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불심검문제도의 법률상 문제점과 개선방안

        김효진(Kim, Hyo-Jin),정대권(Jung, Dae-Guon) 한국민간경비학회 2014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13 No.3

        As one of the enforcement methods, "Police stop and question" is a system to prevent crimes and detect early, ruled in Law of Enforcement by police officers. Even though it can be fundamentally an arbitrary measure, police officers have performed much of their work through "Police stop and question". However, when it comes to "Police stop and question", many problems about legal and operational issues have been posed. Because of it, police officers have difficulty in conflicting with citizens while enforcing law. As the first stage of the meeting between citizens and police officers, "Police stop and question" functions as a criterion to estimate the justice of exercising of public power in the society, placing the interface between governmental authority and human rights. In other words, "Police stop and question" will need to be considered to have two objectives, which are the maintenance of the public order through prevention and suppression and guaranteeing human rights by legal process, at the same time. Theoretically, these two objectives are in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in terms of "Police stop and question", but they are in a strained relationship conflicting at the contact point in reality. In order to reconcile these two objectiv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requirement, object and procedure of "Police stop and question" strictly by law. Moreover, the police officers who enforce the law have to make an effort to observe the law and put it in practice in the process of exercising public power. This paper tries to focus on grasping the legal character of "Police stop and question" in the second chapter, examining the procedure of "Police stop and question" theoretically in the third chapter, and suggesting the legal problem and improvement plan of "Police stop and question" in the fourth chapter. 한국의 경찰관직무집행법 제3조에 규정되어 있는 불심검문은 경찰의 직무집행수단의 하나로서 범죄를 예방하고 조기발견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로 본질적으로는 임의처분이라 할 수 있으나 현실적으로 경찰관들은 업무의 많은 부분을 불심검문을 통해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불심검문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법적인 문제점과 운용상의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으며 이로 인해 경찰관들은 법집행 현장에서 시민들과 마찰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불심검문은 '시민과 경찰의 만남'이 이루어지는 최초의 단계로서 공권력과 인권의 접점에 위치하여 그 사회의 공권력행사의 정당성을 가늠하는 척도로서의 기능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즉 불심검문은 범죄의 예방과 진압을 통한 치안유지와 적법절차를 통한 인권보장이라고 하는 두 가지 목적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불심검문에 있어서의 이 두 가지 목적은 이론적으로는 상호보완적인 관계이지만, 현실에 있어서는 접점에서 서로 충돌하는 긴장관계에 놓여있다고 할 수 있다. 불심검문제도가 가지고 있는 이 두 가지 목적을 조화롭게 이루어내기 위해서는 법률로써 불심검문의 요건, 대상, 절차를 엄격히 규정할 필요가 있으며, 공권력을 행사하는 과정에서 법을 집행하는 경찰관의 준법의지와 실천적 노력이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은 제2장에서 불심검문의 법적 성격을 파악하고 제3장에서 불심검문의 절차에 관한 이론적 검토를 한 후 제4장에서 불심검문의 법률상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인권보장을 위한 경찰관직무집행법상 불심검문에 관한 연구

        이영우(Lee Youngwoo),박종렬(Park Jongryeol),견승엽(Kyen Seungyup) 한국법학회 2016 법학연구 Vol.62 No.-

