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OK-US Relations after the Summit - Toward a Strategic Alliance in the 21<SUB>st</SUB> Century

        Koo Bon-Hak(구본학)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8 신아세아 Vol.15 No.2

          지난 4월 19일 이명박 대통령은 부시 대통령과 첫번째 한미정상회담을 가졌고, 4.19 한미정상회담은 지난 김대중-노무현 정부 10년간 지속되었던 한미간 갈등과 불협화음을 해소하는데 충분하였다. 지난 10년간 한미동맹은 한국 국내의 반미감정, 김대중-노무현 대통령과 부시 대통령간의 북한에 대한 인식 차이와 대북정책, 그리고 북한 핵문제에 대한 접근 방법의 차이로 인하여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또한, 미국의 주한미군 감축 추진과 노무현 정부의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요구에 의한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합의 등으로 많은 보수 한국민들은 한미동맹이 위기 또는 해체과정에 있다고 인식하였다.<BR>  이명박 대통령과 부시 대통령은 4,19 정상회담에서 한미동맹을 21세기의 전략동맹으로 발전시킬 것이며, 북한 핵문제해결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고 협조할 것이며, 주한미군의 감축을 중단하는 한편, 한미 자유무역협정을 조속한 시일 내에 비준하기 위해 노력할 것을 약속하였다.<BR>  비록 지난 정상회담에서 한미 양국이 21세기를 지향하는 전략동맹으로 발전시킬 것을 약속하였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북한 핵문제뿐만 아니라 자유무역협정, PSI, MD 등을 비롯하여 이란과 아프간에 대한 한국군 파병문제 등에 이르기까지 긴밀한 상호협력과 협조가 지속되어야 한다.   This paper discusses (a) backgrounds of the ROK-US conflict during the last 10 years; (b) results of the ROK-US summit meeting between President Lee and President Bush on April 19, 2008; and (c) pending issues the two governments should resolve in the future for a strategic alliance in the 21<SUB>st</SUB> century.<BR>  South Korea and the US experienced difficult times for the past 10 years due largely to anti-American sentiment in the South and different views towards North Korea between the two presidents of both South Korea and the US and different approaches and policies toward North Korea, especially in dealing with North Korean nuclear issues. The US planned to reduce the USFK to maintain 25,000 by the end of 2008, and agreed to transfer the OPCON to the South Korean military authority. Many South Koreans, mainly among conservatives, worried these as weakening of the blood-bonded alliance.<BR>  President Lee Myung-Bak, elected with absolute majority at the last presidential election in December 2007, was supported by conservative South Koreans and promised to restore and strengthen the ROK-US alliance. The ROK-US summit meeting on April 19 was significant by dispelling 10 years of discord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founding a basis for a strategic alliance in the 21<SUB>st</SUB> century. The two presidents agreed: (a) to expand the ROK-US alliance into a strategic alliance, (b) to strengthen consultation and cooperation in dealing with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s, (c) to stop reduction of the USFK, and (d) to make every effort to ratify the ROK-US FTA.<BR>  However, in order to become a true strategic alliance, the two countries must resolve such issues as the North Korean nuclear problem, the transfer of OPCON, the ROK-US FTA, PSI, MD, troop dispatches to Iraq and Afghanistan, and so on, through close consultation and cooperation.

