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황해도굿 성수치마의 의미

        최정연 남도민속학회 2020 남도민속연구 Vol.40 No.-

        The shamanism that has been independently viable within the lives of people has the outspoken feature that is directly interlocked with the lives of general public. The shamanism had the convergence and conflict with the inflow of foreign religions under the long history in a way of integrating naturally into the lives of general people as the base religion. With the effort to conserve the tradition of changing and forgetting shamanism, the studies have been undertaken by a number of scholars and the state is making effort to inform the general public about the shamanism culture by preventing the change of intrinsic features by designating it as cultural heritage. Under this study, in order to take a look at the shamanism ideology of Korea, the representative shamanism in Hwanghae-do is sought, and the shamanism in Hwanghae-do represented by Gangsinmu (spiritualistic shaman) could not be done in the region due to the division of the country. Even though it could not be exercised in the region for the demarcation, it influences to other areas around the Incheon region. The shaman attire that is displayed in the gutgeori (shaman dance performance) in Hwanghae-do is consisted of various types and it has the style on the basis of traditional costumes style with the colors fundamentally in obangsaek (five traditional colors of Korea) to have the attention in the gutgeori. In addition, its splendor is even more advanced with the traditional pattern-filled embroidery ornaments and tassel decoration. And as for the shaman attire found only in Hwanghae-do, there is the ‘seongsu-chima’, and as for its study, it has taken a look at the concept of 'seongsu' in the context of the shamanism in Hwanghae-do. The seongsu means the deity in general, and it is concept to include those masters that had the spiritual experience not present in the earthly world and those beings that the masters enshrine as their deity that it is an important term in the shamanism in Hwanghae-do until this present day. Through the analysis of implication for the seongsu-chima it is intended to prepare the frame to understand the transparent base culture and religion in shamanism. As a result, the seongsu-chima contains the endeavor to place value in effort and tradition to keep the rule and order in the shamanism in Hwanghae-do as well as the endeavor to protect such effort. Furthermore, together with the shamanistic thought as a characteristic of Gangsinmu, it is interpreted as the symbolic implication to demonstrate the emphasis of connectivity with god and power of shamanism. This article analyzes the implication of ‘seongsu-chima’ that is represented by the characteristics in the shaman attire in Hwanghae-do in a wa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amanism in Hwanghae-do to further understand the traditional ideology of Korea that is transparent in the base religion and its implication could be found by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shamanism in studying of tradition and base ideology of Korean today. 민중들의 삶속에서 자생해온 무속은 민초들의 삶과 직결되는 솔직함이 묻어있다. 한국의 무속은 오랜 역사 속에서 외래종교의 유입으로 융합과 갈등을 꽤하면서 기층종교로서 평민들의 삶에 자연스럽게 융화되었다. 오늘날 무속문화는 변화되고 잊혀져가는 무속의 전통성을 보존하려는 노력으로 여러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지고 있으며, 국가는 문화재 지정을 통하여 무속의 변질을 막고 무속전통을 대중들에게 알리는데 힘쓰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무속사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대표적인 황해도 무속을 살펴보았는데, 강신무로 대표되는 황해도 무속은 국가의 분단으로 그 지역에서 행할 수는 없으나 오늘날의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타 지역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강신무에서는 무복이 신과 만날 수 있는 기능을 함으로써 황해도 무속에서 무복은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겠다. 황해도굿거리에서 볼 수 있는 무복은 다양한 종류로 구성되어 있으며 형태는 전통복식에 바탕을 두고 색상은 오방색을 기본으로 하여 굿거리에서 주목성을 가질 수 있게 구성되었다. 또한 전통 문양으로 된 자수 장식과 술 장식으로 그 화려함을 더하고 있다. 황해도 무속에서만 볼 수 있는 무복으로 ‘성수치마’ 가 있는데 이를 연구하기 위하여 우선 황해도 무속에서의 ‘성수’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성수는 기본적으로 신을 뜻하였고, 자연신이 아닌 현세에 계시지 않는 영험이 있으셨던 스승님, 또 스승님이 신으로 모셨던 분들까지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황해도 무속에서 중요한 용어로 오늘날까지 전해져 오고 있다. 성수치마는 아래 단이 치마 색상과 달리하여 무복을 입기 전 허리에 착장하는 무복으로 황해도굿거리에 빠지지 않는 의복이다. 이에 성수치마의 내포된 의미를 분석하여 황해도 무속을 이해하고, 무속 사상에 투영된 기층문화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성수치마는 황해도 무속에서의 규율과 질서를 지키려는 노력과 전통을 중시하고 이를 지키려는 의지가 투영되었다. 또한 강신무의 특성인 샤머니즘적 사고와 함께, 신과의 연대성을 강조하고 강한 무속의 힘을 보여주려는 상징적 의미가 내포되어 있었다. 이 글은 황해도 무복에서 특수성으로 대표되는 ‘성수치마’의 의미를 분석함으로서 황해도 무속과 무복의 특성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기층 종교 사상에 투영되어 있는 한국의 전통 사상을 이해함으로서 오늘날 전통과 한국인의 기층사상을 연구하는데 있어 무속의 중요성을 깨닫고자 하는데 의의를 두었다.

