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국인지분율이 대리인문제 유형과 기업가치의 관련성에 미치는 영향

        이상철(Sang Cheol Lee),김중화(Joongwha Kim),박애영(Aeyoung Park) 한국관리회계학회 2009 관리회계연구 Vol.9 No.2

        본 연구에서는 대리인문제 유형을 주주와 경영자 사이의 대리인문제와 소액주주와 지배주주 사이의 대리인문제로 구분하고, 각각의 대리인문제 유형 및 대리인문제 유형을 구분하여 나타낸 대리인문제 집단에 따라 기업가치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대리인문제 유형 및 대리인 문제 집단에 따른 기업가치 감소 효과가 외국인투자자 지분율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외국인투자자의 기업감시 역할이 강화된 2000년부터 2003년까지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모두 1,416개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주주와 경영자 사이의 대리인문제와 소액주주와 지배주주 사이의 대리인문제는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주와 경영자 사이의 대리인문제 그리고 소액주주와 지배주주 사이의 대리인문제가 모두 높은 경우가 두 가지 대리인문제가 모두 낮은 경우에 비해 기업가치가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대리인문제의 존재가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추론할 수 있다. 둘째, 소액주주와 지배주주 사이의 대리인문제가 높고 주주와 경영자 사이의 대리인문제가 낮은 경우가 소액주주와 지배주주 사이의 대리인문제가 낮고 주주와 경영자 사이의 대리인문제가 높은 경우보다 기업가치가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소액주주와 지배주주 사이의 대리인문제가 주주와 경영자 사이의 대리인문제보다 상대적으로 기업가치에 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추론할 수 있다. 셋째, 외국인지분율이 높은 경우, 두 가지 대리인문제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사이의 기업가치 차이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주와 경영자 사이의 대리인문제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은 외국인투자자 지분율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외국인투자자의 감시역할이 주주와 경영자 사이의 대리인문제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효과적이지만, 소액주주와 지배주주 사이의 대리인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는 효과가 크지 않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추론할 수 있다. This study identifies two types of agency problems. One is concerned with agency problems between owners and managers and the other with agency problems between minority and majority shareholders. Subsequently,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agency problems and firm value, along with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foreign ownership. Analyzing the sample of the manufacturing firms for 2000-2003 listed in the Korea Stock Market, we found that the value of the firms experiencing high levels of both types of agency problems is lower than that of the firms experiencing low levels of both types of agency problems. In addition, when the levels of the both types of agency problems are high, the effect of an increase in the ownership percentage of foreign investors on firm valu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We also found that the value of the firms with a high level of agency problems between minority and majority shareholders and with a low level of agency problems between owners and managers is lower than the value of the firms with a low level of agency problems between minority and majority shareholders and with a high level of agency problems between owners and managers. However, it is not statistically confirmed that an increase in the ownership percentage of foreign investors has a positive effect on firm value when firms experience both a high level of agency problems between minority and majority shareholders and a low level of agency problems between owners and managers. Overall, this study provides an evidence that as agency problems between managers and owners have a negative effect on firm value, so do the agency problems between minority and majority shareholders. In general, when agency problems exist between owners and managers, the more the monitoring role of foreign investors is strengthened, the higher the firm value. However, the effect of the monitoring role of foreign investors on firm value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ase of agency problems between minority and majority shareholders. These results are interpreted as indicating that the monitoring role of foreign investors is effective to the case of agency problems between mangers and owners, but not to the case of agency problems between minority and majority shareholders.

      • KCI등재

        대리인문제와 기업가치

        이상철(Sang Cheol Lee),김중화(Joongwha Kim),박애영(Ae Young Park) 한국관리회계학회 2005 관리회계연구 Vol.5 No.1