      • 인문사회학편 : 한국의 세대교체와 한미동맹: 2000년대 초반을 중심으로

        공평원(준장) ( Pyung-won Kong ) 공군사관학교 2015 空士論文集 Vol.66 No.2

        60년이 넘는 기간동안 정치 경채 사회, 운화 동 여러 방면을 포괄하는 동맹으로 발전해온 한미동 맹은 부침 (浮沈) 의 역사를 겪을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2000년대 초에 나타난 한미동맹의 대립과 갈등은 비대칭적인 동맹관계나 이국의 세계안보정책 변화 경제적 곤란과 같은 미국발 도선요인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었다. 또 2008년을 기점으로 다시 동맹이 복원되고 강화되었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본 논문은 2000년대 초 동맹관계 위기의 원인으로 한미동맹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변화, 그 중에서도 ``세대교체로 인한 정치·사회적 변화``를 제시한다. 본 연구는 2000년대 초 대한민국의 세대교체와 이로 인한 국내정치 지도의 변화로 동맹의 위기 가 발생했다고 주장한다. 2000년대 정책과 여론의 수립에 중요한 행위자로 등장한 386세대는 6.25 전쟁을 겪지 않았으며, 민주주의와 경제적 풍요의 혜택을 누렸고, 1980년대의 학생 시위운동에 참여했으며 전체적으로 진보주의 성향을 띠고 있었다, 이들은 대외적으로는 독자적 외교정책과 남북관계의 개선이라는 정치적 성향을 가지고 있었으며, 지역주의 투표경향을 무너뜨리고 인터넷을 기반으로 자신의 정치력을 확대했다. 특히 남북관계와 한미관계의 상호관계를 인식하면서, 북한을 미국보다 호의적으로, 남북 간의 협력을 한미 간의 협력보다 선호함으로써 한미동맹의 위기를 이끌었다. 따라서 향후에도 이 같은 세대교체의 정치적 영향력을 동맹에 대한 인식변화를 고려하여, 한·미 양국에 이익이 될 수 있도록 동맹관리에 반영하려는 노력이 요청된다. ROK-US Alliance, an alliance developed in comprehensive areas including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lUre for over 60 years, has endured the ups and downs of history. lIowever. the canniet and disagreement between the ROK - US Alliance that appeared in the early 2000 was not due to challenges rising from the US such as asymmetrical alliance relations. change in US global security policy, and economic tunnoil. Further, difference lies in the fact that the ROK -US Alliance was restored and strengthened beginning 2008. This article presents the key reason for the ROK - US Alliance crisis in the early 2000``s. i.e. Korean``schange in awareness of the ROK-US Alliance, change in political-social due lO generational change in particular. This research argues that Alliance crisis occurred in the early 2000``s due to change in domestic political leadership as a result of ROK``s generational change. -386 Generation", key aClOrs in establishing policies and public opinion during the 2000``s. did nOt experience the Korean War, enjoyed the benefits of democracy and economic abundance, participated in the student demonstration acthties in the 1980``s. and overall displayed progressive characteristics. This generation carried a political inclination described by independent diplomacy and improvement in inter-Korean relations. and expanded their political inOuence through the internet rather than votes based on regionalism. In particular. they recognized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inter-Korean relations and ROK-lJS relations. and led the crisis of the ROK-US Alliance by ravoring I)PRK and inler-Korean cooperation over the United States and ROK - US cooperation. respectively. Therefor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political influence due to generational change and change in awareness of the Alliance. effort will be required to manage the Alliance for the interest of both ROK and the US.

      • KCI등재

        ROK-US Relations after the Summit: Toward a Strategic Alliance in the 21st Century

        구본학 신아시아연구소 2008 신아세아 Vol.15 No.2

        This paper discusses (a) backgrounds of the ROK-US conflict during the last 10 years; (b) results of the ROK-US summit meeting between President Lee and President Bush on April 19, 2008; and (c) pending issues the two governments should resolve in the future for a strategic alliance in the 21st century. South Korea and the US experienced difficult times for the past 10 years due largely to anti-American sentiment in the South and different views towards North Korea between the two presidents of both South Korea and the US and different approaches and policies toward North Korea, especially in dealing with North Korean nuclear issues. The US planned to reduce the USFK to maintain 25,000 by the end of 2008, and agreed to transfer the OPCON to the South Korean military authority. Many South Koreans, mainly among conservatives, worried these as weakening of the blood-bonded alliance. President Lee Myung-Bak, elected with absolute majority at the last presidential election in December 2007, was supported by conservative South Koreans and promised to restore and strengthen the ROK-US alliance. The ROK-US summit meeting on April 19 was significant by dispelling 10 years of discord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founding a basis for a strategic alliance in the 21st century. The two presidents agreed: (a) to expand the ROK-US alliance into a strategic alliance, (b) to strengthen consultation and cooperation in dealing with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s, (c) to stop reduction of the USFK, and (d) to make every effort to ratify the ROK-US FTA. However, in order to become a true strategic alliance, the two countries must resolve such issues as the North Korean nuclear problem, the transfer of OPCON, the ROK-US FTA, PSI, MD, troop dispatches to Iraq and Afghanistan, and so on, through close consultation and cooperation.

