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趙元任의 <國語羅馬字 硏究> (1)

        趙元任(Yuanren Zhao),姜雲和(번역자),沈小喜(번역자) 중국어문논역학회 2023 中國語文論譯叢刊 Vol.- No.53

        ‘한어병음자모’는 중국어를 표기하는 로마자모이다. 로마자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각 국가별 로마자의 음가가 달라서 한국의 중국어 학습자들이 발음 오류를 일으키는 단초가 되기도 할 뿐만 아니라 ‘한어병음자모’를 ‘발음부호’로 오인하여 중국어 학습에 심각한 혼란을 일으키고 있다. 5⋅4 신문화 운동 후, 1923년 ‘국어통일회(國語統一會)’에서 ‘국어로마자철자법연구위원회(國語羅馬字綴字法硏究委員會)’가 조직되었고, 유복(劉復) 조원임(趙元任), 전현동(錢玄同) 여금희(黎錦熙) 등을 중심으로 ‘수인회(數人會)’가 결성되어 “국어로마자병음방식(國語羅馬字拼音方式)”을 만들어 1928년 “국음자모(國音字母第二式)”로 공포하였다. “수인회(數人會)”에서 전문적인 언어 문자 이론을 개진하여 ‘국어로마자(國語羅馬字)’ 제정에 큰 역할을 한 조원임(1892-1982)은 <국어로마자연구>에서 국어로마자의 특성과 설계 원리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하였는데, 그의 주장은 “국어로마자(國語羅馬字)”(1928) 뿐만 아니라 “라틴화 신문자(拉丁化新文字)”(1931)와 “한어병음자모(1958)”에 관철되어 중국어-로마자 병음 설계의 기본 체계로 제공되었다. 그러므로 “한어병음자모”를 올바르게 인식하여 중국어 교수 및 학습에 이바지하기 위해선 조원임의 <국어로마자연구>를 숙지하여 한어병음자모의 설계 원칙과 및 활용 상황을 파악해야 할 것이다. ‘Chinese Pinyin alphabet’ is a Roman alphabet that represents Chinese. The Roman alphabet is the most used in the world, but the phonetic value of the Roman alphabet in each country is different, which can cause Chinese learners to make pronunciation errors. In addition, they recognize the ‘Chinese Pinyin alphabet’ as a ‘phonetic code’ that assists the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causing serious confusion in Chinese learning. After the 5.4 Neo-Cultural Movement, a claim was made to abolish Chinese characters and adopt the Roman alphabet, which has been widely used throughout the world as a font since then. The ‘數人會’ under ‘committee for the study of roman orthography in mandarin(國語羅馬字綴字法硏究委員會)’ was consisted of Liu Fu(劉復, 1878-1960), Chao Yuen Ren(趙元任, 1892—1982), Qian Xuan Tong(錢玄同, 1887—1939), Li Jinxi(黎錦熙, 1890—1978), etc. The ‘數人會’ created the “Romanization of Mandarin(國語羅馬字拼音方式)” and promulgated in 1928 as “Chinese characters(國音字母(第二式)”. Yuen Ren Chao(1892-1982), who played a major role in the enactment of ‘Gwoyeu Romatzyh(國語羅馬字)’ by developing a professional language character theory, described the design principle minutely in his <A Study on Romanization in Mandarin>. Not only ‘Gwoyeu Romatzyh(國語羅馬字)’ but also “Latinized Chinese Character(1931) and “Chinese Pinyin alphabet (1958) served as a foundation for designing Chinese-Roman Pinyin. Recognition of the design basic and true nature of <A Study on Romanization in Mandarin> by Yuen Ren Chao is required to understand “Chinese Pinyin alphabet” correctly.

      • KCI등재

        趙元任의 <國語羅馬字 硏究> (2)

