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공영방송 수신료제도 개선 방안

        황근(Hwang, Kuhn) 서울대학교 공익산업법센터 2014 경제규제와 법 Vol.7 No.2

        본 연구는 방송 산업의 구조를 정상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공영방송 공적 재원을 확대하기 위하여 현행 공영방송 수신료제도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효율적인 제도개선방안을 제시하려는 목적에 따라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공영방송 정상화와 수신료제도 개선 필요성을 검토하고, 지금까지의 수신료 인상논의에 대해 평가, 분석을 통해 현행 공영방송 수신료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현행 수신료제도가 안고 있는 정치적 독립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시급한 문제로 밝혀졌다. 정치적 세력과 연계된 이해상충이 수신료 제도 정상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공영방송 수신료제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치적, 경제적 이해관계로부터 독립된 지위를 보장 받을 수 있는 전문 독립기구인 가칭 ‘수신료위원회’의 설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수신료위원회의 역할은 공영방송의 적정 수신료를 결정하고 국회에 의결을 요구하는 역할, 공영방송의 전체적인 재원구조 원칙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수신료 배분기준을 결정하는 것, 공영방송사의 경영 및 편성에 대한 평가를 통해 수신료와 공영방송의 책무를 직접 연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공영방송의 재원정상화를 통해 궁극적으로 공영방송의 바람직한 발전방향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In this study, in order to expand the public broadcasting public funds as scheme that can be used to normalize the structure of the broadcast industry, consider the problems of the current public broadcast reception fee system, and presents an efficient system improvement proposals was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want purpose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ese studies, first, consider the need for improved public broadcasting normalization and receiving fee system via literature studies, evaluation discussion of the reception fee pulled so far, through the analysis, I was thinking the improvement measures and problems of the current public broadcast reception fee system. The results of the study was revealed by the most urgent problem to ensure the political independence of the current subscription fee system are having. Because the conflict of interest in cooperation with political forces has become an obstacle to the normalization of the reception fee system. To ultimately resolve the problems of the public broadcast reception fee plans, the political, tentatively named “reception fee committee”, a professional independent body from economic interests, can be guaranteed the independent status. Role of receiving fee committee is to determine the proper reception fee of public broadcasting, the role that requires a vote in Parliament, to determine the principles of the overall funding structure of public broadcasting, determine the subscription fee allocation criteria accordingly and that, it may be assumed that work directly responsible for receiving charge and public broadcasting through the evaluation of management and a combination of public broadcasters. As a result, through the financial resources normalization of public broadcasting, ultimately, is going to be presented with a desirable development direction of public broadcasting.

      • KCI등재

        NHK 수신료 납부 정지·거부 운동을 통해 본 현대 일본의 공영방송 인식과 시민사회의 변동

        정지희(Ji Hee Jung)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7 언론정보연구 Vol.54 No.2

