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리틀아메리카에서 부산시민공원으로-캠프 하야리아를 둘러싼 기억과 시선들-

        유현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19 항도부산 Vol.29 No.-

        Camp Hialeah was set up as the U.S. military’s Busan base command during the Korean War. It has since been an advanced U.S. overseas base operated as Little America for long-term U.S. military presence under the Cold War regime with the Soviet Union and a standoff with North Korea. Camp Hialeah was shut down in 2006 by a bilateral agreement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Since the opening of Busan Citizens’ Park in 2014, historical memories of the land have been rapidly forgotten. In addition, the village of Bondong in Bumjeon-dong, which used to be a base town near Camp Hayaria, was incorporated into the park site. And their way of life and various stories have also disappeared into history. The first significance of the paper is that based on oral records of camps and base villages, Koreans who lived in the base towns of Little America and the Bondong Village in Bumjeon-dong have recorded the way of life and confirmed its historical value. Therefore,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preserve the now-defunct Camp Hialeah as a "place of memory" in the future. Koreans belonging to Little America had to overcome racism and inferiority by the U.S. military while embracing American culture. The village of Bondong in Bumjeon-dong near Camp Hialeah was gradually transformed into a base village through exchanges with the U.S. military. People here have formed an economic community and a cultural community with the U.S. military. However, it also had to pay the corresponding environmental and social costs. The second significance is that it has paid attention to ‘nationalism’ as a cultural medium that flows from Camp Hialeah to Busan citizens park. There were three gazes of nationalism about Camp Hialeah. The gaze of pro-U.S.-nationalism, the meta-discourse of Korea-U.S. relations, was filled with fundamental gratitude to the U.S. Anti-U.S.-nationalism, on the other hand, has inspired civil society to recognize their presence by carrying out anti-U.S. movements, ousting U.S. troops and a campaign to return U.S. bases from the perspective of "ethnic liberation." Meanwhile, the gaze of nationalism, which were revived following the tradition of colonial nationalism, put the site of the memory of the officers’ club in the Busan citizens park as the vestige of the Japanese Empire and tried to clean it up. 캠프 하야리아는 한국전쟁 당시 미군의 부산기지사령부로 설치된 이후 소련과의 냉전체제 및 북한과의 대치 상황 하에서 장기적인 미군 주둔을 위한 리틀아메리카로 운용된 미국의 해외 전진기지였다. 2006년 한미 양국 합의에 의해 캠프 하야리아가 폐쇄되고 2014년에 부산시민공원이 개장된 이후 이 땅에 대한 역사적 기억이 급격히 잊혀 갔다. 아울러 캠프 하야리아 인근 기지촌이었던 범전동 본동마을이 공원부지에 편입되면서 그들의 삶의 방식과 다채로운 이야기들도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본고의 첫 번째 의의는 캠프와 기지촌 일대의 구술조사 기록을 바탕으로 리틀아메리카와 범전동 본동마을 기지촌에서 살았던 한국인들의 삶의 방식을 기록하여 그 역사적 가치를 확인함으로써, 지금은 사라진 캠프 하야리아를 향후 ‘기억의 장소’로 간직할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점이다. 리틀아메리카에 속한 한국인들은 미국의 문화를 받아들이면서도 미군에 의한 인종차별과 열등감을 극복해야 하였다. 캠프 하야리아 인근 범전동 본동마을은 미군과의 교류를 통해 점차 기지촌으로 변모하여 갔다. 이 곳 사람들은 미군과 경제공동체 및 문화공동체를 이루기도 했으나 그에 상응하는 환경적 사회적 대가도 치러야 했다. 두 번째 의의는 캠프 하야리아에서 부산시민공원에 이르기까지 그 기저에 흐르는 문화적 매체로서 ‘민족주의’에 주목하였다는 것이다. 캠프 하야리아를 응시하는 세 가지 민족주의 시선이 존재하였다. 한미관계의 거대 이미지 담론인 친미-민족주의의 시선은 미국에 대한 근원적인 고마움으로 가득 차있었다. 이에 반해 반미-민족주의는 ‘민족해방’의 관점에서 반미운동, 미군축출, 미군기지 반환운동 등을 수행해가면서 그들의 존재감을 시민사회에 각인 시켰다, 한편 식민지 민족주의의 전통을 이으면서 다시 부활한 민족주의 시선은 시민공원 내 장교클럽이라는 기억의 장소를 일제의 잔재로 상정하고 이를 청산하기 위해 분투하였다.

