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企業引受契約상 去來保護條項의 有效性 - 미국 판례의 태도와 시사점을 중심으로 -

        송종준 대한변호사협회 2009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394

        The deal protection clauses are referred to as a series of inserted clauses, like covenants concerning no-shop, lock-up, and break-up fees, to protect the original corporate mergers and acquisitions agreement from the third party’s bidding contest. Recently validity of the deal protection clauses have been increasingly disputed and judicial general standards for testing the validity have been formulated especially in Delaware courts. The standards are classified as two approaches in the perspectives of contract law and corporate law. In determining validity of the deal protection clauses, the doctrine of liquidated damages and unconscionability has been applied under the contract law, and business judgement rule, entire fairness test, Unocal and Revlon test, shareholder coercion standard and bidder preclusion standard have been done under the corporate law. Each standard depends on the facts and circumstances in the M&A agreement. In this paper the facts and courts decision of some leading cases are introduced somewhat in detail, which might be useful to negotiating the M&A agreement practices and to understanding the legal theories on the individual deal protection clause. And the general standards are based on the most of the precedents including the leading cases. In conclusion, although the American standards are not completely consistent with the interpretation of Korean law, some of which might be implicativ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deal protection clauses can not disregard the director’s fiduciary duty to the company, which is composed of duty of care and duty of loyalty under corporate law, because the clauses have only contractual binding forces to the contracting parties not corporate board of directors. Moreover public policies and the invalidating doctrine of excessively unfair contract as a general normative ruling under the private law are able to be applied to the clauses. Especially it is very impressive that traditional Unocal and Revlon test applied to the context of defending hostile M&A are already used for determining the validity of the deal protection devices. 기업인수계약상 거래보호조항(deal protection clauses)이라 함은 경합하는 제3의 인수자로부터 우호적 인수자와의 거래를 보호하기 위하여 인수계약에 삽입하는 우선협상의무(no-shop), 경쟁인수의 제한(lock-up), 위약금의 지급(break-up fee)에 관한 조항 등과 같은 일련의 규정을 말한다. 미국에서는 이와 같은 거래보호조항의 법적 효력에 관한 판례가 증가하고 있고 그 판단을 위한 일반원칙이 형성되 어 왔다. 거래보호조항의 유효성 판단에는 계약법상으로 손해배상액의 예정이론(liquidated damages)과 비양심성 법리(doctrine of unconscionability)가 적용되며, 회사법상으로는 경영판단원칙(business judgement rule), 완전공정성 기준(entire fairness test), Unocal 기준과 Revlon 기준, 주주강압기준(shareholder coercion standard), 경쟁인수자배제기준(bidder preclusion standard) 등이 적용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거래보호조항의 효력을 결정하기 위한 일반기준을 정리하기에 앞서 거래보호조항의 개별 유형에 대한 지도적인 미국 판결례를 중심으로 그 사실관계와 판결요지를 비교적 상세하게 소개하여 기업인수계약실무는 물론 법리 분석의 이해에 참고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거래보호조항의 유효성 판단을 위한 일반기준은 개별적인 판결례를 포함하여 미국의 다양한 판례에서 제시된 법이론을 종합하여 체계화하였다. 미국의 판례법에서 형성된 법리가 우리나라의 계약법이나 회사법의 정신과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우리 법의 해석에도 시사하는 점이 있다고 본다. 가장 중요한 시사점은 기업인수계약 당사자 간에 합의한 거래보호조항은 계약법적 효력에 그치므로 회사법상 이사가 기업인수와 관련하여 회사에 대하여 지는 선관주의의무와 충실의무에 반해서는 아니 된다는 점이다. 그 밖에도 사법의 일반원칙으로서 거래보호조항의 효력 정도에 따라 신의칙, 불공정행위의 무효원칙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우호적 인수계약에 포함되는 거래보호조항이 제3자의 경쟁적 인수를 배제하는 내용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적대적 기업인수 방어의 적법성에 관한 일반기준으로서 Unocal 기준과 Revlon 기준이 적용된다는 점은 특기할 만하다고 여겨진다.