        경찰관직무집행법상 불심검문은 경찰 재량권의 행사와 피검문자 인권보장 사이에서 꾸준히 문제가 제기 되어 오고 있다. 최근에도 2015년 학생에게 세월호 사건을 애도하는 리본을 달았다는 이유로 경찰관이 불심검문을 하여 경찰권 남용, 인권침해 문제가 제기 되었다. 경찰권 행사는 다양한 상황에 따른 경찰관 개인의 판단이 필요한 특성상 재량권이 인정된다. 정지 대상자 선정에 관한 요건이 ‘수상한 거동’, ‘합리적인 판단’ 등 추상적 용어로 규정한 이유도 바로 이러한 이유이기도 하다. 재량권의 일탈 ․ 남용은 위법 ․ 부당의 문제를 야기시키기 때문에 재량기준을 공표하여 이를 통제되어야 하지만 경찰의 주관적 판단에 대한 기준을 설정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므로 경찰관 신분증 제시, 질문의 목적 고지, 임의동행 거부권 고지 등 행정절차를 통하여 이를 통제하고 있다. 본 논문은 불심검문과 인권 침해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불심검문의 법적 성격에 대하여 고찰하고 최근 국가인권위원회의 결정과 법원 판결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복경찰관의 신분증 미제시와 정지 불응 시 유형력 행사 문제가 가장 많이 발생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첫째, 모든 경찰관은 정복을 입은 것과는 관계없이 신분증을 제시하도록 하고, 둘째, 정지 불응 시 유형력 행사는 범행의 경중, 범행과의 관련성, 상황의 긴박성, 혐의의 정도, 질문의 필요성 등에 비추어 목적 달성에 필요한 최소한의 범위 내에서 사회통념상 용인될 수 있는 상당한 방법 중 피검문자가 불심검문을 자유롭게 거부할 수 있을 정도의 심리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기타 방안으로 불심검문 후 문제가 없을 시 경찰관은 그 즉시 사과를 하게 하거나, 경찰관과 피검문자가 녹취를 하게 하여 인권 침해 여부를 사후적으로 통제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stop and question in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so-called APDP) has been steadily brought up public could be generally considered to be potential criminals, even though the stop and question would have more effective sanction against questionable-but- potential outbreak of crimes in the aspect of crime prevention In 2015, It was heavily argued about the abuse of police authority and invasion of human rights casued by the stop and question of a police, performed on the base that a walking student attached a ribbon commemorating the Sewol ferry(the sorrowful incident of a cruiser called Sewolho sunk in the south sea). Under the article of the APDP by police officers, the police can be permitted to conduct discretionary authority of selecting the questioned in the condition of legally appropriate fulfillment, in the case the police performs the stop and question. However, the human rights invasion can be likely to be caused by miss of police discretionary authority, and therefore, there is due process the police must comply with ; not only presenting a certificate indication identification of the police, informing the purposes of question, but also notifying the rights that the questioned is eligible to refuse accompany to the police station, the patrol division, and substation as well in the event of legally proper performance of accompany. in order to make an observance of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stop-question and the human right invasion, I made a study of the legal nature of the stop and question, and then I made a deep analysis on the influential decisions recently made by National Human Rights Committee and the court precedents. Consequently, a large number of problematic cases are found to be realized in the event of the stop and question, of which the biggest cases are non-presentation of a policemans identity and limitation of the police force performance in the case of requiring a stop for a pedestrian. As a method to correct such the problematic cases in the better way, at first, the entire police must present the identification card, regardless of wearing the police uniform. Second, in the event of no response to requiring a stop, the activation of police enforcement, can be limitedly allowable, not only in the socially-accepted and reasonable way, but, also within the minimum range of police performance necessary to make an achievement, of the goal of the stop and question, in the light, of various criminal factors-seriousness, relevance, and emergency of crime and necessity of question, and so on. Lastly, lf it is questioned without an sensible reason, the questioning police is requested to extend an apology in the sincere and face-to-face way, and the human right invasion of the police performance or not can ve post-controlled through making a sound or video record of the stop and question happening between the police and the questioned.

