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운동 학습 상황에서 Toulmin의 논의구조(TAP)와 다이어그램을 이용한 대화적 논의과정 분석틀 개발

        신호심 ( Ho Sim Shin ),김현주 ( Hyun Joo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2 No.5

        이 연구는 대화적인 논의과정의 상호작용적인 측면을 가시화하여 논의상황과 흐름을 나타내고 질적인 측면의 논의수준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논의 과정 분석틀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단순하면서도 요소들 사이의 상호관련과 흐름을 구조적인 형태로 가시화할 수 있는 다이어그램의 특성을 이용한 논의과정 다이어그램의 분석방법을 만들고, 이를 기반으로 논의과정의 질을 구체적인 논의수준 점수로 정량화하였다. 롤러코스터의 운동을 주제로 논의과정 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물리교육 전공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모둠별 전사본을 확보하였고, 이를 분석틀 개발에 이용하였다. 전사본으로부터 논의과정에 해당되는 진술들만을 추출하여 TAP 논의요소로 기호화하였고, 이 기호들을 효율적으로 배열하고 연결하여 논의과정 다이어그램의 분석방법을 만들었다. 논의과정 다이어그램을 이용한 분석 결과는 상호 작용적인 논의상황과 흐름의 파악에 유용하였고, 논의요소 빈도와 조합, 정성적인 논의수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정보들을 함께 제시해주었다. 질적인 측면의 논의수준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논의요소의 다양성, 정당화, 반박의 유무 등 질적인 면에서의 논의과정에 대한 지표를 반영하여 논의과정 다이어그램 내의 서로 다른 연결선들에 차등적인 점수를 부여하였다. 논의수준 정량화를 이용하여 논의수준을 확인하는 과정은 매우 간편하였고, 질적인 논의수준은 구체적인 점수로 표현되어 다양하면서 구체적인 논의수준을 제시할 수 있었다. 개발된 논의과정 분석틀은 대화적 논의과정 결과를 효과적으로 제시할 수 있어서 논의과정 연구 분야에 도움을 제공하며, 논의과정 학습 자료의 문항별 논의과정 특징과 구체적인 진술들은 효과적인 논의과정 수업 및 원운동 학습의 설계에 도움을 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alytic framework for dialogic argumentation to show the context and flow visualizing interactions of argumentation, to be able to present quality of argumentation specifically. For this, we formulated a method of the argumentation diagram using feature of diagram simple and structurally visualizing interrelation between argument components, and then quantified quality of argumentation to argument level score on this basis. We have developed the learning material for argumentation about a vertical circular motion and used the obtained translations from applying it in developing the framework. We chose argument statements among full transcript and then coded as Toulmin`s argument components, and these codes was effectively arranged and linked to show argumentation diagram. Results by argumentation diagram could be useful understanding of interactive argumentation context and the flow and present frequency, the combination of argument elements, rough qualitative level of argumentation. To quantify argumentation quality, we gave different scores to different link lines reflecting indication of argumentation quality like that diversity of argument component, justification, presence or absence of rebuttals. The process of identification of argument level is very simple, qualitative level of argumentation represented as concrete score could present various and concrete argument level. Developed analytic framework might contribute to argumentation research field, because it can present effectively dialogic argumentation result. Also, various analysis cases might guide designing an effective argumentation practice and circular motion learning.