      • KCI등재

        리틀아메리카에서 부산시민공원으로 -캠프 하야리아를 둘러싼 기억과 시선들-

        유현 ( Yoo Hyeon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9 항도부산 Vol.38 No.-

        캠프 하야리아는 한국전쟁 당시 미군의 부산기지사령부로 설치된 이후 소련과의 냉전체제 및 북한과의 대치 상황 하에서 장기적인 미군 주둔을 위한 리틀아메리카로 운용된 미국의 해외 전진기지였다. 2006년 한미 양국 합의에 의해 캠프 하야리아가 폐쇄되고 2014년에 부산시민공원이 개장된 이후 이 땅에 대한 역사적 기억이 급격히 잊혀 갔다. 아울러 캠프 하야리아 인근 기지촌이었던 범전동 본동마을이 공원부지에 편입되면서 그들의 삶의 방식과 다채로운 이야기들도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본고의 첫 번째 의의는 캠프와 기지촌 일대의 구술조사 기록을 바탕으로 리틀아메리카와 범전동 본동마을 기지촌에서 살았던 한국인들의 삶의 방식을 기록하여 그 역사적 가치를 확인함으로써, 지금은 사라진 캠프 하야리아를 향후 ‘기억의 장소’로 간직할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점이다. 리틀아메리카에 속한 한국인들은 미국의 문화를 받아들이면서도 미군에 의한 인종차별과 열등감을 극복해야 하였다. 캠프 하야리아 인근 범전동 본동마을은 미군과의 교류를 통해 점차 기지촌으로 변모하여 갔다. 이 곳 사람들은 미군과 경제공동체 및 문화공동체를 이루기도 했으나 그에 상응하는 환경적 사회적 대가도 치러야 했다. 두 번째 의의는 캠프 하야리아에서 부산시민공원에 이르기까지 그 기저에 흐르는 문화적 매체로서 ‘민족주의’에 주목하였다는 것이다. 캠프 하야리아를 응시하는 세 가지 민족주의 시선이 존재하였다. 한미관계의 거대 이미지 담론인 친미-민족주의의 시선은 미국에 대한 근원적인 고마움으로 가득 차있었다. 이에 반해 반미-민족주의는 ‘민족해방’의 관점에서 반미운동, 미군축출, 미군기지 반환운동 등을 수행해가면서 그들의 존재감을 시민사회에 각인 시켰다, 한편 식민지 민족주의의 전통을 이으면서 다시 부활한 민족주의 시선은 시민공원 내 장교클럽이라는 기억의 장소를 일제의 잔재로 상정하고 이를 청산하기 위해 분투하였다. Camp Hialeah was set up as the U.S. military’s Busan base command during the Korean War. It has since been an advanced U.S. overseas base operated as Little America for long-term U.S. military presence under the Cold War regime with the Soviet Union and a standoff with North Korea. Camp Hialeah was shut down in 2006 by a bilateral agreement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Since the opening of Busan Citizens’ Park in 2014, historical memories of the land have been rapidly forgotten. In addition, the village of Bondong in Bumjeon-dong, which used to be a base town near Camp Hayaria, was incorporated into the park site. And their way of life and various stories have also disappeared into history. The first significance of the paper is that based on oral records of camps and base villages, Koreans who lived in the base towns of Little America and the Bondong Village in Bumjeon-dong have recorded the way of life and confirmed its historical value. Therefore,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preserve the now-defunct Camp Hialeah as a "place of memory" in the future. Koreans belonging to Little America had to overcome racism and inferiority by the U.S. military while embracing American culture. The village of Bondong in Bumjeon-dong near Camp Hialeah was gradually transformed into a base village through exchanges with the U.S. military. People here have formed an economic community and a cultural community with the U.S. military. However, it also had to pay the corresponding environmental and social costs. The second significance is that it has paid attention to ‘nationalism’ as a cultural medium that flows from Camp Hialeah to Busan citizens park. There were three gazes of nationalism about Camp Hialeah. The gaze of pro-U.S.-nationalism, the meta-discourse of Korea-U.S. relations, was filled with fundamental gratitude to the U.S. Anti-U.S.-nationalism, on the other hand, has inspired civil society to recognize their presence by carrying out anti-U.S. movements, ousting U.S. troops and a campaign to return U.S. bases from the perspective of "ethnic liberation." Meanwhile, the gaze of nationalism, which were revived following the tradition of colonial nationalism, put the site of the memory of the officers’ club in the Busan citizens park as the vestige of the Japanese Empire and tried to clean it up.