      • KCI등재

        한미동맹의 미래 비전과 목표

        구본학(KOO Bon Hak)(具本學)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8 신아세아 Vol.25 No.4

        지난 65년간 한미동맹은 북한의 남침을 성공적으로 억제해 왔을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의 민주화와 경제발전을 견인하는 역할을 수행했지만, 탈냉전기에 들어오면서부터 다양한 도전에 직면해 왔다. 최근에는 한국의 진보정권 등장과 남북관계의 변화와 더불어 미국 우선주의를 추구하고 있는 트럼프 정부의 등장으로 한미동맹의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은 더욱 증대되었다. 특히, 지난 4월 판문점에서의 남북정상회담과 6월 싱가포르 미북정상회담 이후 한미동맹에 대한 도전을 더욱 심각해졌다. 문재인 정부는 조속한 전작권 전환을 추진하고 있으며, 트럼프대통령은 한미연합군사훈련의 중단 또는 연기를 언급하고 있다. 북한 비핵화와 대북제재 해제, 한미연합훈련의 중단 및 축소, 미래연합군사령부 및 전작권 전환, 방위비분담금 등의 이슈를 둘러싸고 한미간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일부에서는 동맹의 이완 또는 결별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미간 굳건한 동맹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양국이 지키고자 하는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체제의 가치를 공유하고, 긴밀한 정책공조를 통해 상호 신뢰의 수준을 제고해야 하며, 일국이 일방적으로 수혜받는 관계가 아닌 상호호혜적인 동맹관계를 발전시켜야 한다. 또한, 새로운 국제질서에 적응하고 진화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제한적인 군사적 동맹에서 포괄적인 전략동맹으로 전환해야 하며, 한반도뿐만 아니라 아태지역 및 글로벌 차원의 동맹으로 영역을 확대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한반도 통일과정과 통일 이후에도 한반도 및 지역 차원에서 평화와 안전을 도모하는 안정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동맹으로 발전해야 한다. For the past 65 years, the ROK-US alliance has successfully deterred the outbreak of all-out war on the Korean Peninsula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both the political and economic development of South Korea. The alliance, nevertheless, has faced various challenges since the beginning of the post-Cold War era. Moreover, the inauguration of President Moon in South Korea and President Trump in the US have increased uncertainty over the future of the alliance. After the Panmunjom South-North Summit in April and the Singapore US-North Korea Summit in June, the ROK-US alliance faced more serious challenges. President Moon has pursued transfer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OPCON) of the ROK-US Combined Forces Command, currently possessed by a four-star general of the US Army, to an ROK four-star general (chairman of the Joint Chiefs of Staff). The two governments maintain different ideas and approaches on such issues as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suspension and reduction of ROK-US joint military exercises, transfer of OPCON, defense burden-sharing, and so on. Scholars and specialists worry about relaxation or possible decoupling of the alliance. In these circumstances, the two governments must make strenuous efforts to maintain and develop the blood-bonded alliance. The alliance must share the values of democracy and a market economy, increase mutual confidence through close consultation and cooperation, and develop a mutually reciprocal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two governments must exert all possible efforts to accommodate a changing international order. The ROK-US alliance, therefore, must transform itself from a Korean Peninsula military alliance to a regional comprehensive alliance. The alliance must be maintained even after unification of the peninsula as a regional stabilizer to promote peace and security in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as in the Asia-Pacific.