        본 연구에서는 주주와 경영자 사이의 전통적인 대리인문제와 소액주주와 지배주주 사이의 대리인문제 유형을 구분하고, 각각의 대리인문제 유형과 기업가치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2000년부터 2003년까지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제조기업을 표본으로 분석한 결과, 주주와 경영자 사이의 대리인문제는 기업가치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소액주주와 지배주주 간의 대리인문제는 기업가치에 유의적인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주와 경영자 사이의 대리인문제가 낮고 동시에 소액주주와 지배주주 사이의 대리인문제가 낮은 집단의 기업가치가 주주와 경영자 사이의 대리인문제가 높고 동시에 소액주주와 지배주주 사이의 대리인문제가 높은 집단의 기업가치보다 유의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소액주주와 지배주주 사이의 대리인문제가 높고 주주와 경영자 사이의 대리인문제가 낮은 집단의 기업가치가 소액주주와 지배주주 사이의 대리인문제가 낮고 주주와 경영자 사이의 대리인문제가 높은 집단의 기업가치보다 유의적으로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의 경우 소액주주와 지배주주 사이의 대리인문제가 기업가치를 저해하는 요인이라는 주장에 대한 실증적인 증거를 제시해 준다. This study concerns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agency problems and firm value. Two types of agency problems are identified and distinguished: one is the agency problems between owners and managers (Type 1) and the other the agency problems between minority and majority shareholders (Type 2). Using the sample of the manufacturing firms for 2000-2003 listed in the Korea Stock Market, it is found out that the value of the firms experiencing high level of both Type 1 and Type 2 agency problems is lower than that of the firms experiencing low level of those problems. Firms with the high level of Type 2 and low level of Type 1 agency problems show lower firm value than those with the low level of Type 2 and high level of Type 1 agency problems. Overall. Type 2 agency problem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firm value whereas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f Type 1 agency problems on firm value. These results provide an empirical evidence that in the case of Korea, it is the agency problems due to the minority-majority ownership that negatively affect firm value.

      • KCI등재

        대리인문제와 기업지배구조가 회계이익의 정보성에 미치는 영향

        이상철(Sang Cheol Lee) 한국관리회계학회 2008 관리회계연구 Vol.8 No.1

        본 연구에서는 주주와 경영자 사이의 전통적인 대리인문제와 소액주주와 지배주주 사이의 대리인문제 발생가능성에 따라 대리인문제 유형을 구분하고, 각각의 대리인문제 유형이 회계이익의 정보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익의 정보성이 대리인문제 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점검하였다. 그리고 이익의 정보성을 높이는데 공헌하는 기업지배구조의 감시역할을 외국인투자자와 사외이사로 구분하여, 대리인문제 유형별 기업지배구조가 이익의 정보성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살표보았다. 2000년부터 2002년까지 한국증권거래소에 계속 상장된 12월 결산 제조기업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주주와 경영자 사이의 전통적인 대리인문제 발생가능성이 높은 경우 이익의 정보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액주주와 지배주주 사이의 대리인문제 발생가능성과 이익의 정보성과의 유의적인 결과를 발견할 수 없었다. 두 가지 대리인문제의 발생가능성이 높은 경우가 낮은 경우보다 이익의 정보성이 낮으며, 소액주주와 지배주주와의 대리인문제보다 주주와 경영자 사이의 대리인문제가 이익의 정보성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주와 경영자 사이의 대리인문제 발생가능성이 높은 경우 이사회를 통한 감시가 이익의 정보성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concerns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agency problems and informativeness of accounting earnings. Two types of agency problems are identified and distinguished: one is the agency problem between shareholders and managers, and the other is agency problem between minority and majority shareholders. The study als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orporate governance such as foreign investors and outside directors on the relation between types of agency problems and informativeness of accounting earnings. Using a sample of 1.264 Korean manufacturing firm-year observations for the year 2000-2002,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s the impact of types of agency problems on informativeness of accounting earnings and the role of corporate governance in determining the association between types of agency problems and earnings informativeness.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flict of interests between shareholders and the managers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informativeness of accounting earnings whereas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f the agency problem between minority and majority shareholders on earnings informativeness. Second, firms with high level of two agency problems show lower earnings informativeness than that of the firms experiencing low level of those problems. Also, firms experiencing high level of managers' agency problem and low level of controlling shareholders' agency problem show lower earnings informativeness than those with low level of traditional agency problem and high level of majority shareholders' agency problem. Additionally, outside directors' monitoring plays a crucial role in deter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agency problems and informativeness of accounting earnings.