      • KCI등재

        합병과 기업매수에 있어서 이사의 재량권에 관한 기준 : 미국 델라웨어주의 보통법을 기준으로 Centering on Common Law in Delaware State of America

        김재형 한국기업법학회 2002 企業法硏究 Vol.11 No.-

        American Delaware courts have long grappled with the problem of how to preserve the directorial role as business policy-maker while reducing the scope of that role in contexts where directorial decision-making is subject to self-interest at the expense of shareholders. In particular, the Delaware Supreme Court has recognized that in the context of mergers and acquisitions, directors are regularly placed in certain situations with clearly defined risks to shareholders. Based on the long history of these situations, the Court has developed a series of tests, which, taken as a group, form a continuum of restrictions on board discretion proportional to the severity of risks posed to shareholders and the corporation. This continuum consists of the business judgment rule, the entire fairness test, the Unocal proportionality test and the Revlon duty to maximize share value in the short term. The Business Judgment Rule is a specific application of directorial standard of conduct to the situation where a business decision is made by disinterested and independent directors on an informed basis and with a good faith belief that the decision will benefit the corporation.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business judgment rule in order to protect the progressive and original management of directors. Also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Entire Fairness Test that provides substantial protection to the minority in connection with self-dealing of freeze-out merger. The entire fairness test requires a board of directors to comport with both standards of procedural fairness (fair dealing) and substantive fairness (fair price). Also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Unocal Proportionality Test and Revlon Duty. According to Unocal Proportionality Test, a board must demonstrate that its fear of a hostile bidder is grounded in a reasonable determination that the bidder threatens current corporate policy.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Revlon Duty, if the dissolution takes place as a result of a board decision to break up the corporation or as part of a merger that potentially eliminates the continued existence of the corporation's strategy, directors have a fiduciary duty to maximize shareholder value in the short term because their actions involve a sale of control and shareholders automatically enjoy a right to share in a control premium.

