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독일의 정치교육과 한국의 통일교육 비교

        정용길 平和問題硏究所 2003 統一問題硏究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unification education 10 Korea and polmcal education in West Germany, analysis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and grope alternatives applicable to unification education in Korea. Political education in West Germany took the place of unification education in Korea. The basic goals of unification education in Korea are to unify the Korean Peninsula on the basis of its own way and develop it after unification. Political education has various meanings. One is to define education by political parties as a part of political activity. The another is to meant education for bring up a democratic citizen. Third is to make people proud of their own society through education. In West Germany, political education brought up the Germans to the democratic citizenry. As a result of that, when the Germans caught the chance to unify between West and East Germany, they took the leading role in integrating East Germany into West Germany. In conclusion, we have to follow lessons from the German Unification to prepare the Korean unification. First of all, we have to grope the alternatives capable of promoting the unification and overcoming the outbreak of difficulties after the unification through the improvement of unification education. And we have to learn patience and tolerance from the Germans.

      • KCI등재

        「통일교육지원법」의 개정방향

        소성규 한국법정책학회 2019 법과 정책연구 Vol.19 No.3

        통일교육에 대하여 「통일교육지원법」은 학교통일교육(「통일교육지원법」 제8조)과 통일교육 전문가양성과정(「통일교육지원법」 제9조의2)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반면에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지역통일교육센터에 대한 규정은 있지만, 사회통일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은 없다. 통일교육의 근거법률이라고 할 수 있는 「통일교육지원법」은 1999년 2월 5일 제정되어, 1999년 8월 6일 시행된 이후 여러 차례 개정을 거처 오늘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통일교육에 관한 기본법령으로 평가하기엔 다소 부족한 측면이 있다. 물론 지난 2018년 3월 13일 일부 개정되어 2018년 9월 14일부터 시행되는 「통일교육지원법」에서는 통일교육주간의 법적 근거 마련(제3조의3),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통일교육 지원 책무 강화(제4조), 통일관의 지정 및 취소 근거 마련(제6조의6), 공무원 등에 대한 통일교육 실시(제6조의7) 등에 대하여 법적 근거를 마련한 것은 주목할 만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일교육지원법」에는 일부 임의규정의 성격이 있고, 통일교육의 활성화 차원에서 개정되어야 할 사항이 잔존하고 있다. 이 연구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통일교육 방안에 대한 법적 측면 내지 법적 개정사항으로 한정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통일교육에 대한 예산부족의 문제, 사회통일교육 수강생 모집의 문제, 중앙정부(통일부)와 지방정부의 협력적 거버넌스의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입법형태 내지 입법기능 측면, 통일교육 업무 추진체계의 측면, 통일교육 운영이란 세 가지 측면에서 통일교육지원법의 개정방향을 검토하였다. 아울러 「통일교육지원법」의 입법자는 통일교육을 통일이전의 한시법으로 생각하고 입법하였으나, 통일교육은 통일이후에도 남북한의 이질성 극복 차원에서 필요한 교육이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또한 실질적인 통일교육을 위하여 「통일교육지원법」과는 별개로 민주시민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가칭 「민주시민교육지원법」 제정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The Unification Education Support Act stipulates unification education at schools(The Unification Education Support Act, Article 8), and training of professional unification educators(Article 9-2). Detailed provisions pertaining to unification education at social levels have not been established, even though the concept of a regional unification education center is prescribed by the law. The Act, which serves as a basis for unification education, was enacted in 5th of Febuary, 1999. However, many are showing a tentative attitude towards the legal system due to its incompleteness as a primary regulation, although it has been amended multiple times since its enforcement in 6th of August, 1999. It is certainly true that recent changes such as Unification Education Week(Article 3-3), strengthening responsibilities of the State and the local government(Article 4), designation and revocation of unification halls(Article 6-6), and unification education for public officials(Article 6-7), which came into force in 13th of March 2018, are worth noting. Nevertheless, some of the provisions are voluntary and require further amendments in order to invigorate unification education. This research is confined to legal considerations regarding effective unification education. In specific, it describes problems such as budgetary gap, issues with student recruitment and an insufficient cooperative system between the State(Ministry of Education) and local government. For policy directions, this research considers legislative structure or function, tasking system, and management for unification education. Moreover, this paper underlines the education as a necessary measure to overcome the differenc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lthough the legislators at the time of enforcement viewed it as a temporary solution. It also underscores the necessity of enacting an additional act, namely Democratic Education Support Act, to actualize effective civil and unification education. [Keywords:unification education, Unification Education Act, regional unification education center, unification education officials, unification education at schools, unification education at social levels, Democratic Education Support Act]