      • KCI등재

        시베리아 샤머니즘인가, 아니면 엘리아데의 샤머니즘인가?

        양민종 ( Yang¸ Min-jong )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07 한국시베리아연구 Vol.11 No.1

        이 글의 목적은 엘리아데 샤머니즘이론이 시베리아샤머니즘 문화구조 해명에 부적절함을 지적하고, 대안적인 연구방법론을 제기하는 것이다. 우선, 서구연구자들 사이에서 전개되어온 샤머니즘개념에 대한 혼란스러운 이해의 양상들을 살펴본 뒤, 엘리아데 샤머니즘이론이 일종의 종교발생론과 관련된 구조주의적인 담론임을 설명하였다. 엘리아데의 샤머니즘이론 발표 이후 샤머니즘의 일반적인 개념이 이전보다 오히려 더 모호해지고, 시베리아샤머니즘연구가 범세계적인 샤머니즘 연구의 일부분화 된 원인으로 엘리아데 샤머니즘이론의 연구대상이 시베리아샤머니즘세계의 전반적인 문화가 아닌 ‘샤먼’과 인간의 ‘영적인 기술’의 발현양상에 국한되었기 때문으로 설명하였다. 기존 시베리아 샤머니즘연구와 엘리아데 샤머니즘의 연구대상이 ‘샤머니즘’이라는 용어만 동일할 뿐, 실제로는 서로 다른 영역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는 별개의 이론임을 구체적으로 지적한 것은 이 글의 독창성이라고 할 수 있다. 엘리아데 이론이 시베리아샤머니즘과 시베리아-동아시아 문화를 왜곡시킨 문제점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엘리아데가 샤머니즘연구에 기여한 바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고, 바람직한 샤머니즘세계의 문화연구를 위해 서사시와 신화를 비롯한 구비문학텍스트연구의 필요성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In this paper the author is trying to point out that 'the Eliade's well known theory on the Siberian Shamanism' does not actually reflect the essence of the siberian cultures and the siberian shamanisms. And the Eliade's Shamanism theory has little to do with any contribution to encourage to study the local cultures of the Siberia, because it implies that the Shamanism is not the typical culture of the Siberia but ‘an archaic form of the human spiritual techniques’. The author comments that Eliade's shamanism is not the theory that explains the nature of the Siberian Shamanism itself but a theory that explains an origin of human religious systems and spiritual techniques. Firstly, because the theory is not a structure of the siberian shamanisms but an attempt to extract an element of the siberian shamanisms. Secondly, it became the concept of the religious approach without the consideration of the cultural context of the Siberia. According to the author,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Elide's Shamanism, 1951 in Paris, many of the western scholars in this field came to admit that the Shamanism is a human common religious heritage which happened to be found by westerners in the Siberia first but can be found in anyplace-else on the surface of the Earth. That is so-called 'the world-wide phenomenon of the Shamanism'. In this paper the author shows that the Eliade's shamanism is not the very study of the siberian culture and we need to discard the way of Eliade for the further cultural studies in the Siberian area. The possible way of studying the essence and history of the Siberian Shamanism would be the study of the historical facts of Sang Dynasty and the Ancient Korean Kingdoms. The study of Siberian and Eastern Asian Mythology would help to reconstruct the nature of the Siberian Shamanism and the societies of the ancient Eastern Asia.

