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VG(Scalable Vector Graphics)를 활용한 극장 예약 시스템

        전태룡,안성옥,Jeon, Tae-Ryong,An, Seong-Ok 배재대학교 공학연구소 2004 공학논문집 Vol.5 No.1

        Svg는 2차원 그래픽을 표현하기 위해 xml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언어로서 W3C에 의한 xml 그래픽 표준이다. Xml의 개방성과 상호운용성 등의 장점을 모두 수용하여 다른 xml 언어들과 결합시켜 다양한 웹 어플리케이션으로 응용 할 수 있다. 실시간 데이터로부터 고품질의 다이나믹한 그래픽을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에 전자상거래, 지리정보, 교육과 광고 등의 분야에 적용 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와의 연동으로 SVG의 응용을 더 높일 수 있다. 이는 단지 사용자 측면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의 대화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svg의 의미나 능력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극장 시스템에서 어떻게 활용 될 수 있는지를 말해 줄 것이다. svg는 xml의 장점에 그래픽적인 장점을 더 한 것이다. 이 말은 단지 svg가 그래픽적인 요소만이 아닌 xml의 유연성을 가졌다는 말이 된다. 실제 좌석의 위치지정과 새로운 좌석의 추가가 쉽다. 그룹으로 지정된 좌석은 단지 태그의 추가만으로 좌석을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좌석의 변화와 또는 좌석의 고장 시 즉시 svg에 나타낼 수가 있다. 또한 svg는 데이터베이스와의 연동이 가능하고 추가 수정이 쉽다. 이는 벡터의 데이터를 갔고 있어서 가능한 것이다. 기존의 예약 시스템은 표를 살 때 시간과 가격의 정보만 있었지만, svg로 구현할 경우 좌석의 위치와 가격, 그리고 구매여부, 취소 등을 눈으로 보면서 할 수 있다. Svg(Scalable Vector Graphics) is xml graphic standard recommended by E3C as a language based on xml to express two-dimension graphic. Svg can accommodate all Xml's patency and advantage of interoperability, and can used as various web applications being combined with other xml language. In addition, Svg can be applied to the fields of electronic commerce, geographical information, computer education and advertisement because it can produce high quality of dynamic from real-time data. SVG's application can be enhanced by linking with database. In this paper, we discuss how Svg can be utilized in theater reservation system, not just explaining svg's meaning or ability. Svg added graphic advantage in addition to xml's advantage. This means that svg retains not only graphic element but also xml's softness. It becomes easier to designate seats and add them. Current reservation system provided in general only information on time and price for a ticket, but the system using SVG in this paper provides additional information on position, price, cancellation and purchase availability of seat.

      • KCI등재

        A Study of Efficient Transmission of SVG File using SMETA

        유남현,손철수,김원중,Yoo, Nam-Hyun,Son, Cheol-Su,Kim, Won-Jung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2007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1 No.1

        XML이 다양한 분야에서 정보의 표현 및 교환을 위한 표준 포맷으로 사용하게 되면서 많은 회사가 SVG를 무선 인터넷 기반의 모바일 폰과 같은 임베디드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나 표현 도구로 사용하게 되었다. SVG 파일의 실제 사용되는 데이터에 비하여 문서의 구조를 이루기 위한 많은 부가적인 정보를 유지해야 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실제 전송되는 데이터에 비하여 SVG 파일의 전송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압축 기법을 이용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압축 기법을 이용한 기존의 연구와 동시에 사용이 가능한 SMETA를 제안한다. SMETA는 SVG 파일을 의미 부여가 가능한 최소 단위로 분할한 후, SVG 파일을 구성하는 구조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각각의 분할된 부분에 의미가 부여된 메타 데이터를 할당한다. SVG 파일 전체를 전송하지 않고 임베디드 시스템과 서버 시스템 간의 SVG 파일과 관련된 메타 정보들을 분석하여 임베디드 시스템에 해당 메타데이터가 없거나 일치하지 않는 부분만을 전송하게 함으로써 실제 전송되는 SVG 파일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실제 전송되는 SVG 파일의 크기가 줄어듬으로써 전송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XML is used by standard format for information expression and information exchange in various field, Many Company began to use SVG by user interface or information expression tool of embedded system such as mobile phone based wireless internet. Because SVG has many additional information to keep structure of SVG document exception real data, there is a problem that transfer time of SVG file is so cost for quantity of transmitted data actually. To solve this problem, many researches using compression conception have been conducted for applying to an embedded system. This paper proposes SMETA that can use existing researches using compression concept at once. SMETA divides SVG file to each part that can allocate meaning, and gives semantic metadata to each part without alteration of SVG structure. SMETA can reduce site of transmitted SVG file actually by transmitting specification part of SVG file that metadata does not agree or has unlisted part in an embedded system between an embedded system and server, before transmit whole SVG file. By size of transmitting SVG file is decreasing, transfer time can be shortened accordingly.

