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장로교단들의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와 대소요리문답의 수용

        이은선 ( Eunseon Lee ) 한국개혁신학회 2016 한국개혁신학 Vol.51 No.-

        오늘날 한국장로교회가 너무나 많은 교단들로 분열되어 있어 교단통합의 필요성이 너무나 절실하다. 그런데 그러한 교단통합은 교권주의 때문에도 어렵지만, 그와 함께 교리적인 차이점 때문에도 어렵다. 장로교단들이 교리적인 차이점들을 가지고 있지만, 그래도 장로교회의 가장 기본적인 신조인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와 대소요리문답을 공유하고 있다. 그러므로 한국장로교회가 공통적으로 채택하고 있는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들을 통해 상호간의 신학적인 공통점을 마련하면서 신학적인 간극을 줄여갈 수 있을 것이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는 1947년 2월에 영국 상원을 통과하였고 8월 20일에 스코틀랜드 교회에 의해 채택되었다. 대소요리문답은 영국 의회에서는 1648년 9월에 통과되었는데, 스코틀랜드 교회는 1648년 7월에 채택하였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는 미국에 건너와서 1788년과 1877년 1903년에 일부분씩 개정되었고, 1967년에 이르면 신조의 개정이 아니라 새로운 신앙고백서를 작성하였다. 해방 이전에 우리나라 장로교회의 신앙표준 문서는 12신조와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이었으며, 평양장로교 신학교에서는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들이 교육의 표준이었다. 해방 후 1950년대에 분열한 장로교단들은 1960년대에 접어들어 자신들의 신앙적인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하여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들을 각 교단의 신앙표준으로 채택하였다. 특히 1967년 이후에 각 교단이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를 채택하는 데는 1967년 미국연합장로교회가 신정통주의의 색채를 가진 새신앙고백서를 작성한 것이 큰 영향을 미쳤다. 보수적인 교단들인 고신, 대신, 합동, 합신 교단에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를 비롯한 표준문서들은 현재도 살아있는 신앙의 기준인 반면, 통합교단에서는 과거 신앙고백의 유산으로 받아들이고 있고, 기장은 과거 유물로 사라졌다. 앞으로 장로교단들이 신학적인 공감대를 넓혀 나가기 위해서는 대부분의 교단들이 공유하고 있는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와 소요리문답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1965년 통합교단에서 장로교연맹체 운동이 발의될 때 "장로회 신조와 대소요리문답을 그대로 믿는 장로회 명칭을 사용하는 교단의 대화"를 제안하였고 기장에서도 호응이 있어 1981년에 한국장로교협의회가 탄생하였고, 이것이 발전하여 1995년 현재의 한국장로교총연합회가 되었다. 그러므로 한국장로교는 웨스트민스터 신조와 소요리문답을 바탕으로 장로교단들의 협력과 일치를 끌어낼 수 있는 신학적인 토대를 넓혀나가야 하겠다. The unity of presbyterian denominations is very necessary as Korean Presbyterian Church is divided into many denominations. Such unity will be difficult to achieve not only because of the clericalism but also due to the differences in the doctrines. Even though the presbyterian denominations have the doctrinal differences, they share the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and the Westminster Confession as the basic standard of doctrines. Accordingly,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can reduce the theological gap through the use of the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and Confession which serves as a common factor. The Westminster Confession was approved by the Upper House on 16 February 1647, was adopted by the Scotland General Assembly on 27 August 1647. The Westminster Larger Catechism and the Shorter Catechism were passed in the Parliament in September 1648, approved by the Church of Scotland in July 1648. The Westminster confession had been partially revised in 1788, 1877, and 1903 in America, and the entirely new confession was written in 1967. Before the liberation, the standard doctrines of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were the Twelves Articles and the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The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and Confession served as the standard of education at Pyungyang Theological Seminary. The presbyterian dominations, which started to be divided in 1950``s, adopted the westminster confession as the theological standard of their own denominations in 1960``s. After 1967 in particular, each denomination adopted the westminster confession being greatly influenced by the fact that the PCUSA wrote the new confession with color of new orthodox. Even nowadays, the conservative denominations such as the Koshin, Daeshin, Hapdong, Hapshin regards the Westminster standards as the living canon of faith. On the other hand, Tonghap accepts the westminster confession as the confessional heritage and it has been disappeared as a relic of the past in Kijang. In the future, in order to expand the theological sympathy bond within the presbyterian denominations, they can use the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and the Westminster Confession which are shared by most of the denominations. When Tonghap proposed the movement of Presbyterian Union in 1965, it proposed the dialogues among denominations using the Presbyterian name based on the belief of the Presbyterian creed as well as the Larger Catechism and the Shorter Catechism. Kijang accepted the proposal, and so Korean Presbyterian Council was established in 1981. The Council has evolved as the Council of Presbyterian Churches in Korea in 1995. Therefore, Korean Presbyterian Church must broaden the theological foundation which can draw the cooperation and concord of the presbyterian denominations on the basis of the Westminster Confession and the Shorter Catechism.

