience of the delivery of a program at H University in Seoul, Korea using smart and blended learning. The goal was to apply the findings to current blended learning models in order to explore possible modifications that may enhance learning environments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19 students enrolled in an English Language major course, Speaking 2: Presentation, which aimed to teach students to deliver oral presentations in English. Data was collected from student questionnaires, the smart/blended learning platform English 360, and an instructor reflection journal in order to addres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What are the students`` perceptions of smart/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2) What are the benefits of smart/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and 3) What are the drawbacks of smart/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The analysis of the data indicated that the overall student perception of smart and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is positive. In addition, students`` perception of the course content influenced their interest in smart and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One of the primary findings was the importance of clear and transparent communication and organization of a smart and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Students indicated that they would be interested in additional courses that utilized smart/blended environments.

      • KCI등재

        Blended Learning의 의미와 상호작용 설계원리에 대한 고찰

        이상수 ( Sang Soo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3 No.2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원격교육은 e-learning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붐을 이루었다. 하지만 e-learning은 체험학습의 어려움, 암묵적 지식 전달의 어려움, 비언어적 의사전달의 어려움 등 다양한 문제의 발생으로 오프라인 학습활동과 병행한 blended learning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blended learning은 아직 그 개념적 정의에서도 합의에 이루지 못하고 있으며 실천을 위한 설계원리에 대한 연구도 절실히 필요한 시기이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기존의 blended learning의 개념을 정립하고 현장 실천을 위한 blended learning의 상호작용 설계원리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blended learning을 세 가지 준거 즉 1)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통합한 all-line 학습, 2) 단순한 두 환경의 통합이 아닌 효과성, 효율성, 매력성을 높이기 위한 학습과학적 접근, 3) 학습자 중심의 접근이라는 준거에 근거하여 개념 정의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본 연구는 blended learning의 상호작용 설계 원리로 상호작용 확대 원리, 상호작용 정교화 원리, 상호작용 평등화 원리, 상호작용 공유의 원리, 상호작용 비용효과성 원리 등 총 5개의 범주 하에 20개의 원리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새롭게 등장하는 blended learning에 대한 개념적 합의를 유도하였고 현장 실천을 위한 처방적 상호작용 설계지침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development of ICT provoke diffusion of e-learning. However e-learning show a variety of problems such as difficulties of experience-based learning, delivering implicit knowledge, and non-verbal communication. These kinds of problems bring a new concept of blended learning which is integrating online and offline learning environments. The blended learning have lots of problems. The researchers still do not reach the agreed concept about blended learning. Also there is no study about design principles of blended learning. The study defined blended learning in three criterions: 1) all-line learning integrating online and offline, 2) a learning scientific approach to achieve effective, efficient, and attractive learning, 3) learner-centered approach to enhance satisfaction of learning and access to learning. The study provides design principles of interactions based on the existing interaction theories in both online and offline environment. The design principles include five categories and total 20 principles: enlargement of interaction; elaboration of interaction; equalization of interaction; co-ownership of interaction; cost-effectiveness of interaction.

      • KCI등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Education by the Convergence of Blended Learning

        Kim, Hye Jin(김혜진)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9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7 No.1

        This study started with questions about the fact that the education activation is not done smoothly despite the program flow and core-core spokes that have proven educational effects of blended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flow and methods of the verified programs and to identify the problems of activation of learning management system(LMS) and blended learning. In addition, it seeks to grasp the perception of education practitioners and to identify practical problems to realize the blended learning. Therefore, this paper analyzed various approaches such as learning method of blended learning, role and execution of learning management system(LMS), literature on recognition of education practitioner, statistical analysis data, and execution of educational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blended learning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eachers" perceptions and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lack of information on blended learning, the lack of computer literacy, the negative perception of learning method, the anxiety about teaching right, and the time burden on contents production for blended learning were all unfavorable results. On the other hand, students were expected to participate in a variety of educational programs and showed positive results for blended learning. It is a necessary factor in current education that proper education recognition will be a basis to grow into rational and ideal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a turning point to enhance educational awareness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blended learning.