      • 시베리아 샤머니즘인가, 아니면 엘리아데의 샤머니즘인가?

        양민종 培材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07 自然科學論文集 Vol.17 No.1

        이 글의 목적은 엘리아데 샤머니즘이론이 시베리아샤머니즘 문화구조 해명에 부적절함을 지적하고, 대안적인 연구방법론을 제기하는 것이다. 우선, 서구연구자들 사이에서 전개되어온 샤머니즘개념에 대한 혼란스러운 이해의 양상들을 살펴본 뒤, 엘리아데 샤머니즘이론이 일종의 종교발생론과 관련된 구조주의적인 담론임을 설명하였다. 엘리아데의 샤머니즘이론 발표 이후 샤머니즘의 일반적인 개념이 이전보다 오히려 더 모호해지고, 시베리아샤머니즘연구가 범세계적인 샤머니즘연구의 일부분화 된 원인으로 엘리아데 샤머니즘이론의 연구대상이 시베리아샤머니즘세계의 전반적인 문화가 아닌 ‘샤먼’과 인간의 ‘영적인 기술’의 발현양상에 국한되었기 때문으로 설명하였다. 기존 시베리아샤머니즘연구와 엘리아데 샤머니즘의 연구대상이 ‘샤머니즘’이라는 용어만 동일할 뿐, 실제로는 서로 다른 영역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는 별개의 이론임을 구체적으로 지적한 것은 이 글의 독창성이라고 할 수 있다. 엘리아데 이론이 시베리아샤머니즘과 시베리아-동아시아 문화를 왜곡시킨 문제점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엘리아데가 샤머니즘연구에 기여한 바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고, 바람직한 샤머니즘세계의 문화연구를 위해 서사시와 신화를 비롯한 구비문학텍스트연구의 필요성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In this paper the author is trying to point out that 'the Eliade's well known theory on the Siberian Shamanism' does not actually reflect the essence of the siberian cultures and the siberian shamanisms. And the Eliade's Shamanism theory has little to do with any contribution to encourage to study the local cultures of the Siberia, because it implies that the Shamanism is not the typical culture of the Siberia but ‘an archaic form of the human spiritual techniques’. The author comments that Eliade's shamanism is not the theory that explains the nature of the Siberian Shamanism itself but a theory that explains an origin of human religious systems and spiritual techniques. Firstly, because the theory is not a structure of the siberian shamanisms but an attempt to extract an element of the siberian shamanisms. Secondly, it became the concept of the religious approach without the consideration of the cultural context of the Siberia. According to the author,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Elide's Shamanism, 1951 in Paris, many of the western scholars in this field came to admit that the Shamanism is a human common religious heritage which happened to be found by westerners in the Siberia first but can be found in anyplace-else on the surface of the Earth. That is so-called 'the world-wide phenomenon of the Shamanism'. In this paper the author shows that the Eliade's shamanism is not the very study of the siberian culture and we need to discard the way of Eliade for the further cultural studies in the Siberian area. The possible way of studying the essence and history of the Siberian Shamanism would be the study of the historical facts of Sang Dynasty and the Ancient Korean Kingdoms. The study of Siberian and Eastern Asian Mythology would help to reconstruct the nature of the Siberian Shamanism and the societies of the ancient Eastern Asia.

