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민자치의 제도설계 -일본의 주민자치회와 주민자치센터를 사례로-

        김찬동 한국지방자치학회 2014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26 No.1

        The issue on reform of residents’ autonomy is heated controversy. The community center which was installed for residents’ autonomy has not contributed to local autonomy. The Reform Committee on Local Administrative System has discussed, and decided on introduction of neighborhood autonomy legally. They have studied new institutional design on residents’ autonomy, especially Japan’s community autonomy(Jichikai, Chonaikai, Chokai). But they seem to have mistake of institutional design. The Chonaikai of Japan’s residents association is corresponded to residents’ community organization, not to residents’ autonomy organization. The residents’ autonomy organization is a upper tier to residents’ association. Jumin-Kyougikai is a residents’ autonomy organization and Chonaikai(chokai, Jichikai) is a residents association. The community center is the facility for residents’ association and was built by City Government. The operation formation of the community center is Jumin-Kyougikai. They participate the process of City Government’s administration and policy. There is not bureaucracy organization to correspond to residents’ autonomy organization and residents’ association in Japan. But Ministry of Security and Administration wants to possess and keep up the branch of administrative bureaucracy, namely Dong-offices, which govern and control the Resident’s Autonomy Committee and residents associations. It is the contradiction on residents’ autonomy and autonomy tire theoretically. 최근 주민자치회에 대한 개편논의가 뜨겁다. 지난 10여년간 주민자치를 위하여 주민자치센터를 설치하였으나 주민자치에는 그다지 기여하지 못하였다고 한다. 지방행정체제개편위원회의 논의과정을 통하여 근린생활자치활성화를 주된 주제의 하나로 하면서, 주민자치회를 법제도로 도입하기로 하였다. 새로운 제도설계를 위하여 일본의 주민자치회를 제도학습하고 있는데, 학습의 오류가 있는 것이 아닌가 한다. 즉 일본의 주민자치회는 주민공동체조직에 해당하고, 주민자치체에 해당하지 않는다. 주민자치체로서는 주민협의회가 상위계층으로 존재한다. 근린공동체조직의 상위계층의 시설로서 커뮤니티 센터를 설치한 것이고, 이의 운영체로서 주민협의체가 설립되었다. 주민협의체는 기초지방자치단체의 행정과정에 참여한다. 일본에는 근린주구(近隣住區)로서의 근린공동체조직이든 커뮤티니주구로서의 주민협의체든 이에 상응하는 행정관료조직이 존재하지 않는다. 한국은 동사무소를 여전히 둔 채로 주민자치회를 제도화하려고 한다. 주민자치의 제도설계에서 제도학습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주민자치의 제도설계에서 주된 논점인 자치계층에 대한 이해가 무시된 것이라고 보인다.

      • KCI등재

        지방자치 주민직접참여와 더 많은 민주주의

        김태호(Kim, Tae-Ho)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17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17 No.4