      • KCI등재후보

        지역통일교육의 활성화방안 - 교육청과 지역협의회와의 연계를 중심으로 -

        박찬석,최현호 한국통일전략학회 2012 통일전략 Vol.12 No.3

        Unification Education has to encompass both an education to prepare for unification and an education for a complete integration and stabilization as one community after Korea Unification. Unification Education is not to confirm differences of North and South Korea but to recover homogeneity of them. That is, it seeks to national unity, and fosters not only the democratic civility of the public, but also qualities as participants under the process of unification. Unification is more than a geographical, political, and economical integration. It even means an integration of different value and lifestyle. Korean Unification is not merely an intergration of geography, politics, and economy but a combition of heterogeneous values and life style. In this respect, both education office in-local and commissioners of education in charge of unification education must take the leading role for activating practical unification education. Still, in the middle of the conflict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commissioners of unification education in local need to take the lead in and push ahead with the things for practical unification education whichever of our society, schools and the education office in-local have to do. 통일교육은 통일을 준비하기 위한 교육과 통일이후 하나가 된 사회의 완전한 통합 및 안정화에 필요한 교육이 모두 포함되어야 한다. 통일교육은 민족의 이질성의 확인이 아니라 민족동질성의 회복과 민족화합을 지향하고 국민들의 민주시민의식과 통일주체로서의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다. 통일은 단순히 지리, 정치, 경제의 통합이나 결합의 차원을 넘어서 이질화된 가치관과 생활양식을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입장에서 학교 통일교육을 관장하는 지역 교육청과 통일교육의 전위대인 통일교육 위원들의 실질적인 통일교육 활성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아직도 남북한 간의 갈등이 존재하는 속에서 우리 사회의 구심점인 학교와 그 학교를 둘러싼 지역 교육청 그리고 지역 통일교육 관련 단체들이 통일교육에서의 할 일을 전개하여야 한다. 따라서 지역을 거점으로 하는 통일교육 활성화를 위하여 지역 통일교육 위원들이나 교육청 관계자들은 적극적이고 올바른 관점으로 통일교육을 주도적인 입장에서 추진해 나가야 한다.

      • KCI등재

        평화통일교육의 과제를 통해 본 기독교통일교육의 방향 탐구

        오덕열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23 기독교교육논총 Vol.- No.75

        연구 목적 : 이 연구는 한국에서의 평화교육과 통일교육의 역사적 흐름을 살펴보고 평화통일교육의 과제를 검토한 후 평화교육으로서의 기독교통일교육의 방향과 과제를 탐구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평화교육은 시민사회로부터 출발한 평화운동 및 교육적 담론이 활성화되며 영역이 확장된 반면, 통일교육은 정부의 통일 및 대북 정책에 따라 계획이 세워져 교육 실천 현장으로 나아가는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평화를 염원하는 통일교육의 특성상 두 분야의 접목은 꾸준히 이어져 왔고, 이에 당면한 평화통일교육의 연구도 지속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두 영역의 시대적 흐름을 검토하고,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도출된 평화통일교육의 과제를 기반으로 평화교육으로서의 기독교통일교육의 방향과 과제를 제안하였다. 결론 및 제언 : 평화교육으로서의 기독교통일교육은 한반도 평화와 안녕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전쟁과 폭력의 문화에서 평화의 문화로 전환하는데 앞장서는 평화시민 양성을 교육 목표로 삼아야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적대자상의 해체를 위한 기독교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해야 한다. 둘째, 교수ㆍ학습에 있어 톱다운 방식(top-down)에서 벗어나 학습자의 주체성과 자율성을 보장하는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일상과 연결되는 실천 과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평화교육으로서의 기독교통일교육은 통일이라는 국가적 과업에 목표를 두기 보다는 다양한 구성원들이 공존할 한반도 내의 평화시민의식을 고양시키는 것이 한반도 평화의 문화 조성에 전진하는 길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irection and tasks of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as peace education. To this end, after examining the historical trend of peace education and unification education in Korea, the tasks of peaceful unification education are reviewed. Peace education has expanded with the activation of peace movements and educational discourse starting from civil society, while unification education has been planned in accordance with the government's unification and North Korea policy and is moving toward the field of education practice.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unification education that aspires for peace, the combination of the two fields has continued steadily, and research on peace unification education has been continuously conducted. The direction and tasks of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as peace education were proposed based on the tasks of peace unification education derived through prior research analysis and the trend of the times in the two areas to carry out the research purpose. For the sustainability of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as a peace education should aim to foster peaceful citizens who take the lead in transitioning from a culture of violence to a culture of peace. To this end, first, it is necessary to seek the direction of Christian education for the dissolution of the antagonist image. Second, activities that guarantee learners' subjectivity and autonomy should be carried out away from the top-down method in teaching and learning. Third, a curriculum connected to daily life should be formed.