      • KCI등재

        주한미군 기지 정치(Base Politics) 연구에 대한 검토

        김미덕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4 아태연구 Vol.21 No.1

        This paper examines studies on base politics of the U.S. military bases and camptowns. Since the mid-2000s, studies on base politics(the relationship of U.S. military overseas to the host nations in terms of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the bases) have appeared in U.S. academia, questioning the imperialist nature of U.S. military overseas. In feminist academia, political scientists Cynthia Enloe and Katharine Moon have greatly influenced the discussions and critique of gendered militarism. They demonstrate that the existence of U.S. bases overseas is the product of political negotiation between the U.S. military authorities and the host governments, and thus the sex industry around camptowns is not based on male soldiers’ sexual nature but negotiations between two governments. In the meantime, the question of U.S. military bases in the Korean society has been discussed since 1945. The issues surrounding the question have included sovereignty, environment contamination, the unequal nature of SOFA, sex industry, and offsprings between soldiers and Korean women. In terms of perspective, there is indifference, or a dominant idea in which the station of U.S. soldiers is considered as necessary for national security and the sex industry around the camptowns is a necessary evil. There are also the anti-U.S. nationalist perspective and feminist perspective. Whereas anti-U.S. militarism has been evolved as kind of social movement during the 1990s, since the 2000s the systemic role of the Korean government in the camptowns and the regulation of women’s bodies has intensively been discussed. And it is noticeable that the camptown women more directly participate knowledge production as the form of oral life history, testimony, and autobiography. The increase of studies on geopolitical aspect of camptowns is another noticeable development. By exploring the contesting knowledges on the camptowns and U.S. military bases, I demonstrate the subjectivity and historicity of knowledge. 이 글은 주한미군 기지와 캠프타운을 둘러싼 기지 정치(base politics)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미국 사회과학계에서는 2000년대 초반 이래 해외 미군 기지의 유지와 관리에 대한 피주둔국과 주둔국 간의 관계를 다룬 기지 정치 연구가 대두되었다. 군사주의와 젠더의 관점에서는 정치학자 신시아 인로(Cynthia Enloe)의 연구와 캐서린 문(Katharine Moon)의 한국 기지 정치 사례 연구가 선구적이다. 이들은 미군 주둔 및 관리는 양측 행위자의 교섭의 정치이며, 기지 주변 성 산업은 남성 군인의 본능에 따른 자연스러운 결과가 아닌 정치의 산물이라는 것을 밝혔다. 한국 사회에서는 1945년 이래 피주둔국의 입장에서 주권 문제, 기지 주변 공동체, 성 산업, 아메라시안, 미군 범죄 등의 다양한 쟁점이 논의되었다. 기지에 대한 입장은 무관심, 안보의 이유로 미군 주둔이 필연적이고 성 산업은 필요악이라는 생각, 반미 민족주의 정서, 여성주의 시각 등 여러 스펙트럼이 존재한다. 1990년대 반미운동 관점에서 민족주의 정서가 팽배했다면 2000년대 이후에는 캠프타운 형성·유지에 대한 국가의 체계적 역할이 대중적으로 논의되었다. 더불어 학계 연구자의 인터뷰나 구술생애사 분석 및 증언, 자서전 등으로 캠프타운 여성들이 지식생산에 직접 참여하기 시작한 것과 캠프타운에 대한 공간학적 연구의 증가가 눈에 띈다. 이 글은 미군 기지와 캠프타운 여성을 둘러싼, 경합하는 지식들을 살펴봄으로써 지식의 주관성과 역사성을 살피고 있다.

      • KCI등재

        1970년대 초 한국소설의 미군기지(촌) 재현 양상 연구

        오창은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9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82 No.-