      • KCI등재후보

        Blended Learning 을 통한 리더십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 연구

        김도헌,최우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9 No.4

        최근 e-Learning의 확산과 더불어 전통적인 집합교육방법과 온라인교육방법을 효과적으로 통합, 운영하려는 blended learning에 대한 기대와 관심이 기업 및 대학 교육 분야에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실천현장에서 체계적인 blended learning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을 통한 효과성 평가연구의 구체적 사례를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로 blended learning에 관한 선행문헌들에 기초하여 온라인 진단, 온라인 사전학습, 오프라인 집합교육, 현장적용학습, 온라인 사후학습 및 커뮤니티 활동 등이 연계된 '리더십 아카데미'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로 26명의 교육생들을 대상으로 5개월간의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이에 대한 평가연구를 실시하였다. 평가연구는 Kirkpatrick의 평가모형중 3단계 수준까지 적용하여 1) 반응도 평가, 2) 이해도 평가, 3) 현업적용도 평가 등이 수행되어졌다. 평가연구의 결과는 현장과 연계된 blended learning을 통하여 교육생들의 리더십역량수준이 자기진단수준에서 뿐만 아니라 타인진단수준에서까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변화되었음을 보여주었다. 3단계 평가연구 결과를 토대로 blended learning의 효과적 개발, 운영, 평가에 관한 시사점이 논의되어 졌다. In recent, blended learning strategy, which mixes traditional off-line training with online learning tools, is becoming one of maj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strategies in corporate and university education. However, there are little research efforts to examine the training effectiveness of blended learning approach based on systematic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blended leadership training program based on sound adult learning principles and blended learning strategies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blended approach in developing trainees' leadership competency. For these goals of the study, 5month-lengthy leadership training program was developed, which included online 360 degree diagnosis system, 3days off-line training, online pre & post learning sessions, and action learning experience with online learning community. The evaluative research for this blended leadership program was conducted in the level of reaction, learning comprehension, and job application according to Kirkpatrick's 4 level evaluation model.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research showed that trainees perceived blended approach as very effective in developing their leadership competencies, had satisfactory level of learning comprehension, could improve their learning competencies dramatically through 5moth training period. Their improvement in the leadership competency was measured by 360 ˚pre-post assessment including diagnoses by self and others such as supervisors, peers, subordinates. The implications for further development and research about blended learning approach were discussed based on evaluation results.

      • KCI등재

        기업의 효과적인 Blended Learning 개발·운영 전략 탐색을 위한 연구

        권성연,유선주,강경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직업능력개발연구 Vol.8 No.1

        Blended Learning은 교육훈련의 성과를 높이고 기업이 직면한 새로운 환경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교육훈련 전략으로써 많은 기업에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업들은 Blended Learning을 보다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개발, 운영 전략을 명확히 수립하지 않은 상태로 진행을 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문제점을 경험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Blended Learning 사례를 분석하여 실제적인 Blended Learning의 개발, 운영 과정을 파악하고 그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과 성과를 도출하여 기업에서 효과적으로 Blended Learning을 개발·운영하는 데 지침이 될 수 있는 전략과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온라인 콘텐츠를 Blended Learning으로 개발하고 운영하는 과정을 관찰과 면담, 설문조사의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온라인 과정에 비해 Blended Learning은 학습 성취와 만족도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Blended Learning에 포함된 다양한 교수방법에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기 어려운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Blended Learning의 효과적 개발과 운영을 위한 전략과 방안을 제시하였다. Blended learning has recently been a well-known approach to workplace learning for maximizing learning outcomes and effectively coping with changing training environments. However, even though its popularity, blended learning has shown its difficulties and problems in practice due to lack of systematic strategies for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case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blended learning, to investigat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studied approach, and to provide corporations with guidelines for effectiv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blended learning. This study was conducted by doing interviews with facilitator and instructor, surveys with students about their learning outcomes and satisfaction, and field observations of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process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participants were satisfied with blended learning approaches in terms of its effectiveness to achieve learning objectives. However, the interviews with instructors indicated that a primary challenge for the implementation is to encourage participants to become more actively involved in various modes of instruction introduced in blended learning Finally, several strategies and guidelines for broadening the applicability of blended learning were provided.