        본고는 2000년대 중반 이후 활발해진 NHK 수신료 납부 정지·거부 움직임과 이에 대한 NHK와 정부의 대응을 분석하여 현대 일본 사회의 공영방송에 대한 인식과 시민사회의 변동 여부를 고찰한다. 2004, 2005년의 NHK 내부 비리 폭로와 정치 개입 문제를 계기로 일어난 수신료 납부 정지·거부 운동은 NHK의 신뢰 회복을 위한 개혁과 시청자 주권 의식의 고양을 가져왔다는 점에서 사회적인 함의가 크다. 일본의 수신료 제도는 전후 민주화 개혁 과정에서 성립한 것으로, 「방송법」」상 수신료 납부 의무가 명시되지 않아 시청자의 선의에 의존하는 특수성을 갖는다. 이처럼 이례적인 수신료 제도의 장기 지속을 전후 민주주의라는 사회적 지향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최근의 수신료 납부 정지·거부 운동과 정부와 NHK의 대응을 통해 이러한 수신료 제도를 떠받쳐 온 공영방송에 대한 사회적 승인의 지속과 함께, 그러한 공영방송 인식에 나타난 균열을 진단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현대 일본의 수신료 문제를 공영방송의 이상과 전후 민주주의적인 지향의 뿌리 깊음과 동시에 이들의 동요를 상징하는 사회 현상으로 결론짓는다. This study seeks to examine Japanese citizens’ collective refusal to pay the NHK television reception fee (jushinryō), which began as a protest against the NHK corruption scandal and the state’s intervention in the content of broadcasting around 2004 and 2005 and the reactions from NHK and the government. The current reception fee system is a product of the democratic reform process following Japan’s defeat. It is a rather unique system as the Broadcasting Law does not stipulate an obligation to pay the reception fee or the penalty for payment evaders; the system depends on viewers’ goodwill. I will explain the longevity of such a subscription system in relation to the social orientation of postwar Japan, postwar democracy in particular, and illuminate both the reaffirmation of and the disturbance to the social consensus that has supported the reception fee system. While the advocates of public broadcasting services, bulwarks of democracy, temporarily withheld the NHK reception fee payment in protest, others who do not appreciate the values of public broadcasting or the reception fee system began to make their voices heard. NHK and the government took moral and/or legal measures to force the principle of “the fair distribution of burdens” on every viewer. This study concludes that while demonstrating deep-rooted democratic values in Japanese society and Japanese citizens’ endorsement of public broadcasting, the reception fee problem in contemporary Japan indicates the symptoms of a diversifying civil society and the changing perception of public broadcasting.

      • KCI등재

        위성수신용 마이크로스트립 어레이 안테나 설계

        김장욱(Jang-Wook Kim),전주성(Joo-Seong Jeo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9 No.10

        본 논문은 현재 직접 위성수신용 안테나로 사용 중인 파라볼릭 안테나를 대체할 수 있는 마이크로스트립 어레이 안테나를 연구하였다. 마이크로스트립 어레이 안테나는 극히 제한적인 분야에서 사용되었으나 직접위성 수신용 안테나와 같이 우리 실생활에 직접 적용할 수 있다면 많은 분야에서 활용이 예상된다. 마이크로스트립 어레이 안테나가 직접 위성수신용 안테나로 활용되려면 우선적으로 광대역 특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표를 직접 위성수신을 위한 광대역 주파수 대역이 보장되는 안테나 설계기술로 설정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사각형 패치에 직교하는 두 개의 급전선로에 의해서 급전되도록 하였으며 순차 회전 급전기술로 광대역에서 좋은 축비를 얻을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사각형 패치는 위성수신 주파수 대역에서 설계되었으며 폭과 길이는 W=L=8.9 ㎜ (0.352λo)이며 전체 크기는 250×250 ㎜이다. 제안된 안테나는 기존 급전방식의 안테나에 비해서 1 ㏈ 이상의 축비가 개선되는 것을 실험을 통하여 입증하였다. 안테나의 성능 입증을 위해서 두 개의 8×8 어레이 안테나를 제작하여 실험하였다. 안테나의 최대 이득은 20.8 ㏈, 사이드로브 레벨 ?10 ㏈ 이하를 확인하였다. 본 논문의 안테나를 국내 무궁화 위성수신 시스템에 적용한다면 C/N=6.7 ㏈의 수신성능이 확보됨을 링크버짓 계산을 통하여 입증하였다. In this paper, the microstrip array antenna is studied to replace the parabolic antenna in the direct satellite reception. A microstrip array antenna has been used in extremely limited area, but if it is applied to practical life like a direct satellite reception antenna, we expect that it will be used in various way. First of all, if we use a microstrip array antenna for a direct satellite reception antenna, it should be guaranteed characteristics of broa㏈and frequency. Therefore, the goal of this paper is designing technique an antenna which guarantees broa㏈and frequency band for a direct satellite reception. In this paper, the proposed microstrip antenna is fed by orthogonal two feed lines to a rectangular patch and a sequentially rotated feeding technique is designed proposed for a good axial ratio in broa㏈and frequency band. The rectangular patch is designed to satellite reception band, and the width and length are W=L=8.9 ㎜ (0.352 λo) respectively. The antenna’s ground plane has dimensions of 250×250 ㎜. The experimental results verify that the proposed antenna had the axial ratio of above 1㏈ broad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feeding antenna. In order to verify the performance, a 8×8 array having two pairs was fabricated and tested. The maximum gain is 20.8 ㏈, the sidelobe level confirm less than ?10 ㏈. It is verified by link budget calculation that C/N=6.7 ㏈ can be obtained for domestic use if this proposed antenna is used in Koreasat reception system.