      • KCI등재

        소집단 논변활동에 대한 협력적 성찰을 통한 중학생들의 소집단 규범과 논변활동 능력 발달 탐색

        이신영 ( Shinyoung Lee ),박소현 ( So-hyun Park ),김희백 ( Hui-baik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6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학생들이 소집단 논변활동 수업과 협력적 성찰에 참여하면서 나타나는 논변활동에 대한 소집단 규범과 인식적 측면에서 이해 발달 과정 및 논변활동 실행에서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참여 학생들은 중학교 1개 학급 내 1개 소집단 구성원으로 선정되었으며, 이들의 학업 성취 수준과 학습접근방식은 다양하였다. 소집단 논변활동 수업은 광합성 단원에 대해 10차시 동안 이루어졌고, 협력적 성찰은 일주일에 한 번씩 총 7번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논변활동 수업과 협력적 성찰을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우선, 협력적 성찰과 소집단 논변활동 수업이 진행됨에 따라 참여 학생들의 논변활동 참여 형태와 관련된 사회적 규범이 발달하였고 논변활동의 인식적 측면에서 이해 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의 논변활동 산물과 논변활동 과정으로 살펴본 소집단 논변활동 능력도 향상되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논변활동 산물 측면에서는 반박 관련 발화의 수가 증가하였고, 논변활동 과정 측면에서는 다양한 학생들이 논변의 구조에서 증거, 정당화, 주장을 제시하면서 논변활동 과정이 복잡해졌다. 협력적 성찰을 통해 학생들의 소집단 규범 및 논변활동의 인식적 측면에서 이해가 발달하고 이와 더불어 논변활동 능력이 발달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는 학교 현장의 과학 수업에서 논변활동을 적용하기 위한 좋은 본보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econdary students` progression in group norms and argumentation competency through collaborative reflection about small group argumentation. The progression is identified as the development of group norms and an epistemic understanding of argumentation with the enhancement of group argumentation competency during collaborative reflection and argumentation lessons. Participants were four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different academic achievements and learning approaches. They participated in ten argumentation lessons related to photosynthesis and in seven collaborative reflections. As a result, the students` group norms related to participation were developed, and the students` epistemic understanding of argumentation was enhanced. Furthermore, the students` group argumentation competencies, identified as argumentation product and argumentation process, were advanced. As the collaborative reflection and argumentation lessons progressed, statements related to rebuttal increased and different students suggested a range of evidence with which to justify their claims or to rebut others` arguments. These findings will give a better idea of how to present an apt application of argumentation to science teachers and science education researchers.

      • KCI등재

        학생의 논변활동을 강조한 개방적 과학탐구활동 모형의 탐색

        김희경,송진웅 한국과학교육학회 200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4 No.6

        전통적인 학교 과학 실험은 실제 과학 활동, 즉 참과학 탐구의 특징을 적절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며, 특히 토론이나 논변적 실제가 부족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의 목적은 학생들의 동료간 논변활동을 강조한 개방적 탐구 활동을 제안하기 위해, 그 조건 및 특징을 알아보고 적절한 모형을 제안하는 것이다. 문헌 분석 및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논변활동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논변적 과학탐구 활동이 가져야 할 조건에 대하여 살펴 본 결과, 인지적 측면에서는 '다양한 견해가 가능한 문제 상황', 학생 자신의 주장 펼치기', '효과적으로 조직된 논변 구성의 기회가 필요하며, 사회적 측면에서는 '수평적 관계 , '경쟁과 협력의 공동체 활동'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논변적 과학 탐구 활동은 실험활동과 논변활동으로 구성되며 논변활동은 동료 검토용 보고서 쓰기와 비판적 토론으로 조직되었다. 논변활동은 조 내부와 조 별간에, 그리고 쓰기와 토론을 통해서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며 되먹임을 통해 실험활동과 연계되어 있으며 전체 탐구 과정은 순환적인 특징을 갖는다. School science practical work is often criticized as lacking key elements of authentic science, such as peer argumentation or debate through which social consensus is obtain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recent studies about the argumentation and to explore the conditions and the model of argumentative scientific inquiry, which is specially designed open inquiry in order to facilitate students' peer argumentation. For this purpose, a theoretical discussion for the argumentative scientific inquiry as the way of authentic inquiry in schools was developed. The conditions for argumentative scientific inquiry were found to be the following: multiple arguments, students' own claims, opportunities for oral and written argumentation, equal status of debaters, and community of cooperative competition. For these conditions, the argumentative scientific inquiry was organized into experiment activities and argumentation activities. During argumentation activity, students should be guided to advance written argumentation through writing a group report for peer review and oral argumentation through a critical discussion. Through the argumentation between groups and in group, the students' arguments would be elaborated repeatedly. The feedback from argumentation links experiment activities to argumentation activities. Hence, the whole process of this inquiry model is circular.

