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2C 택배서비스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보호의도와 보호행동에 대한 실증연구 : 합리적 행동이론 접근

        임세헌(Lim, Se-Hun) 한국물류학회 2020 물류학회지 Vol.30 No.4

        B2C 택배서비스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보호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택배서비스 이용자들의 프라이버시에 대한 신념, 태도, 행동의도, 행동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택배서비스 이용자들의 프라이버 시 보호심리가 프라이버시 보호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합리적 행동이론을 이용해 이론적 프레임워 크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제안된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토대로 택배서비스 이용자의 인지된 지식역량, 프라이버시에 대한 태도, 프 라이버시 보호규정 준수의도, 개인정보 통제의도, 프라이버시 보호행동의 영향관계에 대한 연구모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택배서비스 이용 경험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조사를 통해 획득된 응답자료를 PLS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택배서비스 이용자의 인지된 지식역량은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택배서비스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보호에 대한 태도는 프라이버시 보호규정 준수의도와 개인정보 통제의도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택배서비스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보호규정 준수의도와 개인정보 통제의도는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택배서비스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보호에 대한 이론적 기여를 제공하 였을 뿐만 아니라, 실무적으로 프라이버시 보호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Although the importance of the privacy protection behavior of B2C (Business to Customer) delivery services users (e.g., courier services users) are increasing, studies on the subjective belief, attitude, behavioral intention, and behavior of B2C delivery services users regarding privacy protection behavior are hard to find. This study investigates how B2C delivery services users induce psychological behavior to protect their privacy. This study develops a theoretical research framework to explain the privacy protection behavior of B2C delivery services users by TRA (Theory of Reasoned Action). And based on the theoretical research framework, this study suggests the research model of PKC (perceived knowledge capability), PA (privacy attitude), PCI (privacy compliance intention), ICI (information control intention), and PPB (privacy protection behavior) of B2C delivery services users.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people who have actual experience of using B2C delivery services,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PLS approach.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analysis show that PKC (perceived knowledge capability) of B2C delivery services users affects PA (privacy attitude)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In addition, users’PA (privacy attitud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PCI (privacy compliance intention) and ICI (information control intention). In addition, PCI (privacy compliance intention) and ICI (information control intention) of B2C delivery services users was found to affect PPB (privacy protection behavior). The research findings not only provide theoretical contributions to the privacy protection of B2C delivery services users, but also suggest practical privacy protective contribututions to B2C delivery industry.

      • KCI등재

        프라이버시 보호인식 및 보호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과 프라이버시 침해경험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김상현(Sanghyun Kim),박현선(Hyunsun Park)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2013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Vol.13 No.4

        Recently, Social Network Services(SNS) have been rapidly growing and become increasingly popular. These SNSd encourage people to reveal too much information broadly so people need to provide private information to use SNSs. As a result, SNS users are concerned about privacy invasion and privacy protection becomes an important issue among SNS users. However, there are a few empirical researches investigating privacy protection on SNS.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that might influence SNS users to protect privacy about themselves based on Protection Motivation Theory(PMT). Using university students as a sample, one hundred and eighty nine are collected for furthe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efficacy, response efficacy, perceived severity, information sensitivity, and ethical identity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privacy protection awareness, while perceived vulnerability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Second, privacy protection awarenes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rivacy protection behavior intention on SNS. Finally, the results also show that privacy invasion experience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links between privacy protection awareness and privacy protection behavior Intention.

      • KCI등재

        프라이버시에 대한 감정이 프라이버시 보호 행동에 미치는 영향: 카드사 개인정보 유출사건을 중심으로

        한진영(Jinyoung Han),김형진(Hyungjin Lukas Kim),손인수(Insoo Son)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2021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Vol.21 No.3

        Due to the government"s policy of vitalizing credit card use, it has become the most common payment method in Korea. Daily use of credit card and related information technologies raise the importance of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However, there happened a huge leakage of about 100 million personal information from three major Korean credit card companies in 2014. Despite such a serious information security accident, the “Take No Action” paradox, which does not comply with the privacy rules based on reasonable and rational judgment, is still prevalent. This study examines how consumers’ emotion toward privacy affects their information protection behavior. We also compare the effects of cognitive evaluation and rational calculation on behavioral intention and actual behavior. The results show that consumer"s emotional and cognitive evalu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behavior. This study contributes to extant literature by considering consumers’ emotional aspect of information security and empirically examining its effect on information protection behavior. This study also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comparing and analyzing protection behavior between people who experienced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and those who did not.