        강운화,심소희 중국어문논역학회 2024 中國語文論譯叢刊 Vol.- No.54

        ‘Chinese Pinyin alphabet’ is a Roman alphabet that represents Chinese. The Roman alphabet is the most used in the world, but the phonetic value of the Roman alphabet in each country is different, which can cause Chinese learners to make pronunciation errors. In addition, they recognize the ‘Chinese Pinyin alphabet’ as a ‘phonetic code’ that assists the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causing serious confusion in Chinese learning. Yuen Ren Chao(1892-1982), who played a major role in the enactment of ‘Gwoyeu Romatzyh (國語羅馬字)’ by developing a professional language character theory, described the design principle minutely in his <A Study on Romanization in Mandarin>. Not only ‘Gwoyeu Romatzyh (國語羅馬字)’ but also “Latinized Chinese Character (1931)” and “Chinese Pinyin alphabet (1958)” served as a foundation for designing Chinese-Roman Pinyin. Recognition of the design basic and true nature of <A Study on Romanization in Mandarin> by Yuen Ren Chao is required to understand “Chinese Pinyin alphabet” correctly. “한자가 멸하지 않으면 중국이 망한다(汉字不灭, 中国必亡)”라는 한자에 대한 절체절명의 위기감으로 한자를 폐지하고 한자를 대체하는 표음문자를 모색하였던 시기에, 조원임 본고에서 중국인 인명은 한국한자음(한자)으로 표기하기로 한다. (趙元任, 1892-1982)은 「국어로마자 연구」에서 국어로마자의 특성과 설계 원리에 대해 상세히 서술하고 혁신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후, 그의 주장은 국음자모(제2식)였던 “국어로마자(國語羅馬字)”(1928)의 바탕 이론이 되었고, “라틴화 신문자(拉丁化新文字)”(1931)를 거쳐, “한어병음자모(1958)”의 정서법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물론 조원임이 「국어로마자 연구」에서 제안하였던 내용이 ‘한어병음자모’에 모두 관철되었다고 볼 수는 없지만, 100년 전 조원임이 제안한 ‘국어로마자’의 제정 취지와 정서법이 어떻게 변모하여 ‘한어병음자모’에 구현되었는지, 그 변화 추이를 통하여 ‘한어병음자모’의 설계 원칙과 및 활용 상황을 파악하고 ‘한어병음자모’의 본질을 재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趙元任의 <國語羅馬字 硏究>(1)」에서는 ‘1장 로마자를 반대하는 10가지 질문(反对罗马字的十大疑问)’, ‘2장 국어로마자 초고(国语罗马字的草稿)’이 번역되었는데, 이를 이어서 본고에서는 ‘3장 국어로마자를 설정할 때 주의해야 하는 원칙(凡是拟国语罗马字的应该注意的原则)’, ‘4장 국어로마자에 대한 의문점(关於国语罗马字的未定的疑點)’, ‘5장 국어로마자의 추진 방법(国语罗马字推行底方法)’을 번역하였다.

