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서문화의 형성과 비평의 작용

        박인기 한국독서학회 2010 독서연구 Vol.0 No.24

        ‘독서문화’는 독서 현상을 만들어내는 일정한 연속적 범주들(저술, 출판, 읽기 행위, 독서 소통, 텍스트의 전이, 텍스트의 정전화, 텍스트의 이데올로기화 등)에 걸쳐서 나타나는 사회 일반의 공유된 의식과 가치 체계를 말한다. 독서문화는 보이는 차원과 보이지 아니하는 차원이 있다. 독서와 관련한 제도, 규범적 가치, 현 교육과정 내용 등이 보이는 독서문화의 요소라면, 의식(意識), 전복적(顚覆的) 가치, 디지털 매체 공간, 영(零)교육과정 등은 보이지 않는 독서문화의 요소이다. 문화연구가 인문학 연구의 실천 중심으로 등장하면서 비평도 변화되었고, 비평이 독서문화에 주는 영향도 달라졌다. 비문학 텍스트에 대한독서 수요가 늘고, 독서가 일상 속에서 더 널리 소비되는 경향을 보이며,디지털 콘텐츠와 독서 사이의 경계가 무너지고 있다. 전통적으로 비평은독서에 영향을 미쳤다. 독서 행위에 전문성을 강화해 주고, 텍스트 중심의 절대성을 추구하며, 비평가는 일반 독자와 문화적 도제 관계를 가졌다. 그러나 탈근대의 상황에서는 독서에 대한 비평의 역할이 달라졌다. 지식의 융합과 전이를 돕는 역할을 하고, 독자에게 상호텍스트성의 공간을 열어주는 역할을 하며, 비평가는 독자와 대화적 교섭 관계를 가지게되었다. 현재 한국사회에서 독서문화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과업이 놓여 있다. 첫째는 독서문화공간에서의 문화적 헤게모니를 밝히는 연구와비평이 필요하다. 둘째는 독서와 매체의 관계를 미래지향적으로 상호보완적으로 만들어 가야 한다. 셋째는 사회와 교육에서 독서가 소외되어있는 것을 개선해야 한다. 넷째는 독서문화를 진단하고 발전 방향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각종 독서 지표를 개발하고 활용해야 한다. 다섯째는여러 심급의 독서 공동체를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것이다. 독서문화와 비평이 바람직한 상호성을 가지고 발전해 나가기 위해서는 몇 가지 노력이 필요하다. 첫째는 독서 전문성에 의거한 독서 비평을제도화하는 일이다. 둘째는 서평 분야에 메타 비평의 등장이 필요하다. 셋째는 비평과 독자와의 관계 모델 새롭게 정립해야 한다. 넷째는 독서문화 인프라에 대한 국가 차원의 정책과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다섯째는 독서 가치를 내면화하는 사회문화적 이슈를 우리 사회가 지속적으로 공유해야 한다. 끝으로 학교 독서는 장르 독서를 넘어서 주제 독서를지향하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 ‘Reading culture’ refers to the society’s general shared awareness and value system manifested in the consistent and continuous categories(literary works, publishing, reading activities, communicative reading,the textual change, textual canonization, and etc.) In reading culture, there is a visible and an invisible level. While the regulations related to reading, normative values, the contents of the current curriculum could be considered as the visible elements of the reading culture, invisible elements of the reading culture includes consciousness for reading, resistive values in reading, digital media space, and null curriculum related reading and etc. When the cultural studies have appeared as the practice-centered humanities research, criticism has changed, and the effects of criticism on the reading culture diverged as well. As the reading demand for non-literary texts is increasing while the reading tends to be consumed more widely in our daily lives, the barrier between digital content and reading is collapsing. Traditionally criticism has affected reading. It has strengthened the expertise of the reading activities, seeks the text-centered absoluteness and have apprentice relationship with the general readers. However, in the Post-modern era, the role of criticism has been transformed. The literary criticism functions in helping the merge and transfer of knowledge, opens the mutual contextual space to the readers and builds the communicative overtures between the critics and the readers. Currently in order to develop the reading culture in Korea, it faces a few questions. First, the researches examine the cultural hegemony in the reading cultural space and the reading criticism would be required.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and mediums must be changed in the future-oriented and complementary direction. Third,how reading has been isolated from the society and education would have to be improved. Fourth, in order for the reading culture to diagnose and seek the direction for development, various reading standards must be developed and utilized. Firth, the reading community of various incidences has to be specifically formed. In order for the reading culture and criticism to develop with desirable reciprocity, a number of efforts would be needed. First the reading criticism based on reading expertise must be institutionalized. Second,the field of book review and meta-criticism are necessary. Third, the relation model between the criticism and the readers must be newly established. Fourth, the policies and institutions on a national level regarding the reading culture infrastructure must be prepared. Firth,the social issues internalizing the values of reading should be consistently shared by our society. Lastly, the reading in school would have to surpass the genre of reading, seeking the thesis-centered reading.