      • KCI등재

        공동주택 공동 수신 설비의 쟁점을 통해 본 지상파 직접 수신 장애 요인 분석

        김희경(Heekyung Kim) SBS 2017 미디어경제와 문화 Vol.15 No.3

        디지털 전환기에 해결되지 못했던 지상파 직접 수신 제고의 문제는 UHD 시대에도 여전히 난제로 인식되고 있다. 정부의 무료보편 서비스로서의 UHD 정책이 자칫 소수의 특권 서비스로 끝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본 연구는 UHD 전환 시대를 맞아 지상파 직접 수신제고에 가장 많은 문제를 노출하고 있는 공동주택의 공동 수신 설비에 대한 기술적 · 법적 분석을 통해 국내 지상파 직접 수신의 장애 요인을 검토했다. 이와 같은 접근은 국내 주택 유형에서 다수를 점유하고 있는 공동주택의 난시청 문제를 다양한 차원에서 분석하고, UHD 시대를 맞아 무료 보편 서비스에 대한 접근권 강화를 위해 필요한 전제조건이 무엇인지 파악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roblem of improving the direct reception of terrestrial signals that could not be solved by the digital switcher remains a problem in the UHD era. This problem raised concerns that UHD policy as a universal service of the government could end up with a few privileged services. This study analyzed the obstacles of direct terrestrial reception through the technical and legal approach to the integrated reception facilities of the apartment houses, which are exposed to the most problems in the direct reception of terrestrial signal.

