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반도의 분단체제와 그 극복

        김용해(Kim Yong-Hae)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12 사회와 철학 Vol.0 No.23

        유엔의 시민적·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안에는 시민들의 정치적 지위에 관한 자결권과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발전을 자유로이 추구할 수 있는 권리가 명시되어 있다. 그러나 한반도에서 살아가고 있는 남북의 시민들은 최근 60여 년 동안 특수한 민족분단 상황 속에서 비자주적이고 비민주적인 정치현실을 감내하고 있다. 남북의 민중들은 한반도에서 1,300년 이상 단일국가, 하나의 언어, 하나의 문화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한민족이고, 현재 살아가는 남북한 민중의 대다수가 통일을 염원하면서도, 세계정치 경제와 남북한 정치공동체의 주변부로 밀려 미래의 통일된 민족공동체의 비전 없는 국민으로 수동적인 자세로 살아가고 있다. 이 소논문은 우선 분단체제론 연구를 통해 통일을 바라는 민중의 의지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것의 실체가 무엇인지 살펴본다. 분단체제론은 그 동안 한반도의 분단이 엄연한 현실로 50년 이상 당연시 여겼을 뿐 아니라 분단은 이제 자동적으로 분단을 유지하고 있는 일종의 '체제'라는 사실을 드러낸다(2장). 분단체제를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서 우리는 냉전체제와 그 해체의 역사를 성찰할 것이다(3장). 마지막으로 분단체제를 극복할 수 있는 길을 생각한다(4장). 한반도의 분단체제는 자본주의 경제체제라는 세계체제의 하부구조로 종속되어 있고, 남북 정치 경제권력자들에 의해 통제되고 있다. 그러므로 남북 민중들은 분단체제의 현실을 자각하는 한편 미래의 통일민족공동체에 대한 뚜렷한 비전을 세워, 대내적으로는 화해와 협력 그리고 평화를 추구해야 하고, 대외적으로는 세계의 민중들과 함께 왜곡된 세계체제를 변혁할 이념을 창안해 나가야 할 것이다. 세계의 평화, 평등 그리고 번영을 이룰 세계체제의 새로운 비전이 지구상의 모순이 가장 첨예한 한반도의 분단체제에서부터 시작될 것이기 때문이다. In UN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the rights of people on self-determination about political position is explicit declared and the right to pursue freely th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development. However, the citizens of North and South Korea have been enduring for the last sixty years the dependent and undemocratic political realities in the special folk's division situation. The people of North and South Korea have been living for over 1300 years with the history of a single nation, one language, one culture, and the majority of the people currently living in North and South Korea wish for the reunification of folk, while they are living passively pushed to the periphery and prefer the gradual unification without distinctive visions on their in the future reunified political community. First of all, this small article tries to see through the research of the theory of division system what kind of obstacles are there to the will of the people who desire to reunite the folk. Theory of division system will reveal the fact that it is granted during the last more than 50 years that the division of the peninsula became the reality and that the division is a kind of system which automatically continues to promotes division (Chapter 2). For a more analysis of the division system in-depth we will reflect the history of Cold War and it's dismantling (Chapter 3). Finally, we think how to overcome the division system (Chapter 4). The division system of the Korean Peninsula is dependent as the infrastructure on the capitalist economic system as the worldwide system and is controlled by the political and economic powers in the national level. Therefore the people of North and South Korea must be aware of the reality of the division system and build a clear vision of the in the future unified national community so that they internally pursue reconciliation, cooperation and peace, and externally invent the ideas with the people of the world which change the present distorted world system. Because the new vision of the world system which creates the peace, equality and common prosperity of the world will be started from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is most glaring contradiction in this world.