      • KCI등재

        과학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논증 특징

        임혜진 ( Hye Jin Lim ),여상인 ( Sang Ihn Yeo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2 초등과학교육 Vol.31 No.1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tudents` argumentation in science problem solving process. For this study, the two argumentation topics were developed on the basis of Williams and Colomb`s argumentation model. The topics of argumentation were the weight of the air and the change of volume according to state of water.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6th grade students (n=51). Data were analyzed by Williams and Colomb`s argumentation model and Kienpointner`s argumentation styl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the argumentation model, most of students had the factors of claim, reason, evidence/ data in their statements. But low-achievement students had difficulty in warrant and acknowledge & response. In argumentation style, the frequency of the cause-effect and explanation of example style were higher than other argumentation styles. Some implications were suggested, such as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tudents` argumentation activities and need of educational programs including scientific argumentation.

      • KCI등재

        문제해결형 탐구실험에서 나타난 영재학생들의 논의 양상 및 논의활동에 대한 인식

        신호심 ( Ho Sim Shin ),김현주 ( Hyun Joo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1 No.4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1학년 과학영재들의 문제해결형 탐구실험에서 논의 양상을 확인하고 논의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매우 활발한 논의활동이 확인되었으나 차시에 따른 논의질 향상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수업 전반에 걸쳐 대화적 논의과정 요소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고 그 중 요청 및 요청응답의 비율이 높았다. 빈도는 낮지만 한정과 근거질문이 3차시에서만 나타났고, 차시에 따라 단순호응이 줄면서 강화 및 정교화, 메타질문의 빈도는 약간씩 높아졌다. 교사가 주도하는 일부 학습 단계에서 학생들의 논의가 거의 발견되지 않는 등 단계별 논의 양상이 교사의 수업 접근 방식과 관련 있음이 확인되었고, ``문제해결활동 및 결과분석``에서 이전의 단계보다 2배 많은 논의과정 요소가 나타났다. 또한 집단을 구성하는 방법은 영재 학생들의 논의 활동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설문조사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은 본 탐구실험에서 자유로운 논의가 이루어졌다고 생각하였고 논의활동을 직접 경험함으로써 본 프로그램이 논의를 활성화시킨다고 인식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생소하거나 어려움``이 논의활성화에 저해요인으로 작용됨이 확인되었다. 주제별 논의활동은 ``표면성장 실험``에서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논의가 가장 활발한 단계는 ``해결방안모색``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도움이 논의활동의 어려움 해소와 촉진제 역할을 하였음이 확인되었으며 실험수업에서 논의활동이 진행되는 것을 매우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등 논의활동의 필요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ifted students` view on argumentation and the aspects of the argumentation in problem-solving type experiment. As a result, very lively argumentation was identified but quality enhancement on argumentation wasn`t found over time. Students made frequent use of dialogic argumentation component, and especially, request & response component was highly used. Though usage frequency is low, the component of ground & question on ground was shown in 3rd class, and simple agreement gradually reduced, and reinforcing elaboration & metacognitive question has slightly increased. Also, students` argumentation were closely related to teachers` teaching approaches as some teacher-led steps doesn`t appear in students` argumentation. By comparison in steps, ``problem solving activity & result analysis`` step included 2 times more argument components than the previous step. We also found that method grouping teams does not almost affect the argumentation of gifted students. By survey results, most students recognized that they experienced free argumentation and this program activate argumentation and ``strange things`` or ``difficulty`` of program topics are obstacles in vitalization of argumentation. ``Surface growth experiments`` was the most lively argumentation topic. The argumentation was lively made in the step of ``finding solution.`` Teachers` scaffolding accelerate the argumentation and help resolve difficulties in argumentation. Thus, students have positive recognition for the argumentation process in the experiments and recognize that argumentation process is needed.