      • KCI등재

        동시중계방송권 및 수신보조행위 법리에 관한 검토

        박광배(Park, Kwang-Bae),강민채(Kang, Min-Chae) 서울대학교 공익산업법센터 2013 경제규제와 법 Vol.6 No.2

        지상파 방송사와 종합유선방송사 간 재송신 분쟁에서 핵심이 되었던 법적 쟁점으로는, 의무재송신의 경우 저작권법 제83조의 동시중계방송권에 관한 규정을 적용하지 아니하도록 정한 방송법 제78조 제3항에 관한 해석과 수신보조행위의 인정 기준을 들 수 있다. 방송법 제78조 제3항의 해석과 관련하여, 본건 재송신 분쟁의 민사 본안 1심 판결은 동조의 반대해석상 종합유선방송 사업자가 의무재송신 대상이 아닌 나머지 지상파방송을 동시재송신하는 경우 원칙적으로 저작권법상 동시중계방송권에 관한 규정이 적용됨을 전제로 하는 것이라고 해석하였다. 그러나 본안 2심 판결은 위 1심 판결과 달리 의무재송신의 대상이 아닌 나머지 지상파방송의 동시재송신의 적법 여부 및 저작권 침해책임의 면제 여부에 대해서 아무런 언급을 하고있지 아니한 것이라고 해석하였다. 그러나 입법 연혁을 고찰하면, 종합유선방송법이 동시중계방송권 배제조항을 도입한 입법 목적은 “권역 내 동시재송신” 때문이 아니라 “의무재송신” 규정 도입 때문(즉, 의무재송신 대상이 아닌 나머지 지상파 방송에 대한 동시재송신의 저작권 침해를 인정하여서가 아니라, 의무재송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저작권 침해 가능성을 해결하기 위함)이었을 가능성도 적지 않아 보이는바, 이에 대해 더욱 심도 깊은 법리 검토가 필요하였다고 생각한다. 또한, 수신보조행위의 인정 기준과 관련하여, 본안 판결들은 수신보조행위의 적법성 자체는 인정하였으나, 본건 재송신의 경우 수신설비 등의 관리형태, 방송신호 변경, 가입자의 서비스 이용료 부담, 홈쇼핑 채널 등의 배치로 인한 경제적 이익 등에 비추어 수신보조행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본안 판결의 판단 기준이 수신보조행위 여부를 판단하는 데에 본질적인 기준이라고 볼 수 있는지 의문점이 남는바, 수신보조행위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는 그 행위가 ‘시청자의 선택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인지’, 그 결과 ‘시청자들이 원래에도 공중에서 안테나로 수신하여 시청할 수 있었던 방송을 볼 수 있게 되는지’ 여부 등을 본질적인 판단 기준으로 함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이외에도 본건 재송신 분쟁을 판단함에 있어서, 우리나라의 SO와 동일한 형태의 지상파 동시재송신 사업을 하면서 지상파방송을 동시재송신한 케이블TV사에 대한 미국 연방대법원의 태도 및 이익침해 행위의 결여에 따른 동시중계방송권 침해 부존재 여부 등에 관하여도 더욱 면밀한 검토가 필요한 것은 아니었는지 아쉬움이 남는다. 향후 재송신 관련 입법 시, 시청자에 미치는 영향, 지상파방송사의 공적 책임, 재송신 관련 경제적 이해관계의 공정한 정산 등 다양한 요소들을 면밀히 고려하여 현행 재송신 제도의 미비점을 개선 보완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addresses the following key legal issues in disputes on retransmission between cable TV companies (so-called ‘system operators’ in Korea (“SOs”)) and terrestrial broadcasting stations, that arose from (i) the interpretation of Article 78.3 of the Broadcasting Act ? e.g., in the case of mandatory retransmission (“Must-Carry”), provisions of Article 83 of the Copyright Act on a right of simultaneous broadcasting shall not apply ? and (ii) applicable criteria for the recognition of activities to assist reception of broadcast signals of terrestrial broadcasting programs. First, in relation to the interpretation of Article 78.3 of the Broadcasting Act, the district court ruled on the merits of the case mainly by interpreting Article 78.3 in a way that, in principle, the clause on a right of simultaneous broadcasting should apply in case of SOs’ simultaneous re-transmission of terrestrial broadcasting programs which are not subject to the Must-Carry obligation. However, although the appellate court also ruled on the merits of the case, it interpreted Article 78.3 in a different way, i.e., it may not be a ground on which the legality of SOs’ simultaneous retransmission that are not subject to the Must-Carry obligation is determined, nor a ground for exemption from the liability for copyright infringement in case of such simultaneous retransmission. However, upon the review of legislative history, it is more likely that Article 78.3 was introduced simply to resolve potential copyright infringement problems in performing the “Must-Carry” obligation, rather than to acknowledge the copyright infringement in case of “simultaneous retransmission within the licensed areas” other than “Must-Carry” programs. Thus, further in-depth review on this issue is needed. Secondly, in relation to applicable criteria for the recognition of “activities to assist reception of broadcast signals of terrestrial broadcasting programs”, while the legality of such activities was recognized in the judgments of both courts, the courts held that the retransmission in question does not fall under such activities in consideration of the management of reception equipment/facilities, alteration of broadcast signals, service usage fees borne by subscribers, costs and benefits generated from the allocation of home-shopping channels, and the like. However, it is doubtful whether the criteria used in the above judgment are essential to the determination of the said activities. Rather, it is reasonable to apply the following essential criteria: (1) whether the activity in question was chosen by viewers of terrestrial broadcasting programs, (2) whether as a result, the viewers may enjoy the programs as they were supposed to view by receiving relevant broadcast signals through (over the air) antenna,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urts might have more closely reviewed the U.S. Supreme Court’s approach on almost the same disputes in the U.S.A. (where CATV providers engaged in the same forms of simultaneous retransmission businesses as SOs in Korea), as well as whether or not, without encroaching of profits, such activities amount to a violation of a right of simultaneous broadcasting. Thus, in the future legislation concerning retransmission, it would be necessary to improve and supplement the current retransmission system in Korea through taking into account various factors, such as, impact on viewers, public responsibilities of terrestrial broadcasting stations, fair assessment of costs and benefits pertinent to retransmission, etc.