        이 논문은 법제도를 개선하여 주민의 직접참여를 확대하고 민주주의의 질적 발전을 추구할 수 있겠는가를 궁리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지방자치법제에서 조례제정 및 개폐청구, 주민투표, 주민소환, 주민감사청구, 주민소송, 주민참여예산과 같은 주민참여제도를 이미 다양하게 도입하고 있다. 따라서 먼저 현재 존재하는 제도의 주요 내용과 운영 상황, 현실적으로 드러난 문제점을 분석한 다음 주민 직접 참여제의 발전 방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글이 주목하는 점은 무엇보다 현재 직접참여제도의 활용도가 매우 낮다는 점이다. 필자는 그 이유에 대해 현재의 주민참여제도가 주민의 참여를 매우 불편한 방식으로 제도화하고 있기 때문은 아닌지, 지방자치에 대한 참여가 스스로의 결정으로 주민의 삶을 바꿀 수 있다는 효능 감을 주지 못하기 때문은 아닌지를 살핀다. 그리고 주민이 자치참여로부터 효능감을 느끼려면, 단기적으로는 보다 실질적인 참여를 보장하는 제도의 개선을, 장기적으로는 분권을 통한 지방자치권의 확대를 추구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새 정부가 내놓은 지방자치 로드맵(안)의 구체화 방향도 이러한 관점에서 세부적인 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주민직접참여제도의 확대는 더 많은 민주주의, 혹은 실질적인 민주주의 강화에 기여할 수 있다. 그 점에서 직접민주주의 참여민주주의적 제도는 헌법상 대의제의 기능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보완하는 의미를 갖는다. 특히 지방자치 단위 참여 제도의 확대는 사회적 역동성과 다양성을 신장시킨다. 이러한 시도는 민주주의를 확대를 의미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시민의 기본권 신장에 기여한다. 따라서 주민의 직접참여제도는 주민자치의 헌법적 권리와 지방자치 단위에서의 직접민주제 참여민주제 보장을 헌법 차원에서 명문화할 필요가 있다. 또 지방자치에 관한 법률은 주민의 참여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는 방향으로 개정될 필요가 있다. 주민의 참여는 행정결정의 출발단계에서부터 행정통제에 이르기까지 실질적으로 보장되어야 한다. 참여의 구체적인 절차와 방법은 법률에서 조례에 상당부분 위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지방자치단체마다 다양성을 보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주민참여제도는 새로운 참여절차의 가능성에 대해 열려 있어야 할 것이다. 비교적 새로운 절차로서 공론화위원회 절차의 도입과 같은 심의민주주의적 참여 절차, 추첨 방식에 의한 참여자 선발과 교육제도, 주민자치센터나 마을공동체와 같은 자치단위를 기초로 한 주민자치의 모색과 같은 제도적 실험이 보장되고 확산 되도록 법제화를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legal system that seeks qualified democracy through expanding direct participation of residents. Korea has already introduced direct participatory systems at local level; the right of claim of proposition for ordinances, referendum of residents, recall of residents, audit demand of residents, residents’ suit and participatory budgeting, etc. Their current availability has been nevertheless very low. The author assumes the reasons in two directions: (1) whether the current direct participatory systems have been institutionalized in an inconvenient way to the residents or not; and (2) whether the system ultimately fails to provide residents a sense of efficacy that can change their lives by their own decision making or not. For expanding the efficacy of residents, the author addresses to revitalize practical involvement of the residents and share diverse measures in accordance with the local conditions for promoting their involvement in a short term perspective. On the other hand, in a long term view, the author also emphasizes the necessity to strengthen autonomous decentralization right through decentralizing power nationwide. From this perspective, it is required to elaborate of the Autonomous Decentralization Roadmap draft which has been recently proposed by the new Korean government. Expansion of direct participatory systems of the residents not only contributes to the establishment of democracy but also strengthens the quality of democracy in the end. Direct participation, therefore, can play a role as complementary goods of the representative democracy. Especially, the expansion of participatory system allows social dynamics and diversities at local level by allowing the residents to determine their own policies and services through their active and direct participations and to realize their human right through the whole processes. Institutionally, the author argues that a direct participatory system in local government should be guaranteed in the form of consitutional right and constitutional guarantee of direct democracy in the constitutional revision. Moreover, the “Local Autonomy Act” requires to be revised substantially assuring participatory rights of the residents. The author leaves possibility to delegate most part of the Act, including specific processes and methods, to the ordinances so that each local autonomous entity materializes diversities accordingly.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should be guaranteed not only from the initial stage of administrative decision making but also to the level of administrative controls. It is necessary to experiment and introduce deliberative democracy elements, such as the reduction of self-governing units centering on village communities, the introduction of the sortition democracy plus post-educational system, and the introduction of public opinion survey committee procedures as well.

      • KCI등재

        주민자치 법제화에 관한 연구 : 6개 주민자치법안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신용인(Shin, Yong-In)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21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21 No.3