      • KCI등재

        淸末 民初 北京官話 저작 안의 聲調 異讀 연구

        구현아(Khoo Hyunah) 동아인문학회 2021 동아인문학 Vol.57 No.-

        본 연구는 淸末 時期 北京官話 저작을 이용하여 당시의 聲調 異讀 양상 및 그 원인을 고찰하였다. 이 시기의 北京官話 저작은 중국의 운서, 자전 및 서양인에 의한 중국어 교재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본고는 그 중에서도 北京官話의 다양한 異讀을 반영하고 있는 영국인 세관원 토마스 웨이드(Thomas Wade)의 저작 ≪尋津錄≫과 ≪語言自邇集≫을 중심으로, 중국의 音韻 著作인 ≪中原音韻≫, ≪李氏音鑑≫, ≪音韻逢源≫, ≪國音字典≫ 및 동시대 詞典類인 ≪A Mandarin-Romanized dictionary of Chinese≫, ≪A Chinese and English Vocabulary in the Pekinese Dialect≫에 나타난 聲調와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여러 유형의 異讀 중 現代 標準 中國語의 제2성이≪尋津錄≫과 ≪語言自邇集≫에서 제1성으로 기록된 경우가 가장 많았다. 이들 중에는 역대 문헌에서 일관된 聲調로 출현하다가 現代 標準 中國語에서 다른 聲調로 읽히는 글자가 있었는데, 이러한 역대 문헌 안의 聲調 異讀은 北京官話 안에서 쓰이는 口語에 기인한 경우도 있고 ≪廣韻≫과 같은 역대 문헌 안의 讀書音을 수록한 경우도 있었다. 또한, 오늘날의 北京官話에서처럼 ‘骨’을 제2성으로 읽는 變調를 반영하거나 去聲 連讀 시 앞의 글자가 제2성으로 바뀌는 현상, 過道兒式 혹은 通紅式 변조를 반영한 경우도 있었다. 이외에도, 現代 標準 中國語와 동일한 聲調 異讀의 종류를 갖고 있으나 대응되는 의미가 차이가 나는 경우도 존재하였다. 이 밖에 원인을 특정할 수 없는 것도 적지 않았다. 청대 이후 北京官話의 형성은 東北官話와 밀접한 연관을 갖는데, ≪尋≫과 ≪語≫에서 東北官話처럼 m, n, l, r과 같은 次濁 聲母자가 제1성으로 읽히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미루어보아 다른 異讀도 東北方言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을 제기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여러 淸末 北京官話著作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당시 聲調 異讀 양상을 고찰한 것으로, 향후 北京官話의 變遷史를 총체적으로 규명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tonal variation of Peking dialect textbook of late Qing period. Through the analysis and compare of Peking dialect textbook written by westerner who resided in China in late Qing period, we discussed tonal variation of word in ≪The Hsin Ching Lu≫, ≪A progressive course designed to assist the student of Colloquial Chinese as spoken in the capital and the metropolitan department≫ and dictionaries such as ≪A Mandarin-romanized dictionary of Chinese≫ and ≪A Chinese and English vocabulary in the Pekinese Dialect≫. In comparison with Standard Chinese the case that read second tone as first tone most often in textbooks. Some of these characters appeared in consistent tones in historical phonological books and some in different tones in modern standard Chinese, due to spoken language used only in Peking dialect, or to include reading sounds in ≪廣韻≫. In addition, the tonal variarion of ‘ku(骨)’, tone sandhi of fourth tone, ‘guodao(過道)’ tonal variation and ‘tonghong(通紅)’ tonal variation was reflected in these textbooks. In addition, there have been cases in which they have same kind of tonal variation with Standard Chinese, but their correspoding meanings differ. There were many other cases that could not be specified. The formation of Mandarin after Qing dynasty is closely related to Northeastern varieties, and given that ≪The Hsin Ching Lu≫, ≪A progressive course designed to assist the student of Colloquial Chinese as spoken in the capital and the metropolitan department≫ have some features same with Northeastern varieties, these tonal variation might closely related to it. This study analyzed the works of Peking Dialect at the late Qing dynasty and considered the aspects of tonal variation, which could contirubute to rhe comprehensive identification of history of Mandarin in the future.

      • KCI등재

        중국어의 운모체계와 한어병음자모 표기 고찰

        김태경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 2021 외국학연구 Vol.- No.55

        In this paper, out of 36 finals, I examined the finals of which actual sound differs from Hànyǔ Pīnyīn Romanization and the vowels that have multiple sound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actual sound value of vowel o of the finals ong, iong, and vowel o following labial initials and the real sound value of ending -o of the finals ao and iao. 24 Chinese students and 44 Korean college students learning Chinese answered the questionnaire. In addition, I examined the real sound of retroflex ending -ɽ, the main vowel [e] of finals ie, üe and the main vowel [ɛ] of finals ian, üan. In Mandarin, the standard Chinese language, 23 consonants are used including the 21 consonants used as initials, and the consonants [ŋ] and [ɽ] used only as ending. Besides, 17 vowels are used including 13 monophthongs [ɿ], [ʅ], [i], [y], [u], [e], [ə], [ɤ], [o], [a], [ɛ], [ɑ], [ɔ] and 4 diphthongs [ai], [ei], [ao], [ou]. Tone is also a phoneme in Chinese. There are 4 tones in Mandarin. Besides, neutral tone is also being used.

      • KCI등재

        한국어 교재 Corean Primer (1877)의 특성과 텍스트 형성 배경

        김주필(Joo-Phil Kim),홍성지(Sungji Hong)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2017 언어학 Vol.0 No.78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 of Korean text formation of the Corean Primer (1877), the first Korean language textbook compiled and edited by John Ross, by comparing the Corean Primer with his Mandarin Primer (1876). Comparing the Corean Primer with Mandarin Primer, we found that those two textbooks share similar features; textbook format and structure, contents of each chapter, and arrangement. Moreover, the principles of Roman letters expressing the Korean pronunciation in Corean Primer adopts identical principles that are applied in the Mandarin Primer. The Mandarin Primer follows the European mode of Roman letters transliteration, and this mode is affected by the orthography of English and Scottish Gaelic which is Ross’s mother tongue. Thus, it is true that Corean Primer adopted the text format and structure of the Mandarin Primer. Measuring the ‘sentence similarity’ by comparing the main text sentences with Corean Primer with those of Mandarin Primer, we found that there is 85.24% sentence similarity, which shows high similarity of main texts between the two Primers. Also regarding the fact that Mandarin Primer adopted the structure and format of Western textbooks at the time, the Corean Primer can be evaluated as a textbook that incorporates the aspects of modern Western textbooks, which was groundbreaking at the time.