      • KCI등재

        독서문화의 형성과 비평의 작용

        박인기 ( In Gee Park ) 한국독서학회 2010 독서연구 Vol.0 No.24

        “Reading culture” refers to the society`s general shared awareness and value system manifested in the consistent and continuous categories(literary works, publishing, reading activities, communicative reading, the textual change, textual canonization, and etc.) In reading culture, there is a visible and an invisible level. While the regulations related to reading, normative values, the contents of the current curriculum could be considered as the visible elements of the reading culture, invisible elements of the reading culture includes consciousness for reading, resistive values in reading, digital media space, and null curriculum related reading and etc. When the cultural studies have appeared as the practice-centered humanities research, criticism has changed, and the effects of criticism on the reading culture diverged as well. As the reading demand for non-literary texts is increasing while the reading tends to be consumed more widely in our daily lives, the barrier between digital content and reading is collapsing. Traditionally criticism has affected reading. It has strengthened the expertise of the reading activities, seeks the text-centered absoluteness and have apprentice relationship with the general readers. However, in the Post-modern era, the role of criticism has been transformed. The literary criticism functions in helping the merge and transfer of knowledge, opens the mutual contextual space to the readers and builds the communicative overtures between the critics and the readers. Currently in order to develop the reading culture in Korea, it faces a few questions. First, the researches examine the cultural hegemony in the reading cultural space and the reading criticism would be required.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and mediums must be changed in the future-oriented and complementary direction. Third, how reading has been isolated from the society and education would have to be improved. Fourth, in order for the reading culture to diagnose and seek the direction for development, various reading standards must be developed and utilized. Firth, the reading community of various incidences has to be specifically formed. In order for the reading culture and criticism to develop with desirable reciprocity, a number of efforts would be needed. First the reading criticism based on reading expertise must be institutionalized. Second, the field of book review and meta-criticism are necessary. Third, the relation model between the criticism and the readers must be newly established. Fourth, the policies and institutions on a national level regarding the reading culture infrastructure must be prepared. Firth, the social issues internalizing the values of reading should be consistently shared by our society. Lastly, the reading in school would have to surpass the genre of reading, seeking the thesis-centered reading.