      • KCI등재

        평택무속의 일반성과 특수성

        이용범(Yi Yongbhum) 한국무속학회 2011 한국무속학 Vol.0 No.23

        이 글은 무속의 종교전문가인 무당과 무속의례를 중심으로 평택무속의 일반성과 특수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글은 기존의 강신무/세습무 도식을 피하고, 무속의례를 중심으로 무당유형을 나누었다. 평택에는 화랭이패 무당, 서울식 굿을 하는 무당, 황해도 굿을 하는 무당, 앉은굿을 하는 무당들이 존재한다. 서울식 굿을 하는 무당과 앉은굿을 하는 무당이 함께 겹굿을 하는 것 외에, 이들 무당사이에서 무속의례진행과 관련된 특별한 상호관계는 나타나지 않는다. 이들 무당들은 어떤 유형의 무당이든 지역주민과 단골관계를 갖고 가정과 마을의 다양한 종교적 의례를 담당하였다. 다양한 정기, 비정기 무속의례들은 평택지역 주민의 종교적 삶의 일부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무속의례는 공동체적 분위기에서 행해졌다. 평택무속의 굿은 겹굿의 절차가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한국무속의 토착신이라 할 수 있는 마을신과 가신 조상 등의 신을 주 대상으로 하며, 굿의 진행에서 악사의 역할이 크지 않은 점 등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This paper delineates the generality and distinctiveness of Pyeongtaek shamanism through the examination of shamans and shamanism rituals. This paper does not classify Korean shamans into two types of possessed shamans and hereditary shamans. In classifying shamans this paper focused on not shamans but shamanism rituals. There are Hwaraengyipae shamans, shamans of Seoul shamanism rituals, shamans of Whanghaedo shamanism rituals, shamans of Anjeungur in Pyeongtaek Shamanism. In doing shamanism rituals there is not any collaboration among these shamans except that shamans of Seoul shamanism rituals and shamans of Anjeungur do together Gyeopgur(겹굿). Regardless of types of shaman, these shamans all take charge of various shamanism rituals having communal relations with the residents in Pyeongtaek through Dangolgwange(단골관계). The distinctiveness of Pyeongtaek shamanism rituals is as follows: Gyeopgut(겹굿) is dominant form. Gods of village and home, and ancestors have central position. The role of musicians is minor.