      • KCI등재

        외부주주의 유형과 계열기업의 대리인문제

        이근기 한국기업경영학회 2014 기업경영연구 Vol.21 No.5

        In the case of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control the firms with a small ownership rights(CMS(controlling minority structure,)), those controlling shareholders could exploit the outside-shareholder for the sake of his interests. therefore there are many researches on agency problem between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and outside-shareholders. But there is one point to be noted here. In the business groups as like korean chaebol, unlike the independent firms, there are two types of outside-shareholders in the affiliated firms. The one is a direct outside-shareholder and the other is an indirect outside-shareholder. A direct shareholder who purchases firm’s stock in their name, indirect shareholder who becomes an shareholder indirectly through affiliates’s investing(gyeyeol-chulza). These two types of outside-shareholders could have different attitudes in voice and exit activities to the agency problems in the affiliated-firms of the business groups.. For example, Because the controlling shareholder could control the whole affiliates’ share(gyeyeolsa zibun) which is a partially made of the indirect shareholder’s share, the indirect outside-shareholder might excluded in the control of the affiliated firms. and even the indirect outside-shareholders excercise their rights as shareholder, there is much more costs than the direct outsider-shareholder’s. In other words, direct outside-shareholder has a better advantage position over dealing with the agency problem of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But the extant researches do not distinguish between the differences of two types of outside-shareholders on agency problem of the affiliated firms. In this paper, we examine whether the two types of outside-shareholders having the same effects on the agency problems in the korea business group’s affiliated-firms using with korea business group’s affiliated firm’s data.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test are as follow. The total share of outside shareholders has a positive sign but no statistical significant. It means (whole) outside-shareholder do not have effects on the agency problems. This results might lead to the following conclusion, There is no agency problems in the affiliated firms. but it is premature conclusion. After It is divided into two kinds of outside-shareholders, we got different results as follow. the share of direct outside-shareholder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sign, and the share of indirect outside-shareholder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sign. From these result, we know there are different effects on agency problems as the types of outside-shareholders. or, The direct outside-shareholder mitigated the agency problems. but the indirect outside-shareholder deteriorated the agency problems in the korea business group’s affiliated-firms. These results support our hypothesis that Shareholder action can be more easily in the direct outside-shareholders. Finally these results show we need to classify the types of the outside-shareholders, If not has the wrong results, on the agency problems in the affiliated firms. 한국의 기업집단과 같이 지배주주가 적은 소유지분으로 지배하고 있는 CMS(controlling Minority Structure)구조에서는 지배주주와 외부주주간의 대리인문제가 발생한다. 그런데 한국 기업집단의 계열기업에서 이들 대리인문제를 살펴보는데 있어서 한 가지 유의할 점이 있다. 바로 계열기업의 외부주주는 독립기업과는 달리 자신의 직접투자로 외부주주가 된 직접외부주주와 계열출자활동으로 외부주주가 된 간접외부주주가 있다는 사실이다. 이들 두 유형의 외부주주는 지배주주의 착취에 대한 대응(예를 들면 발언과 이탈활동)에서 기대할 수 있는 수익과 이에 수반되는 비용에서 차이를 보일 수 있다. 그 결과 지배주주에 의한 대리인문제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에도 불구하고 기존 논의는 외부주주의 유형을 구분하여 대리인문제를 살펴보고 있지 않다. 이에 본 논문은 두 유형의 외부주주가 계열기업의 대리인문제에서 미치는 영향이 다른지의 여부를 경험적 자료를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외부주주의 유형을 구분하지 않은 전체외부주주의 소유지분은 대리인문제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었다. 이에 반해 외부주주의 유형을 구분할 경우 외부주주는 그 유형별로 대리인문제에 상이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직접외부주주의 소유비중이 높으면 대리인문제가 완화되고 간접외부주주의 소유지분이 높으면 대리인문제가 악화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계열기업의 대리인문제를 살펴볼 때는 외부주주의 유형을 구분하여야 한다는 것과 그러하지 않을 경우 대리인문제에 대해 왜곡된 결과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금융연구(金融硏究) : 한국 대규모기업집단에서 내부자본시장과 대리인 문제: 그룹 현금보유의 역할