      • KCI등재

        19세기 자본주의 세계체계의 동학과 중국의 사회적 변화를 연결시키기 ― 새로운 세계체계 방법론으로서의 통합적 역동성

        유성희 ( Ru¸ Sung Hee ) 한국사회사학회 2021 사회와 역사 Vol.- No.131

        중국사적으로도 그리고 역사적 자본주의 시각에서도 19세기는 거대한 변화의 시기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시적·전체론적·기능론적 관점을 가지고 있는 세계체계분석은 19세기 중국의 거대한 변환을 주로 ‘외부지역의 자본주의 세계체계’라는 편입의 관점으로만 단순화시켜 해석하곤 했다. 그렇기에 세계체계론자들은 19세기 중국을 관통한 중요한 역사적 사건들에 상대적으로 소홀할 수밖에 없었다. 본 연구에서 저자는 19세기 중국의 주요사건들(아편전쟁, 태평천국운동, 청일전쟁)이 어떻게 세계체계의 동학과 연결되는지를 설명하는 한편, 19세기 중국사의 중요한 사건들을 세계체계의 동학과 접합하려는 새로운 방법론적 시각으로서 통합적 역동성을 제시했다. The nineteenth century was a period of significant change both in Chinese history and in the history of capitalism. Yet, the world-systems analysis applies transnational, macroscopic, holistic, and functional perspectives in ways that tend to oversimplify China’s transformation, casting its change as a product of capitalist forces that originate outside of the country. Accordingly, world-systems researchers have often overlooked and under-analyzed the impact of certain historical events that began from within China. In this study, I intend to forge a link between theory and reality by analyzing how major 19th century evens in China (e.g., Opium War, the Taiping Rebellion, and the Sino-Japanese War) connect the country to the dynamics of the capitalist world-system models. This works presents a new methodology of incorporating dynamics as an alternative to past world-system methodologies. Incorporating dynamics serves as one means of analytically reinterpreting Chinese history in ways that better contextualize its domestic dynamics with those of capitalist world-system accounts.

      • KCI등재

        THE CULTURAL CONTEXT AND CRISIS OF THE CAPITALIST WORLD-ECONOMY

        Koh, Dae Won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02 ASIAN PERSPECTIVE Vol.26 No.3

        World-system theory stresses that the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processes in the capitalist world-economy are intimately intertwined. In particular, Wallerstein gives a rare, articulate account of the formation, function, and crisis of the geoculture, that is, the cultural framework of the capitalist world-economy. However, his study poses a few problems that deserve further investigation. Using Sorokin's study of socio-cultural change, this article draws some preliminary accounts of those problems. It shows that the rise and maturation of the "sensate" culture in Europe accounts for the cultural context of the advent of the capitalist world-economy in the mid-fifteenth century. It also proposes that the crisis of the capitalist world-economy could result not only from anti-systemic movements that are Wallerstein's subject, but also from the immanent socio-cultural changes suggested by Sorokin.

      • KCI우수등재

        Two Theoretical Resources for the Nineteenth Century China’s Incorporation Process : A Strategy for Understanding China’s Capitalist Transition

        Sung Hee Ru 한국사회학회 2020 韓國社會學 Vol.54 No.2

        In light of the encroachment of Western powers and a sharp decline of the self-sustained Qing Empire, prominent accounts of China’s historical capitalism have tended to mark 19th-century China as a decline. In contrast to the dominant view that sees 19th-century China as a dark age, world-systems scholars, implicitly or explicitly, conceive a basic premise that 19th-century China’s incorporation process can be understood as not China’s decline but China’s transition to capitalism. To that end, I identify some particularly salient problems of China’s incorporation studies in the past. To present a way for overcoming the theoretical problems of past incorporation studies, I explicate ideas of Immanuel Wallerstein’s and Giovanni Arrighi on China’s incorporation process and how their ideas cast a fresh light on the understanding of 19th-century China in transition from a precapitalist economy to a capitalist economy for dynamism. This paper would help to rethink the 19th-century Chinese history and to figure out how the 19th-century global connectivity between China and the capitalist world economy has paves the way for China’s new developmental path.