      • KCI등재

        무속 기록의 엄정함과 총합성

        홍태한 한국무속학회 2018 한국무속학 Vol.0 No.37

        이 글은 제주도 무속을 연구한 현용준 선생의 기념비적 저작물인 <제주도 무속 자료 사전>의 성과를 살핀 글이다. 글쓴이는 이 글에서 제주도 무속을 연구하며 활동한 몇 사람을 키워드로 삼아 글을 전개하였다. 그들은 현용준, 안사인, 진성기, 문무병, 김헌선, 강정식, 강소전, 허남춘이다. 이들을 중심에 두고 <제주도 무속 자료 사전>의 가치를 살폈다. 먼저 이 책의 기본적인 성격을 사전(辭典dictionary), 사전(事典cyclopedia)의 개념으로 살핀 후 이 책은 사전(私典wikipedia)을 지향한다고 했다. 즉 끊임없이 보충되어야 할 제주도 무속 연구의 길잡이 구실을 한다. 현용준 선생이 주 제보자로 잡은 이는 안산인 심방이다. 안사인 심방이 연행한 대부분의 자료를 책에 수록하였지만, 다른 무속 자료에 대한 보완은 필요하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앞으로 다른 제주도 무속 성과를 계속 축적하라는 가르침의 지표가 된다. 그런 점에서 현용준 선생과 함께 제주도 무속을 연구한 진성기, 문무병 두 학자의 성과들도 진지하게 검토하여 소중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현용준 선생의 성과는 김헌선과 강정식에 이어지는데 이 두 사람은 현용준 선생의 성과를 심화시켜 소중한 저작물 <제주도 조상본풀이 연구>, <제주굿 이해의 길잡이>를 낳았다. 허남춘은 제주 무속 자료 정리를 사명으로 삼아 제주도에서 지금도 활동하는 여러 심방들이 본풀이를 채록 정리하여 현용준 선생의 사전을 보충했다. 강소전은 ‘멩두’ 하나로 제주 무속을 심화시켜 현용준 선생이 집성한 사전의 깊이를 더 했다. 이처럼, 현용준 선생의 자료를 바탕으로 새로운 자료집을 더한 연구, 현용준 선생의 자료집에 대한 해설 연구, 새로운 자료를 발굴하여 <제주도 무속 자료 사전>의 자료와 비교할 수 있는 자료의 보충 연구, 하나의 소재를 깊이 있게 탐색하는 연구 등 다양하다. 이는 각각 사전의 보완, 사전의 해설, 사전의 보충, 사전의 심화로 정리될 수 있다. 보완, 해설, 보충, 심화는 지역 무속학 정립을 위해서 반드시 있어야 할 연구 방법들이다. 제주도 무속 연구에 이러한 경향의 연구 성과가 계속 쌓이고 있으니 ‘사전’이라는 명칭을 책에 붙여 놓은 현용준 선생의 의도가 마침내 꽃을 피우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ruition of <The Dictionary of Materials for Shamanism in Jeju>, a monumental work written by Sir Hyeon Yong-jun who devoted his life to studying shamanism in Jeju. In the book, the author developed his writing having some persons engaged in studying shamanism in Jeju as keywords. They are Hyeon Yong-jun, An Sa-in, Jin Seong-gi, Mun Mu-byeong, Kim Heon-seon, Gang Jeong-sik, Gang So-jeon, and Heo Nam-chun. Putting these persons in the center, this researcher has appreciated the value of <The Dictionary of Materials for Shamanism in Jeju>. This author has examined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is book as a dictionary (辭典) or cyclopedia (事典) first and then decided that it pursues wikipedia (私典). In other words, it works as a guide for research on shamanism in Jeju which has to be complemented constantly. The major informer for Sir Hyeon Yong-jun is a simbang named An Sa-in. Although the book contains most of the materials about what simbang An Sa-in performed, it still has to add other materials about shamanism. In this sense, the book forms an index for teachings to accumulate the fruition of shamanism in Jeju continuously afterwards. Therefore, along with the fruition of Sir Hyeon Yong-jun, that of two other scholars, Jin Seong-gi and Mun Mu-byeong who also studied shamanism in Jeju, should be examined seriously and accepted valuably, too. Sir Hyeon Yong-jun’s fruition led to Kim Heon-seon and Gang Jeong-sik’s, and these two persons deepened the result of Sir Hyeon Yong-jun and produced precious works, <Research on the Bonpuri of Ancestors in Jeju> and <A Guide for Understanding Jeju-gut>. Having the task of organizing materials about shamanism in Jeju as his own mission, Heo Nam-chun has noted down and arranged data about the bonpuri of several simbangs still working in Jeju and complemented Sir Hyeon Yong-jun’s dictionary. Gang So-jeon deepened shamanism in Jeju as ‘mengdu (the sinpyo of a shaman)’ and made the dictionary compiled by Sir Hyeon Yong-jun more profound. Like these cases, there are many kinds of research, for example, research to add new materials grounded on Sir Hyeon Yong-jun’s sourcebook, research to explain Sir Hyeon Yong-jun’s sourcebook, research to discover new materials and complement <The Dictionary of Materials for Shamanism in Jeju> with comparable data, or research to explore a single subject matter profoundly. These cases can be categorized as the supplementation of the dictionary, explanation of the dictionary, complementation of the dictionary, and deepening of the dictionary. Supplementation, explanation, complementation, and deepening are all must-have study methods to establish the studies of regional shamanism. As the results of research on shamanism in Jeju with these trends are accumulated continuously, Sir Hyeon Yong-jun’s intention to put ‘dictionary’ to the title of his book has finally bloomed.