      • KCI등재

        연암 박지원의 <백이론(伯夷論)>을 통한 논증 교육의 모색

        정보미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9 고전문학과 교육 Vol.42 No.-

        This study proposes that classic writing methods can be significantly applied to argumentation education and aims to search for direction for argumentation education through <Boyiron> of Park Jiwon. Current argumentation education teaches argumentation elements such as assertion, cause, and grounds along with methods of how to write using those elements. While this follows the paradigm of informal logic, it has a tendency to reinforce objectivity and science. However, such methods have limitations in being fully persuasive of the value that argumentation actions have as human activities. Moreover, due to content dependency, they do not fully provide alternatives regarding “value argumentation” which prompts sharp opposition in argumentation situations. To resolve this, this study proposes argumentation education through classical prose. In particular, it selected <Boyiron> of Park Jiwon as the focus material. This piece is a result of the “Boyi Theory” that was actively discussed at the time. The “Boyi Theory” deals with value assessment discussion topics regarding the important and sensitive matter of the overthrow of the dynasty. When considerations are made that the ultimate goal of today’s argumentation education is to unravel the value assessment of socially controversial matters using essays, <Boyiron> serves as an important piece of material that shows how to add personal opinions and logic to social problems. <Boyiron> of Park Jiwon emphasizes that the topic of discussion of the Boyi Theory of “how should the actions of Boyi be assessed?” has a “dilemma” type character. Instead of an assessment that is based on black and white reasoning, it makes a new assessment that the actions of “King Mu” and “Boyi” have the same value. From the assertion stages, it rejects common ideas and presents new perspectives. Further, it applies the same logic to the historical event of the “subjugation of King Mu” and to characters who each acted differently, illustrating that there are several ways to satisfy the demands of the times. In this way, the argumentation methods of Park Jiwon, which overcome dilemmas and show one’s macroscopic views of history by expanding discussion topics, show new argumentation possibilities to learners who are used to persuading participants of limited discussion topics. Through this, learners move away from the mechanical applications of argumentation schemes and utilize social resources using methods that assert one’s values and approach argumentation in a way that merges self-expression and persuasion. 이 연구는 ‘논증 교육’에 고전 글쓰기의 방식이 유의미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보고 연암 박지원의 <백이론>을 통한 논증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의 논증 교육은 주장, 이유, 근거 등의 논증 요소를 익히고 그러한 요소를 갖추어 글을 쓰게 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이는 비형식논리학의 패러다임을 따르되 객관성과 과학성을 보강하려는 경향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인간 활동으로서 논증 행위가 지니는 가치를 충분히 설득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내용 의존성으로 인해 논증 상황에서 첨예한 대립을 촉발하는 ‘가치 논증’에 대해서 충분한 대안을 마련해주지 못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이 연구에서는 고전 산문을 통한 논증 교육을 제안한다. 그 중에서도 연암 박지원의 <백이론>을 중심 제재로 선정하였다. 이 작품은 당시에 활발하게 논의되었던 ‘백이 담론’에 참여한 하나의 성과이며, ‘백이 담론’은 왕조의 전복이라는 중요하고 민감한 사안에 대한 가치 평가적 논제를 다루고 있다. 오늘날의 논증 교육이 사회적으로 논란이 되는 사안에 대한 가치 평가를 ‘논술’로 풀어내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백이론>은 사회적 문제에 대한 개인의 견해에 논리를 부여하는 방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박지원의 <백이론>은 주장보다는 통념을 충분히 언급하는 방식으로 상반되는 입장에서의 질문이 충분히 제기될 수 있도록 대화적인 접근을 취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백이’는 물론 ‘무왕’과 ‘탕왕’, ‘태공’과 ‘기자’, ‘미자’, ‘비간’의 행동까지 범위를 확장하여 각기 다른 사실들을 관통하는 ‘하나의 도리’를 정립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박지원은 ‘백이와 무왕과 탕은 같은 생각이었다’, ‘기자, 미자, 비간, 백이, 태공은 상호보완적으로 인(仁)을 이루었다’와 같이 사실 논제를 둘러싼 주장을 하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거론된 인물들의 행동을 규범화하는 기획이 자리하고 있어 가치 논증으로서 인식이 된다. 이러한 박지원의 논증 방식은 독자를 고려한 논증의 구체적인 양상을 보여준다는 점, 딜레마적 사안에 대한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하는 방법을 통찰케 한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다. 학습자들은 이를 통해 논증 도식의 기계적 적용에서 벗어나 자기표현과 설득을 아우르는 논증에 접근할 수 있다.