      • KCI등재

        우호적 기업매수에 있어서의 이사에 대한 규제 법리

        김지환(Kim, Ji Hwan) 한국증권법학회 2016 증권법연구 Vol.17 No.2

        그 동안 적대적 기업매수의 방어책 제도와 관련한 논의는 많았지만, 우호적 기업매수와 관련한 논의는 거래보호조항의 유효성 정도에 불과하다. 일찍부터 미국 델라웨어주 법원에서는 우호적 기업매수시 거래보호조항이 이사의 신인의무를 위반했다고 판단하면 이를 무효라고 하였고, 매수대상회사의 이사의 신인의무 위반 여부를 판단할 때 1980년대 중반 이후에는 종전의 완전공정의 원칙(entire fairness test) 또는 경영판단의 원칙(business judgement rule)에서 나아가 Revlon 기준을 적용하기 시작하였다. Revlon 기준은 회사의 해체나 지배권의 이전을 동반하는 경우 이사가 해야 할 역할은 주주의 최대의 이익을 위하여 최선의 가격을 획득하려고 하는 경매인(auctioneer)으로서의 역할로 변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Revlon 기준은 완전공정 기준보다는 덜 엄격하고 경영판단의 원칙보다는 엄격한 중간적인 위치에 있다. Revlon 기준에 의한 판결로는 QVC 판결과 In re Toys “R” Us 판결 등이 있고, Revlon 판결을 지지하는 학계의 견해도 강하다. 일본의 경우 우호적 기업매수와 관련한 판례는 MBO시에 독점교섭권의 효력이 문제되고 있는가 하면 공정한 가격산정의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한편 기업매수 등 조직재편시에 매수대상회사의 이사와 주주 간에 직접적인 이익충돌의 우려가 있을 수 있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2014년 개정회사법에서 ① 전부취득조항부종류주식의 취득, ② 주식병합, ③ 약식조직재편 이외의 조직재편이 “법령 또는 정관에 위반하는 경우”에 “주주가 불이익을 입을 염려가 있는 경우” 주주가 회사에 대하여 당해 조직재편의 유지를 청구할 수 있는 제도를 신설하였다(일회사법 171조의3, 제182조의3, 제784조의2, 제796조의2, 제805조의2). 뿐만 아니라 사업양도 및 자회사 주식양도시 주주총회의 승인을 얻도록 개정하였다(일회사법 제467조 제1항 제1호, 제2호). 우리 상법상으로는 이사가 회사와의 관계에서만 선관주의의무를 부담하고 주주들의 이익을 고려해야 한다고 볼 여지가 없다는 해석하에 우호적 기업매수시 이사와 주주 간의 이익충돌이 있더라도 유지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다. 거래보호조항의 유효성 여부에 관해서는 미국과 같이 이사의 신인의무 위반이 있을 시 계약법 원리를 무시하고 이를 무효로 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회사법 원리에 의해 거래보호조항이 그 효력을 상실하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고 본다. 그리고 우호적 기업매수시에, 특히 대규모 기업집단그룹 내에서의 합병 등에서 공정한 거래, 공정한 가격을 벗어나는 합병이라면 사법심사의 적극적 대상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주주의 구제를 위하여 우호적 기업매수시 이사가 주주의 이익을 해치는 행위를 하는 경우에는 유지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상법 개정이 필요해 보인다. When confronted by two or more opposing bids for control, target management sometimes enters into an arrangement with one of the bidders that has the effect of conferring on that bidders a significant strategic advantage in the contest for control vis a vis the other bidders. These arrangements can take several forms, such as No-Shop)not to seek other bidders), No-Talk, Matching Right, Goodbye fee and Lock-up(an option by the preferred bidder to acquire significant target assets at favorable price) clause. Deal protection provisions tend to indirectly force the approval of the shareholders, so that is the breach of fiduciary duty of directors in Delaware Court, but is that invalid in Korea? What is the director’s role in the merger and acquisition agreement? The “Revlon Moment”- the director’s role as Auctioneers was announced by Delaware Court in 1986. Revlon can be seen as a natural extension of Unocal in the sense that both cases set standards for the target board of directors to act in their shareholder’s best interest. This view is supported by the body of commentators who believe that the legitimacy of defensive maneuvers is facilitating an auction. The more limited discretion that directors have under Revlon compared with Unocal is illustrated by the very different treatment granted management’s defensive maneuvers in recent decisions, Paramount Communications, Inc. V. QVC Network Inc. As explained by the Delaware Supreme Court, there are thus three instances in which the courts will require target managers not to seek the best value for their shareholders: (1) When a corporation has initiated active bidding to put itself up for sale or seeks to effort a reorganization that would result in a breakup of the corporation: (2) When the target company abandons a long-term strategy and seek a suitor in order to fend off a takeover attempt: or (3) When approval of the transaction results in a sale or change in control. Should target managers introduce Revlon test in Korea? In Korea, there is few instance which confronted by two or opposing bids for merger and acquisition transactions. The problem is the fair price of appraisal rights. To protect the minority’s interest,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fair dealing and fair price test. Moreover, I suggest the introduction of Revlon Test.