      • KCI등재

        《어언자이집(語言自邇集)》초판 서문 역해

        申?哲(신원철),具賢娥(구현아),盧慧靜(노혜정) 중국어문논역학회 2022 中國語文論譯叢刊 Vol.- No.50

        본 논문은 1886년의 제2판 《어언자이집(語言自邇集)》에 수록된 1867년 초판의 서문을 번역하고, 그 속에서 논의되고 언급된 관련 내용에 대해 기술, 정리한 것이다. 토머스 웨이드가 편찬한 《어언자이집》은 최초로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하여 발음, 대화, 문법, 한자 쓰기 등 여러 분야를 아우른 최초의 종합 학습서로, 중국 언어학사와 중국어 교육학사에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어언자이집》초판의 서문은 《어언자이집》명칭의 유래, 편찬 과정 및 토머스 웨이드의 중국어에 대한 인식, 중국어 표기 등에 대해 자세하게 싣고 있어 이 책의 성격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된다. 《어언자이집》이 지니는 학술 가치와 기존에 서문 전문이 한국어로 번역된 적이 없었던 바에 비추어 볼 때, 본 연구는 학술적으로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translates the preface of the first edition of Yu-yen Tzŭ-erh Chi (語言自邇集) in the second edition published in 1886, describes and summarizes the related contents discussed and mentioned in it. Yu-yen Tzŭ-erh Chi is a textbook first published in 1867 by Thomas Francis Wade (1818-1895) for the teaching of spoken and written Chinese based on the Peking dialect for British diplomats in China and consists of an English description. This article describes origin of the book name, author"s compilation process, Wade"s understanding of Chinese, romanisation system in Yu-yen Tzŭ-erh Chi, it is an important clue to understand the character of this book. Based on the academic value of Yu-yen Tzŭ-erh Chi and the fact that the entire preface has never been translated into Korean, this study can be regarded as a very meaningful work academically.

      • KCI등재

        《어언자이집(語言自邇集)》제2판 서문 역해

        申?哲(번역자),具賢娥(번역자),盧慧靜(번역자) 중국어문논역학회 2021 中國語文論譯叢刊 Vol.- No.49

        본 논문은 《어언자이집(語言自邇集)》제2판의 서문을 번역하고, 그 속에서 논의되고 언급된 관련된 내용에 대해 기술, 정리한 것이다. 본고는 1886년도에 나온 제2판을 저본으로 한다. 《어언자이집》은 토머스 웨이드(Thomas Francis Wade, 1818-1895)가 1867년 중국에 근무하는 영국인을 대상으로 중국어의 구어(口語)와 문어(文語) 교육을 목적으로 출간한 교재로 중국어 본문과 영어 설명으로 구성되어있다. 이 책은 당시 중국어 학습에 있어서 가장 발달한 교재로 평가받으며, 그 속에 쓰인 표기법 등은 이후 웨이드-자일스(Wade-Giles) 표기법으로 발전, 현재 서양에서의 중국어 표기 등의 기준으로 쓰이고 있으며, 근대 중국어 연구에도 중요한 가치가 있는 문헌이다. 본고는 《어언자이집》제2판 서문(序文)에 담겨진 저자의 편찬 의도, 과정, 관련 배경 등에 대해 기술하고, 서문의 전문을 번역하였다. 《어언자이집》이 지니는 학술적 가치와 기존에 서문 전문이 한국어로 번역된 적이 없었던 바에 비추어 볼 때, 본 연구는 학술적으로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translates the preface of the second edition of Yü-yen Tzŭ-êrh Chi(語言自邇集) and describes and summarizes the related contents discussed and mentioned in it. This study is based on the second edition of 1886. Yü-yen Tzŭ-êrh Chi is a textbook first published in 1867 by Thomas Francis Wade(1818-1895) for the teaching of spoken and written Chinese for British diplomats in China and consists of an English description. This book was evaluated as the most developed textbook for learning Chinese at that time. The romanization system used in this book was later developed into the Wade-Giles System, now used as a standard for Chinese notation in the West. So it has an important value for modern Chinese studies. This article describes the author"s compilation intention, process, and related background contained in the preface to the second edition of Yü-yen Tzŭ-êrh Chi, and translated the full text of the preface first in Korea. Based on the academic value of Yü-yen Tzŭ-êrh Chi and the fact that the entire preface has never been translated into Korean, this study can be regarded as a very meaningful work academ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