      • KCI등재

        공영방송의 재원구조와 수용자의 수신료 부담의지에 관한 연구 : 내집단, 외집단, 시청자집단간 인식의 차이를 중심으로

        김재철 한국방송공사 2007 방송 문화 연구 Vol.19 No.1

        The ideal budget structure for KBS was found to be 50.3% from ‘reception fee’, 33.2% from ‘broadcasting advertisement’ and 16.5% from ‘other sources’. Considering that the current reception fee takes up 40% of KBS budget, it means that a 10% increase in necessary. Regarding the percentage of reception fee for KBS, there were distinct differences between the related groups as follows: 61.5% for ‘public broadcaster group’, 51.4% for ‘commercial broadcaster group’ and 43.2% for ‘audience group’. The ideal budget structure for MBC was found to be 68.5% from ‘broadcasting advertisement’, 15.1% from ‘reception fee’ and 16.3% from other resources. Meanwhile, the budget structure recommendation for EBS was 45.2% from ‘public resources such as reception fee’, 26.2% from ‘broadcasting advertisement’ and 28.6% from ‘other sources.’This showed that public resources for EBS needs to be increased by 17% compared to 2005. The ‘payable reception fee’ was on average 4,179KRW. This is 1,679KRW higher than the current 2,500KRW but the recognition varied among groups. The ‘public broadcaster group’ was highest at 5,883KRW with the ‘audience group’ at 3,775KRW and the ‘commercial broadcaster group’ at 3,519KRW. The ‘public broadcaster group’ figure was more than 2,000KRW higher than the other two groups. The ‘audience group’ and the ‘commercial broadcaster group’ showed figures that were more than 2,000KRW lower than the ‘public broadcaster group’ but approximately 1,000KRW higher than the current reception fee of 2,500KRW. As such, this implies that the ‘proportion of the reception fee’ may be enlarged with the possible increase of reception fee.

      • KCI등재

        GIS를 이용한 통합기준점의 GPS 수신환경 모의 분석

        김태우,윤홍식,김광배,정운철 한국측량학회 2017 한국측량학회지 Vol.35 No.6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has established a plan that preoccupies UCPs (Unified Control Points) at 2~3km intervals in urban areas by considering the distance between existing UCPs by satellite images and aerial photographs in 2015. In this study, we discussed the method of selecting the locations of optimal UCPs by simulating GPS reception environment in candidate sites for UCPs using GIS.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new candidate sites for installing UCPs using satellite images and aerial photographs, and analyzed the GPS reception environment by calculating the visibility distance from buildings around UCPs using GIS skyline analysis. The number of and the arrangement of visible satellites that are capable of GPS satellite reception from the viewpoint of sky view were showed by GIS skyline analysis. Quality evaluation results of GPS observation data were compared with average PDOP calculated from hourly PDOP and TEQC in two points of Sungkyunkwan University during 8 hours. As a result of GPS reception environment using GIS, if the PDOP increases, the data acquisition rate is lowed, and the multipath error and the cycle slip are increased. Thus, this study verified that the quality of GPS observation data can be secured by constructing three-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and simulating PDOP when preoccupying multiple UCPs using GIS. 국토지리정보원은 2015년 위성영상과 항공사진으로 기존 통합기준점과의 점간거리를 고려하여 시가지에 2~3km 간격으로 통합기준점 선점하는 배점계획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GIS를 이용해 통합기준점 후보지에서 GPS 수신환경을 모의하여 최적의 통합기준점 위치를 선정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위성영상과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신규 통합기준점 설치 후보지를 선정하였으며, GIS 스카이라인 분석을 이용해 통합기준점 주변 건물과의 가시거리를 계산하여 GPS 수신환경을 분석하였다. GIS 스카이라인 분석결과 스카이뷰 관점에서 GPS 위성수신이 가능한 가시위성의 수와 배치상태를 도시하였으며, 통합기준점 GPS 관측시간인 8시간 동안 성균관대학교 두 지점에서 시간대별 PDOP을 평균 계산한 PDOP과 TEQC를 이용해 GPS 관측데이터의 품질 평가한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GIS를 이용해 GPS 수신환경을 분석한 결과 PDOP이 높은 지점에서는 데이터수신율이 낮아지고 다중경로 오차가 높아지면서 사이클 슬립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수의 통합기준점을 GIS를 이용해 선점하는 경우 GIS로 3차원 공간정보를 구축하고, PDOP을 모의 분석함으로써 GPS 관측데이터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시청자를 위한 지상파 UHD TV의 정책적 쟁점 연구