      • 전자해도 활용을 위한 SVG 변환 연구

        오세웅(Se-Woong Oh),박종민(Jong-Min Park),서상현(Sang-Hyun Suh)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 No.1

        전자해도는 종이해도를 전자화한 공식 디지털 해도로서 선박의 안전항해를 위한 필수 데이터이나 전자해도의 특수한 엔코딩 포맷으로 접근이나 조작이 용이하지 못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해도의 접근과 서비스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전자해도 SVG(Scalar Vector Graphic) 변환 연구를 수행하였다. SVG는 인터넷 브라우징 환경에서 지도의 서비스를 위한 벡터 그래픽 포맷으로서 복잡한 GIS매핑 시스템 및 클라이언트의 특별 시스템이 요구되지 않는다. 전자해도를 SVG로 변환함으로서 활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SVG는 벡터 그래픽의 장점으로 인해 공간 검색이 용이하며, 둘째로 특정 GIS 시스템 없이 고 품질의 벡터 그래픽 및 주제도 작성이 가능하다. 셋째로 해상교통 정보와 연계된 SVG 정보 서비스는 템플릿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해상교통 정보와 결합된 새로운 정보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전자해도의 SVG 변환 기술 개발로 해양지리정보 표현에 많은 활용이 예상된다. Electronic Navigational Charts(ENCs) are official nautical charts which are equivalent to paper charts with supplementary information. Although their main purpose is to be used for the safe navigation of ships, they also contain much information on coasts and seas which may be interesting to ordinary people. However, there is no easy way to access them because of therir specialized data format, access method and visualization. This paper proposes on implementation of SVG for the access and services of ENCs. SVG(Scalable Vector Graphic) makes it possible to make use of Vector graphics for servicing maps in basic internet browsing environment. Implement of SVG for ENC applications by the research is free of special server side GIS mapping system and client side extra technology. The Implementation of SVG for ENC Application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SVG provides spatial information to possess searching engine to embody SVG map. Secondly, SVG can provide high-quality vector map graphics and interactive facility without special Internet GIS system. It makes it possible to use services with very low cost. Thirdly, SVG information service targeting on maritime transportation can be used as template, so it can be used dynamically any other purpose such as traffic management and vessel monitoring. Many good characteristics of SVG in mapping at computer screen and reusability of SVG document provide new era of visualization of marine geographic information.