        Residents autonomy in Korea started in 1998 when the Kim Dae-jung government established residents autonomy centers and formed residents autonomy committees. And since 2013, residents associations have been piloted. However, it is a pseudo residents autonomy, with neither residents nor autonomy. To solve this problem, six Residents Autonomy Bills were submitted to the National Assembly this year. However, since each bill has different contents, it is questionable whether it is possible to come up with a single bill that integrates the six bills. Meanwhile, the National Network for Legislating the Residents Autonomy Laws, was launched. With the goal of preparing an integrated Residents Autonomy bill through public debate, This civic group has extracted 12 issues related to resident autonomy legislation. The 12 core issues almost cover major issues related to the enactment of the Residents Autonomy Act, and it is expected to serve as a useful reference for enacting the Residents Autonomy Act in the future. Therefore, First, I examine the origin of the concept of residents autonomy and argue that the core of the concept of freedom, which is the essence of resident autonomy, is self-legislation . Second, resident autonomy is defined as “Residents of a certain area form a self-governing body, a local organization, in accordance with a law made by themselves, and autonomously decide and handle the affairs of the area”. Third, based on this definition of residents autonomy, I critically examine the state of residents autonomy in Korea. Fourth, I present my own alternativ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ix resident autonomy bills proposed to the National Assembly in light of 12 core issues. My alternatives to the 12 core issues are presented as follows. ① All residents of Eup, Myeon, and Dong shall be members of the residents associations. ② Residents associations have autonomy over residents daily affairs. ③ Residents associations shall be public corporations in a different form from local governments. ④ Residents associations are composed of a resident selection method that goes through procedures such as a referendum. ⑤ The organizations of the residents associations are composed of the general residents assembly, the executive committee, and the secretariat. ⑥ In principle, councilors of the residents associations are selected by lot. ⑦ Establish Town funds jointly owned and managed by residents ⑦-1 Residents associations may use national and public property. ⑧ The Resident Autonomy Act is separately enacted based on the Local Autonomy Act. ⑨ The president of residents association is directly elected by the residents. ⑩ Residents associations do not impose on its members the obligation to pay dues. ⑪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provid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to the residents associations. ⑫ When the Residents Autonomy Act is enforced, pilot residents associations or residents autonomous committees will be abolish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우리나라 주민자치는 1998년 김대중 정부 때 주민자치센터를 설치하고 주민자치위원회를 구성ㆍ운영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2013년부터는 주민자치회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주민자치의 본질에 대한 깊은 성찰 없이 행정관료제의 필요에 따라 일본의 제도를 섣부르게 벤치마킹하여 주민자치를 도입한 탓에 무늬만 주민자치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올해 들어 7개 주민자치법안(김두관 안, 김영배 안, 김철민 안, 박완수 안. 이명수 안, 이해식 안, 한병도 안)이 국회에 발의되었다. 하지만 각 법안마다 그 내용이 각양각색인 탓에 7개 법안을 통합한 하나의 법률안을 마련할 수 있는지가 의문이다. 한편 전국적 차원에서 주민자치 법제화를 위한 주민운동조직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올해 5월경 시민단체인 ‘주민자치법제화전국네트워크’가 출범했는데 이 단체는 주민 공론화를 통한 통합 주민자치법안 마련을 목표로 하여 주민자치 법제화 관련 핵심 쟁점을 12개로 정리했다. 12개 핵심 쟁점은 주민자치 법제화와 관련된 주요 쟁점들을 거의 망라한 것으로 향후 주민자치법 제정에 유익한 참고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선 주민자치의 개념 유래를 살펴보고, 주민자치의 본질인 자유 개념의 핵심이 ‘자기입법’임을 밝힌 다음, 주민자치를 ‘일정한 지역의 주민들이 스스로 만든 법에 따라 지역단체인 주민자치기구를 구성하여 그 지역의 사무를 자율적으로 결정ㆍ처리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주민자치에 대한 이러한 정의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주민자치 모습을 비판적으로 들여다보고, 국회에 발의된 7개 주민자치법안 중 6개 법안을 핵심 쟁점 12개에 비추어 비교ㆍ분석하면서 필자 나름의 대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① 주민자치의 본질과 헌법상의 평등원칙에 비춰볼 때 누구나 주민자치회에 자유롭고 평등하게 참여할 수 있어야 하므로 읍ㆍ면ㆍ동 주민 모두를 주민자치회의 회원으로 한다. ② 주민자치회는 보충성의 원리에 입각하여 주민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사무에 대해 자치권을 갖는다. ③ 주민자치회에 법인격을 부여하되 헌법상 지방자치단체와는 별개의 특수한 공법인으로 한다. ④ 주민자치회는 일률실시 방안이 아니라 미국의 Home Rule처럼 주민투표 등의 절차를 거치는 주민 선택 방안으로 구성한다. ⑤ 주민자치회는 그 기관으로 해당 읍ㆍ면ㆍ동 주민 전부가 참여하는 주민총회와 주민자치위원으로 구성되는 운영위원회, 사무국 등을 둔다. ⑥ 주민자치회의 위원은 자유롭고 평등한 참여의 보장을 위해 원칙적으로 추첨으로 선정한다. ⑦ 주민자치회의 재정 확보를 위해 마을기금을 조성ㆍ운용한다. 이때 마을기금은 주민 전체가 총유에 준하는 형태로 공동소유하고 자율적으로 관리하는 형태로 조성되며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출연금이 그 주된 재원이 된다. ⑦-1 주민자치회의 국ㆍ공유재산 활용 특례조항을 둔다. ⑧ 주민자치회가 지방자치 제도의 한 구성 요소로 인정받는 동시에 주민자치회 본연의 유연성과 자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주민자치법은 지방자치법에 근거를 두는 동시에 독립한 개별법으로 제정한다. ⑨ 주민자치회의 회장은 민주적 정당성의 확보를 위해 주민이 직접 선출한다. ⑩ 회비납부의무를 부과할 경우 자칫 회비가 주민자치회의 진입장벽으로 작동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민자치회는 회원에게 회비납부의무를 부과하지 않는다. ⑪국가 및 지자체의 행정적ㆍ재정적 지원을 기속사항으로 하고 주민자치회 협의체가 전문지원기관 역할을 담당한다. ⑫주민자치법이 시행되면 시범주민자치회나 주민자치위원회는 일정한 기간 경과 후 폐지한다.