      • KCI등재

        미국 M&A계약상 주요 거래보호약정의 최근 동향에 관한 연구

        남도현(Do Hyun Nam) 한국기업법학회 2017 企業法硏究 Vol.31 No.3

        M&A계약상 거래보호약정은 최종적으로 계약 체결의 확실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계약 조항의 일종으로 M&A거래와 관련하여 특정 조건으로 인하여 거래가 성사되지 않을 경우 입찰회사에게 약정한 가치를 제공하도록 하는 약정을 말한다. 즉, M&A계약에서 제3의 경쟁적 또는 우월한 인수희망회사로부터 계약을 체결한 기존의 인수희망회사의 거래를 보호하거나 M&A계약의 어느 한 당사자의 일방적인 계약 파기로 인하여 기업인수합병이 결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수희망회사와 대상회사가 거래보호조치에 대한 약정을 하게 된다. 또한, 대상회사 입장에서는 회사 매각을 위한 응찰자를 유인하고 최초 응찰자에게 보다 높은 매수제안을 내도록 유도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고에서는 먼저 거래보호약정에 대한 의의를 살펴보고, 위약금약정, 권유금지약정, 재교섭권, 이사회권유약정 및 주주총회의결강행조항, 상하한가제한 및 취소가능조항, 자산우선매수권 및 주식매수권, 의결권구속약정, 비밀유지약정 및 불가침조항 등 대표적인 거래보호약정별 구체적인 내용을 알아보고, Unocal 기준 및 Revlon 기준과 같은 거래보호약정의 유효성 판단 기준 및 거래보호약정과 관련하여 이사의 신인의무 위반 가능성을 회피하기 위한 fiduciary-out 조항에 대해 검토해 본다. 그리고 최근 미국 M&A거래 사례를 분석한 결과를 근거로 미국 M&A계약상 거래보호약정의 최근 주요 동향을 파악해 봄으로써 향후 우리나라의 M&A계약 활성화와 대상회사 주주의 이익 보호간의 균형을 도모할 수 있는 거래보호약정의 합리적인 활용 방안을 도출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deal protection agreement can be generally described as contractual provisions that have the effect of increasing deal certainty. In the event that the deal is not consummated due to the certain condition under the agreement the target company provides value to the bidder. The purpose of the deal protection agreement is to deter the third-party competing bidder to interrupt the deal with higher bidding or to prevent the deal from being broken up by either party of the contact. The target company also seek to have the deal protection agreement to encourage the initial bidding and to promote the value-enhancing deal. This paper first reviews the general concept of the deal protection agreement, and then analyzes each of the deal protection agreements in detail, which are termination fee, no-shop provision, matching right, board recommendation covenant, force-the-vote provision, collar provision, walkaway provision, asset lockup provision, stock option, voting agreement, confidentiality agreement, and standstill provision. This paper also discusses the standards for the validity of deal protections agreements including the judicial review of Unocal case and Revlon case, and the fiduciary-out provision to avoid the potential breach of the fiduciary duties of the board of the target company in terms of the deal protection agreement. After considering these historical and practical basis for the deal protection agreement, the current trend of deal protection agreement in the U.S. M&A market is identified by evaluating M&A deals for past decades in order to provide the deeper understanding of the deal protection agreement for the balance between encouraging the M&A deal and protecting the interests of shareholders.