      • KCI등재후보

        통일교육의 역할과 효과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향 연구

        박광득 한국통일전략학회 2014 통일전략 Vol.14 No.1

        남북한이 분단되어 있는 한국의 현실에서 통일교육이라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통일이 민족의 숙명이라고 한다면 이에 대한 준비를 하여야 하는 것이 당연한 진리라고 할 수 있다. 통일에 대한 다각적인 준비가 바로 통일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통일교육에 대해서는 통일부와 교과부에서 지정한 교재를 통하여 학교 및 시민 통일교육이 실시되고 있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통일교육의 역할과 효과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것이 사실이다. 통일을 준비하는 측면에서 이에 대한 연구는 완전한 통일을 위한 우리의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통일교육은 어떤 역할을 하여야 하는가에 대한 당위적 역할론을 국가관, 북한관, 통일관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통일교육의 효과에 대해서는 객관적인 효과보다는 통일교육의 효과에 장애가 되는 부정적인 측면을 제시함으로써 통일교육의 극대화를 위한 방안을 역설적으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통일교육을 위한 개선하여야 할 부분에 대한 지적과 함께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론에서는 우리가 생각하고 있는 통일은 어떠한 것인가에 대한 개념적인 정리와 함께 통일은 어떻게 하여야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주관적인 추론으로 분석하였다. Unification education has important implications on the situation of the two Koreas. If nations unification is the fate, should preparing for the unification should be a natural logic. So ready for unification is just unification education. Unification education is a Ministry of Unification and Ministry of Education published textbook through the has progressed school and civic Unification education. A study on the role and effect of unification education yet needed many problem and studies. In this study, in terms of preparing for unification is our issues and improvement directions for the complete unification. In this paper, we first relates to role of unification education separated by a description the established role of 'view of states', the established role of 'view of North Korea', the established role of 'view of unification'. Effect of unification education analyzed factors that hinder effective than objective effects. Second, the negative effects of unification education overcome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 unified education. Finally, proposed the challenges for the development of a unification education and make out What is a conceptual unification.