      • KCI등재

        주민자치회에 관한 법적 검토

        최윤영(Choi, Yoon-Young) 한국비교공법학회 2015 공법학연구 Vol.16 No.3

        주민자치회는 지역주민 중심의 근린자치 활성화, 행정과 주민 간 협력을 통한 행정서비스 개선, 지역 공동체의식 및 민주적 참여의식 고양 등 풀뿌리 지방자치 활성화를 위하여 도입되었다. 해당 행정구역의 주민들로 구성되어, 주민자치회 구역 내의 주민화합 및 발전을 위한 업무, 지방자치단체와 관계 법령, 조례 또는 규칙으로부터 위임 또는 위탁받은 업무를 처리하는 공적?공법적 조직으로서의 성격을 갖는다. 아직 주민자치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가칭)이 제정되지 않은 현상황에서는 기존 자치조직과의 관계도 정립되지 않고, 법적 성격과 지방자치단체 사무의 위임(위탁) 가능성 등에 관한 쟁점들이 입법적으로 정리되지 않았지만, 이 글에서는 이에 관하여 지방자치법, 지방분권 및 지방행정체제개편에 관한 특별법 등을 근거로 구체적?유형적으로 파악하는 시도를 하였다. 이와 함께 주민자치회의 설치, 운영, 구성, 재정 등에 관한 쟁점을 검토하여 주민자치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가칭) 제정을 위한 입법적인 제언을 하고, 지역적 특수성을 반영한 보다 실효적인 주민자치회의 활동을 유도하기 위한 조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Residents’ association has been enforced to invigorate grassroots local autonaomy. It purposes to promote the neighborhood autonaomy focused on local residents, to improve administrative service by the cooper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residents, and to encourage sense of local community and democratic participation. Residents’ association is composed of local residents. It carries out a variety of tasks that are necessary for the reconciliation of residents and regional development. The association also performs business which has been delegated and entrusted by the local government, law and ordinance. At this poin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Community center and Residents’ association. Residents’ association has a attribute of public law and public interest. Since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Residents’ association, tentatively named, has not been legislated, the relationships with existing organizations is ambiguous. Moreover the issues, like the legal character or the possibility of delegating and entrusting local government’s tasks, are not determined legally. For this reason, 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these issues concretely and specificly by type, based on LOCAL AUTONOMY ACT, SPECIAL ACT ON THE DECENTRALIZATION AND REFORM OF THE LOCAL ADMINISTRATIVE SYSTEM and so on. In addition, this paper reviewed matters of Residents’ association’s, such as establishment, management, composition, finance, not only to make a suggestion for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Residents’ association, but also to enact effective ordinance which considers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 KCI등재

        Radiology Residents' Awareness about Ionizing Radiation Doses in Imaging Studies Their Cancer Risk during Radiological Examinations

        Senem Divrik Gökçe,Erkan Gökçe,Melek Coşkun 대한영상의학회 2012 Korean Journal of Radiology Vol.13 No.2

        Objective: Imaging methods that use ionizing radiation have been more frequent in various medical fields with advances in imaging technology. The aim of our study was to make residents be aware of the radiation dose they are subjected to when they conduct radiological imaging methods, and of cancer risk.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364 residents participated in this descriptive study which was conducted during the period between October, 2008 and January, 2009. The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under strict control on a one-to-one basis from each department. A X2-test was used for the evaluation of data obtained. Results: Only 7% of residents correctly answered to the question about the ionizing radiation dose of a posteroanterior (PA) chest X-ray. The question asking about the equivalent number of PA chest X-rays to the ionizing dose of a brain CT was answered correctly by 24% of residents; the same question regarding abdominal CT was answered correctly by 16% of residents, thorax CT by 16%, thyroid scintigraphy by 15%, intravenous pyelography by 9%, and lumbar spine radiography by 2%. The risk of developing a cancer throughout lifetime by a brain and abdominal CT were 33% and 28%, respectively. Conclusion: Radiologic residents should have updated knowledge about radiation dose content and attendant cancer risks of various radiological imaging methods during both basic medical training period and following practice period. Objective: Imaging methods that use ionizing radiation have been more frequent in various medical fields with advances in imaging technology. The aim of our study was to make residents be aware of the radiation dose they are subjected to when they conduct radiological imaging methods, and of cancer risk.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364 residents participated in this descriptive study which was conducted during the period between October, 2008 and January, 2009. The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under strict control on a one-to-one basis from each department. A X2-test was used for the evaluation of data obtained. Results: Only 7% of residents correctly answered to the question about the ionizing radiation dose of a posteroanterior (PA) chest X-ray. The question asking about the equivalent number of PA chest X-rays to the ionizing dose of a brain CT was answered correctly by 24% of residents; the same question regarding abdominal CT was answered correctly by 16% of residents, thorax CT by 16%, thyroid scintigraphy by 15%, intravenous pyelography by 9%, and lumbar spine radiography by 2%. The risk of developing a cancer throughout lifetime by a brain and abdominal CT were 33% and 28%, respectively. Conclusion: Radiologic residents should have updated knowledge about radiation dose content and attendant cancer risks of various radiological imaging methods during both basic medical training period and following practice period.