      • KCI등재후보

        협력학습을 위한 혼합학습 전략 개발 및 적용

        구진희,최완식 대한공업교육학회 2009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4 No.2

        The collaborative learning has been considered as an efficient teaching model and under the recent basic learning environment, even face-to-face classroom circumstance rapidly increases the courses of blended learning which utilize the merits of e-learning environment. Nonetheless, the study on the strategy for systematic blended learning is quite scarce. In this study, the survey was done for developing the blended learning strategy, based on the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at the face-to-face environment and judging the satisfaction on the courses which the model was applied to. The survey consists of demographic questions, satisfaction in the whole courses, satisfaction in the collaborative learning under the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in the blended learning strategy and support tools applied to each step of the learning.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response to the question that the blended learning can complement the face-to-face classroom courses, the respondents represented average 4.09 at 5-point Likert scale. And to the question whether the collaborative learning is more efficient under the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than the face-to-face classroom, the response corresponds to 4.06 scale on the average. Second, as for the satisfaction in the blended learning strategy and support tools applied to the each step of the blended learning, the satisfaction degree is analyzed as high as over 4.0 on the average toward all the questions. Third, regarding the support tools used for the blended learning strategy, the learners consider the tools as most helpful in order of chatting, team community, mail & note and archive. Lastly,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the study result should be highly reflected in constructing the collaborative learning module of learning control system in the future. 협력학습이 효과적인 교수모형으로 인식되고 있고, 최근 기본적인 학습 환 경은 면대면 강의실 환경일지라도 e-러닝 환경의 장점을 부가적으로 활용하 는 혼합학습 형태의 수업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협력 학습을 위한 체계적인 혼합학습 전략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하다. 이 연구에서는 면대면 환경에서의 협력학습 모형을 기반으로 혼합학습 전 략을 개발하고, 실제 학습 현장에 적용하여 수업의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내용은 학습자 기초 조사를 위한 문항, 수업 전반 에 대한 만족도, 혼합학습 환경에서의 협력학습에 대한 만족도, 협력학습 각 단계에 적용된 혼합학습 전략 및 지원도구에 대한 만족도 등의 문항으로 구 성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혼합학습이 면대면 강의실 수업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겠는 가에 대한 응답자들의 답변은 5점 Likert scale의 평균 4.09로 조사되었고, 혼 합학습 환경에서의 협력학습이 면대면 환경에서보다 더 효과적이었는가에 대한 답변은 평균 4.06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협력학습의 각 단계에서 적용한 혼합학습 전략과 지원도구의 활용에 대한 만족도는 모든 문항에 대해서 평균 4.0이상으로 만족도가 매우 높게 조 사되었다. 셋째, 혼합학습 전략에서 사용된 지원도구 중 학습자들이 가장 유용하다고 인식하는 순서는 채팅, 팀별 커뮤니티, 메일&쪽지, 자료실 순으로 조사되었 다. 마지막으로, 향후 학습관리시스템의 협력학습 모듈을 설계할 때에는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적극 반영해야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Blended Learning 활용에 따른 학업성취와 만족에 대한 연구

        이신남 한국회계정책학회 2010 회계와 정책연구 Vol.1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model utilizing blended learning on students'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Blended learning is emerging as an alternative model for online-learning in recent university education systems. This is because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of students can be greatly improved through application of blended learning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 out factors which affect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towards blended learning. First, with regard to the effects of these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the contribution of the system environment, quality of contents, supporting service to the dependent variable can be explained. The factor that attributes influence to the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s system environment and quality of contents. Second, in terms of hypothesis testing for males, the system environment and the contents appeared to affect the contents, while academic achievement was also affecting satisfaction. Third, in terms of hypothesis testing for females, the academic achievement was not affected by the system environment while contents and support services were a strong influence. 본 연구의 목적은 Blended Learning 전략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문제 중심 학습 모형이 학업성취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대학에서 온라인 교육에 대한 대안적인 학습형태로 보다 학업 성취할 수 있고, 더불어 만족감을 느낄 수 있는 Blended Learning 프로그램 개발이 되고 있다. 그 이유는 Blended Learning에 대한 학업성취도와 만족감이 학생들의 Blended Learning 효과를 증대시켜 주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Blended Learning을 수강하는 학생들이 학업성취도와 만족감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첫째, 학업성취도와 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시스템 환경과 콘텐츠 내용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스템 환경은 다른 요인에 비해 학업성취도 구축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기 때문에 교육 당국에서는 학업성취도 구축에 있어 시스템 환경 측면에 중점을 둔 학업성취도 구축 전략 수립이 요구된다. 또한 Blended Learning에 대한 학업성취도는 만족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성 측면에서의 가설 검정 결과를 살펴보면, 시스템 환경과 콘텐츠내용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업성취도 역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성 측면에서의 가설 검정 결과를 살펴보면, 남성과는 달리 시스템 환경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콘텐츠 내용과 지원 서비스는 Blended Learning 학업성취도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대학교육에서의 blended learning 수업 운영 사례 연구

        주정훈,권영신 한국교원교육학회 200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2 No.2

        지금까지 blended learning에 대한 연구들은 기업교육을 토대로 그 효과성이 검증되어 왔으며, 이의 실천을 위한 전략들 역시 기업교육에 그 초점에 맞추어져 왔다. 기업교육과 비교해 볼 때, 학교교육에서의 blended learning은 별도의 실천전략이나 그 효과성들이 검증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이 연구는 blended learning 수업의 수용과 확산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그 의미를 갖는다. 이 연구에서는 대학교육에서 blended learning이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 양상을 살펴보고, 대학 구성원 특히 수업의 주체인 학습자와 교수자의 입장에서 blended learning이 어떻게 수용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내 A대학에서 실시되고 있는 blended learning 수업의 전반적인 운영현황 및 제도적 장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blended learning 강좌를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수업실시 현황과 수업에 대한 만족도 및 수업개선을 위한 요구를 파악하였다. 또한 blended learning 수업을 진행한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서면 인터뷰를 통해 수업진행과 수업효과에 대한 의견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대학교육에서 blended learning이 확산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고, 이의 효율적인 운영과 발전을 위한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 Blended Learning 환경에서 온라인-오프라인 혼합방식 및 성찰활동이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임정훈 ( Jung Hoon Lee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3 No.4