      • KCI등재

        문화 정책으로서의 독서 정책 방향

        최인자 ( In Ja Choi ) 한국독서학회 2013 독서연구 Vol.0 No.30

        이 글은 문화 정책으로서의 독서 정책이 어떠한 비전을 가지고 방향성을 만들어 나갈 수 있는지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지식 기반 사회, 평생 학습사회, 문화 지향의 사회 등에서 독서는 국가 경쟁력은 물론이고 개인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도 그 중요성이 강조되는, 일종의 국가적 문제가 되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정책이 문제 해결의 수단적 측면으로만 존립한다면 정작 정책의 주체가 되어야 할 국민은 대상화되고, 현실과 분리된 채 형식화 될 우려가 있다. 독서 정책이 내함하고 있는 가치 지향에 대한 전국민적 토론과 합의가 필요한 것은 이 때문이다. 문화 정책으로서의 독서 정책은 그 사회의 문화적 상황을 반영해야 하지만 동시에 독서를 통해 대안적 문화 비전을 형성하기도 한다. 이러한 논의를 위한 전제로 우선, 독서 현상이 일종의 사회 문화적 현상이자 실천으로, 책 읽기라는 고립된 행위가 아니라 인간 삶의 여러 맥락에 뿌리를 내리고 있음을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현대의 지식 사회, 문화 융성의 사회에서는 ‘문화적 능력’이 중요한데, 독서 정책은 독서를 통하여 공동체 구성원이 접하고 있는 삶의 문화를 성찰, 비판, 참여, 창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럼에도 그 동안의 독서 문화 정책은 국가에 의한 계몽적 교육성이 지나치게 강한 ‘교육 패러다임’ 속에 갇혀 있고, 이 때문에 일상적(생활 문화)가치와 독서의 가치를 분리시켜 오히려 독서 문화의 정착을 방해한 측면이 있다. 이 시대의 독서 문화는, 주체의 거듭나기를 통해 자발적인 변화를 추구할 수 있고, 균형 잡힌 삶을 살 수 있으며, 소통을 통해 사회적 유대를 경험하는 대안적 문화를 가능케 한다. 앞으로 추구할 독서 문화 정책의 방향은 일단, 독자의 자발적 독서를 위해 그들 삶의 현실적 맥락과 창의적으로 접목하여, 독자의 현실적 문제와 욕구와 독서를 결합시켜 한다. 곧, 독서 환경 지원이나 독서의 강제적 요청이 아니라, 독자들의 현실 삶의 맥락에서 독서 활동을 다양하게 창출해 내는 맥락 부여의 방식이 독서의 자발성을 키울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소비 문화, 생활 세계 문화의 세부적 항목과 독서 프로그램을 창의적으로 연결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중,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가 축적되어, 독서 현상과 행위자들의 의식과 가치에 대한 종합적이면서도 심층적인 이해가 있어야겠다. 아울러 독서 정책에서도 인프라를 육성, 지원하여 독서 환경에 능동적으로 행위할 수 있는 주체를 양성해야 한다. 그리고 디지털의 미디어 환경에서 매체간, 독자간, 장르간 소통을 통하여 문화를 창조하는 독서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This research investigates which vision reading policy as cultural policy can shape the direction with. Reading became a critical national issu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individual`s life as well as national competitiveness in an knowledge based, lifelong learning, and culture based society. Nevertheless, if policy exists only as means to solve the problem, it is feared that the people who have to be the agents of policy will be objectified and formalized while separated from reality. This is why the national discussion and agreement regarding value orientation reading policy includes is needed. Reading policy as cultural policy should reflect the cultural situation of the society, but sometimes shapes the alternative cultural vision through reading. Reading is a kind of social cultural phenomenon and practice, and not an isolated act, but stays rooted in various contexts of life. In a modern knowledge and culture based society, cultural ability is important. Reading policy should enable members of communities to reflect on, criticize, participate in, and create culture of life encountered. However, reading culture policy so far has been locked in the educational paradigm which has the state-run too much enlightening factors. This separated the everyday value from the reading value and disrupted the settlement of reading culture. In this era, reading culture can pursue the individual`s voluntary transformation and balanced life, and alterative culture where individuals can experience social connectedness through communication. The new direction of reading culture is to creatively combine reader`s real problems and desires with reading for reader`s voluntary reading. That is, voluntary reading results from not a reading environment support or compulsory reading request but a way to present contexts which create various reading activities from reader`s reality. For this, We need efforts to creatively relate details of consumption and everyday culture to reading program. In addition, we need to accumulate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regarding experience during basic research for policy making, and comprehensively and thoroughly understand reading phenomenon and reader`s awareness and value. Also, we need to cultivate readers who can interact with reading environment by building and supporting the infrastructure for reading policy, and pursue reading which create culture through communication among media, readers, and genres in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 KCI등재