      • KCI등재

        한국 무속사의 시대구분

        서영대(Suh Young-Dae) 한국무속학회 2005 한국무속학 Vol.0 No.10

        이 글은 한국 무속사의 체계적 이해와 서술을 위한 전제 작업으로 한국 무속사의 시대구분론을 시도해 본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시대구분의 기준으로 정치적 기능ㆍ사회적 기능ㆍ개인적 기능을 제시했고, 어떤 기능들이 발휘되느냐를 가지고 시대구분을 시도했다. 그 결과 세 가지 기능이 모두 발휘되던 원시~삼국시대를 고대로 묶었고, 사회적 기능을 상실하고 두 가지 기능만 발휘되던 통일신라~조선 전기까지를 중세로 설정했고, 두 가지를 상실하고 개인적 기능만 남은 조선 후기 이후를 근세로 설정했다. 시대구분론은 일종의 작업가설이므로, 한국 무속에 관한 개별적ㆍ구체적 사실들이 많이 밝혀지면, 이러한 시대구분론은 얼마든지 수정될 수 있다. Korean shamanism has long history from primitive to modern times. So it is necessary understanding Korean shamanism as much to reconstruct its long history as field studies of present situation. And reconstruction of Korean shamanism, it must go ahead periodization of its history. When we try to periodization of Korean shamanism, it become issue the standard of priodization. In the process of history, there are no great changes in contents of belief systems and rituals. So unfortunately contents of Korean shamanism do not become a standard of periodization. For this reason, I seek after another standard and find function of shamanism. I classified functions in three dimension; function to politics, function to society and function to individual. Function to politics means shamanism influence to political sphere such as justification of kingship etc. Function to society means shamanism assist social cohesion of society. At last function to individual means shamanism have an affect to controls of good or bad lucks, On these standards, I divided history of Korean shamanism to three peords. In ancient period, from primitive to 7th century, shamanism had 3 functions all and at this time king was shaman king. In middle age, from 7th century to 16th century, shamanism lost political function. But 2 function, social and individual, were kept. So shamanism had influenced social and individual life. In recent time, after 16th century, shamanism lost social function and store oly one function, individual function.

      • KCI등재

        현용준의 물질문화 연구 -제주도 무속을 중심으로-

        최진아 한국무속학회 2018 한국무속학 Vol.0 No.37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rends and achievements of the material culture research by Hyun Yong-jun, putting focus on the shamanism of Jeju Island,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At the time when Hyun Yong-jun was active in research activities, the material culture of shamanism was not the subject of attention. As a result, very few basic data related to the material culture have been accumulated. On the contrary, Hyun Yong-jun has identified the material culture of Jeju shamanism as a subject of individual study since the 1960s and made an attempt to study it. In that respect, he is a researcher who made it possible to discuss the shamanistic research of Jeju island from various views. Among the research achievements made by Hyun Yong-jun, the study related to the shaman material culture hold significance in many aspects. First, after the shamanism of Joseon had been studied by Japanese researchers, Murayama Jizen 村山智順) and Akiwa Takashi (秋葉隆), Hyun Yong-jun contributed to the accumulation of research results related to the material culture of shamanism, which had been neglected for a while. Second, Hyun’s work focused on materials, shapes and compositions, which lay the foundation for the research on material culture, and thereby allowed discussions to be made. Third, Hyun’s research provided empirical archive of basic data for discussions to be made on the history of material