      • KCI등재

        주민주권론과 지방자치의 발전

        김순은 ( Soon Eun Kim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2 地方行政硏究 Vol.26 No.1

        Under the trend of decentralization the concept of residents sovereignty is recently attracting considerable attention from the academic field of political sciences and public administration. While we are familiar both with popular sovereignty and prince sovereignty, the notion of residents sovereignty is not well-known. Even though it may be conceivable to find out a substantial aspect of the notion of residents sovereignty, it can be used to a large extent since the late 21 century in Japan.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vitality of residents-based autonomy a new concept of sovereignty is needed in Japan in which the notion of popular sovereignty has been closely something to do with the local government based on institution-based local autonomy. In addition, owing to the newly emerging environment characterized by importance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disappointment with decentralization reform so far in Japan a new local political system based on citizen participation has been suggested as a tool to make the system more accountable to residents in the process of dealing with local matters. The concept of residents sovereignty has rooted in the circumstance in Japan. Put in anther way, the notion of residents sovereignty functions as a theoretical basis for developing a political system featured by the principle such as of residents, by residents, and for residents. It can said that the notion of residents sovereignty should be sound and solid enough to vitalize local autonomy from a perspective of residents.

      • KCI등재

        「지방자치법」상 ‘주민’(住民)의 개념 ― 지방자치법 제138조의 분담금 부과・징수대상이 되는 주민 개념과 관련하여 ―

        이진수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2019 행정법연구 Vol.- No.56

        Local governments shall deal with administrative matters pertaining to the welfare of local residents, manage properties, and may enact provisions relating to local autonomy, within the limit of Acts and subordinate statutes(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117(1)). Persons who have domicile within the jurisdiction of a local government shall be residents of such local government(Local Autonomy Act §12). Residents shall have the right to use the property and public facilities of their local governments, and to benefit equally from the administration of their local governments as prescribed by statutes. And residents who are Korean nationals shall have the right to participate in the elections of the members of local councils and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held by such local governments as prescribed by statutes(Local Autonomy Act §13). In addition, the legal status of a person depends on whether he shall be recognized as a residents because the local autonomy law recognizes various rights and duties to the residents. For example, Local Autonomy Act §138 stipulates that “If certain residents receive a special benefit from the establishment of a local government’s property or public facilities, the local government may collect a contribution from the residents benefiting therefrom, to the extent of their benefit.” Even though someone receives a special benefit from the establishment of a local government’s property or public facilities, the local government can not collect a contribution from the person, if he is not a resident of the local government. This is the case can be an important issue in the legal relationship.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fine the concept of residents accurately. For that, we used comparative method with the German law and Japanese law. As a result, the concept of residents is distinguished by two concepts of ‘inhabitants’ and ‘citizens’, and the legal status of residents is also different from that of inhabitants and citizens. This distinction is widely recognized in Korea as well. In this study, based on the distinction between inhabitants and citizens, it is suggested that the concept of residents need to be understood not only as a resident registration card but also as a basis for actual life or business even if there is no resident registration. The concept of the residents can be understood differently according to each clause of the Local Autonomy Law, and ultimate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oncept of the residents through legislation. 지방자치단체는 주민의 복리에 관한 사무를 처리하고 재산을 관리하며, 법령의 범위 안에서 자치에 관한 규정을 제정할 수 있다(헌법 제117조 제1항). 지방자치단체의 주민이란 그 지방자치단체의 구역 안에 주소를 가진 사람을 말한다(지방자치법 제12조). 지방자치단체의 주민에 해당하면, 지방자치단체의 재산・공공시설을 이용할 권리 및 균등한 행정 혜택을 받을 권리와 지방의원・지방자치단체장 선거에 참여할 권리 등을 갖게 된다(지방자치법 제13조). 그 밖에도 지방자치법상 주민에게는 다양한 권리와 의무가 인정되기 때문에, 지방자치법상 주민 해당 여부에 따라 그 법적 지위가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면, 지방자치단체는 그 재산 또는 공공시설의 설치로 주민의 일부가 특히 이익을 받으면 이익을 받는 자로부터 그 이익의 범위에서 분담금을 징수할 수 있다(지방자치법 제138조). 특별한 이익을 받은 자라고 하더라도 주민에 해당하지 않으면 분담금을 징수할 수 없게 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주민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법률관계에서 중요한 쟁점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주민 개념을 정확하게 정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주민 개념의 정확한 정의를 위해서 우리와 유사한 규정을 가지고 있는 독일과 일본의 논의를 비교법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주민이라는 개념은 ‘거주자’와 ‘시민’이라는 두 개의 개념으로 구별되어 사용되고 있고, 주민의 법적 지위 역시 거주자로서의 지위와 시민으로서의 지위가 다르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주민 개념은 이미 우리나라에서도 폭넓게 인정되고 있는 것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거주자와 시민 개념의 구별을 기초로 하여, 거주자 개념을 주민등록지뿐만 아니라 주민등록 등 공부상의 기재가 없더라도 실제 생활이나 영업의 근거가 되는 경우에도 인정될 수 있는 것으로 볼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지방자치법의 각 조항 별로 주민 개념이 다르게 해석될 수 있을 것이고, 궁극적으로는 입법적으로 주민 개념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 KCI등재