        18-19세기 동ㆍ서양 세책(貰冊) 문화 연구 시론

        이민희 열상고전연구회 2017 열상고전연구 Vol.58 No.-

        본 연구는 전 세계 세책 문화의 특징을 밝히고자 한 시론에 해당한다. 세책(貰冊)을 하나의 문화현상으로 파악하고 세책 문화사가 독서 문화사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전 세계적으로 나타났음을 통시적 관점에서 고구하고자 했다. 세책 독서는 저렴한 값을 지불하고 일정한 대여 조건 하에 빌려다 읽는 새로운 독서방식을 의미한다. 18세기 들어 일반 독자가 독서의 주체로 급부상하면서 지식을 소유, 또는 공유하려는 의식이 강해졌다. 이때 원하는 책을 마음껏 사 볼 수 없는 독자는 책을 직접 구매하기보다 빌려 읽는 것을 선호하기 시작했다. 특별히 상품 가치가 높은 소설책 위주의 독서문화가 형성되면서 유럽(영국, 독일, 프랑스, 러시아, 슬로바키아 등)과 북미(미국, 캐나다), 그리고 동아시아(한국, 일본 등)에서 18-19세기에 공통적으로 세책 문화가 발달했다. 세책 문화는 오락성과 상업성을 토대로 책의 소비와 지식의 확산, 그리고 일반 독자가 출현해 만들어 낸, 독서사의 진보이자 동서양 공동의 보편적 문화유산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세계 여러 나라 세책 문화 사례를 통해 세책 문화의 형성 및 발달의 공통적 요소를 확인할 수 있다. 첫째, 세책업의 등장 및 발달의 중요 기반은 상업․경제적 요인에 있다. 돈(화폐)의 이용가능성이 높아지고 여가 시간의 증가, 그리고 소비 활동으로서의 독서 추구가 세책 문화를 만들어냈다. 둘째, 유럽과 북미, 그리고 동아시아 등 전 세계적으로 세책 문화가 공히 18-19세기에 융성했다는 점이다. 셋째, 특별히 소설 독서가 세책 문화 발달을 견인했다. 소설은 현실 문제와 연애담에 기반한 오락 및 교양 독서물 성격이 강한 서사였다. 기존 상층(귀족) 남성 독자와 달리 새로운 취향의 소설을 즐겨 찾는 시민과 여성 독자들이 세책을 통해 독서의 주체로 급부상하게 되었다. 넷째, 세책업은 일정한 경제 규모와 소비 활동이 가능한 대도시나 휴양지를 중심으로 발달했다. 다섯째, 도시 내 세책점의 위치 및 영업방식이 세책점의 성패를 좌우하는 요소였다. 여섯째, 일반 대중 독자의 의식 각성과 독서에 대한 인식 변화가 상업적 세책 문화를 이끌었다. 일곱째, 국가별 정치적 검열, 또는 서적 출판 및 유통 정책이 나라별 세책 문화의 성격 및 발달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여덟째, 전 세계적으로 19세기 후반-20세기 전반에 이르러 점차 세책업이 쇠퇴해 갔다. 이렇듯 전 세계적으로 보편적으로 나타난 세책 독서의 의미를 다음 몇 가지로 요약 가능하다. 첫째, 세책 독서는 여유가 있는 중간 독자층의 급성장과 소설 시대를 여는 촉매제 역할을 했다. 둘째, 독서를 매개한 의사소통의 변화를 가져왔다. 사회적, 시대적 요구와 독자의 취향을 반영한 독서물의 생산(출판, 필사)과 소비(독서) 활동은 독서 방법과 내용까지 결정짓는 요인이 되었다. 셋째, 독서 자체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가져왔다. 세책은 독서가 더 이상 진지한 학문 탐구 내지 종교적 수양 활동이 아닌, 일종의 소비 활동이자 개인적 여가 또는 취미, 교양 활동이라는 인식을 갖게 만들어 주었다. 넷째, 세책 문화는 사회 여러 분야에 걸친 융합 내지 결합을 이끄는 역할을 수행했다. 상층과 하층 독자를 하나로 묶을 수 있게 만들고, 남성 중심적 사회에서 그 차별적 경계를 허무는 역할을 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런 세책 문화는 전 세계적으로 공히 ‘신흥 독자층의 등장→소설의 성장→상업적 유통의 발달→문화 장려(출판 유통 검열의 완화) 정책→세책 독서의 발달’이라는 과정을 거치며 18-19세기에 그 꽃을 피울 수 있었다. 세책 문화가 발달하지 못했던 중국이나 유럽 중심부 국가들의 사정까지 살펴 세계 세책 문화의 제 특징을 아우르는 지형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ld circulating library culture. I tried to understand from the point of view that lending book was a cultural phenomenon, and that it was closely related to the history of reading and culture, and appeared worldwide. A reading by rent book means a new reading method that borrows books at a low price under certain rental conditions. In the 18th century, ordinary readers emerged as the subject of reading, and their consciousness to own or share knowledge became stronger. At this time, readers who can not buy the books they want are beginning to prefer borrowing rather than buying books themselves.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it was common for general readers (especially female readers) to borrow various novels in Europe(Britain, Germany, France, Russia and Slovakia etc.), North America(USA and Canada), and East Asia(Korea and Japan etc.). It can be seen that the book circulating culture is the progress of the bookmaker and the universal cultural heritage of the East and the West shared by the consumption of books and the spread of knowledge based on entertainment and commerciality and the emergence of general readers. Through the common features found in the cases of various countries in the world, we examined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factors of the book circulating culture. As a result, firstly, commercial and economic factors were found to be important foundation for the appearance and development of book rental business. Increasing availability of money, increased leisure time and pursuing reading as a consuming activity have created a book circulating culture. Second, the book- borrowing culture in Europe, North America, and East Asia has flourished throughout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ird, especially novel reading led to book rental cultural development. The novel was a narrative with a strong character of amusement and literary reading based on real problems and love stories. It was a change that appeared to be a new readership, a citizen and a female reader, who was able to read a novel of a new taste, to escape from the existing upper(noble) male reader, Fourth, in order to develop the book rental business, big cities and resort areas suitable for a certain economic scale and activities were suitable. Fifth, the location of the book rental store in the city also played a role in determining success or failure. Sixth, public conscious awareness of readers and changes in their perceptions of reading led to the borrowing of commercial goods through book stores. Seventh, political censorship or book publishing and distribution policies had a great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book circulating culture. Eighth, the book rental business, which had been well into the 18th and 19th centuries, has gradually declined throughout the world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In this way, we can summarize the meaning of book rental reading which is universally universal in the following several ways. First, the rental book reading acted as a catalyst to open up emerging of public readers and the era of the novel. Second, it brought about a change of communication through reading. The production of reading materials(publishing, mortal) and consumption(reading) in consideration of social and time demands and reader's tastes were factors that determine reading method and content. Third, it has changed the perception of reading itself. Book renting is a kind of consumption activity that makes reading more than a serious academic inquiry or religious fostering activity, but a lot of perception that it is personal leisure, hobby, and liberal activity. Fourth, the book circulating culture led to convergence and unification among the fields. The book rental activity was able to bind the upper and lower readers together and played a role in nullifying the discriminatory boundary in the male-centered society. This book circulating culture is common to all over the world:the emergence of new readers(female and lower readers)→the growth of novels→the development of commercial circulation→the promotion of culture (easing publishing censorship) →the development of reading through book borrowing It bloomed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It is necessary to build up a topography that cove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ld book circulating culture by examining the circumstances of the central countries of China and Europe where the book circulating culture has not developed.