      • KCI등재

        경찰작용에 대한 법적 고찰 불심검문에서의 신원확인에 관한 법적 고찰

        이영돈 ( Young Don Lee ) 한국경찰법학회 2015 경찰법연구 Vol.13 No.1

        Police stop and question is the important authority for police officers to prevent crimes and arrest suspects. Police duties performance Act in korea states that a police officer can stop and question someone if the officer have probable cause to believe that a person has committed the crime or is intending to commit crime under surrounding circumstances. In recently, some people are likely to refuse to police officer’s request to stop and question. So, Police National Agency and some scholars have suggested that “stop and identify statutes” should be amended in Police duties performance Act in korea. “Stop and identify statutes” is law that authorize for police officers to request and obtain the identification of someone whom they reasonably suspect has committed a crime. However, it has been criticized to pose a potential danger to invade the individual rights such as privacy and the right to remain silent guaranteed by Korean Constitutional Law. This study examined foreign countries‘ laws related to stop and identify. Most major countries have enacted “stop and identify” statutes. For example, some states of United States have “Stop and identify laws that allow police to detain persons and request such persons to identify themselves, and arrest them if they refuse to identify themselves. Especially, Germany, France and Twain have the law permitting for police officers to request one’s identification card in case of emergency situations regardless of committing crime. In conclusion, Korean Police should try to recover people’s trust by obeying the due process of stop and question. Also,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stop andidentify” statutes with systems to prevent people’s individual rights.

      • KCI등재

        불심검문에서 ‘정지’의 요건과 한계 : 미국의 stop and frisk 법리와의 비교

        이영돈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4 法學論集 Vol.18 No.4

        불심검문은 범죄예방과 범인검거를 위한 경찰의 핵심적 권한이지만 경찰권 남용과 인권을 침해할 가능성이 상존한다. 불심검문의 시작인 정지의 요건 및 한계를 정확하게 해석하고 준수하는 것은 경찰권의 신뢰확보와 인권보호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경찰관직무집행법상 불심검문의 정지의 요건과 한계에 관한 법적 문제를 미국의 Stop and Frisk(불심검문)의 법리와 비교하였다. 정지의 요건에 있어서 우리 법은 범죄혐의에 관한 ‘상당한 이유’를 요건으로 하여 미국에서의‘합리적인 의심’보다 더 높은 수준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법상 불심검문의 실체적 요건으로서의 ‘상당한 이유’를 보다 더 엄격하게 적용하여 자의적인 불심검문을 억제하는 것이 요구된다. 최근 불심검문을 위한 정지요구를 거부하는 경우가 증가함에 따라 유형력을 행사하여 강제로 정지시킬 수 있는지 여부가 문제된다. 대법원은 ‘범행의 경중’ 등에 비추어 사회통념상 용인될 수 있는 상당한 방법으로 유형력을 행사할 수 있다고 판시하였다. 반면 미국에서는 무기 사용 등 유형력(force) 행사의 기준으로 ‘합리성(reasonableness)’을 요구한다.유형력 행사의 적법성을 확보하여 인권침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범죄의 경중 및 상황, 긴급성 등을 기초로 세부적인 유형력 행사의 기준을 마련하여야 한다. 정지한 후에 질문 등을 위하여 대상자를 장시간 정지시켜 조사를 하는 것은 신체의 자유를 과도하게 침해하여 불법체포가 될 수 있다. 미국에서는 정지 목적에 필요한 이상으로 장시간 정지하면 사실상 불법체포로 인정한다. 합법적으로 허용되는 정지 시간은 단순한 시간뿐만 아니라 대상자의 범죄혐의 등 총체적 상황이 고려되어야한다. 불심검문은 그 직무수행에 필요한 최소한으로 행사되어야 하고, 남용되어서는 안된다. 불심검문의 정지의 요건에 대한 정확한 기준의 마련과 함께 경찰실무에서도 보다 전향적인 자세로 적법한 법집행이 될 수 있는 노력이 요구된다. Police stop and question is the important authority for police officers to prevent crimes and arrest suspects. However, it has been criticized to pose a potential danger to the invasion of an individual rights. Police Duties Performance Act in Korea states that a police officer can stop and question someone if they have probable cause to believe that a person has committed the crime or is intending to commit crimes under surrounding circumstances. In particular, stop by police officer is the beginning of stop and question. In these days, some people are likely to refuse to police officer’s request to stop. In this case, it is not clear whether police officer can use physical force to stop someone. The Supreme Court recently held that the police officer`s action to stop and block the movements of the person who refused to stop and seemed to be the suspect is permissible and reasonable considering the seriousness and involvement of crime, urgency of the situation and necessity of the question. Yet, there is no objective guidelines for police officers to use force when people do not obey the police stop request. This study examined the legal condition and limits of police stop compared to ‘stop and frisk’ in United States. In the United States, ‘stop and frisk’, which is called “Terry stop”, is a brief detention of a person by police on reasonable suspicion of involvement in criminal activity. The Supreme Court of the United States held that police may briefly detain a person whom they reasonably suspect is involved in criminal activity. The Court also held that police may do a limited search of the suspect’s outer garments for weapons if they have a reasonable and articulable suspicion that the person detained may be “armed and dangerous”. Reasonable suspicion depends on the “totality of the circumstances”. Based upon this research, this study suggests that more clear and objective guidelines for police stop should be established.