        강형철 ( Hyung Cheol Kang ),장하성 ( Ha Sung Jang ) 한국금융학회 2014 금융연구 Vol.28 No.2

        본 논문은 한국 대규모기업집단에 속한 모든 계열사들의 자료를 사용하여 그룹의 현금보유가 내부자본시장을 효율화하는지 아니면 대리인 문제를 심화시키는지를 분석한다. 그룹의 높은현금보유 수준은 상호보조기능을 통해 내부자본시장을 효율적으로 작동하게 하는 매개체 역할을할 수 있는 반면, 지배주주의 사적 이익을 위해 활용되어 터널링(tunneling), 프로핑(propping)과같은 대리인 문제를 유발할 수도 있다. 본 연구는 기업의 재무적 제약 수준을 기업연령과 상장여부로, 대리인 문제를 지배주주의 소유권(cash flow rights)으로 측정하고 이러한 가설을 검증한다. 분석 결과, 첫째, 그룹의 현금보유 수준이 높을수록 재무제약 기업의 수익성은 높아지지만 이는투자효율성 개선으로 인한 것이 아닌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 현금보유 수준이 높은 그룹에 속한 재무제약 기업의 투자-현금흐름 민감도가 상대적으로 낮지만 성장성은 투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아 내부자본시장이 작동하지만 그 기능은 비효율적임을 나타낸다. 셋째, 그룹의 현금보유가 매우 큰 경우에는 소유구조에 기인한 대리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금융위기 이후내부자본시장 기능이 약화된다는 증거를 제시한다. 이상의 결과는 그룹의 높은 현금보유 수준은재무제약 기업에 도움을 주지만 이러한 내부자본시장 기능은 대리인 문제로 인해 비효율적으로 작동하게 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내부자본시장 또는 대리인 문제를 개별기업 특성에 초점을두고 분석하는 기존 연구와는 달리 그룹의 현금보유 수준이 중요한 매개요인이라는 점을확인했다는 학술적 의의를 지닌다. Corporate cash holdings in major developed countries have increased sharply because of the heightened economic uncertainty since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In Korea, corporate cash holdings increased rapidly after the country went through two major crises in 1997 and 2008. In 2010, cash and cash equivalents (hereafter, ‘cash assets’) held by non-financial listed firms exceeded 100 trillion won (9.2% of total assets). The level of cash assets held by listed firms of the top 10 chaebol groups is especially noteworthy as it increased rapidly from 28 trillion won in 2006 to 124 trillion won in 2012. In the first quarter of 2014, the top 10 chaebols’ cash assets accounted for about 75% of the top 500 firms of Korea. It is clear that most of the cash assets in Korea are held by chaebols. However, media reports often raise the problem that chaebols do not invest as much as their cash holdings increas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trade-off and effects that a group’ cash holdings has towards making internal capital markets more efficient or deepening agency problems. The high level of a group’s cash holdings can facilitate internal capital markets operations through cross-subsidization. On the other hand, it can trigger agency problems such as tunneling and propping if it is misused for the private benefit of controlling shareholders. Group-level cash holdings are meaningful and have important implications in terms of internal capital markets and agency problems. If a firm within a group is financially constrained, the group’s abundant cash holdings can help the firm overcome financial constraints. However, if a group’s cash is limited, the firm will be constrained. Following the free cash flow hypothesis of Jensen (1986), agency problems in the business group also can be more likely to appear when the group’s cash is abundant. Although many existing literature have focused on firm-level cash holdings and the difference in the functioning of internal capital markets between chaebols and non-chaebols, they do not consider group-level cash holding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paper to directly intro- duce group-level cash holdings. This study intend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are a group’s high cash holdings helpful to financially constrained firms within the group that have higher funding needs? Second, are the internal capital markets of business groups efficient? Third, do high cash assets cause agency problems such as tunneling and propping? Our sample firms are all affiliates of Korean large business groups (chaebols) in which a family is the controlling shareholder over the period of 2001 to 2010. Financially constrained firms are defined as firms below the median age within a group or unlisted firms that have low accessibility to capital markets. We use cash flow rights (hereafter, ‘CFR’) of controlling shareholders as a proxy of agency problem. The main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controlling for other factors to explain firms’ profitability, financially constrained firms in a group have higher profitability than financially unconstrained firms as the level of the group’s cash holdings is higher. This result supports the claim that internal capital markets operate well in groups with high cash holdings. Second, a group’s high cash holdings lower financially constrained firms’ investment efficiency, which is estimated as the positive effect of investments on performance. In turn, this means a group’s abundant surplus resources can lead to agency problems such as overinvestment and also supports Jensen (1986)’s free cash flow hypothesis in the group-level. Third, only when the level of a group’s cash holdings is high is the investment-cash flow sensitivity of financially constrained firms lower than the sensitivity of financially unconstrained firms. This result shows that a group’s cash holdings can be a means for firms to overcome financial constraints. However, we do not find any evidence that fast-growing firms invest more actively. This means that internal capital markets within Korean business groups are not efficient. Fourth, when the level of a group’s cash holdings is clearly excessive, the investment-cash flow sensitivity of financially constrained firms is insignificant but the sensitivity of firms with low CFR is significantly positive. This implies that when a group holds too much cash assets, internal capital markets do not function well and agency problems based on ownership structure can occur. Fifth, before the 2008 financial crisis, the investment-cash flow sensitivity of financially constrained firm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sensitivity of financially unconstrained firms when the level of the group’s cash holdings was high. However, this difference between financially constrained firms and unconstrained firms disappeared after the crisis. This means that the functioning of internal capital markets in chaebols has weakened after the crisis and supports Lee et al.(2009). Overall, the results of this paper suggest that the high level of groups’ cash holdings can be helpful to financially constrained firms but the functioning of internal capital markets contains inefficiency due to agency problems.