      • KCI등재

        신주인수선택권에 관한 상법개정안의 검토

        김경일 한국상사법학회 2019 商事法硏究 Vol.38 No.2

        포이즌 필은 대리인 비용(agency cost) 문제가 있고, 경영진이 지위를 보전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기 때문에 남용될 가능성이 있으나, 효율적으로 사용되면 주주의 이익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포이즌 필의 남용을 억제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20대 국회에 제출되어 있는 상법개정안 중에서 정갑윤 안, 권성동 안, 윤상직 안이 신주인수선택권 도입을 내용으로 담고 있으나, 신주인수선택권의 남용을 억제할 수 있는 방법을 충분히 갖추고 있는지 문제된다. 먼저, 상법개정안은 신주인수선택권의 행사조건, 소각조건, 판단권자가 불명확하여 문제된다. 우리나라에서도 일본의 신주예약권세칙과 같은 신주인수선택권세칙을 도입하여, 신주인수선택권 발행회사의 이사회에서 신주인수선택권 부여를 결의하면서 신주인수선택권세칙도 함께 결의하고 공표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신주인수선택권세칙에서 신주인수선택권의 구체적인 행사조건, 소각조건, 판단권자 등을 규정하도록 함으로써, 경영진이 지위 보전을 위해 신주인수선택권 행사를 남용하거나 소각을 거부하는 하는 것을 방지하고, 신주인수선택권의 행사조건, 소각조건이 사전에 명확하게 공표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상법개정안의 ʻ회사의 가치ʼ에서 주주 이외의 이해관계자(stakeholder)의 이익도 고려하여, 일부 주주를 차별적으로 취급하는 신주인수선택권을 부여할 있는지 여부가 문제된다. 적대적 기업인수에 직면한 이사회가 주주 이외의 다른 이해관계자의 이익도 고려하여 일부 주주를 차별적으로 취급하는 신주인수선택권 부여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해주면, 어느 이해관계자의, 어떠한 이익을, 얼마나 고려할 수 있는지 불명확하고, 이사회가 다른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핑계 삼아 자기보신을 위해 신주인수선택권 부여를 남용할 우려가 있다. 결국 적대적 기업인수에 직면한 이사회가 신주인수선택권 부여를 결정함에 있어서는 주주의 이익만 고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① 상법개정안의 신주인수선택권의 적법성 판단기준인 ʻ회사의 가치 및 주주 일반의 이익을 유지 또는 증진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ʼ는 추상적이어서 그 실효성 확보를 위한 법원의 판단 방법이 문제되고, ② 그 내용이 불충분하여 신주인수선택권의 남용을 억제하기 위한 보완 방법이 문제된다. 상법개정안의 ʻ회사의 가치 및 주주 일반의 이익을 유지 또는 증진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ʼ라는 적법성 판단기준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 법원의 구체적인 판단 방법으로서 대상회사의 이사회로 하여금 공개매수 제시 가격 보다 대상회사의 계속기업 가치가 더 크다는 사실을 입증하도록 요구하는 것과 같은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상법개정안은 ʻ회사의 가치 및 주주 일반의 이익을 유지 또는 증진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ʼ만 규정하고, 상당성 요건을 규정하고 있지 않는바, 미국과 일본의 기준과 유사한 기준을 상법에 명시하여 신주인수선택권의 남용을 억제할 필요가 있으므로, 상법개정안에 상당성 요건을 규정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e poison pill has the problem of 'agency costs'. The poison pill is open to abuse because it is an effective entrenchment tool. Nonetheless, the poison pill is an important tool for raising shareholder value. Thus finding ways to curb the abuse of the poison pill is of critical importance. Some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submitted to the National Assembly three bills to amend the Commercial Act, to allow companies to issue call options for new shares as an anti-takeover measure(hereinafter 'Korean poison pill'). But the question arises as to whether or not bills have enough ways to curb the abuse of Korean poison pill. First, according to the above bills, it is unclear under which circumstances shareholder can exercise Korean poison pill, and the company can cancel it, and who will decide about the exercise or the cancellation of it. There would be a need to consider the way to introduce the detailed regulation of Korean poison pill like Japan. When the board of directors votes to grant Korean poison pill, the board also votes the detailed regulation of Korean poison pill and releases it. By providing specific conditions of the exercise and the cancellation, and the decision maker in the detailed regulation of Korean poison pill, the manager's abuse of the poison pill can be curbed and specific conditions of the exercise and the cancellation, and the decision maker can be made public clearly in advance. Second, when it comes to the bills' phrase of 'the value of the company', the question arises as to whether or not the board can consider the interests of nonshareholder constituencies deciding to grant Korean poison pill. If the board is allowed to consider the interests of nonshareholder constituencies when it decides whether to grant Korean poison pill, then the problem of ambiguity will arise as to whose interests the board will consider, which interests the board will consider, and how much interests the board will consider. There will be a possibility that considering the interests of nonshareholder constituencies can be used as an excuse by the manager for abusing Korean poison pill to protect his tenure. Thus it would be desirable the board is allowed to consider only the interests of shareholders when it decides whether to grant Korean poison pill. Third, ① the bills' requirement of 'the case when it is necessary to maintain or increase the value of the company and the interests of its shareholders in general', which is the standard for judicial review, is abstract, so the question arises as to how the court will decide whether the requirement is being met. ② The above requirement is not sufficient, so the way how to curb the abuse of Korean poison pill matters. To secure the effectiveness of the standard for judicial review, that is 'the case when it is necessary to maintain or increase the value of the company and the interests of its shareholders in general', there would be a need to consider the specific judgement method such as requiring the board to prove that the company's going concern value is higher than the pending bid price. The bills prescribe only the requirement of 'the case when it is necessary to maintain or increase the value of the company and the interests of its shareholders in general', and they don't prescribe the requirement that the Korean poison pill is reasonable in relation to the threat posed(hereinafter 'the reasonableness requirement'). But the Commercial Act is required to prescribe the same reasonableness requirement as that of the US and Japan to curb the abuse of Korean poison pill. Thus there would be a need to consider the way to prescribe the reasonableness requirement in the bills.