      • KCI등재

        중부·동남부 유럽 탈사회주의 국가들에서의 사회민주주의 정치세력의 발전과 분화

        정재원(Jaewon Chung) 비판사회학회 2013 경제와 사회 Vol.- No.98

        1990년대 공산화 이전 시장 경제와 의회민주주의 정치의 경험이 풍부했던 중부 유럽 국가들의 공산당들은 사회민주주의적 정당으로의 변신에 일정정도 성공함으로써, 역사적 사회민주주의 정당과의 경쟁에서 승리하고, 국가사회주의 체제의 붕괴를 주도한 자유주의 우파의 집권 기간 동안의 신자유주의적 체제전환 정책에 대한 대안 세력으로 거듭나면서, 체제 전환 이후 불과 수년도 지나지 않아 집권에 성공하기도 하였다. 반면, 공산화 이전 산업화와 민주 정치의 경험이 적었던 발칸 반도의 국가들에서는 역사적 사회민주주의 세력들은 매우 미약하거나 이행 국면에서 반공산주의적 자유주의-민족주의 진영에 합류하는 등 영향력 확대에 실패하면서 스스로 약화의 길을 자초하였고, 공산주의 후계정당들은 공공연한 사회민주당으로의 변신 선언과는 달리, 국가마다 다양한 상황 변화를 맞으면서 당내 보수적-민족주의적 분파가 주도권을 장악하여 구래의 현실 사회주의식(후견주의식) 사회경제정책을 유지하거나, 반민주적이고 민족주의 정당과 구별되지 않는 정당으로 변질되기도 한다. 이러한 탈사회주의 동유럽 국가들에서의 사회민주주의 세력들의 다양한 분화, 발전 과정과 그 한계는 근본적으로는 공산화 이전의 민주주의 정치와 시장경제의 경험의 유무, 공산화의 자발성 여부와 기간, 그리고 지역별 역사적, 종교적, 문화적 전통의 차이 등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원인들과 더불어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은 이러한 차이와 분화는 신자유주의 세계화 과정 속에서 중심부 국가와 자본의 이해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세계자본주의 체제 속으로 편입되는 과정에서 강제된 결과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사회민주주의 세력의 분화를 역사적, 문화적 지리적 차원에서뿐 아니라, 세계자본주의 체제 속에서 파악하여, 특히 신자유주의 세계화 속에서 서구 국가와 자본의 분업 전략에 따른 이 지역 국민들의 다양한 적응과 저항의 기제가 사회민주주의 정치세력의 분화와 변질의 중요한 토대임을 밝혀내고자 한다. With the rise of globalization and the diffusion of neoliberal economic reform throughout the world, the relevance of partisanship for economic reform has become the subject of much controversy. After the fall of socialist system, countrie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faced global economic pressures, but, they simultaneously needed to construct a market economy. In this situation, the social democratic parties in the region worked out cognate strategies of deciding the tasks in countries, where inhere beside the authorities or form a powerful opposition, combining the measures of market economy and of raising a cost-performance with the active social policy. In this context, author insists that the history of revival and prospects of parties of social-democratic orientation in the region is deeply related to the historical roots of dependences and the economic marginalization enforced by the core of capitalism in the West in the era of neoliberal globalization. Undoubtedly, it was found that historical and cultural factors were related to the emergence of post-communist-nationalist political cooperation or post-communist leftist-neoliberal combination. It, however, also has to be considered that the external power has played amount role in setting and enforcing political agendas for the states of the region and influenced domestic political outcomes. The present economic relations between Central and Southeastern Europe and the West are still patron-clientele or core-periphery relations. In Southeastern European countries, the patrimonial communist regimes produced communist successor parties which emerged as conglomerate parties with a very weak social democratic component, largely because the social democrats began in a very weak position. In Central Europe, however, communist successor parties were provided with organizational resources and a pool of political talents which enabled them to quickly adopt characteristics akin to a modern West European social democratic parties. Insofar as former communist regime parties reformed and adopted a social democratic platform, they won easy victories over historical social democratic parties. In this context, author analyses the criterion of typology of social-democratic parties in the region, the history of revival of these parties and the programs and some results of social democratic parties. The external factor forced post-communist countries to be integrated selectively into the world-capitalist system and make the social democratic parties become quite different. whatever the case, the support of statism, socialism, nationalism and (neo)liberalism mixed in together is likely to remain an important part of post-communist politics in the region.