      • KCI등재

        일제시기 흥신소 연구 - ‘저신용사회’ 식민지 조선의 사설조사기관 -

        노상균(Noh, Sang-Gune) 고려사학회 2024 한국사학보 Vol.- No.95

        일제시기 흥신소는 자본주의의 급격한 발달과 그로 인한 사회변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신용’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서 설립된 사설조사기관이었다. 일본의 흥신소들이 조선에 진출한 것은 기본적으로는 제국 일본의 신영토에서 안정된 경제활동을 하기 위한 국내외 상인들의 요구를 수용하기 위함이었지만, 한편에서는 식민지 조선 사회의 구조 및 성격과 관련된 맥락이 또한 존재하고 있었다. 흥신소의 조사보고서와 자체 발간한 정기간행물은 신뢰도와 영향력에서 상당한 인정을 받았으며, 흥신소의 업무 범위는 경제적인 영역에 그치지 않고 결혼, 가족 등 사적인 영역에까지 침투하였다. 흥신소 업무의 규모와 범위가 넓어지고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흥신소에 대한 조선인의 관심 역시 늘어나 조선인이 주도하여 세운 흥신소가 등장하기도 하였다. 일제시기 흥신소는 식민지 조선에서 파생된 각종 경제적 · 사회적 신용문제를 보완하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기도 하였지만 기본적으로 사설기관인 만큼 한계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흥신소는 여러 가지 범죄와 폐해를 야기하였는데 흥신소와 관련된 범죄가 일어나는 것은 단순히 개인이나 업계의 부패 때문만은 아니었다. 식민지 사회의 구조 및 성격과 연결되어 발생하는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흥신소의 폐해를 근절하기 위해서는 이를 하나의 사회문제로 보고 제도와 공동체의 외곽에서 저신용 상태에 처해있는 식민지 조선인의 처치를 개선해나가야 했지만 조선총독부는 흥신소 문제를 철저히 개인 범죄 및 치안 문제로만 접근하였다. 총독부가 외면한 ‘저신용 사회’의 문제는 식민지의 부정적 유산으로서 해방 후 한국사회가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게 되었다. The commercial detective agenc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a private investigating organization established to compensate for the problem of ‘credit caused by the rapid development of capitalism and the resulting social changes. The reason why Japanese commercial detective agency entered Joseon was basically to accommodate the demands of Japanese merchants for stable economic activities in the new territories of imperial Japan, but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reasons related to the structure and character of colonial Joseon society. Reports and periodicals published by commercial detective agency had high reliability and influence, and the scope of commercial detective agencys work penetrated not only economic areas but also private areas such as marriage and family. As the influence of Commercial detective agency increased, Koreans interest in Commercial detective agency also increased, and Commercial detective agency, which was established by Koreans, appear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ommercial detective agency played a positive role in supplementing the credit problem, but it had problems as it was basically a private institution. Commercial detective agency caused various crimes, and it was not just because of corruption in individuals or industries that crimes related to commercial detective agency occurred.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occurred in connection with the structure and character of colonial society. Therefore, in order to eradicate the crimes of commercial detective agency, it was necessary to see this as a social problem and improve the treatment of colonial Koreans who were in a low state of credit. However,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pproached the commercial detective agency problem thoroughly only as a personal crime and security problem. The problem of a “low-credit society that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gnored remained a task for Korean society after liberation due to the negative legacy of the colony.