      • KCI등재

        적대적 M&A와 이사회기능

        손영화(Young-Hoa Son) 한국기업법학회 2009 企業法硏究 Vol.23 No.2

        In the case of our country the defense means against hostile M&A is very inferior relatively compared with foreign legislation. It is not an overstatement although there is no defense method which the corporate management can choose against hostile M&A substantial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egislate the defense method refer to foreign M&A legislation. Hostile M&A is giving a feeling of tension so that it may become flattery to a manager about corporate management. Moreover which is essentially accepted to an open corporation. Therefore, the introducing defense act for hostile M&A which made to distort original function of a capital market cannot agree. The director of a target company has authority which will defend against hostile M&A under the present statute and the category of articles-of-association regulation until legislating the defense method. However, such a director's defense act must becomes profits to a company and a whole stockholder. When hostile M&A becomes profits in a stock¬holder and a company. a director must not take a defense act to this. Moreover. it is necessary to make a director pay the burden of proof for the legitimacy and reasonableness of an defense act. Because the director who conducts a defense has the relationship of gain and loss about the conducts. A director must not intervene in the control quarrel between stockholders in principle. May be it is thought the American Delaware judicial precedent law - Unocal standards. Blasius standards and Revlon standard etc. - is helpful.

      • KCI등재

        한진칼의 제3자배정 신주발행 사례에 비추어 본 상법 제418조 제2항 관련 심사기준 - 서울중앙지법 2020. 12. 1. 선고 2020카합22150 결정 -

        류지민(Ryu, Jimin) 한국기업법학회 2021 企業法硏究 Vol.35 No.1

        최근 사모펀드 KCGI 등이 한진칼을 상대로 제기한 신주발행금지 가처분 신청 사건(서울중앙지방법원 2020. 12. 1. 선고 2020카합22150 결정, ‘대상 가처분 결정’)은,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인수를 위해 거쳐야 하는 첫 관문으로 거론되면서 그 판단의 법적 근거로서 상법 제418조의 해석론이 주목을 받았다. 본고에서는 대상 가처분 결정을 소개하면서, 상법 제418조 제2항 단서에서 규정하는 제3자배정 신주발행의 정당화 사유인 “경영상 목적의 달성이 필요한 때”의 판단에 관한 체계적·구체적인 심사기준을 정립하는 문제와 세부 심사에서의 회사법상 고려 요인에 관하여 생각해 보았다. 상법 제418조 제2항에 따르면 회사는 정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주주 외의 자에게 신주를 배정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도 신기술의 도입, 재무구조의 개선 등 회사의 ‘경영상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허용된다. 상법 제418조 제1항이 주주평등원칙에 기초한 규정인 점을 고려할 때 주주의 신주인수권 제한 및 한계의 판단에 대하여는 엄격한 심사기준이 적용될 필요가 있다. 대상 가처분 결정은 회사의 경영권 분쟁 상황에서 한진칼의 제3자발행 신주발행이 적법한지의 판단에 관한 것인데, 법원은 목적의 정당성, 수단의 적합성 및 침해최소성, 그리고 목적과 수단 간의 비례성의 순서로 차례로 검토한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적법성 판단의 세부기준을 적시하여 단계적으로 판단한 법원의 심사방식은 그 구성 및 체계에 비추어 엄격한 위헌심사기준인 헌법상 비례원칙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정리하면, 대상 가처분 결정은 비록 하급심 결정이지만, 상법 제418조의 해석론으로서 심사기준을 정립하는 논의와 관련하여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으며, 그 중요성에 있어 현대엘리베이터 사건(수원지방법원 여주지원 2003카합369 결정)보다 더 큰 의미를 가진다고 생각된다. Recently, private equity fund KCGI filed an application for a temporary injunction against Hanjin Kal (Seoul Central District Court 2020 Kahab 22150 case, sentenced on Dec. 1, 2020), which was considered as the "first hurdle’ through which Hanjin KAL’s subsidiary, Korean Air must tackle to take over Asiana Airlines. In this process, the interpretation of Article 418 of the Commercial Act, the legal basis for the judgment, received attention. According to Article 418, clause 2 of the Commercial Code, a company may allocate new shares to persons other than shareholders as prescribed in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However, even in this case, it is allowed only when it is necessary to achieve the ‘management objectives’ of the company, such as the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ies and improvement of financi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shareholders’ equality, stricter judicial review standards and elaborate screening are required for judgment of the restriction of shareholders" preemptive rights. The case at issue deals with the court’s decision of whether Hanjin KAL"s issuance of new shares allocated to a third party is legal, in the context of a dispute with KCGI over control of the company. The standard of judicial review, which the court applied in this case, seems to be very similar to the constitutional proportionality principle, which is the usual judicial review standard for infringement of fundamental rights. In summary, the case at issue provides legal insights on the interpretation of Article 418 of the Commercial Act, particularly in relation to the discussion of implementing judicial review standards for better analysis of that article, This case could be evaluated as more important than the Hyundai Elevator case [Suwon District Court(Yeoju Branch), 2003 Kahab 369 (Dec. 12, 2003)] in terms of its importance and legal value.