      • KCI등재

        개선된 SMETA 시스템과 암호화적용에 관한 연구

        황인문,유남현,손철수,김원중,Hwang, In-Moon,Yoo, Nam-Hyun,Son, Cheol-Su,Kim, Won-J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08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2 No.5

        As the XML is used as the standard format for information delivery and exchange in various fields, the SVG is frequently used as a user interface or expression tool for the embedded system like an internet based mobile phone. The SVG file must contain additional information specifying the structure of the document and it consumes more transmission time than the actual data sent. The SMETA(Svg transmission MEthod using Semantic meTAdata) system[9] is a study to reduce the size of the SVG file by partitioning the SVG file to a minimal size and assigning meaningful meta data to each portion of the data. In this paper, instead of the meta data exchange method for reducing the size of the file exchanged in the existing SMETA system, we studied an improved version of SMETA system that analyzes the data for each user in the server system and only transmits the data that a user needs. In addition, through our simulation, we verified that it provides better performance than the existing system even if encryption is used. XML이 다양한 분야에서 정보의 표현 및 교환을 위한 표준 포맷으로 사용되면서 SVG가 무선 인터넷 기반의 모바일 폰과 같은 임베디드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나 표현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SVG 파일은 실제 사용되는 데이터에 비하여 문서의 구조를 위한 부가적인 정보를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송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SMETA(Svg transmission MEthod using Semantic meTAdata) 시스템[9]은 SVG 파일을 의미부여가 가능한 최소단위로 분할한 후, 각각의 분할된 부분에 의미가 부여된 메타데이 터를 할당하여 실제 전송되는 SVG 파일의 사이즈를 줄이기 위한 연구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SMETA 시스템에서 교환되는 파일의 크기를 줄이기 위하여 사용한 메타데이터 교환 기법 대신에 서버시스템에 사용자 별로 전송되어 저장소에 보관된 메타데이터를 분석한 후, 사용자에게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개선된 SMETA 시스템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암호화를 적용하더라도 기존 시스템에 비하여 더 나은 성능을 제공함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입증하였다.

      • KCI등재

        SVG를 이용한 유${\cdot}$무선 인터넷 환경에서의 캐릭터 서비스

        이성재,유남현,양수영,김원중,Lee Sung-Jae,Yoo Nam-Hyun,Yang Soo-Yung,Kim Won-J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05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9 No.8

        현재 유선 인터넷 환경에서는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하여 대부분 GIF와 JPG를 이용하며,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는 SVG, wBMP, SIS, PNG, Flash Lite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파일들을 이용한다. 따라서 유${\cdot}$무선인터넷을 동시에 지원하기 위한 콘텐츠를 제작하는 경우 이중으로 제작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유무선 인터넷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를 재발할 때, SVG를 효율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유${\cdot}$무선 인터넷을 동시에 지원하는 서비스에 SVG를 이용함으로써 유${\cdot}$무선 인터넷 기반의 콘텐츠를 제작할 때 기업이 지출해야 하는 개발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Currently, most wired Internet describes an image file using GIF and JPG and wireless Internet uses various image files such as SVG, wBMP, SIS, PNG, and Flash Lite. Accordingly, overlapping occurs in the investment of production cost for making contents. This thesis proposes a Character(Avatar) service that could simultaneously aid both wired and wireless Internet by utilizing SVG, a vector based image file format for describing two-dimensional graphics. We will reduce cost of developing contents, when develop contents that simultaneously supports wired and wireless Internet using SVG.

      • 이미지 손실없는 확대/축소가 가능한 아바타 생성 시스템

        김원중,장미화 한국정보통신학회 2002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6 No.2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마크업 언어로 각광받고 있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의 그래픽 표준인 SVG(Scalable Vector Graphic)를 이용하여 어떤 단말기에서도 같은 형식으로 디스플레이 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이미지의 손상없이 수정이 가능하여 각 부분 요소의 재사용성을 크게 높인 아바타(웹 캐릭터) 생성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SVG는 텍스트로 기술되기 때문에 그래픽에 대한 검색이 편리하고, 어플리케이션들이 SVG문서를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선, 폴리곤, 텍스트, 이미지 등의 모든 그래픽 요소에 쉽게 접근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웹 그래픽 문서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연구 결과를 이용하여 웹 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어떠한 컨텐츠에도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implemented Avata construction system using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and SVG(Scalable Vector Graphic). The Web character created with Avata(or Web character) construction system are displayed in same (on without damage of image, regardless terminal type and user can modify and change image easily in form that want. Compare with existing Web character system, the Reusability of web character part element Is increased greatly with Avata construction system of this paper. Because SVG is described by text, graphic retrieval is convenient, and applications can use easily SVG document. Also, SVG can create web graphic document dynamically with database because can access easily in all graphic primitives of line, Polygon, text, image etc. As well as web character using study finding, we may develop usable technology to some contents on World Wide Web.