        현행 주민소환제도의 운용에 대한 평가와 개선 과제

        이관행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20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20 No.2

        In general, any organization or organization that operates as a specific task or member will agree with the fact that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increase when the monitoring or supervisory procedures are conducted in multiple stages. Despite the many positive aspects of the current representative democracy, negative aspects have also been found in securing accountability of elected representatives. As a result, the method of direct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the operation of local administration has been continuously discussed, and various systems for participation of residents are prescribed. In order for the local autonomy system to provide a substantial foundation, it must be promoted in terms of the activation of residents' autonomy. To this end, local autonomy must be made an essential part of resident participation, and through such a process, the value can be realized when resident participation is institutionalized. In particular, residents' self-government as a constitutional principle is not only a representative resident participation, but also a direct democratic resident participation suitable for the democracy of local autonomy, so direct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the local autonomy system compensates for the defects of the representative democracy and the people. It is responsible for the practical realization of sovereignty. The direct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these local administrations provided an opportunity for active and practical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in local issues, and laid the foundation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and transparency of local administrations in various fields such as systems and policies. It is also undeniable that it has led residents to increase their sovereignty awareness and participation in increased administration up to the present, and has contributed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local democracy. However, as the decentralization and local autonomy expanded systematically, the authority of elected officials, such as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and local councils, was strengthened. Questions have been continuously raised about the system for the containment and monitoring of actual residents. As part of this, the Resident Summoning System controls the illegal or unfair acts of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and local councils who are elected local officials and local officials, abuses of duties, or abuse of authority, and expands direct participation of residents, so that the policies and administrative treatment of residents' residents In order to increase the democracy and accountability of local government administration, promote the welfare of residents, and overcome the limitation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so as not to contradict the intention, the Act on Resident Summons was enacted in 2006 and was enacted in July 2007. Has been implemented since. The resident recall system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in the democratic political process as a mechanism for controlling local administration by direct participation of residents along with the referendum system. Therefore, the Resident Summoning System is inseparable from the representative system, and is particularly meaningful in that it is a necessary system for supplementing the problems of the representative system and internalizing the local government system. 일반적으로 특정 업무나 구성원으로 운영되는 단체나 조직 등은 감시 또는 감독절차가 여러 단계별로 이루어지게 되면 투명성과 책임성이 높아진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누구나 공감할 것이다. 현재의 대의민주주의는 여러 긍적적인 측면에도 불구하고, 선출된 대표자의 책임성을 확보하는데 있어서 부정적인 측면도 제법 발견되고 있다. 그 결과 지방행정의 운영에 있어서 제도적으로 주민이 직접참여 하는 방안이 지속적으로 논의되었고, 주민참여를 위한 다양한 제도를 규정하고 있다. 지방자치제도가 실질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주민자치의 활성화라는 측면에서 추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방자치는 주민참여를 본질적 요소로 하여야 하며, 그러한 과정을 통하여 주민참여가 제도적으로 정착하는 경우에 그 가치가 실현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헌법원리로서의 주민자치는 대의제적 주민참여뿐만 아니라 지방자치의 민주성에 걸맞은 직접민주제적 주민참여를 불가결한 내용으로 하기에, 지방자치제도에서 주민직접참여는 대의민주제가 안고 있는 결함을 보완하고 국민주권을 실질적으로 실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지방행정에 대한 주민의 직접참여는 지역 문제에 주민들의 능동적이고 실질적인 참여를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고, 제도 및 정책 등 여러 분야에서 지방행정의 효율성과 투명성이 점점 강조되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현재에 이르기까지 주민들의 주권의식 향상과 높아진 행정에의 참여를 유도했고, 지방의 민주주의 발전에 많은 기여를 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제도적으로 지방분권화와 지방자치가 확대되면서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등 선출직 공직자의 권한이 강화됨에 따라 그들의 자의적 권한행사와 비효율적・비합리적인 운영 등으로 선출직 공직자에 대한 책임성 문제가 대두되었고, 그들에 대한 실질적인 주민들의 견제와 감시를 위한 제도에 의문점 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에 일환으로 주민소환제도는 선출직 지방공직자인 지방자치단체의 장 및 지방의원의 위법・부당행위, 직무유기 또는 직권남용 등을 통제하고 주민의 직접참여를 확대함으로써 주민대표의 정책이나 행정처리가 주민의사에 반하지 않도록 지방자치행정의 민주성과 책임성을 제고하고, 주민복지의 증진을 도모하며, 대의제 민주주의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주민소환에 관한 법률이 2006년 제정되어 2007년 7월부터 시행되고 있다. 주민소환제도는 주민투표제와 더불어 주민의 직접참여에 의한 지방행정의 통제장치로서 민주주의 정치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그렇기에 주민소환제도는 대의제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것이며, 특히 대의제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지방자치제도의 내실화를 위한 필요한 제도라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 KCI우수등재