      • KCI등재

        기계 학습을 활용한 논증 수준 자동 채점 및 논증 패턴 분석

        이만형 ( Manhyoung Lee ),유선아 ( Suna Ryu ) 한국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1 No.3

        이 연구는 과학적 논증 담화에 대한 자동 채점의 성능 개선 방향을 탐색하였으며, 자동 채점 모델을 활용하여 논증 담화의 양상과 패턴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적 논증 수업에서 발생한 학생 발화를 대상으로 논증 수준을 평가하는 자동 채점을 수행하였다. 이 자동채점의 데이터셋은 4가지 단위의 논증 피처와 논증 수준 평가틀로 구성되었다. 특히, 자동 채점에 논증 패턴을 반영하기 위하여 논증 클러스터와 n-gram을 활용하였다. 자동 채점 모델은 3가지의 지도 학습 기법으로 구성되었으며, 그 결과 총 33개의 자동 채점 모델이 구성되었다. 자동 채점의 결과, 최대 85.37%, 평균 77.59%의 채점 정확도를 얻었다. 이 과정에서 논증 담화의 패턴이 자동 채점의 성능을 개선하는 주요한 피처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의사결정 나무와 랜덤 포레스트의 모델을 통하여 과학적 논증 수준에 따른 논증의 양상과 패턴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주장, 자료와 함께 정당화가 체계적으로 구성된 과학적 논증과 자료에 대한 활발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진 과학적 논증이 논증 수준의 발달을 이끈다는 점 등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자동 채점 모델의 해석은 논증 패턴을 분석하는 새로운 연구 방법을 제언하는 것이다. We explored the performance improvement method of automated scoring for scientific argumentation. We analyzed the pattern of argumentation using automated scoring models. For this purpose, we assessed the level of argumentation for student’s scientific discourses in classrooms. The dataset consists of four units of argumentation features and argumentation levels for episodes. We utilized argumentation clusters and n-gram to enhance automated scoring accuracy. We used the three supervised learning algorithms resulting in 33 automatic scoring models. As a result of automated scoring, we got a good scoring accuracy of 77.59% on average and up to 85.37%. In this process, we found that argumentation cluster patterns could enhance automated scoring performance accuracy. Then, we analyzed argumentation patterns using the model of decision tree and random forest. Our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research in which justification in coordination with claim and evidence determines scientific argumentation quality. Our research method suggests a novel approach for analyzing the quality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classrooms.

      • KCI등재

        협력적 성찰과 과학 논변수업 실행에서 드러난 교사의 논변특이적 PCK 탐색

        김선아 ( Suna Kim ),이신영 ( Shinyoung Lee ),김희백 ( Heui Baik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6

        이 연구는 논변활동을 지도하는 교사의 수업실행 변화와 이 과정에서 드러나는 논변특이적 PCK의 요소를 확인하고 이것이 수업 실행에미친 영향에 대해 탐색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교사는 과학교육 박사학위 소지자로 연구 당시 교육경력이 19년이었으며 연구에 참여하기이전에 논변수업을 지도해 본 경험은 없었다. 논변활동 수업은 중학교1학년 광합성 단원에 대한 9차시로 구성되었고 수업 이후 주 1회 약30여분 총 5회에 걸쳐 연구자와 교사 간 협력적 성찰이 이루어졌다. 모든 수업과 협력적 성찰은 녹화, 녹음되었으며, 교사의 사전사후 논변검사지, 수업전사본, 관찰일지, 협력적 성찰 전사본이 분석 자료로 활용되었다. 교사의 발화를 분석한 결과 교사의 수업 실행은 1~3차시에해당하는 초반부에는 학생들에게 말하기, 논변 정의하기, 정당화하기등을 촉진하는 발화가 주로 나타났으나 4차시 이후부터는 교사가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며 상대방 이야기를 들어주기, 대안주장하기, 논변과정 반성해보기 등을 촉진시키는 발화도 함께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협력적 성찰과 논변 수업 실행으로부터 교사의 논변특이적PCK 발달이 나타났으며, 논변특이적 PCK는 학생에 대한 이해, 논변의 본성에 대한 이해, 논변 과제전략에 대한 이해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참여 교사의 논변 특이적 PCK에 대한 이해는 협력적 성찰과 수업실행이 반복되면서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여교사는 논변수업에서 학생이 갖는 어려움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으며, 논변에 대한이해를 개인적 측면으로부터 사회적 측면을 포함한 것으로 발달시켰다. 또한 논변과제를 자발적으로 변환시킴으로써 과제전략에 대한 깊은 이해를 드러냈다. This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 of a teacher`s teaching practice and identified argumentation-specif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and the influence of the argumentation-specific PCK on teaching practice in an argumentation classroom. The teacher has a Ph.D degree in science education, a 19-year teaching career, and no experience in instructing in an argumentation classroom. The developed program consists of nine lessons regarding photosynthesis for 7th graders. The teacher participated in a collaborative reflection with researchers after each lesson once a week and five times in total, which lasted for thirty minutes. All of the lessons were video- and audio-recorded and the transcript of lessons and collaborative reflection, pre- and post-survey related to argumentation, and researchers` journals were analyzed. Analysis of the data showed that the teacher emphasized group interaction showing utterances of listening, evaluating arguments, counter-arguing/debating, and reflecting on argument process after the fourth lesson although the teacher focused on individual argumentation showing utterances of talking, knowing meaning of argument, and justifying with evidence in the first three lessons. Also, the argumentation-specific PCK, which was identified with the understanding of students, nature of argumentation and argumentation task strategy, also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teaching practice. The teacher comprehended the students` challenges in argumentation, developed her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argumentation from an individual plane to social plane, and demonstrated a deep understanding of the task strategy by voluntarily joining in modifying the argumentation tasks.