      • KCI등재

        초등학교 5, 6학년 영어 교과서의 읽기 자료에 나타난 문화 연계 실태 및 문화 내용 분석

        정은숙(Jeong, Eunsook),정다빈(Jung, Dabin)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020 초등영어교육 Vol.26 No.4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onnections between reading materials and culture, and the cultural contents in the 5th and 6th grade English textbooks. For this, 150 pieces of reading material in 10 English textbooks were analyzed based on three aspects: 1) whether the reading materials are connected with culture, 2) if so, how strongly the reading materials are tied to culture, 3) what cultural contents (topics, types, backgrounds) are suggested in the reading materials. The content analysis of the reading materials found that 66% (99 out of 150) of the reading materials were tied to culture with different degrees (weak, medium, strong). Specifically, 47.4% of the 99 reading materials turned out to have a weak connection with culture, whereas 23.2% had a medium connection and 29.2% had a strong connection. In addition, in terms of cultural contents suggested in the reading materials, topics about the daily lives of people from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were commonly dealt with in 78.1% of the reading material. For cultural types, material culture accounted for 45.8% of the reading materials, followed by spiritual and behavioral culture. Lastly, for cultural backgrounds, English culture was presented the most, followed by non-English and Korean culture. Based on the findings,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독서정책 분석

        서혜란 ( Suh Hye Ran ) 한국독서학회 2014 독서연구 Vol.0 No.31

        한국과 일본의 독서문화진흥 관련 법률과 그에 근거를 두고 발표된 독서 문화진흥 계획 문서들을 대상으로 양국의 독서정책을 분석하였다. 그 작업 의 목적은 지속가능하고 체계적인 독서정책 추진을 위한 몇 가지 전략을 제안하려는 것이다. 한국에서 독서문화진흥을 입법 목적으로 명시한 최초의 법률은 1994년에 제정된 .도서관 및 독서진흥법.이다. 그러나 이 법률은 뚜렷한 가시적 성과 를 거두지 못한 채 .독서문화진흥법.으로 대체되었다. 2007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이 법률은 모든 국민이 전 생애주기에 걸쳐 독서정책의 수혜를 받기 위해 필요한 기본사항을 규정한 한국 최초의 독립적 법률이다. 이 법률에 의해 독서문화 진흥에 대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와 독서정책과정이 체계화되었다. 그러나 이 과정에 전문가의 제도적 참여가 배제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지금까지 두 차례 발표된 기본계획이 다루는 정책범위는 넓지 만 계량적 성과를 지나치게 의식하는 등 독서문화에 대한 전문적 이해 수준 은 미흡하다. 또 각종 사업에 대한 로드맵, 재정 및 인력 지원 대책이 불확실 하다. 일본에서는 2001년에 .어린이 독서활동의 추진에 관한 법률., 2005년 에 .문자.활자문화진흥법.을 제정하는 등 독서정책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 중앙정부는 5년 마다 어린이.청소년의 독서능력 향상을 위한 장기계 획을, 지방정부는 매년 추진계획을 수립한다. 일본에서 독서정책의 관점이 독서행위 자체로부터 리터러시 개념으로 변화하고 있다. 또 모든 이해당사 자들의 협력과 참여, 기본계획과 추진계획의 체계적 연계로 정책의 실천성을 높이려고 노력한다. 지속가능하고 체계적인 독서정책의 조건을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독서 거버넌스 구현으로 참여와 협력 정책모델 실현, 둘째, 전문인력과 안정 적 재정지원 확보 전략으로 독서정책의 질적 성과 보장, 셋째, 기초자료 수집의 고도화로 계획의 유효성 담보, 넷째, 정보통신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디지털 독서능력의 개발. National reading policies of Korea and Japan were analysed by scrutinizing some laws and national and/or regional plans to promote reading culture of each country. Which would lead to suggest some strategies for sustainable and systematic reading policies. ‘Library and Reading Promotion Act’ of 1994, the first ever Korean law that declared that promoting reading culture is one of its aims, was succeeded by ‘Reading Culture Promotion Act’ of 2007. The Act which regulates matters to guarantee every peoples’ lifetime reading proclaims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duty to promote reading culture. It also systemizes the reading policy process. However, experts’ exclusion in that process is a drawback of it. Korean government has issued two versions of reading culture promotion master plan. Both of them covers very broad areas of policies, but reveals limited understanding about reading culture. They don’t give any specific road map and plans to get financial resources and manpower. In Japan, one can recognize many kinds of reading culture promotion policies like ‘Act on the Promotion of Children’s Reading’ of 2001 and ‘Text and Printing Culture Promotion Act’ of 2005. Central government devises a long-term plan to develop literacy of children and young adults every five years; local governments devises an acting plan every year. The focal point of the reading policies in Japan is changing from reading itself to literacy. They are concerned about the feasibility of policies through collaboration and involvement of every interest groups, systematic linking of long-term plan and acting plans.Here are some strategic suggestions to get sustainable and systematic reading policies: reading governance to realize involvement and collaboration policy model;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and stable financial resources to guarantee some level of outcomes in reading culture; levelling the quality of information up to have efficient plan; development of digital literacy to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ICT.