      • KCI등재

        불심검문의 한계설정에 관한 고찰

        이재방 ( Jae Bang Lee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홍익법학 Vol.13 No.4

        Individual`s freedom and rights protected by the Constitution could be restricted only as long as measures taken to maintain public security, welfare, and law and order can not violate the essential part of the freedom and rights. To protect social peace and to arrest a suspect effectively, specific and objective measures should be introduced, which leads to ensure legitimacy of police conduct for crime prevention and detection in the pre-stage of investigation In this context, the provision of police questioning in ``the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 states : (1) that a police officer can stop and question a suspect if there is probable cause that the suspect committed the crime or are intending to commit it under reasonably considering the suspicious actions or surrounding circumstances; (2) that the officer can also stop an person who seemed to know the finished or committing crime; and (3) that in the course of questioning, the officer can search whether the suspect possess weapons. As for a police officer`s stop, the Supreme Court concluded that immediately after snatching, the police officer`s conducts to stop and block the movements of the persons who seemed to be similar features of the suspect in order to question are reasonable action with consideration of the degree of criminal seriousness, involvement of the crime, urgency of the situation, degree of suspicion, and needs of the questioning. Although the Court`s conclusion justifies the officer`s restrictive use of physical force such as movement interference, there have still been no objective standards for the suspicious persons who do not obey the police stop. Assuming the need of police questioning measures above mentioned, the paper deals the permissible standards for ``police questioning pursuant to the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 in order to dispel worry of the violation of basic rights and to make effective police questioning, and then illuminates the successive measures for those who do not obey lawful stop and police questioning. Based upon this review and due process of law in the constitution, the paper suggests that more strict and objective standards for police stop should be established, and that restrictive detention by police officers could be allowed to those who do not obey police stop.