      • KCI등재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과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서의 비교: 회심과 성화 용어를 중심으로

        김홍만 ( Hong Man Kim ) 한국개혁신학회 2013 한국개혁신학 Vol.40 No.-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와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서는 교회사 속에서 개혁신학에 근거한 대표적인 교리교육서이다.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는 종교 개혁의 제 3세대의 작품이며,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서는 청교도운동 가운데 작성된 것이다. 따라서 두 문서 모두 교회 개혁 가운데 작성된 문서들이다. 그래서 작성하였던 목적과 내용이 크게 다르지 않다. 그래서 두 문서 모두 진정한 구원의 은혜와 그 효과에 대해서 강조하고 있다. 왜냐하면 두 문서 모두 잘못된 가르침과 그것으로 인한 거짓 경건에 대해개혁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두 문서 구원의 은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런데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 88번은 구원의 은혜의 증거로서 회심을 말하였고,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서 35번에서는 구원의 은혜의 실제적 효과인 성화를 말하고 있다. 같은 내용이지만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에서는 회심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고,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서에서는 성화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이러한차이는 종교 개혁운동이 영국으로 넘어가고, 그 당시 영국교회에 알미니안주의 운동이 일어나서 구원의 은혜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그리고 구원의 서정의 형식을 취함으로 인한 것이다. 물론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에서도 구원의 서정의 틀이 있지만, 영국 교회의 상황 속에서 더욱 체계적으로 서술함으로 인하여 같은 내용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용어의 차이가 일어난 것이다. 그리고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서에서는 그리스 도와의 연합의 은덕에 참여하는 것으로 일어나는 성화라고 더욱 구체적으로 서술하여서,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보다 더욱 분명하여 졌다. 이렇게 16, 17세기의 개혁신학에 있어 중요한 요리문답서는 20세기에 이르러서 오히려 피상적으로 가르쳐졌다. 성화 (회심)의 두 부분 (요소)에 대한 강조가 누락되기도 하였으며, 그리스도와의 연합교리 없이 구원의 서정만강조되었다. 따라서 오늘날 구원의 은혜의 증거가 강조될 필요가 있는데, 이렇게 왜곡된 가르침을 바로 잡아야 한다. 그리고 이 시대에 두 요리문답서가 다시 가르쳐져서 구원의 은혜의 진정성이 강조되고 증거되어야 한다. In church history, the Heidelberg Catechism and the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have been received as standard Reformed catechisms. The Heidelberg Catechism was composed by Ursinus and Olevianus, third generation of Reformers. The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was composed by the Divines of the Westminster Assembly in the puritan movement. Both catechisms were made for enlightening the ignorance while pursuing church reformation in Heidelberg and England. Both catechisms not only taught the way of salvation but also defined true faith. In particular, Heidelberg Catechism`s question 88 deals with the true evidences of repentance. This doctrine of conversion is also explained in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question 35 under sanctification. Moreover, as background of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question 35, questions 30, 31 are explained in light of union with Christ. The differences between how the catechisms approach this issue come from the different historical backgrounds in which they were drafted. When the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was composed, the England church was defending Reformed theology against Arminianism. Thus, the divinities of the Assembly explained the order of salvation in more detail than the writers of the Heidelberg catechism. However, in the 20th century, the Reformed church could not trace these points in either catechism. They ignored the importance of sanctification and neglected the doctrine of union with Christ. Therefore, the Reformed church today must rediscover the teachings of both catechisms regarding conversion and sanctification.