      • KCI등재

        평화통일교육의 방향과 내용 고찰

        한만길 통일연구원 2019 統一 政策 硏究 Vol.28 No.1

        This study analyzed the direc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and the change in contents of the government, based on the unification education guideline. In 2018, the Ministry of Unification published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Direction and Viewpoint,’ which first used the term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in government documents. It is a meaningful change in that it has redefined the direction of peaceful unification education.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is a way for the two Koreas to pursue peaceful coexistence and realize peaceful unification. The current guidelines for unification education can be said to be in line with the direction, but they lack much in terms of contents. Similar to the previous 2016 guidelines, negative perceptions of North Korea are mainly made up and only briefly presented about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Therefore, it proposed to redefine the system of educational contents, focusing on the three main areas of unification education: the North Korea, inter-Korean relations and the unification process. It should include an objective understanding of North Korean society, a comparative analysis of its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looking at the experiences and lessons of various exchanges and cooperation in inter-Korean relations to revive its achievements. It proposes to revise the Unification Education Support Act and The unification education guidelines. The direction and guidelines of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set up in a way that leads to national consensus through the process of discussion by collecting public opinion. Now, it is time to try to rebuild unification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eace and human rights, anti-war and disarmament, conflict resolution, and peaceful education as a universal value, away from the ideological education and policy promotion that unification and security education have. 지난 2018년 통일부는 ‘평화·통일교육 : 방향과 관점’을 발간하면서, 공식적으로 평화통일교육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였다. 이 연구는 통일교육모형을 평화통일교육, 그리고 통일안보교육으로 구분하고, 정부의 통일교육지침서를 근거로 통일교육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이에 기초하여 평화통일교육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평화통일교육은 평화의식을 바탕으로 북한을 우리와 더불어 살아갈 동반자로 인식하고 남북한의 평화적 관계를 증진하면서 평화통일을 이루는 데 필요한 역량을 함양하는 교육이다. 현행 지침서에서 종전과 달리 평화와 평화의식을 핵심 가치로 부각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변화를 보인다. 평화통일교육의 목표로서 ‘평화의식’과 함께 ‘건전한 안보의식’, ‘균형있는 북한관’을 병렬적으로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평화의 가치를 구현하는 방향으로 재구성해야 한다. 특히 평화의 관점에서 안보의식과 북한관에 대한 재해석이 필요하다. 평화통일교육의 방향에 부합하려면 평화통일교육의 내용 또한 평화의 관점에서 재구성해야 한다. 현행 지침서는 ‘북한인식’에서 부정적 서술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남북 교류협력, 평화통일의 과정에 관한 내용은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지 않다. 남북한의 장단점을 비교분석하고 북한의 특성과 장점을 그대로 존중할 수 있는 태도를 함양하며, 남북관계에서 다양한 교류협력의 경험과 교훈을 소중히 여길 수 있어야 한다. 그리하여 평화로운 통일의 과정을 이해할 수 있도록 평화의 관점에서 교육내용을 대폭 보강해야 한다. 이제 평화통일교육은 분단체제로 인하여 파생한 구조화된 비평화 요인에 대하여 비판하고 성찰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통일안보교육이 갖고 있는 체제이념교육의 한계에서 벗어나야 한다. 그래서 평화와 평화공존을 실현하는 방향으로 통일교육지원법, 통일교육지침서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보편적 가치로서 평화와 인권, 반전과 군축, 갈등해결 등 평화교육의 의제를 통일교육의 원칙으로 재구성해야 한다.

      • KCI등재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유치원 통일교육의 변화

        조경자 ( Jo Gyeong Ja ),이현숙 ( Lee Hyun Sook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연구논총 Vol.37 No.4

        본 연구는 국가고시 유치원 교육과정의 변천에 따른 통일교육을 분석함으로써 앞으로의 유아 통일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 1차 유치원 교육과정부터 현행 3∼5세 연령별 누리과정까지의 유치원 교육과정 고시문서, 교육과정 해설서, 그리고 교사용 지도서 등에 나타난 통일교육 관련 목표, 내용, 활동 등을 분석하였다. 유치원의 통일교육은 반공교육에서 통일안보교육, 그리고 통일교육으로 변화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 1차 유치원 교육과정에서부터 제 3차 교육과정까지 통일교육은 북한 및 공산주의에 대한 적대감과 반공통일을 강조하는 `반공교육`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교육활동은 북한의 위협과 북한 주민들의 비참한 생활을 강조하는 것이었다. 제 4차 교육과정에서는 북한을 경계의 대상이자 언젠가는 함께 할 대상으로 보는 `통일안보교육`의 성격을 띤 것이었다. 교육과정 구성 방향으로는 평화통일을, 목표 및 내용에서는 분단 현실 인식을 제시하였으나 북한에 대한경계를 담은 활동들이 포함되었다. 제 5차 교육과정부터 현행 누리과정까지의 통일교육은 민족공동체로서의 북한에 대한 이해와 평화통일을 강조하는 `통일교육`으로서의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고시 교육과정의 사회관계 영역의 내용에 포함되었던 통일과 북한 관련 내용이 누리과정에서는 명시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유치원 교육과정에 통일교육에 대한 내용의 명시를 비롯하여 유아 통일교육과 관련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s of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about unification education. To this end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from the 1st to the 6th revisio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and the current 3∼5 Nuri Curriculum, were analyzed. The `Curriculum Manual` and the `Kindergarten Teacher`s Guidebooks for Curriculum Activities` were also included as analysis resources.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has been changed from anti-communism education to unification security education, and to unification education, both on the notification level, which is promulgated by Ministry of Education, and practical level, which is presented in the guide books for teachers. In the 1st to the 3rd curriculum, the unification education is characterized as `anti-communism education`. The objectives, contents, and activities related to unification attempts to ply kindergarteners into having negative views of communism and justify unification. In the 4th Curriculum, the unification education is characterized as `a national security education`. The term `anti-communism` was not used, but instead `peaceful unification` was used. The objectives and contents exposed the reality of divis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But some of the activities included vigilance against North Korea. From the 5th Curriculum to the current Nuri Curriculum, unification education is characterized as `unification education`, emphasizing a more objective understanding of North Korea, national community, peaceful unification. Based on the results, some suggestions and strategies were discussed to develop the future curriculum for unification education.