        In the early 1970s, Korean novelists actively wrote about the U.S. Army bases (villages). They narrated U.S. Army bases (villages) so as to conduct cultural politics pointing to the center from the recent-modern peripheral areas. In the 1970s, KATUSA within the U.S. Army bases and women in the U.S. Army base villages represented the recent modern peripherals of Korea, and showed the recent-modern negative ideologies of Korea which was then at the bottom of the world system. Korean male novelists, when they looked at the women, showed strong desire for equality as recent-modern ideology as well as revealing anxiety and sense inferiority of intellectuals. Noteworthy Korean novels about the U.S. Army bases (villages) include Jo Jeong-rae’s 「Tiger Major」(1973), Sin Sang-ung’s 「Diary of Wrath」(1972), and Jo Hae-il’s 「America」(1972). Jo Jeong-rae, in「Tiger Major」, illustrated Korean troops who had equal competence and rights with American soldiers by presenting Korean army officers and KATUSA within the U.S. Army bases. Jo Jeong-rae tried to romantically overcome their sense of inferiority and inequality through the theory of excellent ability and the theory of heroic leaders. Sin Sang-ung, in 「Diary of Wrath」, criticized Koreans’ inner colonialist perception and U.S. military’s occupation unit viewpoint. Sin Sang-ung responded to U.S. military stationing in Korea which disgraced the equalitarian world view as recent-modern universality with the emotion of ‘anger and wrath.’ Jo Hae-il, in「America」(1972), attempted to overcome Korean males’ helplessness feeling about women in the Army bases with sympathy. Jo Hae-il, in describing the situations of residents in Army base villages, defined them as surviving cowards. They endured the hidden darkness of Korean modernization by taking on the share of suffering. Jo Jeong-rae, Sin Sang-ung, Jo Hae-il, etc. were young writers who were born in the second half of 1930s to early 1940s. They underwent April 19 Revolution and June 3 Korea-Japan Talks Opposition, thus allowing themselves to be inclined to be nationalist democratic. Relatively autonomous print media such as 『Hanyang』, 『Sanghwang』, and『Sedae』were published, offering a wider range of stage for writers to publish works critical of recent-modern system and Korean reality. In this context, the writers in the 1970s began to see the stationing of U.S. Army bases as the intrusion on recent-modern equality. They also saw the history of Korea as the history of disgrace, reinforcing their relative and objective preception of U.S. This movement was the starting point of the explosive spread of anti-America perception in Korea in the 1980s. Intellectual writers in the 1970s illustrated the U.S. Army bases (villages) in a bid to reconstruct the relationship between U.S. as the central nation and Korea as the peripheral nation. This enabled them to own the center again from the peripheral area and thus to fully describe the operation pattern of the exclusivity and violence of the recent-modern system. In particular, the writers’ illustration of the U.S. Army bases (villages) in the 1970s led to the reinforcement of national emotion, then prompting intellectual writers to reinforce the relative objection and subjection of the U.S. and the U.S. Army. 1970년대초 한국 작가들은 미군기지(촌)을 서사화함으로써 근대의 주변에서 중심을 가리키는 문화정치를 수행했다. 1970년대 미군기지 내의 카투사 및 미군기지촌 여성들은 한국 근대의 주변부성을 현시할 뿐만 아니라, 세계체제의 하위체제에 위치한 한국 근대의 부정적 이데올로기를 내파하는 존재들이었다. 이들을 바라보는 한국 남성 작가들의 시선은 지식인의 불안의식과 열등감, 그리고 근대 이데올로기로서의 평등권에 대한 강한 열망을 드러냈다. 미군기지(촌)을 형상화한 주목할 만한 소설로 조정래의 「타이거 메이져」(1973), 신상웅의 「분노의 일기」(1972), 조해일의 「아메리카」(1972)를 꼽을 수 있다. 조정래는 「타이거 메이져」에서 한국군 장교와 카투사를 내세워 미군과 대등한 능력과 권리를 지닌 한국군을 형상화했다. 조정래는 열등감과 실재하는 불평등을 ‘실력론’과 ‘영웅적 지도자론’을 통해 낭만적으로 극복하려 했다. 신상웅은 「분노의 일기」에서 한국인의 내면에 자리한 식민주의적 인식과 미군의 점령군적 관점을 동시에 비판했다. 신상웅은 근대적 보편성으로서 평등주의적 세계관이 한국 내 미군 주둔으로 인해 짓밟히는 상황에 대해 ‘화와 분노’의 감정으로 대응했다. 조해일은 「아메리카」(1972)에서 기지촌 여성의 상황에 대해 한국 남성으로서 느끼는 ‘무력감’을 ‘공감’으로 변화시키려는 시도를 했다. 조해일은 기지촌 거주민의 상황을 ‘살아남은 자의 비겁함’으로 규정했고, 그들은 ‘고난의 몫’을 감당함으로써 ‘한국 근대화’의 은폐된 어둠을 견뎌내고 있다고 했다. 조정래·신상웅·조해일 등은 1930년대 후반과 40년대초에 출생한 젊은 작가들이었다. 이들은 4·19혁명과 6·3 한일회담반대투쟁을 경험함으로써 민족주의적 성향을 갖고 있었다. 매체 환경적 측면에서는 『한양』, 『상황』, 『세대』 등과 같은 잡지들이 간행됨으로써, 작가들이 근대체제와 한국현실을 비판하는 작품을 발표할 수 있는 장이 넓어졌다. 이러한 맥락에서 1970년대 작가들은 미군기지 주둔을 근대적 평등권의 침해로 바라보기 시작했고, 한국의 역사를 ‘오욕의 역사’로 바라봄으로써 ‘미국에 대한 상대적이면서도 객관적인 인식’을 강화해나갔다. 이것이 1980년대 한국내 반미인식의 폭발적 환산의 출발점이 되었다. 1970년대 지식인 작가들은 미군 기지(촌)을 형상화함으로써 중심국인 미국과 주변국인 한국의 관계를 재구성하려 했다. 이는 주변에서 중심을 다시 사유함으로써, 근대체제의 ‘배제와 폭력’의 작동양상을 묘파하는 효과를 낳기도 했다. 특히, 1970년대 작가들의 미군 기지(촌) 형상화는 민족적 정서의 강화로 이어져, 지식인 작가들의 ‘미국과 미군’의 상대적 객관화와 주체성의 강화로 이어졌다.