culture of Jeju shamanism and offered figures for a more precise understanding of the material through diagrams. Forth, Hyun’s work summarized in details various ritual symbols of the material. For instance, when it comes to Sinkal and Sanpan which are the ritual tools used by Shimbang, a ritual presider of Jeju shamanism to show the intention of God during the ceremony, Hyun’s research presented a variety of cases as pictures, described and analyzed the meaning, which varies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or types of the ritual. Fifth, Hyun Yong-jun analyzed the origins of Sindang (a ritual space for shamanism), sacrifice, Mengdu and Singan in Bonpuri (epic ritual music), which is the most remarkable element in Jejudo shamanism. He saw sacrifice as the least changing element among cultural elements, revealed the food that God favors or does not like in Bonpuri, and analyzed the divine hierarchy in it. Although Hyun Yong-jun’s work has the significance described above, it has several pitfalls. Hyun Yong-jun’s research on the material culture has not progressively analyzed the intermediary tendency that Kime and Mengdu holds in order to compare Shimbang and shaman; analyzed the meaning of sacrifice in Bonpuri in a fragments; and neglected discussions on the influence with other religions. Although it has shortfalls, Hyun Yong-jun’s research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research not only on Jeju shamanism but also on the material culture: It recognized the material culture of shamanism as a necessary subject to understand Jeju shamanism and allowed to approach research on Jeju shamanism from various angles. 본 연구는 제주도 무속을 중심으로 현용준의 물질문화 연구의 경향과 성과를 살펴보고, 그 연구의 특징과 연구가 갖는 의의를 분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현용준이 활발하게 활동하던 당시 무속의 물질문화는 주목받는 대상이 아니었다. 그로 인해, 물질문화와 관련된 많은 기초자료 또한 축적되지 못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와 달리, 현용준은 1960년대부터 제주 무속의 물질문화를 개별적인 연구대상으로 파악하여 이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제주도 무속연구를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가 가능하게 한 연구자라 할 수 있다. 현용준의 연구 성과 중 무속의 물질문화와 관련된 연구는 여러 면에서 의의를 지닌다. 첫째, 일제강점기에 조선의 무속을 연구하였던 일본인 연구자들인 무라야마 지준(村山智順)과 아끼바 다까시(秋葉隆) 이후 한동안 간과되어 왔던 무속의 물질문화에 관심을 갖고 그와 관련된 연구 성과를 축적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둘째, 현용준의 연구는 물질문화 연구에 가장 기초가 되는 재료 및 형태와 구성요소에도 주목하여 그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셋째, 제주 무속의 물질문화 연구사를 논의하기 위한 실증적인 아카이브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과, 도식화 자료를 통해 물질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이해를 할 수 있게끔 하였다는 점이다. 넷째, 물질이 갖는 다양한 의례적 표상을 상세하게 정리했다는 점에 있다. 예를 들어, 제주 무속의 의례주재자인 심방이 의례 과정에서 신의 의사를 알려주는 신칼과 산판의 경우 여러 다양한 경우의 수를 그림 자료로 제시하여 이를 설명하고, 의례의 상황에 따라 혹은 의례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의미를 분석하였다. 다섯째, 현용준은 제주도 무속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요소라 할 수 있는 서사무가인 본풀이 속에서 제의공간인 무속의 신당과 제물 그리고 멩두와 신간의 기원과 유래를 분석하였다. 제물의 경우, 문화요소 중에서 가장 변화가 더딘 요소로 보고, 본풀이 속에서 신이 즐기는 음식과 그렇지 않은 음식을 밝혀내고 그 속에서 신의 위계 관계를 분석해 내기도 하였다. 위와 같은 의의를 지니지만, 현용준의 연구에서 몇 가지 아쉬운 점도 존재한다. 현용준의 물질문화 연구 중 심방과 샤먼의 비교를 위해 기메와 멩두가 지니는 매개적 성향에 대한 분석이 발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점과 본풀이를 중심으로 제물에 대한 의미 분석이 단편적으로 이루어졌을 뿐 아니라 타종교와의 영향 관계 속에서의 논의는 간과했다는 점 등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용준의 연구는 무속의 상징물을 제주무속을 이해하기 위해 놓쳐서는 안 될 대상으로 인식해 제주 무속 연구를 다각도로 접근할 수 있게 하였다는 점에서, 그의 연구는 제주 무속 뿐 아니라 물질문화 연구에 있어서도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엘리아데주의’(엘리아데이즘) 검토를 통한 샤머니즘연구사의 방향성 이해