      • KCI등재후보

        한국의 안보딜레마와 한미동맹의 가치

        정천구 한국통일전략학회 2012 통일전략 Vol.12 No.3

        무정부적 국제체제에서 국가는 자국의 안보를 추구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그것은 상대측의 대응을 불러와 결과적으로 자국의 안보를 더 위험스럽게 만들 수도 있다. 그래서 모든 국가들은 어떤 수준으로 안보를 추구해야 할지 안보딜레마에 빠지게 된다. 1972년 남북대화가 시작된 이래 한국정부는 안보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 때 자주노선과 균형자 역할 등을 시도해 보았으나 어느 것도 한미동맹의 대안이 될 수 없었다. 전체주의 독제체제세습체제를 유지하고 한반도의 현상을 타파하려는 목적으로 핵을 개발하고 있는 북한은 안보딜레마가 아니라 억지전략과 유인정책으로 대응해야 할 안보문제를 제기할 뿐이다. 한중관계는 경제적으로 중요하나 포괄적 한미동맹의 대안이 될 수 없으며 한미동맹의 틀 속에서 병행 발전시켜야 한다. 한미동맹과 주한미군의 존재는 한국의 안보는 물론 국가신인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한미동맹은 한국이 세계 10위권의 경제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한국의 수출주도형 발전을 뒷받침해 왔던 것이다. 주한미군이 한국에게 주는 경제적 가치만 계산해도 매년 백 수십조 원을 넘는다. 이제 국내외적 여건의 변화로 한미동맹도 21기형 동맹으로 변화하고 있다. 2008년과 2009년 한미 양국은 한미동맹을 전략적 동맹으로 격상하고 가치동맹, 신뢰동맹, 평화구축동맹으로 발전시킨다는 21세기 한미동맹의 비전에 합의하였다. 21세기 한국의 대외전략은 네트워크형 외교와 연대를 모색해야 한다. 미국은 한국과 가치를 공유할 뿐 아니라 국제질서를 움직이는 네트워크의 중심 국가이다. 미국과의 가치동맹은 한국이 안보딜레마를 해결하고 미국이 이끄는 상층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세계로 뻗어나가는데 초석이 될 것이다. The concept of security dilemma is generally used to denote the self-defeating aspect of the quest for security in an anarchic system. In the system, each party's power increments are matched by the others, and all wind up with no more security than when the vicious cycle began, To solve the security dilemma posed by its the relations with North Korea and with China, the ROK’s governments since 1993 for a while tried to pursue a self-reliance police and a “Northeast Asia Balancer Policy.” But none of them could be an alternative to the ROK-USA alliance. North Korea has developed its own nuclear forces to maintain its hereditary dictatorship and to force South Korea to accept its own terms. So what North Korea has raised is no more a security dilemma but only a security problem that can be dealt with deterrence policy. The Korea-China relation is economically important but cannot compare with the ROK-US inclusive strategic security alliance and cannot be an alternative. With maintaining the strong ROK-US alliance, Seoul should try to seek diplomatic balance between US and China. For over almost 60 years, the ROK-US alliance and presence of US military forces in Korea has played a critical role as peace keeper on the Korean Peninsular. It has also helped South Korea to become the world number 10th prosperous economic power by providing the secure situation and reducing the country risk. A survey estimated the economic value of the USFK, its security cost saving effect and economic contribution effect more than 171 billion dollars. Due to the changes in the global and domestic situations, ROK and the United State have agreed to upgrade the alliance to a strategic alliance for the 21st century. They also have agreed to transform the alliance into value alliance, trust alliance and peace-settlement alliance. Korea’s foreign and diplomatic strategy should be networked diplomacy and seek networked solidarity. The United States has not only common security interests but also common democratic values with Korea and she is the center of the network which leads the world. I am sure that the ROK-US strategic alliance will be the corner stone for South Korean foreign strategy in solving its security dilemma/problem and expanding its global network.