      • KCI등재

        기독청소년을 위한 커리큘럼으로서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에 관한 연구

        이은규 한국실천신학회 2011 신학과 실천 Vol.0 No.26

        교회 학교 경우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생들이 교회를 떠나는 것은 신앙적 기초를 제대로 세워주지 못해서 즉, 우리의 좋은 유산을 활용할 생각은 안하고 너무 학생들에 요구에 기초한 새로운 가르침만을 추구한 결과는 아닐까 뒤돌아보자! 가톨릭은 영세를 받을 때 교리공부를 육 개월 가량 시킨다고 한다. 절대적은 아니지만 가톨릭 신자가 기독교 신자보다 교회를 덜 떠나는 것은 교리공부에도 있다는 것을 참고해야 한다. 우리가 가지고 있는 Westminster 소요리문답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교회는 초문화적이고 초시간적이다. 그러나 교회가 가지고 있는 제도들은 아니다. 어느 주어진 시기에 그리고 어느 주어진 문화에서, 교회는 그것의 보편적이고 영구적인 임무를 이루기 위해서 약간의 행위들, 프로그램들, 그리고 기술들(기관들)을 산출한다. 이러한 제도들은 그 자체로서는 결코 목적이 될 수 없다.” 이렇듯이 교회가 가지고 있는 우리의 전통과 유산에 얼마든지 21세기의 옷을 입힐 수 있는 것이다. Westminster 소요리문답 역시 내용의 훼손됨 없이 재구성 될 수 있고 문답식 아닌 다른 방법으로 청소년들에게 가르쳐질 수 있다. 하지만 한국교회 현실을 보면, 문답식으로 되어있는 Westminster 소요리문답이 우리의 우수한 신앙적 유산임을 깨닫지 못하고 시대에 뒤떨어진 것으로 치부하고 있다. 때문에 필자는 현재 청소년들에게 가르쳐지고 있는 커리큘럼이 기독교교육의 기능과 목적에 맞는지를 검토할 것이다. 그리고 신앙교육에 있어서 교리가 필요한지를 질문할 것이고, 영 커리큘럼으로써 Westminster 소요리문답의 중요성을 강조할 것이며, 꼭 가르쳐야 한다는 제시를 할 것이다. 물론 내용의 훼손됨 없이 우리 청소년들에게 익숙하고 새로운 방법으로 가르쳐야 한다는 것은 기본적인 것이다. 마음의 변화와 성경에 기초한 회심을 가져올 우리 것을 전수하며 소중히 여기며, 그 틀을 가지고 청소년들이 새로운 것을 배우도록 최선을 다 할 때 한국교회의 미래는 희망이 있을 것이다.