      • KCI등재

        윤석열 정부 통일교육지침 ‘ 2023 통일교육 기본방향’ 의 분석과 대안 탐색

        김상무 한독교육학회 2023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8 No.3

        This study analyzes the ‘2023 Basic Direc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the unification education guidelines of the Yoon Seok-yeol government, and explores alternatives. First, we analyzed the problems by dividing the ‘2023 Basic Direc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into 1. definition and goals of unification education, 2. key directions of unification education, and 3.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Next, alternatives to overcome each problem are proposed. As a result of the study, a change in the defini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is suggested, starting from recognizing the harmful effects of division in daily life to education that fosters the will and ability for peaceful unification. It is suggested as the goals of unification education, the revision from belief in liberal democracy into discussion of desirable democracy in a unified Korea, open nationalism orientation, expansion to human security as well as military security, and revision to understanding North Korea through synthesis of intrinsic and extrinsic approaches.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main direction and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are reconstructed from the perspectives of understanding the unification issues,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Korean division, understanding North Korea, and the future vision of a unified Korea. 본 연구는 윤석열 정부 통일교육지침인 ‘2023 통일교육 기본방향’을 분석하고 대안을 탐색하는 연구이다. 먼저 ‘2023 통일교육 기본방향’을 1. 통일교육의 정의와 목표, 2. 통일교육의 중점방향, 3. 통일교육의 내용으로 나누어 문제점을 분석했다. 이어서 각각의 문제점들을 극복하는 대안을 제안하고 있다. 연구 결과, 일상생활 속에서 분단의 폐해를 인식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하여 평화통일의 의지와 능력을 기르는 교육으로의 통일교육 정의의 변화를 제안하고 있다. 통일교육 목표는 자유민주주의에 대한 신념이 아니라 통일한국의 민주주의에 대한 토론, 열린 민족주의 지향, 군사적 안보뿐만 아니라 인간안보로의 확장, 내재적 접근과 외재적 접근의 종합을 통한 북한 이해로의 수정을 제안하고 있다. 통일교육 중점방향과 내용은 통일문제에 대한 이해, 분단의 역사에 대한 이해, 북한에 대한 이해, 통일한국의 미래상이라는 관점에서 재구성하기를 제안하고 있다.