      • KCI등재

        고소설 낭독의 문화사회사적 실제와 그 의미 -수직적 낭독과 수평적 낭독의 이해-

        이민희 연민학회 2022 연민학지 Vol.3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ltural and social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reading culture with regard to old novels that appear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comparison to the oral story performance, reading novels aloud is a type of story performance in which texts are read directly or memorized to perform. Since the 17th century, the records indicate that there’s an enjoyment regarding reading novels aloud. As the circulation of old novels and the opportunity to enjoy Korean novels increased, so did the opportunities for reading aloud. Both upper and lower classes read novels in the form of texts aloud. Reading aloud to upper-class audiences was done either individually or in small groups in the room, whereas, reading aloud among ordinary readers was done collectively and in public places. Both upper-class men and women enjoyed reading the Hangeul novels aloud. While the men from the upper-classes generally affirmed to “ganseo” (看書, reading quietly with the eyes), they were also wary of it due to the fact that they had negative perspectives on both “songdok” (誦讀, reading aloud by memorizing texts) and “nangdok” (朗讀, reading aloud with the eyes). However, if the subject was a popular novel, the upper-class recognized “ganseo” as a reading to be wary of and refrained from reading it. The cultural and social historical meaning of the culture pertaining to reading aloud was investigated using the concepts of “vertical reading aloud” and “horizontal reading aloud” for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al aspects of the reading aloud culture. In a state where the hierarchical order between the reader and the listener was relatively clear, a culture of vertical reading aloud was developed early 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mediation” or “cultural transmission” being included. However, with horizontal reading aloud, which shared the same reading tastes, it eventually became the mainstream activity of the reading aloud culture. A good example of this is the increase in reading the popular Korean novels aloud. The reading of novels aloud was relatively free in terms of the contents of the written text due to the reader’s oral psychodynamics. It is necessary to remember the fact that the development of a culture that horizontally reads aloud is at the base of expansion regarding the readability of the Hangeul novels and the active enjoyment of reading such novels. 본 연구는 조선 후기에 나타난 고소설 낭독문화의 실제를 살펴 그 문화사회사적 의미를 고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낭독은 구연과 달리, 문자 텍스트가 존재하는 가운데 이를 직접 보거나 외워서 들려주던 이야기 연행의 일종이다. 낭독에 의한 소설 향유 사실을 알려주는 기록이 17세기 이후부터 보인다. 고소설 책의 유통과 국문소설 향유 기회가 늘면서 낭독 기회도 자연스럽게 늘어났다. 문자 텍스트 형태의 고소설 작품을 소리 내어 읽는 낭독은 상층과 하층에서 공히 이루어졌다. 상층 독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낭독은 개인적으로, 또는 실내에서 소수에 의해 이루어졌다. 반면 중하층 일반 독자 사이에서 이루어진 낭독은 집단적이고 공공장소에서 이루어졌다. 낭독의 방식으로 한글소설을 즐긴 상층 독자 중에는 사대부가(家) 여성뿐만 아니라 사대부 남성도 적지 않았다. 상층 남성들은 간서(看書, 눈으로 책 읽기)를 대체로 긍정한 반면, 송독(誦讀, 텍스트를 외워 소리 내어 읽기)과 낭독(朗讀, 눈으로 읽으며 소리 내어 읽기)을 부정적으로 여겨 이를 경계했다. 하지만 그 대상이 통속소설이라면 오히려 간서를 경계하고 삼가야 할 독서로 인식했다. 이런 낭독문화의 성격과 발달 양상을 ‘수직적 낭독’과 ‘수평적 낭독’이란 개념을 활용해 낭독 문화의 문화사회사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낭독자와 피낭독자 간 위계질서가 비교적 분명한 상태에서 문화 중재, 내지 문화 전승의 성격을 띠고 행해진 수직적 낭독 문화가 일찍부터 발달했다. 그러다가 동일 독서 취향을 공유할 수 있는 수평적 낭독이 일반화, 대중화되었다. 통속적 한글소설 낭독 문화의 발달이 그 좋은 예이다. 고소설 낭독은 낭독자의 구술적 정신 역학에 의해 문자 텍스트의 내용상 전변이 비교적 자유로웠다. 한글소설 독자층이 확대되고 소설 향유가 활발할 수 있었던 기저에 수평적 낭독문화의 발달이 자리한 사실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한국 독서사 서술 방법론(1)-독서사의 주체와 베스트셀러 문화를 중심으로-