      • KCI우수등재

        Let's Build A New World Order: Tripartite Dynamics of Inter-State System, World Capitalist Economy, and Global Civil Society

        Suk-Ki Kong,Hyun-Chin Lim 한국사회학회 2011 韓國社會學 Vol.45 No.6

        This paper intends to focus on various types of transnational challenges and resistances deployed by transnational actors to oppose undemocratic globalization process. With the new framework of tripartite dynamics among Inter-State System (ISS), World Capitalist Economy (WCE), and Global Civil Society (GCS), it highlights under what theoretical conditions the new framework can be developed with focusing on theoretical convergence between international relation and social movement theories. Social movement organizations, an agent of GCS not only take two positions as a challenger or a competitor to the ISS and the WCE but also play a brokerage role among the tripartite dynamics. Arguably this new tripartite relationship of ISS, WCE, and GCS not only highlights how states still matter for the politics of taming and guiding the neoliberal economic globalization in a democratic way but also show how GCS can influence ISS and WCE as a challenger, competitor, and collaborator.

      • KCI등재
      • KCI등재

        세계경제의 위기와 동아시아의 부상 -위(危)와 기(機)의 동학

        박희 ( Hee Park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1 담론 201 Vol.14 No.1

        Fernand Braudel and Andre Gunder Frank pointed out that the European supremacy to Asia has been lasted for only recent 200-300 years. And now, people used to say that ``ReORIENT`` or ``the Age of Asia`` has come. The driving forces of capitalism for integrating the world, that had been risen up from the Mediterranean Sea and moved to the Atlantic Ocean, have been making the new tides in Asia by further crossing the Pacific Ocea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recurrent world crises after the 20th century under US hegemony, and the reorganization of Asian economic order that has been related to those world crises. Firstly, this paper is in line with the arguments that recent financial crisis is typically similar to the economic recession and crisis of the Great Depression Periods that broke out in 1929 and lasted in 1930s, while the crisis in 1968/1970s resembled the crisis that occurred in the 1890s, in that the last two cases can be explained by the Marx`s law of the rate of profit to fall. ``Crisis`` has another name of ``Opportunity.`` And China, by putting Japan on one side, has been emerging on the stage of the world economy as the leader of Asian countries. Asian countries, specifically China, have overcome the world economic crisis through the continuous economic growth and the flexible adaptability to the new circumstances. But it is too early to make a hasty conclusion that now is the time of Chinese hegemony or the Asian Age, considering the fact that Asian society has grown up heavily by depending on the US centered axis of world economy. Therefore, it seems that the world economy, for the time being, under the cooperation between the USA and China would stem the tide of the sea like the two-boat trawls.

      • KCI등재

        러시아 사회복지정책의 변화: 세계자본주의체제와 국가 신자유주의의 영향

        정재원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4 중소연구 Vol.38 No.2

        “Neoliberal state” is a state apparatus whose fundamental mission was to facilitate conditions for profitable capital accumulation on the part of both domestic and foreign capital. Whereas the capitalist class has been the dominant agency for neoliberalism in the Centre of the world capitalist system, the post-communist state had to take the driving seat to propelneoliberalism forward in Russia. Like other neoliberal states Russiasuffered a considerable cost during the transition to neoliberal market economy in the 1990s. However, after the failure of the ‘shock therapy’policy driven by Yeltsin’s government, Russia has pursued a unique mode of neoliberalism which differs from the mainstream neoliberalism promoted in the Washington Consensus model. Unlike neoliberal states in other parts of the world, Russia has a strong state machinery, And defining itself as carrying out a national projects tomake Russia strong to stand against the threat from the West, the Russian state has actively mobilized the ideology of nationalism or patriotism. 신자유주의는 개인적 자유의 보장과 경제적 효율성의 극대화를 위해 복지 국가를 축소하거나 해체를 주장하고 있는데, 이런 면에서 사회 복지 정책은 신자유주의가 공격대상으로 삼는 가장 중요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신자유주의 논리가 가장 잘 작동하고 있는 영역은 사회복지정책 영역이며, 신자유주의가 이야기하는 국가개입의 후퇴는 결국 국가의 복지기능 축소를 의미한다. 신자유주의는 ‘시장 원리의 극대화를 위한 국가의 개입 최소화’라는 이론과는 달리, 현실에서는 ‘시장 원리의 확산을 위한 국가의 적극적 개입’을 의미한다. 특히 ‘강력한 권위주의적 국가의주도 하에 국가가 적극적으로 시장에 개입하여 시장중심적 신자유주의적 개혁을 강제하는’ 모습은 이론과는 달리, 거의 모든 비중심부 국가에서의 실제 모습이라고할 수 있다. 비중심부이자 탈공산주의 체제전환기 지역 국가들의 경우 국가가 신자유주의를 적극적으로 추구해 왔다. 1991년 사회주의 체제 붕괴 이후 옐친 정부 하에서의 신자유주의 방식에 의한급격한 시장경제 체제로의 전환은 복지 영역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IMF와세계은행 등의 권고에 따라, 복지 서비스와 그로의 접근성과 관리, 그리고 사회적위험 등에 있어서 국가의 철수 및 민간 영역의 역할 확대 등 개인화, 사유화, 현금화, 탈중앙집중화 등등의 현상이 일어났다. 푸틴 정권 시기에도 표면적으로는 ‘국가자본주의’로 상징되는 강한 국가에 의한 비자유주의적/비시장적 특성을 보이는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키고 있지만, 마찬가지로 신자유주의로 경도된 세계자본주의체제에 적극적으로 편입하면서 모든 사회경제적 영역에서의 신자유주의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해 왔다. 푸틴 행정부는 현금화로 상징되는 연금 개혁을 포함한 다양한사회 보장 개혁 등 1990년대 이전 옐친 정부 때에는 실행하지 못 했던 일련의 신자유주의적 개혁을 완수했다. 러시아 복지 개혁은 에너지 분야 주도 경제 성장 하에서만 기능할 수 있는 에너지 의존적 복지 발전을 보여 줄 뿐이며, 사회복지정책에 있어서는 철저하게 신자유주의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 KCI등재