      • KCI등재

        북한 비핵화 기대에 의한 한미동맹의 동요: “자율성-안보 교환” 모델을 중심으로

        박휘락 신아시아연구소 2019 신아세아 Vol.26 No.1

        This paper analyzes the policy directions of the Trump administration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in the ROK using the “Autonomy-security Trade-off” model. It reviews alliance theories, applies those theories to the ROK-US alliance, challenges posed to the alliance by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and current negotiations regarding North Korean denuclearization.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Autonomy-security Trade-off” model has traditionally fit the ROK-US alliance. However,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and Trump policy may have impacted negatively on the ROK-US alliance. President Moon also seems insufficiently cooperative to accommodate US demands. As a result, President Trump may threaten to withdraw US forces from South Korea and the alliance may be seriously damaged. The ROK government should know that it needs an alliance with the US if it wants to protect its people from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It should recognize the “Autonomy-Security Trade-off” to keep the alliance strong. The ROK government should do its best to strengthen the alliance instead of its current policy of modestly managing the alliance. 본 논문은 북한의 비핵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한미동맹의 변화가 성급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문제의식에 근거하여, “자율성-안보 교환”이라는 동맹이론을 적용하여 미국 트럼프 행정부와 한국 문재인 정부의 동맹정책의 방향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동맹이론 차원에서 한미동맹의 성격을 규명하고, 북한의 핵위협과 비핵화 현황을 소개한 후에 한미 양 정부의 동맹정책을 설명하고 분석하였다. 본 논문을 통하여 분석해본 결과, 전통적으로 한미 양국 정부는 “자율성-안보 교환”이론에 충실하였다. 그러나 최근 북핵 위협이 심각해짐에 따라 미국은 연루의 위험성을 줄이고자 한국을 방기할 수 있게 되었고, 트럼프 대통령의 방위비분담 증액 요구에서 나타나듯이 한국에게 더욱 많은 자율성 양보를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반면에 한국의 문재인 정부는 자율성 양보에 소극적이기 때문에 자칫 주한미군 철수를 비롯한 한미동맹이 극단적으로 약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북핵 위협으로 인하여 한미동맹이 다른 어느 때보다 절실한 시기에 한국의 정부는 “자율성-안보 교환”의 이론을 현실적으로 이해하는 가운데 한미동맹을 관리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실제로 강화하고자 노력할 필요가 있고, 방위비분담을 비롯하여 자율성 양보에 더욱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야할 것이다.

      • KCI등재

        韓·美 關係 굳히기에 힘을 모을 때

        이상우(李相禹)(Rhee Sang-Woo)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8 신아세아 Vol.25 No.3

        한치 앞을 내다보기 어려운 나날을 보내면서 한국 국민들은 불안한 나날을 보내고 있다. 중국의 시진핑(習近平) 주석은 ‘중국 지배의 아시아’ 재건을 내걸고 한국을 중국의 지배 아래 두려는 이른바 ‘한국의 핀란드화(Finlandization)’를 추진하고 있고, 북한은 중국의 지원을 받아 ‘남반부 통일’을 위한 정치전, 군사전을 적극적으로 펴고 있다. 미국의 트럼프(Donald Trump) 대통령은 ‘미국 제일’ 이라는 국수주의적 정책을 펴면서 한·미 동맹의 재조정을 직·간접으로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위기적 상황에서 대한민국을 지켜내기 위하여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생존 전략’을 다시 한 번 정리해 본다. The 70-year history of the Republic of Korea -- overcoming a legacy of dire poverty and a disastrous inter-Korean War to construct an industrialized liberal democracy - is a legendary story. This success was possible thanks to the liberal international order maintained by US leadership. The favorable international environment for liberal democratic Korea is, however, rapidly deteriorating. China under Xi Jinping began to restore its historical suzerain system over its neighbors, including Korea. We can detect China’s desire to ‘Finlandize’ Korea. Supported by China, North Korea increases efforts to unify the Korean Peninsula on its own terms. President Trump’s policy of ‘America First’ is also harming the ROK-US alliance. In a rapidly changing international environment, the ROK should develop a policy to protect its liberal democracy and economic development. Policy options are quite limited, since the United States is the only great power that can deter China. The ROK should keep its strong alliance with the US. The ROK should keep its liberal democratic stance so that the US will accept ROK as a ‘value ally.’ Militarily, the ROK should strengthen its ‘security alliance,’ and keep the US-ROK joint forces command system. US bases in Korea should also be maintained. Economically, the ROK should deepen cooperative relations. In this way, the ROK should transform its alliance into a ‘comprehensive alliance.’ The ROK should prove that a strong ROK-US alliance will help stabilize the East Asian regional peace system, and that the alliance is a mutually beneficial arrangement.