      • KCI등재

        모바일 메신저 보안인식과 보안의도를 통한 개인정보 보호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기결정성 이론을 중심으로 -

        민경은,김성준,권두순 대한경영정보학회 2016 경영과 정보연구 Vol.35 No.1

        최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모바일 메신저 산업이 빠른 성장세에 있다. 그리고 단순히 메신저를 공유하던 형태를 넘어 개인에게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면서혁신적인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또한 메신저 보안이 개인화되고 지능화된 기능을 통해 더 다양한 모바일어플리케이션의 보안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모바일 메신저 이용자들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이용요인들에 대해 파악하고 이들 요인이 모바일 보안에 대한 보안인식과 보안태도를 통해 개인정보보호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인과관계를 실증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간의 본연적인내재적 동기를 강조한 자기결정성(SDT: Self-Determination Theory) 이론의 주요 변수들을 적용한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모바일 메신저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일반인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각된 자율성은 보안인식과 보안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유능성은 보안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관계성은 보안인식과 보안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보안인식과 보안의도는 개인정보 보호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개인의 메신저의 보안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소비자들에게 필요한 보안지침 개발을 위한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Currently mobile messenger industry, based on mobile application, is growing. And it has aroused innovative change, offering services in various forms beyond the form simply sharing messengers. Also because messenger securities are becoming personalized and intelligent, the importance of more diverse mobile applications’ securities is increasing. This study carries out the empirical study of the causal relationship that the factors of using application services influence on security recognition and security Intention of mobile securities, and consequentially impact upon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of users. In order that, we present the research model which prime variables of SDT, which emphasized on natural immanent motivation of human, applied to.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empirically, we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the public and university students which have ever used mobile messenger applications. With this, we desire to contribute to emphasizing the significance of individual messenger security and playing a positive role to develop security guide for consumers. The path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autonomy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security awareness and security intention. Second, perceived compet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security intention. Third, perceived related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security awareness and security intention. Last, security awareness and security inten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privacy protection behavior. Through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 security of the messenger of individuals and contribute to a positive role for development of the necessary security guidelines to consumers.

      •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과정에서의 개인정보유출 위협이 정보보호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배재권(Jae Kwon Bae) 한국정보기술학회 2016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16 No.6

        본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과정에서 발생하는 개인정보유출 위협 및 프라이버시 침해 가능성으로 인해 나타나는 정보보호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보호행동의 대표적인 이론인 건강심리이론(Health Psychology Theory, HPT)과 보호동기이론(Protection Motivation Theory, PMT)을 결합하여 빅데이터 정보보호행위에 관한 융합모델을 제시하였다. 빅데이터 환경에서의 정보보호행위 영향요인인 인지된 위협 심각성, 인지된 위협 발생가능성, 반응효능감, 자기효능감, 주관적 규범이 개인정보보호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at proposing an integrated protective behavior model in which the influence factors of protective behavior intention (i.e., perceived threat severity, perceived threat susceptibility, response efficacy, self-efficacy, and subjective norm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protective behavior intention in Big Data environment. This study developed an integrated protective behavior model to explain the protective behavior intention in Big Data environment and collected 189 online survey responses from the online and mobile internet users who had experiences with such SNS and personal cloud service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partial least squares (PLS) technique. In brief, the finding of this study suggests that perceived threat severity, perceived threat susceptibility, response efficacy, self-efficacy, and subjective norm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protective behavior intention in Big Data environment.

      • KCI등재

        서비스 제공 기업에 대한 신뢰가 금융 마이데이터 서비스에 전이되는 현상에 관한 연구

        금아로,이정훈,여윤아 한국IT서비스학회 2024 한국IT서비스학회지 Vol.23 No.1

        As data usage grows in importance, ensuring individual control over personal information becomes critical. The emergence of the 'MyData' concept addresses this, particularly in financial services. Although the institutional and technological framework for financial MyData services is in place, there's a need to establish consumer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its usefulness and safety for successful activation. This study focuses on investigating the impact of trust on the intention to use the new mobile banking service, financial MyData. This study has three objectives. Firstly, to analyze whether trust in financial MyData services and trust in financial MyData service providers affect the intention to use financial MyData services. Secondly, to analyze the process of forming trust in financial MyData services based on the phenomenon of transferring trust in service providers to trust in services. Thirdly, to identify the process by which trust transfer occurs between service providers and financial MyData services. Ultimately,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intention to use financial MyData services based on the concept of trust and to activate these services. In summary, this study emphasizes the significance of trust in financial MyData services, exploring its impact on user intention and the transfer of trust from providers to services. By promoting consumer trust, the research aims to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financial MyData services.

      • KCI등재
      • KCI등재

        온라인 서비스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개인정보 보호지각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신소라,마세윤,김성준,김범수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3 보안공학연구논문지 Vol.10 No.6

        최근 들어 개인정보 보호 활동 미흡으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 해킹 사건 등이 발생하면서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이미지가 하락하며, 실질적으로 해당 기업의 주가 하락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정보 보호지각과 온라인 서비스 기업에 대한 신뢰 및 충성도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개인정보 보호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에 대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개인정보 보호지각, 서비스제공자에 대한 신뢰, 충성도에 대한 문헌연구를 기초로 개인정보 보호지각을 측정하기 위한 항목을 개발하였다. SPSS와 Smart PLS를 통하여 요인분석, 수렴 타당성 검증, 판별 타당성 검증, 매개효과 검증을 통하여 신뢰성과 타당성 그리고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 특성(명성, 서비스 역량, 상호작용성)은 개인정보 보호지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온라인 서비스 이용자 특성(개인의 신뢰 성향, 사회적 인지)은 개인정보 보호지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는 개인정보 보호지각에 온라인 서비스 이용자 특성은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며,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 특성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