      • KCI등재

        개방환경에서 지형정보의 웹지도화 방법과 적용에 관한 연구

        김남신(Nam Shin Kim) 한국지역지리학회 2007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3 No.5

        본 연구는 개방환경에서 지형정보 웹지도화를 통한 활용가능성에 대한 검토·분석이다. 웹지형도는 기존 지형도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동적인 지형정보 활용을 위한 기능과 분석, 시각화에 초점을 두고자 하였다. 웹지형정보도의 주요 기능 구현으로는 공간검색, 확대 축소, 이동, 토지이용 정보, 사용자정의 3차원 표현, 지형단면 및 고도분석, 거리분석, 지역간 경로안내, 지역검색, 필드정보, 지역 영상정보 등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SVG, MYSQL, PHP, XML을 사용하였다. 공간정보는 SVG를 이용하여 표현되도록 하였다. SVG는 소스가 개방되어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웹언어를 통한 데이터베이스 연동, 지도학적 표현이 효과적이다. 본 연구에서 중점을 두어 개발한 기능은 사용자 정의 3차원지도, 지형단면도, 최단경로 분석이다. 3차원지도는 수치고도모델을 제작하여 고도에 따른 픽셀에 불투명도 값을 부여하여 태양빛에 따라 입체영상이 표현되도록 하였다. 지형단면분석은 사용자가 범위를 지정하면 수치고도모델의 고도값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져와 지형단면도와 통계정보가 나타나도록 하였다. 지역간 최단경로는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개발하였다. 앞으로 WebGIS는 정보전달 보다는 사용자 제공 지리정보(WebGIS 2.0) 확산에 더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하여 보다 많은 WebGIS 에 대한 연구개발이 요구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 possibility of using topographic information by web mapping in open environments. Web mapping intends to focus on a map analysis and application of the function and geo-visualization. Functions of Web topographic info-map include a spatial analysis, enlargement and minimization, movement, landuse information, user-controling 3 dimension map, landform cross-section analysis, shortest path analysis. The web system adopts SVG(scalable vector graphics), MYSQL, PHP,XML for mapping. SVG has open source policy, so everyone can use it, as well, it is effective on flexible database linkage, cartographic representation. 3D map is intended to represent 3D map by user-controlled sunshine putting pixel opacity by elevation values after making DEM. Landform is designed to show a cross-section analysis and statistics by retrieving height information from database engine with clicking two points on the map. Shortest path analysis within regions uses Dijkstra`s algorithm. Near future, resultantly, the area of WebGIS will have to meet more social demands for use-created geo-information and application, so more researches are needed to be web mapping more applicable for users.

      • SVG를 이용한 해역환경 Web GUI 시스템 구축

        박상우(J.K. Kim),김종규(S.W. Park),강태순(T.S. Kang)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07 한국해양환경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7 No.-

        본 연구에서는 MGIS (Marin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해양관측데이터 그리고 수치모델링 데이터들의 통합을 위해 SVG (Scalable Vector Graphics)를 이용한 해역환경 Web Gill (Graphic User Information)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연구 결과, SVG를 이용한 해역환경 Web Gill 시스템 구축을 통하여 연구대상해역인 섬진강 하구역의 물리해양학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구현하여 파악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proposes a Web GUI System of ocean environment through SVG integrated the MGIS, observation data and result of three-dimensional circulation model. The study of Web GUI System through SVG is mai띠y performed on effective methodologies which transform real world data to computing world data. We could grasp property of ocean environment of SeomJin River estuary from Web GUI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