      • KCI등재

        지방공기업의 대리인문제, 감시효과와 원가행태

        박한라,이상철,정문종 한국회계정책학회 2022 회계와 정책연구 Vol.27 No.4

        [Purpose]This study examines the inefficiency of local government-owned companies via the asymmetric behavior of selling, general and administrative (SG&A) costs. The monitoring effect by local governments using budgeting systems is additionally explored as a means to alleviate the inefficiencies of such cost behaviors. Further analysis regarding the positive monitoring effect of the budgeting system is made for the companies with higher agency problems. [Methodology]The final sample consists of 355 enterprise-year data of 33 metropolitan and 20 non-metropolitan government-owned companies listed in the Management Evaluation Reports by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from 2011 to 2017. Regression models are developed based on Anderson et al. (2003) for empirical tests. [Findings]The results show regressive behavior of SG&A costs where the costs increase even when sales decrease as well as when sales increase. When budgeting systems employed due to financial subsidies from local governments play the monitoring role, however, the regressiveness of the cost behavior is alleviated. On the other hand, the regressiveness is aggravated in the absence of the monitoring effect when there are no financial subsidies from local governments. It is also shown that monitoring effect of the budgeting system alleviates the regressiveness of SG&A cost behavior for the companies with higher agency problems stemming from high potential for own business income. [Policy Implications]This study presents empirical evidence in the form of regressive behavior of SG&A costs showing the inefficiency of local government-owned companies due to their vulnerability to agency problems. In particular, it is shown that the monitoring by local governments using budgeting systems reduces the regressive cost behavior, and the monitoring effect of budgeting systems is larger for the companies with higher agency problems stemming from high potential for own business income. These results provide important empirical evidence and implication useful for analyzing budgeting systems and resource consumption behaviors of local government-owned companies and, hence for preparing better control systems.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판매관리비의 비대칭적 원가행태(asymmetric cost behavior)를 통해 지방공기업의 비효율성에 대해 실증분석한다. 그리고 예산제도를 이용한 지방자치단체의 감시가 지방공기업의 비효율적인 원가행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서도 분석한다. 판매관리비 원가행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예산제도를 통한 감시의 효과가 대리인문제 발생가능성이 더욱 높은 지방공기업의 경우에 더욱 큰가의 여부에 대해서도 추가적으로 분석한다. [연구방법]2011년부터 2017년까지 7년간 행정안전부 경영평가편람에 고시된 지방공기업 가운데 33개 광역공기업과 20개 기초공기업의 355개 기업-년 자료를 최종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표본을 대상으로 Anderson et al.(2003)이 제시한 모형을 이용하여 가설검증을 위한 모형을 설정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매출액이 증가하는 경우는 물론 매출감소 시에도 판매관리비가 증가하는 역진적인 원가행태(regressive cost behavior)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방자체단체로부터 재정지원을 받아 예산제도의 감시효과가 강화되면 매출 감소 시의 역진성이 완화되었다. 반면에,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재정지원을 받지 않아서 감시효과가 약화되면, 매출 감소시의 판매관리비 역진성이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분석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자체수입가능성이 높아 대리인문제 발생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예산제도를 이용한 지방자치단체의 감시효과는 판매관리비 행태의 역진성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적 시사점]본 연구는 판매관리비 행태의 역진성을 통하여 대리인문제 발생가능성이 높은 지방공기업의 비효율성에 대한 실증적 증거를 제시했다. 특히, 예산제도를 이용한 지방자치단체의 감시가 역진적 원가행태를 감소시키며, 예산제도의 감시효과는 자체수입가능성 때문에 대리인문제 발생가능성이 높은 지방공기업의 경우에 더 크게 나타난다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지방공기업의 예산편성 및 자원소비 행태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통제시스템을 마련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중요한 실증적 증거를 제시한다.