      • KCI등재

        영국법상 경찰권 행사의 근거와 한계

        안동인(Ahn, Dongin) 한국비교공법학회 2016 공법학연구 Vol.17 No.4

        영국의 경찰체제는 자치경찰제로 형식적으로는 지방분권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기술 및 통신의 발달과 범죄의 광역화․전문화에 부응하며, 나아가 경찰활동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지방경찰에 대한 중앙의 통제가 차츰 강화되어 왔다. 그러나 2011년 「경찰개혁 및 사회책임법」에 따른 입법적 개혁에 따라서 향후에는 지방자치와 중앙집중의 조화와 균형이 보다 면밀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경찰권 행사의 근거와 관련하여 현대 영국 경찰제도에서 주목하여야 할 가장 큰 특징은 바로 1984년 「경찰 및 형사증거법」의 제정 및 적용이라 할 수 있다. 본고는 행정경찰에 초점을 맞추어 우리의 「경찰관직무집행법」상의 ‘불심검문’과 1984년 「경찰 및 형사증거법」 제1부의 ‘정지 및 수색에 관한 권한’을 상호 비교․검토해 보았다. 1984년 「경찰 및 형사증거법」은 수색의 요건과 절차를 상세하게 입법화하고 있으며, 특히 우리에게는 규정이 없는 수색에 관한 기록의무를 자세하게 규정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 볼 수 있다. 1984년 「경찰 및 형사증거법」의 이와 같은 장치들은 인권침해의 소지가 높은 불심검문과 같은 경찰작용에 유발될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한 통제장치로서 그 의의가 인정된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경찰권 행사의 한계와 관련하여 영국 경찰제도의 특징적인 점은 바로 구조적 측면에서의 경찰권의 통제라 할 수 있다. 영국의 경우에는 독일, 일본이나 우리의 경우와는 달리 작용법적 측면에서의 경찰권 행사의 한계에 대한 틀은 뚜렷하게 존재하지 아니 하나, 상대적으로 구조적 측면에서의 통제원리가 발달해 있음을 찾아 볼 수 있다. 즉 과거에는 “(지방)경찰위원회 - 지방경찰청장 - 내무장관” 상호 간에, 그리고 현재는 “지역치안평의회 - (지역)치안위원장 - 지방경찰청장 - 내무장관” 상호 간에 충실한 견제와 균형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현대 영국 경찰의 본질적인 구조적 측면에서의 통제원리 및 경찰조직상의 권한분배는 우리의 경찰권 통제 및 조직관리에 대해서도 시사하는 바가 상당하다 할 것이다. Although the U.K. police system has assumed the form of decentralization, central control over local police has gradually been strengthened to meet the changes in circumstances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policing. But it is expected that harmony and balance between local autonomy and centralization would be done more carefully in the future according to legislative reform of 「Police Reform and Social Responsibility Act 2011」. Meanwhile, the most outstanding feature with regard to the basis of the police power in the U.K. police system is the enactment and application of 「Police and Criminal Evidence Act 1984」(hereinafter called ‘PACE’). This article compared ‘stop and question’ under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 in Korea with ‘powers to stop and search’ under PACE. PACE enacted requirements and procedures of the search in detail and set out the duty to make records concerning searches. These provisions could be highly regarded as the control device for side effects which might be caused by stop and question. In addition, the distinct feature with regard to the limits of the police power in the U.K. police system is the control in terms of structure. There is no clear framework for the limits of police power in terms of operational law in the U.K. unlike Germany, Japan or Korea.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control principle has been relatively developed in terms of structure. Mutual checks and balances was made between “police authority - chief constable - Secretary of State” in the past, and then those are being made between “police and crime panel - police and crime commissioner - chief constable - Secretary of State” at present. This control principle, that is, the distribution of authority over the police organization in terms of its fundamental structural aspects, has great implication for controlling police and managing organization in Korea.

      • KCI등재

        민간경비원의 불심검문 가능성에 대한 고찰

        박종철(Park, Jong Cheol) 한국민간경비학회 2021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20 No.2

        이미 민간경비원들은 사회 각 분야에서 매우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고, 이러한 업무수행을 위한 실질적인 권한 확대 논의는 그동안 지속되어 왔다. 현재 독일ㆍ영국ㆍ미국 등에서는 제한된 범위의 경찰권을 부여하는 형태로 민간경비원의 권한 확대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민간경비원의 권한과 지위는 여전히 일반 사인적 지위에 머물러 있으며, 이로 인해 민간경비산업 역시 전문성 강화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민간경비원의 불심검문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이를 위해 민간경비원의 질문검색과 경찰관의 불심검문을 비교ㆍ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질문검색과 불심검문은 법률적 근거 여부는 차이가 존재하였으나, 권한 행사의 목적ㆍ대상ㆍ절차ㆍ성격 등의 부분에서 상당히 유사한 공통점이 발견되었다. 구체적으로 양자 모두 ‘범죄예방’을 목적으로 하고 있고, ‘거동수상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상대방에 대해 ‘질문 및 소지품검사’ 등 절차를 통해 의심점을 해소하고, 모두 상대방의 동의를 전제로 하는 ‘임의적 행위’의 성격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불심검문과 질문검색은 제도의 유사성은 매우 높으나 법률적 근거 여부만이 차이가 있으므로, 향후 「경비업법」의 법률 개정을 통해 민간경비원에게 불심검문의 권한을 부여하여 실질적인 범죄예방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e Private security guards are already engaged in a wide variety of activities in each field of society, and discussions have been ongoing to expand the actual authority to carry out these tasks. Currently, GermanyㆍUnited KingdomㆍUnited States of America are implementing a system to expand the powers of private security guards in the form of granting limited police powers. However, the authority and status of private security guards in Korea remain in the status of a general private person, and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is also experiencing great difficulties in strengthening its expertise. In order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this study considered The possibility of Stop anc Question in Act by private security guards . As a result of the study, although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legal basis between the question search and the inquisitive examination, a fairly similar commonality was found in the purpose, subject, procedure, and nature of the exercise of authority. Specifically, both of them are aimed at crime prevention , and target suspicious person , and resolve doubts through procedures such as questioning and inspection of belongings for the other party, and both are subject to the consent of the other It was found to have the character of voluntary action . In conclusion, although the similarity of the systems of the unsuspecting inspection and the inquiry search is very high, there is a difference only in the legal basi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give the private security guards the authority to conduct an unintentional inspection through the revision of the law so that they can perform practical crime prevention work.