        천정환 ( Cheon Jung-hwan ) 반교어문학회 2016 泮橋語文硏究 Vol.0 No.43

        이 글은 목적은 한국 현대 독서사를 인식하고 서술하는 데 요구되는 여러 요소와 방법에 대해 고구하고자 한 것이다. 그중에서도 이 글에서는 독서사의 주체와 베스트셀러 문화에 대해 주로 다루었다. 1절에서는 한국의 현대 독서문화가 거시적인 문화사와 정치와 맺는 관계를 중심으로 ``독서 문화``의 개념과 ``독서 문화사``의 의미에 대해 썼다. 2절에서는 독서사 기술에 있어서의 텍스트와 주체 문제를 논했다. 특히 독서의 젠더와 글로벌리즘 문제를 새로 제기했다. 3절에서는 베스트셀러를 통해 사회사?문화사를 기술하고자 할 때의 문제들에 대해 다루었다. 베스트셀러는 독서 문화사의 대상(``무엇을``)과 행태(``어떻게``)를 함께 내포한다. 근대 이후 베스트셀러는 일종의 문화적 ``현상``이며 제도이다. 독서사의 시간(한국 현대 독서사의 시기구분 문제)과 베스트셀러의 계보학 등의 문제에 대한 논의는 향후의 과제로 남겨둔다. This essay is intended to review the various elements and methods required to recognize and describe the Korean modern history of reading. Among them, this essay mainly discussed the subject of the history of reading and the bestseller culture. The first chapter is about the meaning of the concept ``reading culture`` and ``history of reading culture`` regarding Korean modern reading culture`s relationship with the macro-cultural history and politics. The chapter 2 argued the text and subject matter in description of history of reading. In particular, I raised a new issue of gender and globalism in reading. The third chapter dealt with the issue of describing the social history and cultural history through bestseller. Bestseller implies both the object of cultural history (``what``) and reading behavior (``how``). After modern, bestseller is a kind of cultural ``phenomenon`` and institution. However, problems such as history of reading`s time (period classification of Korean modern history of reading) and the genealogy of bestseller are left to future tasks.