        김희경(Hee-Kyu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

        본 연구는 지상파 방송의 UHD TV가 본래의 공익적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제시된 기술적 · 제도적 방안들이 어느 정도의 실효성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지상파 방송사와 정부가 제시한 각종 방안들의 타당성을 직접수신율 제고를 중심으로 분석했다. 분석결과, 직접수신율 제고를 위한 수신안테나 설치와 내장형 안테나 탑재는 현재의 유료방송 중심의 방송 환경이나 제조사와의 갈등으로 실현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제시된 MMS의 가능성 역시 수신율 제고가 되지 않는다면 유료방송을 통한 재전송이 반복되는 결과를 초래할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재난방송의 경우에는 주파수 재배치이후 주파수 상호 간 간섭의 문제와 음영지역의 불완전한 해소가 정책의 실효성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UHD TV의 공익적 목적을 수행하는 데는 당분간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technical and institutional method to perform the purpose of public interest in terrestrial broadcasting.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centrated to the rate of direct reception of the terrestrial broadcasting that government and broadcasting company have offered since the digital transition. Results of analysis, it appeared that have not possibility of realization to set the direct receiving antenna and built-in Antenna for enhanced reception of the signal of the terrestrial broadcasting. Second, the MMS, if not enhanced the direct reception, was expected that repeated the retransmission through the pay broadcasting as the time of digital transition. Finally, the disaster broadcast was revealed that reduce the effectiveness of the UHD TV policy because of the mutual interference between frequencies and the incomplete solution of shadow area. According to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o be difficult for a while to perform the purpose of public interest in UHD TV.

      • KCI등재

        『시경(詩經)』 「주남(周南)」의 유학적(儒學的) 이해(理解) 1-<관저(關雎)>, <갈담(葛覃)>, <권이(卷耳)>의 수신론(修身論)을 중심으로-

        權正顔 ( Kwon Jeong-an ) 한국유교학회 2013 유교사상문화연구 Vol.54 No.-

        본고는 『詩經』의 시를 보편적인 인간의 일상적인 삶을 노래한 것으로 이해하고, 주남의 시가 이를 토대로 하여 어떤 바람직한 삶의 모습을 제시하고 있는가를 유학의 修身論의 입장에서 살펴본 것이다. 修己가 아닌 수신을 주시한 것은 수기가 인간 現存의 부정적 모습을 극복하면서 바람직한 나의 모습을 만들어가는 과정이라는 의미를 주로 표현한 것에 비해, 수신의 몸(身)은 현실적인 삶을 영위해가는 생명체라는 의미가 강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바로 이런 관점에서 삶의 경험 속에서 나온 『詩經』의 노래를 통해 어떤 수신의 성장들이 이루어진 것인가를 검토하였다. 거기에는 우리 인간의 삶이 이루어지는 자연환경에 대한 지식과 거기에서 얻어지는 교훈이 있고,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에 대한 이해와 통찰도 있고, 사람과 사람이 만나고 어울리고 갈등하면서 만들어 가는 삶의 양상들에 대한 경험들이 있고, 우리 인간 내면의 욕망과 감정과 사고와 성정에 대한 省察과 陶冶도 있다. 이 자연이해와 사회이해와 인륜이해와 인간이해가 모두가 수신의 근거이고 내용이지만, 역시 이 모두의 근본은 인간이해에 있는 것이다. 공자가 관저편을 ‘즐거우면서도 음란하지 않고, 슬프면서도 상심하지 않는다.’ 한 말과 思無邪를 『詩經』전체를 관통하는 의식으로 본 것은 이런 인간이해를 관건으로 한 유학적 해석의 근거이다. 이를 근거로 하여 본고는 세편의 시를 각기 사랑 노동 시련이라는 주제를 담은 것으로 이해하고, 說詩라는 방법을 동원하여 그 의미를 탐구한 것이다. 그것은 시공을 넘어서 보편적인 인간의 현실적인 삶이 가진 내외적 조건을 검토하고, 나아가 이를 이용하고 극복하면서 보다 행복하고 바람직한 인간상과 삶을 성취해가는 방법과 과정을 제안하는 것이다. This paper is to interpret three phases in the poem of the first part among the Book of Odes from the point of view of confucianism and to explore their meaning. In particular, seeing that the purpose of confucianism is to implement 'The truth of the normal daily life' and a way of achieving the purpose is 'Self-cultivation ad governing people', it's to attempt confucian interpretation with two standards. The first poem is about love, the second poem is as to labor and the third poem is regarding trials of life. In addition, all the poems are about aspects of life human beings have in common. However, these poems show wisdom to deal with the best desirable love, labor and trials at the same time. That is the reason why these poems become the model of being still receiving to us today and is values oriented in this paper.