      • KCI등재

        대리인문제와 기업지배구조가 기업부동산 보유정책에 미치는 영향

        김민체(Kim, Min Che),김동욱(Kim, Dong Wook),김병곤(Kim, Byoung Gon) 한국산업경제학회 2015 산업경제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대리인이론 관점에서 대리인문제와 기업의 지배구조가 기업의 부동산 보유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기업이 보유한 부동산을 사업용 부동산과 투자부동산으로 구분하여 그 영향관계를 비교분석하였다. 표본기업은 2004년부터 2013년까지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 중에서 총 4,745개를 사용하였고, 패널자료회귀모형과 내생적 전환회귀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내부지분율이 증가하면 내부자와 외부주주의 이해가 일치하여 기업가치에 기여할 수 있는 사업용 부동산의 비중이 증가하지만, 한편으로는 경영자안주현상도 나타나서 투자 부동산의 비중도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영향관계는 지배구조의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둘째, 지배가족 구성원이 경영에 참여하는 경우에는 사업목적보다는 투자목적의 부동산이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배구조가 취약한 기업에 지배가족의 구성원이 경영에 참여하는 경우에는 사업활동에 필요한 사업용 부동산의 증가보다는 다른 자산의 증가가 더 많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업용 부동산비율이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우리나라 기업의 경우 잉여현금흐름이 발생하면 부동산보다는 다른 자산을 더 많이 증가시켜 부동산보유비율이 하락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지배구조가 취약한 기업에서는 투자부동산비율의 하락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대리인문제와 기업지배구조가 기업의 부동산보유정책에 영향을 미치고, 특히 취약한 지배구조기업에서 대리인문제가 기업부동산보유정책과 더 많이 연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지배구조가 취약한 기업에 대해서는 정부나 시장에서 보다 체계적으로 기업의 부동산보유 정책을 관리하고 통제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at the effect of agency problem and corporate governance on corporate real estate policy using the panel data regression model and endogenous switching regression model. For samples, we used the cross-section and time series data on total 4,745 Korean listed companies for 10 years, from 2004 to 2013. According to analysis, we find that agency problem and corporate governance significantly affect on corporate real estate policy, especially in weak corporate governance regime(WCG). Insider ownership affects on real estate for business and investment property. The CRE ratio increases as insider"s share becomes higher because of agency problem. If a member of large shareholder’s family participates on director board, investment property ratio is increasing. In addition, we find that as the free cash flow increase in WCG firms, the investment property ratio decreases because of agency problem. As results we conclude that agency problem affects on CRE policy, and agency problem connected with CRE policy is distinct difference between SCG and WCG.