      • KCI등재

        한국의 안보딜레마와 한미동맹의 가치

        정천구(Chun-Koo Jeong) 한국통일전략학회 2012 통일전략 Vol.12 No.3

        무정부적 국제체제에서 국가는 자국의 안보를 추구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그것은 상대측의 대응을 불러와 결과적으로 자국의 안보를 더위험스럽게 만들 수도 있다. 그래서 모든 국가들은 어떤 수준으로 안보를 추구해야 할지 안보딜레마에 빠지게 된다. 1972년 남북대화가 시작된 이래 한국정부는 안보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 때 자주노선과균형자 역할 등을 시도해 보았으나 어느 것도 한미동맹의 대안이 될 수없었다. 전체주의 독제체제세습체제를 유지하고 한반도의 현상을 타파하려는 목적으로 핵을 개발하고 있는 북한은 안보딜레마가 아니라 억지전략과 유인정책으로 대응해야 할 안보문제를 제기할 뿐이다. 한중관계는 경제적으로 중요하나 포괄적 한미동맹의 대안이 될 수 없으며 한미동맹의 틀 속에서 병행 발전시켜야 한다. 한미동맹과 주한미군의 존재는 한국의 안보는 물론 국가신인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한미동맹은 한국이 세계 10위권의 경제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한국의 수출주도형 발전을 뒷받침해 왔던 것이다. 주한미군이 한국에게 주는 경제적가치만 계산해도 매년 백 수십조 원을 넘는다. 이제 국내외적 여건의변화로 한미동맹도 21기형 동맹으로 변화하고 있다. 2008년과 2009 년 한미 양국은 한미동맹을 전략적 동맹으로 격상하고 가치동맹, 신뢰동맹, 평화구축동맹으로 발전시킨다는 21세기 한미동맹의 비전에 합의하였다. 21세기 한국의 대외전략은 네트워크형 외교와 연대를 모색해야 한다. 미국은 한국과 가치를 공유할 뿐 아니라 국제질서를 움직이는네트워크의 중심 국가이다. 미국과의 가치동맹은 한국이 안보딜레마를해결하고 미국이 이끄는 상층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세계로 뻗어나가는데 초석이 될 것이다. The concept of security dilemma is generally used to denote the self-defeating aspect of the quest for security in an anarchic system. In the system, each party's power increments are matched by the others, and all wind up with no more security than when the vicious cycle began, To solve the security dilemma posed by its the relations with North Korea and with China, the ROK’s governments since 1993 for a while tried to pursue a self-reliance police and a “Northeast Asia Balancer Policy.” But none of them could be an alternative to the ROK-USA alliance. North Korea has developed its own nuclear forces to maintain its hereditary dictatorship and to force South Korea to accept its own terms. So what North Korea has raised is no more a security dilemma but only a security problem that can be dealt with deterrence policy. The Korea-China relation is economically important but cannot compare with the ROK-US inclusive strategic security alliance and cannot be an alternative. With maintaining the strong ROK-US alliance, Seoul should try to seek diplomatic balance between US and China. For over almost 60 years, the ROK-US alliance and presence of US military forces in Korea has played a critical role as peace keeper on the Korean Peninsular. It has also helped South Korea to become the world number 10th prosperous economic power by providing the secure situation and reducing the country risk. A survey estimated the economic value of the USFK, its security cost saving effect and economic contribution effect more than 171 billion dollars. Due to the changes in the global and domestic situations, ROK and the United State have agreed to upgrade the alliance to a strategic alliance for the 21st century. They also have agreed to transform the alliance into value alliance, trust alliance and peace-settlement alliance. Korea’s foreign and diplomatic strategy should be networked diplomacy and seek networked solidarity. The United States has not only common security interests but also common democratic values with Korea and she is the center of the network which leads the world. I am sure that the ROK-US strategic alliance will be the corner stone for South Korean foreign strategy in solving its security dilemma/problem and expanding its global network.

      • KCI등재

        한반도 탈냉전 도래와 한미동맹의 정체성 : 가능성과 한계

        박봉규 ( Park Bonggyu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9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7 No.4