      • KCI우수등재

        부심검문(不審檢問)의 한계에 관한 비판적 고찰

        강동욱 ( Dong Wook Kang ) 법조협회 2005 法曹 Vol.54 No.6

        경찰관의 불심검문은 범죄예방과 치안유지를 위한 필요수단으로 인정되고 있다. 이에 경찰에서는 강력범죄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방침의 일환으로 2004년 8월 12일 ``공권력확립 종합대책``을 수립하면서, 총기사용의 완화와 함께 불심검문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이에 불응하는 자를 처벌하는 근거규정을 두는 방향으로의 경찰관직무집행법 개정을 추진하였다. 경찰의 이러한 움직임은 그동안 강력범들이 경찰의 검문에 걸리지 않고 활보할 수 있었던 것은 불심검문에 불응할 수 있는 현행 제도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에 근거한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먼저 현행법상 경찰관이 불심검문의 성격을 밝히고, 불심검문의 유형별로 나누어 그 내용 및 허용되는 범위와 수단은 어디까지이며, 어느 정도의 유형력을 행사할 수 있는가에 대하여 국내외 학설을 비교 검토하여 이론적으로 정리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하여 현행 경직법의 개정 필요성에 대하여 이론적·실제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테러범죄에 대한 수사 관련 입법방향

        한제희(Han, Je-Hee) 한국테러학회 2011 한국테러학회보 Vol.4 No.2

        테러의 위협이 전 세계적으로 심각해짐에 따라 오래 전부터 테러에 대비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해 오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테러 대비의 필요성이 점차 대중적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고 아울러 테러대응 입법에 대한 관심도 날로 증가하고 있다. 향후 테러대응법이 제정된다면 수사 관련 제도와 절차들은 테러범죄와 그 수사방법의 특성을 감안하였을 때, 기존의 일반범죄 수사에서 인정되거나 준수되어야 하는 각종 원칙이나 요건들을 완화하는 수준에서 결정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에 실제 법 시행과정에서 인권침해 논란이 제기될 가능성도 농후하여 향후 많은 갈등의 소지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테러대응법제가 마련되어 있지 않고, 테러에 대비하기 위한 기반조차 조성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가 있어 왔다.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여 테러에 대비하기 위한 기본법을 마련하기 위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수사절차와 관련된 부분에 주목하여 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미 발생한 테러상황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진압하기 위해서는 기존 형사소송법 등이 정하고 있는 일반적 수사절차와는 별도로 테러범죄의 특성을 감안한 효율적인 수사절차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테러범죄에 대한 수사는 대상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테러범죄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과 국민의 인권보장 사이의 어느 지점에 조화로운 절충의 여지가 있는지 고민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테러범죄에 대한 수사와 관련된 입법사항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효과적인 테러범죄수사를 위해서는 합동수사본부 설치, 불심검문 제도 보완, 통신제한조치 절차 보완, 압수수색 절차 보완, 체포·구속 절차 보완, 공소시효 배제 방안, DNA 신원확인정보 수집 방안, 플리바기닝 제도 도입, 비밀수사관 제도 도입 방안 등이 논의되어야만 한다. We prepared various counter-measures to protect against terrorism depending on the threat of terrorism around the world for a long time. In recent, domestic terrorism popularly recognized the need to go gradually, and the legislative response to terrorism as well as interest has been growing. Criminal investigation and terrorism-related systems and procedures that shall take into account the nature of investigative methods if Terrorism Response Act enacted in the future. In this way general criminal investigation or other principles or requirements that must be observed at the level of mitigation would have to be determined. It also, the process of actual law enforcement be going to raised the possibility of a controversial human rights violations and the possibility of many conflicts.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counter-measures movements work abnormally to terrorism in our country and prepare for terrorism is not based, even nurtured, there has been a problem. This reflects the reality of terrorism and to prepare for discussions to prepare the Basic Law has been active. In particular, the investigation should focus on procedures. In this regard, generally Criminal Procedure Law separate from the nature of terrorism,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need to develop effective investigation procedure in order to quickly and effectively deal with terrorism that already occurred the situation. The investigation of terrorist crimes necessary to consider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 target for terrorism and the rights of its citizens to ensure an effective response. In this study, legislation for investigation related to terrorist crimes is to study for establishment of joint investigation center, supplement of stop and question, procedur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minimize, improvement of search and seizure and arrest, exclusion of statute of limitations, identity collection of DNA, introduction of plea bargaining and undercover investigator.