      • 독서문화현상과 문화권력

        이미은(Mieun Lee),김겸섭(Kyoumsup Kim) 마인드교육융합학회 2022 마인드 교육 Vol.1 No.1

        이 글은 우리나라 독서문화 현상에 나타난 문화권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독서캠페인과 권장도서목록을 중심으로 논의해 보았다. 독서대중화운동 과정에서 독서인이 책읽기의 주체가 아니라 어떻게 수용적 객체가 되는가에 대한 문제점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우선 독서라는 개념의 문화적 가치 속에는 이미 ‘학식이 풍부한 지식인’이라는 의미가 들어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우리나라 근대사회부터 현재까지의 독서문화에서도 독서인을 취향에 따라 계층적으로 구분짓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즉 독서문화가 하나의 거대한 장이 되어 취향을 조장하며 독서-이데올로기에 빠지게 하는 패러다임을 갖고 있음을 제시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독서캠페인과 권장도서목록에 나타난 독서-이데올로기 기제를 순차적으로 분석했다. 우리나라 독서캠페인의 추이와 종류를 기술하면서, 독서인의 의식에 내재화 되는 취향이 있음을 확인했고, 이 취향은 부르디외가 말한 아비투스처럼 독서인에게 의식의 습관으로 존재하고 있었다. 권장도서목록의 경우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했다. 권장도서목록의 선정은 독서인의 독서기회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지만, 독서인이 이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부르디외가 말한 오인이 일어나 사회질서가 유지되고 재생산된다고 볼 수 있었다. 독서문화를 주도하는 독서인이 수동적 객체가 아니라 온전한 주체자가 되기를 기대하면서 개인의 문제 너머에 있는 사회구조적 문제를 살펴보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cultural power in the phenomenon of reading culture in Korea. In particular, it focuses on the discussion of reading campaigns and the recommended book list. In the course of the movement to popularize reading, it also focuses on the issue of how the reader becomes a receptive object rather than the subject of reading. First, the cultural value of the concept of reading was confirmed to already contain the meaning of ‘a knowledgeable intellectual’. In the reading culture from the modern society to the present in Korea, readers were examined to be classified hierarchically according to their tastes. In other words, the reading culture was indicated as becoming a huge arena to have a paradigm of encouraging tastes and indulging in reading ideology. Based on these problems, the reading-ideology mechanism indicated in the reading campaign and recommended book list was analyzed sequentially. When describing the trends and types of reading campaigns in Korea,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taste that is internalized in the consciousness of readers. This taste, like Bourdieu’s habitus, was found to exist as a habit of consciousness in the reader. In the case of the recommended book list, It was confirmed that a similar phenomenon appeared. The selection of the recommended book lis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reader’s reading opportunities, but in the process of accepting it, the misunderstanding Bourdieu said occurs, thereby causing the social order to be maintained and reproduced. With the anticipation that the reader, leading the reading culture, will become a complete subject rather than a passive object, the social structural problem beyond the individual problem was examined.

      • KCI등재

        「불함문화론」을 통해 본 한국문화론 읽기의 시각과 방법

        이선이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비교문화연구소 2024 비교문화연구 Vol.71 No.-

        This article aimed to explore the perspectives and methods of reading the discourse of the Korean culture. It points out that the discourse of Korean culture, a product of modern society, has not been the subject of full-scale research and raises the need for further study. It also explores the perspectives and the methods of reading the discourse of Korean culture focusing on the "Bulham cultural theory", which is considered the origin of modern discourses of Korean culture. The main points of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this paper examined the process by which "Bulham cultural theory" is displaced in the process of discursive practice. It emphasizes that reading the discourse of Korean culture must capture the nature of the discourse itself,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he discursive terrain, as well as critically reconceptualize the readings imposed by the nation-state regime. Reflective reading, which closely traces the practices and effects of the discourse, refers to a perspective and method that encompasses such multilayered reading. Second, this study discusses how to recognize the desire for cultural universality and singularity projected in the discourse of Korean culture and the comparative cultural methodology that embodies it. This paper sheds light on the fact that singularity and universality are desires generated by the nation-state regime and problematizes the concept of mediative universalism or universal universalism. The ethics of comparative culture is to distance oneself from nationalism and imperialism. Furthermore, reading the discourse of Korean culture requires a dialogic perspective and methodology with other cultures, whilst paying attention to the historical changes in culture. Finally, I suggest that a postmodern perspective, free from the shackles of nation and ethnicity, is necessary for reading the discourse of Korean culture to have a creative freshness and socio-cultural value. 이 글은 한국문화론 읽기의 시각과 방법을 모색하는 데 궁극적인 목표가 있다. 먼저, 여기서는 근대의 산물인 한국문화론이 본격적인 연구대상이 되지 못했음을 지적하고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다음으로, 근대적 한국문화론의기원으로 평가되는 「불함문화론」을 중심으로 한국문화론 읽기의 시각과 방법을 모색하였다. 주된 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불함문화론」이 담론의실천 과정에서 변위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문화론 읽기는 담론자체가 갖는 성격을 포착하고 담론의 지형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동시에 국민국가체제가 강요하는 독법을 문제적으로 재인식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담론의 실천과 효과를 면밀하게 추적하는 성찰적 읽기는 이러한 다층적 읽기를 포괄하는 시각과 방법을 지칭한다. 둘째, 한국문화론에 투영된 문화적 보편성과 고유성에 대한 욕망과 이를 구체화하는 비교문화 방법론을 어떻게 인식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였다. 고유성과 보편성은 국민국가체제가 야기한 욕망이라는 점을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매개적 보편이나 보편적 보편주의라는 개념에 담긴 문제의식을 환기하였다. 또한 비교문화의 윤리가 민족주의나 제국주의로부터의 거리두기라는 점을 강조하고, 한국문화론 읽기에는 문화의 역사적 변화에 주목하면서 타문화와 대화적인 시각과 방법이 요구된다는 점을 초점화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문화론 읽기가 창조적 신선미와 사회문화적 가치를 가지기 위해서는 국가와 민족이라는 족쇄로부터 자유로운 탈근대적 시각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