      • KCI등재
      • KCI등재

        방어행위의 적법성 판단에 관한 국내 판례의 법리- 현대엘리베이터 결정의 재평가 -

        유영일 한국기업법학회 2009 企業法硏究 Vol.23 No.1

        This paper aims to revaluate the Hyundai Elevator Case(2003). The Hyundai Elevator Case Law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in Korea. It set up a general standards regarding review of the legality of the defensive tactic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n this Case Law, the court considers a various factors in reviewing the legality of the defensive tactics. It includes the motive or purpose of the defensive tactics, interests of company and shareholders, reasonableness of defensive tactics,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fensive procedures. It is the writer's opinion that Hyundai Elevator standard is almost the same standard as the Unocal standard. However, at the present time Hyundai Elevator Case Law seems to have little binding on the other case law in Korea. So, the writer suggests that Korean Supreme Court adopt the Hyundai Elevator Case Law as soon as possible. Then it will be the leading case law in Korea, as Unocal case law was in U.S.A. This paper consists of as follows: Ⅰ. Introduction Ⅱ. Previous Korean Case Law Ⅲ. Hyundai-Elevator Case Ⅳ. Importance of the Hyundai-Elevator Case Law Ⅴ. Conclusion

      • KCI등재

        방어행위의 적법성 판단에 관한 국내 판례의 법리

        劉榮一(Young-Ihl You) 한국기업법학회 2009 企業法硏究 Vol.23 No.1

        This paper aims to revaluate the Hyundai Elevator Case(2003). The Hyundai Elevator Case Law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in Korea. It set up a general standards regarding review of the legality of the defensive tactic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n this Case Law, the court considers a various factors in reviewing the legality of the defensive tactics. It includes the motive or purpose of the defensive tactics, interests of company and shareholders, reasonableness of defensive tactics,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fensive procedures. It is the writer's opinion that Hyundai Elevator standard is almost the same standard as the Unocal standard. However, at the present time Hyundai Elevator Case Law seems to have little binding on the other case law in Korea. So, the writer suggests that Korean Supreme Court adopt the Hyundai Elevator Case Law as soon as possible. Then it will be the leading case law in Korea, as Unocal case law was in U.S.A. This paper consists of as follows: Ⅰ. Introduction Ⅱ. Previous Korean Case Law Ⅲ. Hyundai-Elevator Case Ⅳ. Importance of the Hyundai-Elevator Case Law Ⅴ. Conclu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