      • KCI등재

        인버전(Inversion)이 미국 조세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류지민(Ryu Jimin) 한국세법학회 2014 조세법연구 Vol.20 No.3

        인버전(inversion)은 미국 유명 다국적 기업들 사이에서 성행하는 합병거래 유형의 하나로,최근 미국에 본사를 둔 다국적 기업이 미국의 높은 법인세율의 적용을 피하기 위하여 세율이 낮은 국가의 동종 경쟁 회사와 합병, 본사를 옮겨 ‘국적’을 이전하는 국제인수·합병(cross-border M&A)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인버전은 정치·경제계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는 미국 월가 금융회사의 새로운 수입원으로 등장하고있기도 하다. 더 나아가 인버전은 장기적으로 향후 미국 조세정책 형성 관련 개혁 논의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인버전의 문제점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는 2014.4. 미국 제약회사인 화이자(Pfizer)의 영국의 동종 회사인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와의 합병 추진 계획이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으면서 시작되었다. 특히 이와 같은 인버전은 미국의 유명 다국적 기업들이 애국심보다는 조세전략을 통한 이윤 추구라는 실리에 보다 무게를 두고 미국 본사를 외국으로 이전하여 소위 ‘기업 시민권(corporate citizenship)’을 포기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미국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사실 미국 다국적 기업의 인버전 거래는 이미 1990년대부터 조세피난처의 페이퍼 컴퍼니(paper company)를 이용한 방식으로 시작되었다. 미연방의회는 2004년 이에 대응하여 ‘American Jobs Creation Act of 2004’ 의 일부로 강력한 반인버전 규정인 IRC(Internal Revenue Code)Section 7874를 제정하기에 이른다. 그런데 2014년 이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인버전 거래와 관련하여 참고할 점은, 이들이 현행법인 미국연방세법 Section 7874의 제재를 받지 않는 유형의 거래라는 사실이다. 즉, 미국 내국법인이 법인세율이 낮은 외국의 동종 업계 기업과의 합병을 통하여 본사를 이전하는 거래 방식은 법에서 요구하는 실질적인 합병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미국 연방세법의 규제를 받지 않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반영하여 미국 재무부(Treasury Department)와 국세청(Internal Revenue Service, IRS)은 2014. 9. 22. Notice 2014-52로 인버전과 관련 거래를 강력하게 규제하는 새로운 규정을 발표하면서 향후에도 추가적인 조치를 취할 것임을 밝힌 바 있다. 미국 다국적 기업이 행하는 인버전 거래가 정당하다고 보는 학자들은 미국의 현행 조세 시스템의 문제점을 인버전의 주된 원인으로 지적하고 있다. 이들은 미국 법인세(corporate income tax)의 문제점과 관련하여, 현행 전세계 기준 과세체계(worldwide tax system)를 영토적 과세체계(territorial tax system)로 전환하고 현재의 높은 법인세율(35퍼센트)을 OECD국가들의 평균 법인세율 수준으로 낮출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하여 반대 입장을 취하는 학자들은 미국 다국적 기업이 실제로 법정 법인세율 전액을 납부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하면서, 이들 기업은 국제적인 영업 경험을 통하여 발전시킨 자신들의 공격적 조세회피 전략을 활용하여 외국 기업과의 경쟁에서 충분히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한다. 따라서 경쟁자들로부터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 어쩔 수 없이 인버전 방식을 선택했다는 다국적 기업의 변명은 신뢰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현재 인버전을 둘러싸고 미국 내에서 벌어지고 있는 논쟁은 미국의 독특한 조세 시스템에 관한 것이기는 하지만 국가 간 조세 경쟁 등 국제조세 문제와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점에서 우리 세제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한다. Tax inversion, or corporate inversion, is the relocation of a corporation"s headquarters to a lower-tax nation, or corporate haven, usually while retaining its material operations in its higher-tax country of origin. The term ‘inversion" is most frequently used in relation to US corporations. More recently, publicity has focused on corporate inversions conducted by way of merger with companies in lower-tax foreign countries. The issue was first subjected to a great deal of publicity in April 2014 by the proposed merger between Pfizer and AstraZeneca. A new wave of inversions began in the late 1990s. In response to highly publicized inversions, Congress enacted section 7874 as part of the American Jobs Creation Act of 2004. Section 7874 potentially taxes inverted companies and some shareholders upon an expatriation transaction. But there is one type of inversion transaction that the statute has not shut down. It involves a substantive merger between a U.S. company and a foreign company in which the shareholders of the domestic company hold less than 80 percent (or 60 percent) of the shares of the new entity after the transaction. Unlike the single reincorporations of the late 1990s, these merger transactions are real business combinations. Tax inversions have become a public policy issue, as those transactions likely cause substantial tax revenue losses and have an undesirable effect on U.S. economy. American politicians and government officials, including President Barack Obama and Treasury Secretary Jack Lew, have issued statements calling U.S. multinationals" ‘citizenship renouncement" by tax inversions ‘unpatriotic", and various proposals have been discussed to prevent tax inversions. Finally, in September 22, 2014, U.S. Department of the Treasury and the Internal Revenue Service issued a notice (IRS Notice 2014-52) that takes targeted action to reduce the tax benefit of corporate tax inversions. The U.S. corporate income tax rate is 35percent, which is much higher than corporate tax rates in most other countries. And the United States is one of the last remaining countries to use a worldwide system. According to the supporters of inversion, the combination of these two key attributes of the U.S. tax system penalizes U.S. multinationals relative to their foreign competitors and has encouraged a wave of inversions. Scholars who criticizes tax inversion contend that most U.S. multinationals don"t pay anywhere near 35 percent, and suggest that companies are so clever with ‘aggressive tax planning" technologies that many of them are able to take full advantage of the current system, which make them more competitive than their foreign rivals. As this heated debate on inversion in U.S. involves the U.S. tax system as well as international taxation system, I believe that the inversion issue in U.S. will give us insights into what the good system for international tax competitiveness would be like.