        주민소송의 대상 - 대법원 2020. 7. 29. 선고 2017두63467 판결 -

        李汰靜 ( Lee Tai Jeong ) 법조협회 2021 法曹 Vol.70 No.1

        이 논문은 대법원 2020. 7. 29. 선고 2017두63467 판결 중 주민소송의 대상에 대한 판단의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위 판결에서는 주민감사청구사항과 주민소송청구사항 사이의 관련성은 주민감사청구사항의 기초인 사회적 사실관계와 기본적인 점에서 동일한지에 따라 결정되며 그로부터 파생되거나 후속하여 발생하는 행위나 사실도 관련성이 인정된다고 보았다. 또한 원고가 주장하는 행위들이 주민소송의 대상인 재무회계행위에 해당하는지는 해당 행위들이 전체적으로 포괄하여 하나의 위법한 재무회계행위를 이루는 지를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고 보았다. 지방자치법 제17조 제1항의 문언해석만으로는 주민감사청구사항과 주민소송청구사항 사이의 관련성에 대한 구체적 판단기준을 도출하기 어렵고, 지방자치단체의 재무회계사항과 비재무회계사항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도 현실적으로 어렵다. 따라서 주민소송의 대상의 판단기준을 도출함에 있어서는 주민소송 제도의 목적과 기능에 대한 판단이 개입될 수밖에 없다. 주민소송이 지방자치행정에 대한 책임성 제고 및 주민의 민주적 참여수단으로서 가지는 성격, 주민소송이 공익소송 및 민중소송에 해당하는 점, 이에 반해 그 활용은 미미한 상황에 비추어, 대상판결은 지방재정의 적법한 운영의 확보라는 주민소송제도의 입법취지를 존중하면서도 주민소송의 대상을 지나치게 엄격하게 해석하지 않음으로써 주민소송의 기능과 성격에 부합하는 법리를 전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upreme Court's judgment 2017DU63467 made on July 29, 2020. The above judgment judged that the relevance between the claim of residents’ audits and the claim of residents’ lawsuits depends on whether it is the same as the social facts, which are the basis of the claim of residents’ audit, and that the acts or facts derived from or subsequently occurred from it are also recognized to be related to the claim of residents’ audits. It was also noted that whether the actions claimed by the plaintiff were financial accounting actions subject to residents’ lawsuits should be based on whether the actions constituted a single illegal financial accounting action as a whole. It is difficult to derive specific criteria for judgment on the relevance between the claim of residents’ audits and the claim of residents’ lawsuits by interpretation the word of Article 17 (1) of the Local Autonomy Act. In addition,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clearly distinguish between financial accounting actions and non-financial actions of local governments. Therefore, in deriving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subjects of residents’ lawsuits, judgment on the purpose and function of residents’ lawsuits system must be involved. Residents' lawsuit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enhancing accountability for the local administration and as a means of democratic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residents' lawsuits correspond to the public interest litigation and the public litigation. However, the utilization of residents’ lawsuits is low. Considering this, there is significance of the said judgment on the fact that it developed the legal principles that fit the function and character of the residents' lawsuit by respecting the legislative purpose of the residents' lawsuits system to ensure the proper operation of local finances, but not interpreting the object of the residents' lawsuits too strict.