      • KCI등재

        기업의 기부금 결정요인과 기업가치

        김영식,위정범 한국금융학회 2019 금융연구 Vol.33 No.1

        The motivation and impact of corporate giving has long been a topic of interest in academic literature. Studies in this field have largely offered two interpretations of this phenomenon. According to the investment view, corporate giving is considered an investment strategy that creates value for the firm. According to the cost view, however, corporate giving is considered a discretionary expense on the part of the manager, which indicates that corporate giving can give rise to an agency problem that will either add nothing to a firm’s value or ultimately harm it. This study examines this question of whether corporate giving adds to firm value. For corporate giving to add value, the agency problem must be minimized not only by giving at the right time but also by giving the appropriate amount, as over-giving can lead to an agency problem. This paper proceeds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nager’s share ratio and the donation is examined to see whether an agency problem exists. Cases in which a manager with relatively meager financial resources makes a considerable donation are considered to be indicative of an agency problem. According to our results, managers with a low stakeholder ratio who make considerable donations are considered to be doing so for personal gain. Second, regression coefficients are found even in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the donations on firm value, which was calculated using instrumental variables to control for endogeneity. Cases in which managers used their discretion to make donations that ultimately decreased the value of the firm are considered to represent an agency problem. Third, in cases in which the largest stockholders were the CEOs, lower largest stockholder ownership was shown to be associated with a noticeable growth in corporate giving. Owning managers were more likely to use expenses discretionally than were executive managers. And in the analysis of the governance structure for the manager’s donation, no significant connection was found with either the board of directors or institutional investors. Foreign shareholders also showed a tendency to regulate donation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 a need for the improvement of both internal and external disciplinary systems. Fourth, we analyzed over-giving. Cases in which firms donated more than their competitor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firm value, thus magnifying the agency problem. Although some firms with high firm value may wish to enhance their social roles, the notion that corporate giving can be a strategy to raise firm value was not supported.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data for the discussion regarding whether corporate giving should be seen as an investment or an agency cost and shows that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s are necessary in the culture of corporate giving. 본 연구는 기업의 기부금 지출에 대한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기부가 기업가치 증대를 위한 전략적 투자인지 또는 대리인 비용의 성격을 지닌 비용인지를 살펴본다. 1992년부터 2017년까지 국내 상장된 705개의 기업자료를 이용한 분석결과는 적은 지분을 소유한 경영자가 더 많은 기부금을 지출하고, 특히 최대주주가 최고경영자를 맡고 있는 경우에 최대주주 지분율이 낮을수록 기부금이 유의하게 증가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또한, 기부금 지출은 기업가치를 하락시키거나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부금이 기업가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기부금이 투자보다 비용의 성격을 강하게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기부성향이 상대적으로 높은 기업의 기부금 지출은 기업가치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서, 기부금 지출이 무형자산 확대를 위한 투자의 성격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기부금이 기업의 규모, 광고비 또는 연구개발비 지출, 시장지배력 등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현상도 이런 측면을 시사한다. 또한, 기업의 이사회 구성이나 기관투자자의 지분율은 경영자의 기부결정에 영향을 주지 않으나, 외국인투자자의 지분율이 주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기업의 기부관행을 개선하기 내․외부적 규율장치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 KCI등재

        유아 문제행동지도를 위한 유치원-전문 아동상담기관의 협력 과정과 요구

        이미화,권연정,송나리 한국유아교육학회 2023 유아교육연구 Vol.43 No.6

        본 연구는 유아의 문제행동지도를 위해 전문 아동상담기관과 적극적인 협력 관계를 이루고 있는 유치원 교사와 전문 아동상담기관장의 목소리를 통하여 유치원-전문 아동상담기관과의 협력과정과 요구를 알아보고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치원-전문 아동상담기관과협력적 관계에 있는 교사와 전문 아동상담기관장을 목적 표집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들은 유아의 문제행동을 지도하기 위해 노력하지만, 그 과정에서 한계를 경험하며 전문 아동상담기관과의 협력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유치원을 통해 전문 아동상담기관과의 연계가 이루어지고 유치원과 전문 아동상담기관이 유아에 대한 정보 및 지도 방법을 공유하며 협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문제행동지도를 위한 유치원-전문 아동상담기관과의 협력에 대한 요구로는 지속적인 관계 유지, 교사 및 부모를 위한 교육, 행정적 ․ 재정적지원을 원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의 문제행동지도를 위해 유치원과 전문 아동상담기관의긴밀한 협력 체계 구축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significance, collaborative process and requirements between kindergartens and professional child counseling agencies through the voices of kindergarten teachers, who establish active cooperative relations with such agencies and heads of such agencies to teach children with behavior problem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ed teachers and heads of professional child counseling agencies through purposive sampling for an in-depth interview and analyzed their answer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made efforts to provide instructions for children’s behavior problems, but had limitations in the process and wished to work with a professional child counseling agency. Then the kindergarten contacted a professional child counseling agency, and shared information about children and instructional methods Second. Secondly, there were requirements for the collaboration between kindergartens and professional child counseling agencies to teach children with behavior problems, such as maintenance of ongoing relations, education for teachers and parents, and both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to establish a close cooperation system between kindergartens and professional child counseling agencies to teach children with behavior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