      • KCI등재

        CSCL에서 협력적 논증 스캐폴드의 제공이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방선희,김동식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0 교육과학연구 Vol.4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CSCL에서 협력적 논증 활동 시 학습자간 유의미한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스캐폴드의 제공이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이론적 탐구를 통해 협력적 지식구축의 인식론적 기반을 바탕으로 협력적 논증의 절차와 구조화, 논증적 사고를 지원하는 스캐폴드의 원리를 도출하였으며, 이것이 협력적 논증 활동 시 학습자간 상호작용의 빈도와 상호작용의 유형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청주에 위치한 S대학의 교직과목 수강생 102명으로, 서로 의견이 다른 2인이 1조가 되도록 총 51개 조로 구성되었다. 각 그룹은 협력적 논증 스캐폴드의 제공 유형에 따라 3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약 5주의 기간 동안 웹기반 실험환경에서 협력적 논증 활동에 참여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상호작용의 빈도수는 구조화된 협력적 논증 스캐폴드를 제공한 집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의 유형별 분석에서, '주장'과 '외재화' 유형의 상호작용 빈도는 논증 스캐폴드의 제공 유형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안'과 '통합 합의' 유형의 상호작용 빈도는 3집단 간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답변'과 '빠른 합의' 유형의 상호작용 빈도는 구조화의 유무에 상관없이 협력적 논증 스캐폴드 제공 유무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반면에 '합의'와 '유도' 유형의 상호작용 빈도수는 구조화된 협력적 논증 스캐폴드를 지원하는 경우에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인지적 충돌에 의한 합의' 유형의 상호작용 빈도수는 스케폴드 제공의 유무에 상관없이 강제성을 부여한 구조화가 제공된 경우에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학습자간 상호작용 과정에 대한 분석 결과는 협력적 논증 지원을 위한 스캐폴드가 상호작용 과정에서 학습자간 유의미한 상호작용을 촉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scaffolds that support collaborative argumentation activities between learners in CSCL (Computer- 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Collaborative argumentation in CSCL, whose objective is knowledge building refines the opinions and claims at the individual level and promotes critical thinking about the subject. Also, at the group level, it provides the opportunity for members to understand the domain knowledge from various perspectives by sharing knowledge and perspectives between them and to experience conceptual changes, which in turn contributes to building collaborative knowledge of the group. For this, learners participating in collaborative argumentation activities should experience critical argumentation and interact meaningfully. This study considered the particularities of collaborate argumentation, the epistemological perspective, and the mechanism of building knowledge to support mutual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in collaborative argumentation, whose purpose is knowledge building. Through this, the design principle of scaffolding that comprehensively supports the sequence of collaborative argumentation, structuring of single argumentation, and skills argumentative reasoning, was deduced. For a corroborative study on the effect of the developed scaffolds, this study composed and applied a CSCL environment, which is a specialized environment to support collaborative argumentation. The research question is whether the form of scaffold offered to support meaningful interaction of collaborative argumentation between learners For this, th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messages, and the form in the process of collaborative argumentation were analyzed. This study concluded the following. A comparison of the group that was structurally provided with the compulsory scaffolding (Test Gruop 2), the group that was provided scaffolding without a structure (Test Gruop 1), and the group that was provided with general argumentation scaffolding (control group) in order to promot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in collaborative argumentation, showed that the average number of messages of Test Gruop 2 was meaningfully higher compared to other group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st Gruop 1 and the control group. An analysis of the procedural aspect of argumentation for an analysis of the forms of mutual interaction and an analysis of the forms of social interaction showed the following. First,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claims, and the frequency of externalization message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between the frequency of counterarguments and the frequency of integration-oriented consensus building messages between all three groups depending on the existence or absence of scaffold offering for collaborative argumentation and the existence of absence of coercion (structuralization). Reply messages and quick consensus building messages all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existence or absence of scaffold offering to support collaborative argumentation. There was no difference, however, according to the provision through structuralization of coercion. Also, consensus building messages, elicitation messages, and conflict-oriented consensus building messages all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not in the provision or scaffolding during collaborative argumentation but in the degree of structuralization of coercion. In conclusion, the scaffolding for collaborative argumentation provided in this study can be said to have an effect on promoting meaningful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 KCI등재