      • KCI등재

        일반논문 : 주한미군 기지의 평택 이전과 비판지정학적 해석

        윤철기 ( Cheol Gee Yoon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2015 북한학연구 Vol.11 No.2

        이 연구는 주한미군 기지의 평택 재배치에 대한 비판지정학적 해석이다. 주한미군 기지 이전은 9.11 테러 이후 미국의 국가안보전략의 변화된 결과이다. 미국의 신안보전략은 해외주둔 미군의 ‘전략적 유연성’개념으로 요약된다. 그리고 이는 한반도에서 주한미군 기지의 평택 이전으로 구체화된다. 미국의 새로운 세계전략은 지역수준에서 관철되어야만 비로소 실현될 수 있다. 하지만 미국의 안보전략은 평택 지역사회의 반대에 부딪히게 된다. 이에 한국 정부는 서로 대립하고 있는 주한미군과 지역사회의 중재자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한국정부는 한편으로 미국의 전략적 유연성 정책을 수용함으로써 한미 동맹을 강화하고, 다른 한편으로 한국 국가안보를 강조하고 지역개발을 제안함으로써 지역사회를 설득하려했다. 그러나 시민운동 진영과 지역사회는 한반도의 평화와 지역주민의 권익보호를 위해서 서로 연대하여 주한미군과 한국정부의 입장에 반대하고 저항했다. 결과적으로 한국정부는 지역주민들에 대한 설득에 실패했다. 그리고 결국 중앙정부는 최후의 수단인 ‘행정대집행’이라는 공권력 행사를 통해서 문제를 해결했다. 그렇지만 이러한 방식의 문제해결은 한국사회에 존재하는 주한미군과 한미동맹 그리고 한국정부에 대한 불신을 증폭시킬 가능성이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지역주민들이 납득하지 못한다면 어떠한 정책도 성공하기 어렵다. This research is the interpretation of critical geopolitics about the movement to Pyungtaek of U.S Military base. The movement of U.S military base was the result of the new national security strategy of U.S. after 9.11 terror. The new national strategy of United States are summarized in the ‘strategic flexibility’ of U.S. overseas forces. And this also applied to the Korean Peninsula, and materialized therethrough the U.S. Forces in Korea(USFK) pushed ahead with the movement to Pyung-Taek of the military base. The U.S new strategy could succeed only when it practiced on local level, but the local society of Pyung-Taek did not agree it. So, the Korean government was a mediator between the USFK and the local society. The Korean government, on the one hand, tried to boost the U.S-Korea alliance by accepting the U.S. strategic flexibility policy, on the other hand, to persuade the local society by emphasizing the Korea national security and proposing development plan of local economy. The civil group, however, showed solidarity with the local society for the peace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protection of local residents’ rights and interest and resisted the USFK and the Korean government. As a result, the Korean government tried to solve the problem through exerting the governmental authority. But,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USFK have bear in mind that the this forced execution can amplify distrust of the USFK, the US-Korea alliance, and the Korean government in the Korean society. Any polices can not succeed, if the local residents can not accept it.