      • 이동 방송/통신위성 수신 안테나 시스템 개발

        채윤경,조일인,임창훈,Yoon-Kyoung, Chae,II-In, Jo,Chang-Hoon, Im 통신위성우주산업연구회 2001 Joint Conference on Satellite Communications Vol.2001 No.-

        본 논문에서는 이동 중에 차량에서 위성 방송뿐만 아니라 위성 인터넷을 수신함으로써, 각종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는 이동 방송/통신위성 수신 안테나 시스템에 대하여 기술한다. 안테나는 시스템 전체 높이를 고려하여 $30^{\circ}$ 경사 빔을 갖는 한 쌍의 8x8 수평 편파 안테나를 사용하였다. 하나의 안테나 이득은 23.5 dBi이고, 전력 반치폭은 앙각 $11^{\circ}$/ 방위각 $8^{\circ}$이다. 안테나에 수신된 위성 신호는 빔 형성 블록에서 수신기 입력 신호와 추적 신호로 분리되고, 각각 독립적으로 주파수 하향변환된 후 수신기와 제어부로 전달된다. 개발된 안테나 시스텡은 앙각 방향 대해서 $45^{\circ}$$\pm$$5.5^{\circ}$의 추적 범위를 갖고, 방위각 방향에 대해서 $360^{\circ}$전방위 추적을 수행한다. 방위각 방향 추적 방식은 전자적 순차 빔 비교에 의한 기계적 추적 방식이다. 추적 속도는 $60^{\circ}$/sec이고, 추적 손실은 0.5dB로 양호한 특성을 얻었다. 개발된 안테나 시스템의 field test 결과, 방송위성 수신시 C/N = 13.5 dBi, 통신위성 수신시 C/N = 12.5 dBi로 양호한 특성을 얻었다. This paper describes mobile DBS/CS receiving antenna system which receives satellite broadcasting and satellite internet on the way of moving. With the antenna system, various kinds of multimedia service can be provided from satellite. A couple of horizontally polarized 8x8 Yagi-like patch array antenna with $30^{\circ}$ squinted beam has been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of the whole antenna system. The gain of each antenna is 23.5dBi and it has HPBW of $11^{\circ}$ elevational angle and $8^{\circ}$ azimuthal angle. The receiving signal at antenna is divided between input signal and tracking signal at beam forming block. The each divided signal is transmitted to correspondent down converter set-top box or control unit. The developed antenna system has the tracking range of $45^{\circ}$$\pm$$5.5^{\circ}$ in the direction of elevation angle and $360^{\circ}$ in the direction of azimuth angle. The mechanical tracking method so called electrically sequential lobe comparison method has been adopted to trace azimuth angle. The tracking speed is $60^{\circ}$/sec and the loss during tracking is 0.5d8. Field test has been performed to measure the quality of the developed antenna system. The test result showed C/N of 13.5dB when receiving BS and 12.5dB when receiving 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