        한미동맹은 우리 국가안보의 주축이지만 북한 비핵화 추진 과정에서 한미연합훈련이 유예· 축소되고 종전선언·평화체제 등 탈냉전 가능성이 언급되면서 한미동맹의 정체성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방위비 분담 비용을 대폭 증가하라는 미국의 압력은 상황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 이러한 상황 전개가 한미동맹을 고정적으로 바라보는 시각과 밀접하다는 것이 본고의 주장이다. 한미동맹의 미래와 관련하여 북대서양조약기구의 전례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냉전 종식으로 인한 소멸의 당위성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시대적 상황 속에서 정체성을 재설정하여 성공적으로 정립되었기 때문이다. 한반도의 탈냉전 도래가 무조건 평화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다. 제대로 대비하지 않으면 갈등과 전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한미동맹이 NATO처럼 평화의 담지자로 탈냉전기 한반도에도 존속할 수 있다면 한반도의 평화는 단순한 반도 차원이 아니라 NATO의 유럽처럼 동북아 평화의 진앙지가 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새로운 시대적 맥락에 적합한 한미동맹의 정체성 변화가 선행되어야 하며 정체성에 부응하는 적합성의 논리에 의한 관행이 정착되어야 한다. 그렇게 된다면 NATO와 마찬가지로 새로운 맥락에서 성공적으로 적응할 가능성이 크다. 그러한 과정에서 한미동맹의 가능성과 한계가 노정될 것이다. The ROK-US alliance is the backbone of our national security, but controversy over the identity of the US-ROK alliance has emerged as the ROK-US alliance has been suspended and reduced in the process of denuclearization and the possibility of post-cold wars such as the end of war and a peace regime. The pressure from the US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cost of defense spending complicates the situation. It is argued that this development is closely related to the view of the ROK-US alliance. Regarding the future of the US-ROK alliance, the precedents of the NATO have much to suggest. Despite the justification for extinction due to the end of the Cold War, it was successfully established by resetting its identity in a new era. The arrival of the post-cold war on the Korean Peninsula will not lead to peace. If not properly prepared, it can lead to conflict and war. If the US-ROK alliance can survive on the Korean Peninsula as a bearer of peace, as NATO, then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may not be a simple peninsula but a epicenter of peace in Northeast Asia like NATO’s Europe. In order to do so, the change of identity of the US-ROK alliance appropriate to the context of the new era should be preceded, and the practice on ‘the logic of appropriateness’ to the identity should be established. If so, it is likely to adapt successfully in the new context as NATO does. In doing so,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ROK-US alliance will be exposed.

      • KCI등재

        미래 한미동맹 발전을 위한 조약법적 검토

        백민정(Paik Minjung) 대한국제법학회 2019 國際法學會論叢 Vol.64 No.1

        2001년 큰 폭의 개정과정을 거쳤음에도 불구하고, 한미 SOFA 체제의 여러 불평등 요소를 지적하는 시각이 존재한다. 2019년 현재 한반도에서 포착되고 있는 남북 화해무드는 한미상호방위조약 및 한미 SOFA 개정 논의에 고려되어야 할 주요 변수이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미래 한미상호방위조약 및 한미 SOFA 개정에 대비하여 예상되는 쟁점을 선제적으로 살펴보고자 노력하였다. 첫째, 한미상호방위조약 제4조에 기한 미국의 무상 주병권 적용범위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다. 美측 병력이 한국에 상시 주둔하고, 각 지역에 자유롭게 병력을 배치할 수 있는 주병(駐兵)권에 대한 인정은 한미상호방위조약이 미-필리핀 기지협정, 북대서양 조약, 북중우호조약 등과 구별되는 특성이다. 둘째, 한미 SOFA 내 환경오염 치유기준이 불명확한 점을 향후 개선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미국이 타국과 체결한 SOFA를 조사하여 참고할 것을 권고한다. 일례로 본고에 적시된 토지임대료 관련 필리핀 사례 등이 향후 각종 군사 안보분야 협상에서 전략적으로 활용되어, 미래 한미동맹의 균형적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Although ROK-US SOFA was amended in 2001, many people still criticize the treaty for remaining unfair. Today in 2019, a change in the security environment of the Korean peninsula can be observed. Late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K and the US is considered almost “peaceful”. Thus, this change shall be considered, when some thoughts on amending the Mutual Defense Treaty between ROK and the US as well as the ROK-US SOFA are drafted. Therefore, in this paper, some possible, conflicting points between the ROK and the US are discussed. First, the US’s exclusive right to dispose the US military “in and about the territory of ROK” needs to be limited to a certain degree for the ROK’s sake. This right given to the US by Article 4 of Mutual Defense Treaty between the ROK and the US is regarded unique; it cannot be found, for example, in Agreement between Philippines and the US concerning Military Bases, NATO Treaty, and the Sino-North Korean Mutual Aid and Cooperation Friendship Treaty. Second, the ROK must focus on inserting a crispy clear clause on clean up costs in ROK-US SOFA, and which is unfortunately lacking at the moment. US’s SOFA with such nations as Japan and Germany can be called for reference. If such cases are utilized successfully, ROK will get one step closer to fairer ROK-US SOFA, and which will ultimately pave the way for democratizing the ROK-US relations so that it transforms to be more balanced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