        탈사회주의 국가 연구를 위한 시론

        정재원 ( Jeong Jaewon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2020 슬라브연구 Vol.36 No.4

        현실 사회주의 국가들은 세계자본주의경제체제로의 본격적인 재편입이 이루어짐에 따라 국가 성격의 변화를 겪게 되는데, 적어도 체제전환 초기까지는 철저하게 서구 중심부의 지배와 종속 하에서 강력한 외적 요인에 의해 추동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미국과 유럽을 비롯한 중심부, 특히 금융세계화를 주도하는 금융자본으로의 종속이 크게 강화되면서 구 사회주의체제 국가들은 체제전환과 함께 내부의 분화 과정을 겪게 된다. 주변부 국가는 중심부 국가에 대해 지배/종속 관계에 놓여있으며, 따라서 대체적으로 외부적으로는 종속되고 내부적으로는 강압적 국가가 지배적인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비중심부 지역에서의 신자유주의, 즉 ‘종속적 신자유주의’는 신자유주의 일반의 문제점에 덧붙여 (반)주변부적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대부분의 탈사회주의 국가들은 신자유주의로의 전환을 적극 추진하면서도 비중심부 국가들의 특징인 국가주도적 경제구조를 구축하여 신자유주의적 개조는 국가의 강화와 결합될 수 있음을 증명해주고 있다. 한편 푸틴 시대 들어서 과거 옐친 시기의 약탈적이고 지대추구적인 개별 자본가들의 국가포획과 그에 따른 국가 능력 약화는 사라졌지만, 그 대신 석유와 가스를 중심으로 하는 지대 국가적 특징은 한층 더 강화되고 있다. As the real socialist states reentered world capitalist system in earnest, the nature of state has been transformed. At the first stage of the transition fo market system, transformation of state has been driven by the external factor under the dependence on and rule by the West Centre. As the dependence of the post-socialist states on the Centre, including U.S. and Europe, in special financial globalization has strengthened, they have been divided and differentiated. The state in Periphery is dependent on and ruled by the Centre externally, however, in general coercive state strengthen domestically. In this context we could say that neoliberalism in Periphery, so called ‘dependent neoliberalism’ has peripheral nature in addition to the general problems happened in neoliberalism. At the same time, most of the post-socialist states build the state-led economic structure(state capitalism), which is the feature of states in Periphery, promoting the transition to neoliberal state. It shows that the neoliberalization of state could be combined with the consolidation of state. By the way, in Putin era disappeared the capture of state by looting and rent-seeking capitalist and weakening of the capacity of state. Instead, the feature of rentier state has been strengthened increasing the portion of the oil and gas energy sec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