      • KCI등재

        경찰관직무집행법상 임의동행 - 대법원 2020. 5. 14. 선고 2020도398 판결을 중심으로 -

        지은석(En-seok Zi) 대검찰청 2021 형사법의 신동향 Vol.- No.71

        임의동행에는 형소법에 근거를 둔 것과 경집법에 근거를 둔 것이 있다. 경집법상 임의동행의 목적인 불심검문의 성격을 두고 견해가 대립한다. 대법원은 형소법상의 것은 수사작용으로 보는 반면, 경집법상의 것은 행정경찰작용으로 파악한다. 실무는 대법원판결 취지에 부합하게끔 운용되어야 하겠다. 따라서 경집법상 임의동행은 행정경찰 목적에 어긋나지 않는 한도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수사개시 전 단계에서 수사단서 확보 기능을 수행하는 정도로만 허용되어야 한다. 그런데 정작 실무에서는 양자가 명확하게 구별되지 못하고 있다. 대상판결이 이러한 혼선을 잘 보여준다. 같은 임의동행의 성격을 두고 원심과 대법원의 판단이 상이하다. 대법원은 동행의 실체를 밝혀 그 성격을 규명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기 어렵다. 혼선을 막으려면 목적에 맞는 동행방식인지 쉽게 확인 및 통제되도록 동행경위에 관한 자세한 근거를 남겨두어야 한다. 이러한 기준에 입각하여 경집법상 임의동행절차를 형소법상 임의동행 절차와 대비하며 살펴보았다. 경집법상 임의동행의 경우 그에 근거하여 수사가 개시되면 근거서류 작성의무가 면제될 수 있다. 하지만 혼란을 피하려면 예외를 두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참고로 수사준칙 시행 이후 형소법상 임의동행의 경우 임의동행 동의서를 작성하여 기록에 편철해두어야 하는데, 동행경위를 확인할 수 있는 근거도 함께 상세하게 작성해둔다면 절차의 형식적 확실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decisions of The Supreme Court of Korea o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voluntary accompany in the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 and one in the Criminal Procedure Act. It holds the opinion that the former which is permitted as a means of conducting a stop and question shall be allowed in police activities for administrative reasons provided in Article 3 Paragraph (2) of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 Act, whereas the latter shall be allowed in those for investigative reasons provided in Article 199 Paragraph (1)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But in practice such a distinction has been blurred due to the lack of procedural records. So if the formal certainty of the procedure could be gained, documents of the details of the voluntary accompany should be kept. In the case of the former, the obligation to prepare such a document may be waived once the subsequent investigation is initiated. However, in order to avoid confusion, it would be advisable to prepare and preserve documents that clearly confirm the details of the accompany without exception. The decision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Supreme Court ruling to apply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former for administrative reasons and the latter for investigative reas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