        논변, 논의 그리고 논증: 개념의 명료화를 위한 문헌조사 연구

        강남화 ( Nam Hwa Kang ),이은경 ( Eun Kyung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3 No.6

        국내 과학교육연구 문헌에서 argument와argumentation이 소개되고 연구되어온 지 거의 10년이 되었고, 그 용어가 크게 세 가지 단어로 번역이됨을 관찰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과학교육 문헌에서 두 용어가 어떻게 정의되고 있으며, 어떤상황에서 사용하는지를 고찰하여 다양하게 번역된 용어들의 의미를 명료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번역의다양성에 관한 철학적 관점에서 외국 과학교육 문헌에서 argument와 argumentation의 정의와 그 연구 맥락을 검토하고, 국내의 관련 문헌을 고찰하였다. 고찰된 문헌은 2000년 이후 제목에 argument와argumentation을 포함하는 79개의 외국 주요 과학교육저널에 실린 논문과 그 두 용어의 번역어를 제목에 포함한 37개의 국내 과학교육 논문이다. 분석 결과국내 연구자들은 연구 맥락에 따라 argument와argumentation을 일반적인 상황에서의 정의 또는탐구의 한 측면과 같은 구체적인 상황에 기인한 정의를 제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대부분의 국내 과학교육 논문에서 번역 용어의 다양성에 관해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으며, 언급한 경우에도 하나의 예외를 제외하고 선택한 번역용어를 사용한 이유를 제시하지 않았다. 또한 argument 또는 argumentation의 정의를 위해 여러 연구자들이 동일한 외국 문헌을 고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연구자마다 서로 다른 번역어를사용하였다. 이는 그 용어의 정의와 특정 번역어의 사용은 연구자들에게는 관련이 없음을 보여주었다. 반면, 특정 연구 집단이 특정 번역어를 일관되게 사용하는 것으로부터 번역이 실천적 습관일 수 있다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부터 번역 용어의 결정에 관한 입장을 연구 전문성과 연구집단 간의 의사소통의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It has been a decade since argument and argumentation were introduced in science education literature in South Korea. The word “argument” has been translated into three different Korean terms in litera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ose translated terms by examining how the terms were defined and used in Korean education research literature. From a philosophical perspective on the diversity of translation, we examined definitions of argument and argumentation, research topics in papers published in major international journals on science education, and reviewed relevant science education papers published in South Korean journals. We reviewed 79 papers published since the year 2000 in major international journals on science education, whose titles have terms argument and/or argumentation and 37 Korean science education papers whose titles have terms translated from the two English words. Findings showed that Korean researchers defined argument and argumentation either in a general sense or in a specific sense such as science investigation or group work aspects, depending on research contexts. Researchers in Korea rarely mentioned the diversity of translation. If they mentioned it, justification for a specific translation of the term was not provided except for in one case. When the same foreign literature was reviewed to define “argument” or “argumentation, different Korean words were used to translate the same two terms. This indicated to the researchers that the translation of the terms was not related to their definitions of them. On the other hand, each research group used a certain translation of the term consistently, indicating that translations might be based on research tradition. Based on the findings, a position on translation of the term is proposed in terms of professionalism and communication between research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