      • 주민소송의 대상과 도로점용허가 - 대법원 2016. 5. 27. 선고 2014두8490 판결 -

        최계영 ( Choi Kae-young ) 법조협회 2016 최신판례분석 Vol.65 No.9

        이 논문은 대법원 2016. 5. 27. 선고 2014두8490 판결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 판결에서는 도로점용허가가 주민소송의 대상이 되는지의 문제가 최초로 판단되었다. 도로점용허가는 일률적으로 주민소송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하급심에서의 판단과 달리, 대법원은 도로점용허가의 실질을 살펴 특정한 성격의 도로점용허가는 주민소송의 대상인 재산의 관리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였다. 도로점용허가가 “도로 등의 본래 기능 및 목적과 무관하게 그 사용가치를 실현·활용하기 위한 것으로 평가되는 경우”가 그러하다. 이 사건에서의 도로점용허가는 실질적으로 임대 유사한 행위이므로 주민소송의 대상이 된다고 판단하였다. 하급심에서의 판단과 비교할 때 위와 같은 대법원의 판단은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첫째, 하급심에서 도로는 지방자치단체가 소유하지 않는 도로도 있으므로 도로점용허가는 주민소송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지방자치단체가 도로의 소유자가 아닌 경우는 예외적인 상황이므로 이를 이유로 도로점용허가 전부를 주민소송의 대상에서 제외한 것은 타당하지 않다. 지방자치단체가 소유하지 않은 도로에 대한 점용허가만을 제외하면 충분하다. 둘째, 하급심에서는 도로점용허가는 도로관리청으로서 도로행정상의 목적으로 행하는 행위이므로 일률적으로 재산의 관리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공물의 관리나 도로점용허가의 목적과 태양은 다양하고, 실질적으로 임대와 유사한 기능을 갖는 경우도 있으므로 개개의 도로점용허가의 실질 에 따라 달리 판단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 사건에서 대법원은 도로점용허가에 대한 주민소송을 허용함으로써 항고소송으로는 다투기 곤란하였던 행정작용에 대한 사법심사 가능성을 열어 주었다. 주민소송의 활용이 저조한 현 상황에서 주민소송의 대상을 적극적으로 해석한 대상판결은 고무적이다. 대상판결은 재무회계행위에 대한 형식적 해석으로 주민소송의 대상을 좁게 한정하는 것을 피해온 일련의 대법원 판결과 같은 흐름 속에 있다. 이러한 대법원의 경향은 재무회계사항을 주민소송의 대상으로 한 입법자의 결단을 존중하면서도, 지나치게 형식적인 해석으로 주민소송의 기능과 활용이 억제되지 않도록 하였다는 점에서 바람 직하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upreme Court judgment 2014DU8490 made on February 27, 2016. In the above judgment, whether permissions to occupy and use a road would be subject to residents` lawsuits or not was judged for the first time. Unlike the judgments in lower instances that no permission to occupy and use a road can be subject to residents` lawsuits at all, the Supreme Court judged that in consideration of the substance of permissions to occupy and use a road, some permissions to occupy and use a road of certain natures fall under the management of properties that is subject to residents` lawsuits. This is the case with permissions to occupy and use a road that are “evaluated to be intended to realize/utilize the value in use of the road irrelevant to the original function and purpose of the road.” The Supreme Court judged the permission to occupy and use a road to be subject to residents` lawsuits because the purpose of the permission was actually acts similar to leases. Compared to the judgments in lower instances, the Supreme Court judgment mentioned above is thought to be appropriate. First, lower courts judged that no permission to occupy and use a road can be subject to residents` lawsuits because some roads are not owned by any local government. However, since cases where roads are not owned by any local government are exceptional situations, the exclusion of all permissions to occupy and use a road from the subjects of residents` lawsuits is not appropriate. Exclusion of only permissions to occupy and use roads not owned by any local government is sufficient. Second, lower instances judged that since permissions to occupy and use a road are acts of road management agencies for road administration, none of permissions to occupy and use a road falls under the management of properties. However, since the purposes and forms of the management of administrative properties and permissions to occupy and use a road are diverse and some of them actually have functions similar to lease, judging permissions to occupy and use a road differently based on the substances of individual permissions to occupy and use a road. In this case, the Supreme Court opened the possibility of judicial review of administrative actions that could not be easily disputed with appeal litigations by allowing residents` lawsuits against permissions to occupy and use a road. In the present situation where the utilization of residents` lawsuits is low, the said judgment that actively construed the subjects of residents` lawsuits is encouraging. The said judgment is in the same stream with a series of Supreme Court judgments that have avoided limiting the subjects of residents lawsuits too narrowly by formal construction of financial accounting actions. This tendency of the Supreme Court is thought to be desirable in that it respects the decision of the legislator that included issues subject to financial accounting in the subjects of residents` lawsuits while ensuring that the functions and utilization of residents` lawsuit due to overly formal constr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