      • KCI등재

        Political Stability and Relocation of U.S. Military Bases in Okinawa: A Case Study Based on In-depth Interviews

        Ryota Hiyane,박룡 한국국방연구원 2022 The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Vol.34 No.3

        Japan and the United States have been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political stability in Okinawa because of their national defense, security, and other interests, especially regarding the so-called “China threat.” Okinawa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as the location for U.S. military bases for a long time, and 2022 marks 50 years since Okinawa’s return to Japan following the post–war U.S. occupation. Although Okinawa is now included in Japan’s peace constitution, U.S. military related incidents continue, including a 1995 incident that incited a massive antibase protest. Japan responded with a series of economic compensation measures for Okinawa; furthermore, Japan and the United States agreed to relocate the U.S. Futenma air base to another part of Okinawa, Henoko, to stabilize the base politics. However, the over-concentration of U.S. military bases in Okinawa has caused major dissatisfaction among the residents. This paper therefore utilized the Japan’s Futenma base relocation process and its governance as a research case by employing t he methods of firsthand literature, discourse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to analyze the factors of political stability and base reloca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found the following three factors—more direct compensation, unique history, and the Henoko environment—that made the relocation of the Futenma base to Henoko possible.

      • KCI등재

        전후 일본문학 속의 주일 미군기지 표상과 한국전쟁

        남상욱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21 일본사상 Vol.- No.41

        이 글은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걸쳐 본토의 이른바 ‘주류’ 문단에 속하는 작가의 작품 속 미군기지 표상 변화를, 마쓰모토 세이초의 「검은 피부의 문신」(1958) 과 다쿠보 히데오의「깊은 강」(1969) 속의 미군기지 표상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점령기 검열로 인해 베일에 가려졌던 미군기지는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이후 일본 문학 작품 속에서 본격적으로 표상되지만, 그것은 주로 ‘풍요로움’이라는 형용사로 대표되는 물질적 풍요로움이었다. 반면 「검은 피부의 문신」은 한국전쟁으로 인한 미군기지의 군사적 성격 강화를 드러내는 데 성공하지만, 흑인 병사 전사자에 지나치게 초점을 맞춘 나머지 인종적 차이를 이념적 차이로 바꾸려는 냉전체제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 미군기지가 잠재적 핵의 보유 장소로서 인식되었던 1960년대 후반에 발표된 「깊은 강」은 한국전쟁이 결코 일본열도와 무관한 전쟁이 아니었음을 환기시키는 데 그치지 않고, 일본 내에 미군기지가 존재하는 한 일본 외부에서 벌어지는 전쟁으로부터 빠져나가 전통적인 마을 공동체로 귀환하는 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지를 인식시킨다는 점에서 냉전 체제의 문제성을 잘 드러내는 텍스트이다. 일본인 작가들의 미군기지 표상은 재일조선인 작가들이나 오키나와 작가들의 그것과 비교해볼 때 여전히 냉전에 관여되고 있는 일본에 대한 비판적 인식이 부족한 것은 사실이지만, 한국전쟁이 일본 내 미군기지의 성격을 어떻게 바꾸었는지를 보여줌으로써 반기지투쟁과 미군기지 철수가 어떠한 정서 속에서 이루어지게 되었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narrative aspects of the US military base in Japanese novel From the 1950s to the 1960s, focusing on the representation of US bases in “Kurojinoe” (1958) by Seicho Matsumoto and “hukaikawa” by Hideo Takubo. (1969). The U.S. military base, which was not represented due to censorship during the occupation period, was represented in earnest in Japanese literature after the San Francisco Treaty of Reinforcement. But it was mainly material abundance represented by the adjective ‘richness’. On the other hand, “Kurojinoe” succeeds in revealing the strengthening of the military character of the US military base due to the Korean War. However, the meaning of the Cold War system to change racial differences into ideological differences is not understood properly because it focuses too much on black soldiers. “hukaikawa”, published in the late 1960s when the U.S. military base was recognized as a potential nuclear possession site, reminds us that the Korean War was never a war unrelated to the Japan. And this is a text that clearly reveals the problems of the Cold War system, as long as there is a U.S. military base in Japan, how difficult it is to escape from war outside Japan and return to the traditional village community. Compared to that of Korean writers and Okinawa writers in Japan, it is true that these Japanese writers lack critical awareness of Japan, which is still involved in the Cold War. However, they show how the Korean War changed the nature of U.S. military bases in Japan, helping to understand how the anti-base struggle and withdrawal of U.S. military bases took place.