        이 연구는 대학교육 환경에서 Blended Learning 전략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온라인-오프라인 혼합방식과 학습자들의 성찰활동이 학습자들의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경험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I대학교 2학년 학생 중 교육심리학 수강생들을 온라인 4주+오프라인 8주집단, 온라인 8주+오프라인 4주 집단, 오프라인 12주 집단(통제집단) 세 집단으로 나누어 12주 동안 수업을 실시하였다. 온라인 수업을 제공받는 집단에게는 자학자습 형태로 구성된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였으며, 이들은 온라인 학습 후 자신의 학습과정, 전략에 관한 성찰활동을 수행한 뒤 커뮤니티 사이트에 게시하였다. 연구 결과 Blended Learning을 활용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간에 자기조절학습 능력에 있어서 차이가 없었으나, 온라인 수업을 4주간 제공받은 집단은 오프라인 수업만 제공받은 집단에 비해 자기조절학습 중 동기조절 영역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학업성취에 있어서는 특히 온라인 4주를 제공받은 집단이 가장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온라인 8주를 제공받은 집단은 오프라인 수업만을 제공받은 통제집단에 비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은 학업성취를 나타냈다. 또한, Blended Learning을 활용한 학습자 중 성찰활동을 수행한 학습자들은 그렇지 않은 학습자들에 비해 학업성취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lending type of online-offline and reflective activity 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learning outcome in higher education based on blended learning.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169 college students who enrolled in ``educational psychology`` course. Subjects were assigned to two blended learning groups(online 4 weeks + offline 8 weeks group, online 8 weeks + offline 4 weeks group) and control group(offline group). Students of blended learning groups wrote reflection notes autonomously on community site after finishing their online learning. The first result was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self-regulated learning score between blended learning groups and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otivated domain of self-regulated learning between online 4 group and control group.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outcome score between blended learning groups and control group. The score of online 4 week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online 8 week group, and the score of control group(offline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online 8 week group.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outcome score between the group which conducted reflective activity and the group which did not conduct reflective activity.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amount of online learning should be considered for designing blended learning, and that reflection is a very important strategy for improving learning achievement in implementing higher education course based on blended learning.

      • KCI등재

        수업목표 기반의 Blended learning 모형 및 교수-학습 설계의 실제

        조규태(Cho, Kyu Tai)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06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 No.3

        본 연구는 기존에 학교교육보다는 기업교육의 실제에서 보다 많이 활용되어왔었던 Blended learning을 학교교육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Blended learning 모델 중에서 특히 학습목표를 기반으로 하는 모델을 살펴보았다. 기존에 Blended learning의 구성 방식에서 융통적인 접근 방식이나 체계적인 교수개발의 과정이나 절차, 지침을 따라서 Blended learning을 설계 하는 접근 방식은 매우 유용한 방법이지만 전문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학교교육에서 일반 교수자가 활용하기에는 약간의 어려움이 따른다. 보다 일반적 수준에서 학교교육을 위하여 사용하기에는 교수-학습목표를 기준으로 제시되는 지침들을 수용하여 Blended learning을 구성하는 것이 보다 쉬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능, 태도, 역량의 3가지 교수-학습을 기준으로 해서 Blended learning을 구성하는 Valiathan(2002)의 모델을 살펴보았으며, 이와 같은 Valiathan(2002)의 모델과 기타 Blended learning 구성 지침에 근거해서 실제로 대학의 코스에서 활용할 수 있는 Blended learning 수업을 설계하여 제시해보았다. 이러한 모델의 탐색과 수업 설계의 예시는 다양한 학교교육 장면 안에서 실제로 Blended learning 수업을 설계하여 교수-학습에 활용하고자 하는 교수자들에게 다양한 가능성을 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examined Instructional Objectives Based Blended Learning Model among various blended learning models in order to apply blended learning, which has been more popular in corporate training rather than school education, to school learning. The method of designing a new type of blended learning based on flexible approaches or the process or guidelines for systematic teaching technique development is very useful, but it is rather difficult for general teacher to use as it requires specialized knowledge. For more general application in school education, it would be easier to build blended learning based on the guidelines of teaching-learning objectives. In this respect, this study examined the model by Valiathan (2002) which use the three teaching-learning objectives - function, attitude, and capacity, to establish a college-level blended learning course based on Valiathan (2002) model and other blended learning guidelines. Use of various model and example course design would present various possibilities to teachers who are willing to design blended learning courses for their teaching-learning objec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