      • 웨스트민스터 대/소요리문답 소고

        서요한(Yohahn Su) 신학지남사 2016 신학지남 Vol.83 No.2

        As everyone knows,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was written by 151 representatives (121 pastors, 30 church members=10 noblemen, and 20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8 more pastors and elders from the Scottish Presbyterian Church at Westminster Abbey in from July 1643 to February 1649 by the request of the Parliament of England. At the time, theologians held a total of 1160 meetings during 6 years and chose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the Larger/Shorter Catechism, the Directory for the Public Worship of God, and the form of Presbyterian Church Government as the standard documents of religion. England was in great chaos at the time of this selection. In those days, several parties including the Erastian Party, the Independent Party, and the Presbyterian Party were in sharp confrontations with each other. Their opposing arguments primarily involved the exercise of sovereign power, basically driven by conflicts between the Royalist Party and the National Congress on whether the country should uphold the divine right of kings or the divine right of Christ and whether it should adopt the Erastian System or the Elder System. However,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and the Larger/Shorter Catechism created by the general assembly of Westminster established the latter, the divine right of Christ and the Elder System into the standard documents of religion. This clarified that Christ is the Lord and the God of creation. Therefore, all men in power need to hail His name and obey Him. Therefore, as the Westminster Larger catechism states Question 1. What is the chief and highest end of man? Answer: Man’s chief and highest end is to glorify God, and fully to enjoy him forever. This went beyond the sixteenth century reformationists’ theology centered around Salvation Theory and Church Theory but emphasized that Christ is the only true King and Ruler against the absolute royal authority and that glorifying Him is the purpose of life for Christians. Ever since, the Presbyterian Church confirms people’s faith through the acceptance of this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at each church, presbytery, assembly, and function. This document teaches Christians on living a life of faith based the Bible, establishing values, particularly on cultivating character, and exercising caution against heresy. This directly and indirectly shows how the Puritans later wisely handled their persecution during the turbulent seventeenth century.

      •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서』에 묘술(描述)된 신적 속성

        최홍석(Hongsuk Choi) 신학지남사 2014 신학지남 Vol.81 No.2

        This paper analyzes the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Question 4 in terms of (i) lexical semantics, (ii) translation of terminology, (iii) interrelationships of attributes, and (iv) the distinction between incommunicable and communicable attributes. Arguably, one of the best definitions of God ever written by man, might be that given in the WSC. This article specifically focuses on two different versions of the Korean translation of “a Spirit” in the WSC Question 4, which are “신”(神, God, Deity) and “영”(靈, Spirit). There exists a subtle distinction in meaning between the two. The question of which one to embrace might depend on each individual’s judgment, yet I put forward that adopting the latter would be more reasonable.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the two different translations of the WSC might have deprived from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 Korean Bible. The Korean Old Version takes the term, “신”, while the Korean Revised Version selects “영”. Often, there is a tendency to maintain traditional manners and customs, but it is proper to follow sound hermeneutics in word selection in translation. Although there is no absolute answer to the question of how the attributes of God should be classified, there are clear benefits in the traditional Reformed method of distinguishing the attributes of God based on those which are communicable and those which are incommunicable. It helps keep us from the errors of Pantheism, as well as Deism. Without being speculative and technical, the WSC Question 4 shows the orderly interrelationships among the attributes, in full agreement with the common method used in the Reformed theological tradition. However, no method escapes the problem of human limitation and sin, and the WSC is no exception. Therefore, the above mentioned methods should be considered in a complementary manner for the peace and spiritual benefit of the church.

      • KCI등재후보

        존 파이퍼의 "기독교 희락주의"

        박찬호(Park, Chan-Ho) 개혁신학회 2010 개혁논총 Vol.14 No.-

        John Piper tries to reinterpret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1 by changing one word 'and' into 'by'. That is, he contends that "Man's chief end is to glorify God by enjoying him forever." For Piper God is firstly concerned on his own delight. God would like to communicate and share this delight with creatures, especially with us. So God is definitely pleased when we enjoy him and our lives. Piper designates his own assertion like this as a term "Christian Hedonism." Roughly speaking this Christian Hedonism has no main problem conflicted to essential tenets of Reformed theology. Nevertheless I think that it has two minor problems. The first problem is related to the term "Christian Hedonism" itself. On hedonism many objections have been raised throughout the history of philosophy and ethics. So Piper has to struggle with the whole history of them if he continues to hold the word "hedonism" for his own view. The second problem of Piper's "Christian Hedonism" comes from the effect of Jonathan Edwards on Piper. Piper leans on Edwards even excess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