      • KCI등재후보

        미국의 역외군사시설에 관한 환경보호법제

        오미영(Oh, MiYoung) 한양법학회 2007 漢陽法學 Vol.20 No.-

        Korean and the U.S. governments have been discussing on details surrounding the returns of the U.S. military bases since May 2005. However, the discussion is at a deadlock due to conflicting opinions between parties. Korean delegation argues that the U.S. Forces in Korea should burden to delete polluting factors in accordance with the ‘polluters pay principle’ and the ‘Tab A to the Joint Environmental Information Exchange and Access Procedures’ in 2003. However, based upon the provisions in the ‘Memorandum of Special Understandings on Environmental Protection’(hereinafter the ‘Special Understandings’), the U.S. delegation disagrees on the opinion of Korean delegation. In other words, under the Special Understandings, the U.S. Forces in Korea is responsible only when there is a clear and present danger to human health, and it is difficult to find such an eminent danger in the present issues. In particular, this article examined the U.S. laws, and the author concluded that the U.S. laws can apply unfavorably to hosting countries due to the lack of concreteness of the related legal standards. In addition, the passive attitude of the U.S. government on environmental harms by U.S. forces in foreign countries to minimize the environmental recovery payment is one of the reasons of spreading environmental conflicts between the U.S. forces and hosting countries.

      • KCI등재

        촌락공유지의 변천 과정을 통해서 보는 지역사

        진필수(Jin Pil Su) 역사문화학회 2007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0 No.1

        본 논문은 오키나와에서 대표적인 미군기지 소재 지역으로 알려진 킨쵸의 지역사를 서술한 것이다. 본고의 사례는 오키나와의 문화와 사회를 이해하는 데 있어 다음의 세 가지 논점을 제시해 주고 있다. 첫째, 오키나와에서 ‘시마사회(シマ社會)’라는 말로 흔히 표현되는 촌락공동체 전통의 지속 양상은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경제적 기반과의 관련성 속에서 이해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제적 기반은 촌락공유지라는 오키나와의 독특한 역사적 산물로서 존재하고 있으며, 외부 권력의 끊임없는 침탈 속에서도 촌락공동체가 내적 자율성을 유지하는 근간을 마련해 주었다. 둘째, 킨지역의 촌락공유지, 특히 소마야마의 존재 양태가 촌락공동체를 둘러싼 외부 권력들의 변화와 역학관계, 그리고 지배 방식에 의해 결정되어 왔다. 이 점에 주목한다면, 오키나와 지역사에 대한 연구가 동아시아 지역체계의 구조와 역사, 그리고 전후 동아시아를 지배해온 미국의 군사적 패권주의에 대한 연구와 연결될 수 있음을 새삼 인식할 수 있다. 본고에서 서술한 소마야마의 소유 및 이용 방식은, 근세에는 류큐왕국에 의해, 근대에는 일본 국가권력의 지배와 민권운동세력이라는 변수에 의해, 전후에는 미국의 초국가적 군사권력의 지배와 오키나와의 대중 정치세력이라는 변수에 의해, 일본복귀 후에는 미군, 일본정부, 오키나와 중심부 정치권력의 역학관계에 의해 결정되어 왔다. 셋째, 본고의 사례는 오키나와 촌락 사회의 이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오키나와 사회 전체의 문화적 흐름을 조망해 주고 있다. 촌락공유지는 소마야마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현재 오키나와 각지에 산재해 있다. 이러한 촌락공유지는 전후 산업화 및 도시화, 또는 군용지료의 인상으로 인해 경제적 가치가 상승되어 왔다. 그 결과, 킨지역 뿐만 아니라 오키나와 지역 전체에서, 1980년대 중반 이후 전통적 사회조직이 강화되거나 전통예능과 축제가 활성화되는 방식 등으로 촌락공동체의 전통이 새롭게 강화될 수 있는 경제적 조건이 형성되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local history of Kin Town which is known as a typical case of the U.S. Army bases in Okinawa. The case study in this paper suggests three points at issue in understanding Okinawa s culture and society. Firstly, the the village community tradition needs to be comprehended in regard to its economic basis which enables it to function in Okinawa. This economic basis remains as the village communal land that is Okinawa s unique historical product, and it helped the village community to maintain its self-autonomy in spite of continuous intrusions of external powers. Secondly, Kin villages' communal land, especially Somayama s existent mode, has been formed by the dynamics and changes of external powers surrounding the village community. By focusing on this, this paper shows that a research on Okinawa's local history is related to analyzing the regional system's structure and history in East Asia and the U.S. military hegemony which has been dominating post-war East Asia. Somayarna's modes of possession and usage have been decided by Japanese state power and civil rights movement in the modern age, by the U.S. transnational military rule and Okinawa's popular political force in the post-war period, and by the power dynamics between the U.S. the Japanese government, and Okinawa's political power-holders after the reversion of Okinawa. Lastly, the case study in this paper is not limited to understanding a Okinawa's village community, but further illuminates the cultural pattern in Okinawa society as a whole. A village communal land is found not only in Somayama, but also in diverse forms in other places in okinawa, and its economic value has been continuously appreciated due to the post-war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and the increase of lease money for military bases. This has brought about the economic conditions to rebuild the village community tradition, and therefore traditional social organizations have been reinforced, and traditional arts and festivals have been revitalized since the mid 1980's not only in Kin Town, but also all over Okinaw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