      • KCI등재

        한국 정부의 통일교육 : 역사, 현황, 방향

        김진환 ( Kim¸ Jin-hwan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1 통일과 평화 Vol.13 No.2

        이 글은 정부가 통일교육 종사자들에게 어떠한 통일교육 방향을 제시해왔는지 성찰하고, 앞으로는 어떠한 방향을 통일교육 종사자들에게 제안해야 하는지 논의한 글이다. 이를 위해 먼저, 1970년대 초반 이래 한반도 안팎 정세 변화에 따른 정부 통일교육 목표변화를 확인했다. 다음으로, 2018년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재개 이후 정부 통일교육 목표 변화와 주요 성과를 살펴보았다. 끝으로, 이러한 성찰과 진단을 토대로 앞으로 정부, 학교, 시민사회단체 등이 민주적·사회적 합의를 통해 함께 나아가야 할 통일교육 방향을 제안했다. 앞으로 정부가 지향하고, 통일교육 종사자들에게 제안해야 할 교육은 평화담론을 통일 이유로서 무엇보다 강조하고, 평화와 통일의 관계를 성찰하게 하는 ‘평화·통일교육’이다. ‘평화·통일교육’은 통일교육 목표에 평화교육이 강조하는 요소, 곧 ‘다름’의 인정, 다양성 존중, 비폭력적 의사소통 및 평화적 갈등 해결 능력 함양 등을 단순히 추가하는 교육이 아니다. 평화·통일교육은 한국사회 구성원이 통일을 한반도 평화 진전을 위해 필요한 과제로 바라보게 해 주고, 한반도 평화가 결코 통일로 완성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함으로써 한국사회 구성원이 통일에 그치지 않고 평화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도록 하는 교육이다. This article reflects on the directions for unification education the government has offered to unification education workers and discusses what direction to suggest going forward. To this end,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government’s unification education goals have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situation inside and outside the Korean Peninsula since the early 1970s. Next, we looked at changes in the government’s unification education goals and major achievements after the resumption of the Korean Peninsula peace process in 2018. Finally, based on these reflections and diagnosis, we propose a direction for unification education that the government, schools, and civil society organizations unification education that should pursue together through democratic and social consensus. The education that the government is aiming for and that should be suggested to unification education actors is known as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of which emphasizes peace as the reason for unification above all else and allows us to refl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ace and unification.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does not education that simply add elements(recognition of difference, respect for diversity, non-violent communication, and fostering of peaceful conflict resolution skills etc.) emphasized by peace education to the existing unification education goals.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helps members of Korean society view unification as a necessary task for the advancement of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makes them aware that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will not be completed simply through unification. Through this,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enables the members of Korean society to work tirelessly for peace, not just for unification.

      • KCI등재

        대학통일교육 현황과 개선방안

        이갑준 ( Kab Jun Lee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2016 북한학연구 Vol.12 No.1

        이 글은 대학생 통일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대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통일교육 활성화를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한반도의 분단이 70년 이상 지속하고 있는 현실에서 대학생은 중요한 통일미래 세대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여러 분야에서 통일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됐지만, 정작 통일을 준비하고 이끌어갈 주인공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통일 교육은 부족한 현실이다. 최근에 이뤄진 대학생 통일의식조사를 살펴보면, 대학생의 통일에 대한 관심 및 필요성에 대한 의식은 점차 낮아지고 있다. 대학 통일교육은 향후 다가올 통일세대의 주역으로 떠오를 대학생들의 통일의식을 제고시키는 데에서 필요하며, 이를 위해 정부의 지원과 대학 사회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대학 통일교육 대상을 통일 관련 전공자에서 인문, 예체능, 이공계 등 여러 학과의 학생들로 확대해야 한다. 그리고 통일과 관련된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대학생들이 흥미를 느끼며 참여할 수 있는 대학통일교육 프로그램 확대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college students’ unification education, and to seek for the ways to vitalize the unification education leading to college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Under the current state that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to north and south lasted for 70 years or more, college students are the future generations for unification. The importance of unification education is emphasized in various fields, but it is insufficient in unification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who are ready for unification and have to lead it. Considering the recent research results i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Korean unification, their interest in unification and necessity recognition for unification are lack. Most college students have never taken unification education courses at college, but they feel the need for unification education. The unification education of college is important preparation for Korean society to solve social conflict during the process of unification, to share common value among North and South Korean people, and to have powerful cultural contents. For the unification education of college, the support of South Korean government and the effort of college society are needed. The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performed towards many college students at College of Humanities, College of Arts and Physical Education, College of Science and Engineering, etc. as well as students taking majors related to unification. In addition, our society needs college’s unification education so that objective information related to unification can be provided and college students can participate in the related courses attracting their inter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