        양민종(Yang, Min jong)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6 동유럽발칸학 Vol.8 No.1

        엘리아데의 샤머니즘이론에 대한 비판적인 접근을 통해 서구에서의 샤머니즘연구사가 ‘샤머니즘’ -> ‘엘리아데이즘’ -> ‘네오샤머니즘’의 방향성을 따라 진행되어왔음을 보여주고, 바람직한 샤머니즘연구의 가능성과 방법론을 검토하는 것이 이 글의 주된 과제이다. 구체적으로는 1) 서구 연구자들의 엘리아데 비평에서 두드러지는 문제점들을 지적하면서 엘리아데의 이론이 가지는 핵심적인 측면을 살펴보고, 2) 샤머니즘세계의 철학과 우주관을 예술과 인문학 에서 창작과 비평의 원칙으로 활용하는 네오샤머니즘적인 경향의 접근법과 함께 ‘구체적인 지역문화의 양상과 기원에 대한 실증적인탐구’로서의 샤머니즘에 대한 재인식과 연구수행의 필요성을 토론한다. The goal of this work is to show the logical and illogical aspects of the Eliade's theory of the Shamanism, argued in his publication Le Shamanism(1951, Paris) In the introduction the author tries to point out the current orientation of the studies on the Shamanism with a frame of ‘shamanism -> eliadeism -> neo-shamanism’. And the author also suggests an effective way of the study of the shamanism with the history-dividing -role of Le Shamanism. In the second chapter, the chaotic situation of the ambiguity of the term ‘Shamanism’ especially in the western world both with the experts and ordinary people is explained with the citation of R. Hutton's recent book Shamans-Siberian Spirituality and the Western Imagination(London, 2001). The author argues that the expansion of the meanings of the Shamanism and the ambiguity of the term is mainly due to the Eliade's purely theoretical and structural approach on the matter. In the third chapter, the author illustrates the critical approaches of the works of I. Lewis, C. Humphrey, R. Hutton etc and the reasons why their theories on the Eliadeism have not succeeded to prove the illogical essence of the Eliadeism. The author points out that the Shamanism of Eliade is not the real shamanism in the Siberia or in any other places in the world but is the pure manifestation of his logical thinking with the help of the various materials he gathered in his book. Eliadeism is a without-substanceunderstanding of the matter and merely a component of shamanism and it has little to do to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the local cultures and the cultural systems in the Siberia. And finally the author is pointing out the problems of ‘time concept’ and ‘archaic approach’ of the Eliadeism, which have not been seriously studied among the experts. In the conclusion, the author tries to show that neo-shamanism is not the very studies on the matter but the applications of the nature and the cosmology of the Shamanism. so, it will be constructive if we take the future course of study on the matter not only in the Eliadeism's way, neo-shamanism's approach, but also in the positive way of research of the origin and the historical changes of the Siberian Shamanism in particular and the societies in which the shamanisms have been shown in general.

      • KCI등재

        무속 관련 무형문화재 제도의 의의와 한계

        이용범(Yi, Yong-Bhum) 비교민속학회 2011 비교민속학 Vol.0 No.45

        이 글은 무속에 대한 긍정적 시각과 부정적 시각과 관련시켜 무속 관련 무형문화재 제도의 의의와 한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여러 기여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무속의 원형을 강조함으로써 한국인의 삶과 무속이 유리되고, 일부의 굿만을 무형문화재로 지정함으로써 오히려 무속 전반의 약화시킬 수 있는 한계를 안고 있다. 이는 근본적으로 한국의 무형문화재 제도가 무속을 한국인의 삶의 현실에서 살아서 기능하는 동시대적 현상으로 바라보지 않는데서 나타난 문제이다. 무속에 대한 긍정적 시각과 부정적 시각이 양자 모두 한국무속의 동시대성을 인식하지 못한다. 긍정적 시각 역시 무속을 전통문화의 관련성 속에서만 파악함으로써, 비록 중요하고 가치있지만 한국인의 구체적인 현실 삶과는 거리가 먼 다른 시공간대의 현상으로 파악한다. 무속은 예로부터 한국인의 삶의 한 부분으로 존재해왔으며 존재하고 있다 무속을 무형문화재 제도로 보호되어야 할 과거 전통문화의 하나로 보지 않고, 한국인의 현재 삶과 문화의 하나로서 그리고 불교나 유교, 그리스도교처럼 현재 한국인의 삶에서 살아 움직이는 종교의 하나로 바라보는 사회적 인식이야말로 무속 전승의 진정한 사회적 기반이다. This paper’s concern i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and limits of the important intangible assets about Korean shamanism in relation to the viewpoints on Korean shamanism. Despite many contributions to Korean shamanism, the important intangible assets about Korean shamanism also has many limits. It sticks to the original form of Korean shamanism, and brings about a possibility of isolating Korean shamanism from everyday life of Korean people. And by choosing not all but some forms of Korean shamanism, it rather undermines the transmission foundation of Korean shamanism. Basically these problems stem from the viewpoint on Korean shamanism that doesn’t consider it as contemporaneous with everyday life of Korean people. There are two viewpoints on Korean shamanism in Korean society: the positive viewpoint and the negative viewpoint. Both don’t realize the of Korean shamanism. Even the positive viewpoint perceives Korean shamanism only in relation to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so it places the Korean shamanism in temporal-space distant from everyday life of Korean people with recognizing the value and importance of Korean shamanism. Historically Korean shamanism has been a form of the lives of Korean people. The social realization that Korean shamanism is not a traditional past culture in need of preservation but a living Korean culture and one of the living religions, can be the real condition of transmission of Korean shamanism in Korea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