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장애아동·청소년의 일상생활활동 향상을 위한 작업치료 : 체계적 고찰

        홍은경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19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17 No.3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vidence for a systematic analysis of occupational therapy evaluations and interventions for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children and adolescents. Methods : The research period was from 2010 to September 2019. The articles were collected from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and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databases. The key words were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y & activities of daily living’,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y & self care’,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y & self management',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y & occupation’, ‘occupational therapy & eating’, ‘occupational therapy & AMPS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occupational therapy & WeeFIM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or children'. Results : A total of 14 studies were analyzed, the qualitative level Ⅳ, Ⅴ of the study was 72% of the total research. The diagnosis of participants included 50% intellectual disorder and 20% brain lesion, including cerebral palsy.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 to assess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was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 to therapy was sensory integration therapy. The intervention effect of all studies was positive, however, the use of group programs on the occupational therapy on children with intellectually disorder didn't work. Conclusion : In Korea, there are no articles that systematically analyze whether occupational therapy improves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children and adolescents.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일상생활활동 향상을 위해 아동·청소년 작업치료를 적용한 국내 논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참여자의 진단명, 사용한 평가도구, 중재방법과 그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0년부터 2019년 9월 30일까지 게재된 국내 학술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검색엔진은 학술연구정보서비스와 한국학술정보를 사용하였다. 사용한 검색어는 ‘아동작업치료 & 일상생활’, ‘아동작업치료 & 자조’, ‘아동작업치료 & 자기관리’, ‘아동작업치료 & 작업’, ‘작업치료 & 식사하기’, ‘작업치료 & AMPS(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작업치료 & WeeFIM‘(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or children)이었다. 결과 : 총 14편을 분석하였고 연구의 질적 수준은 Ⅳ, Ⅴ가 각각 36%로 총 연구의 72%를 차지하였다. 참여자의 진단명은 지적장애가 50%를 차지하였고 뇌성마비를 포함한 뇌병변이 20%이었다. 일상생활활동을 평가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평가도구는 COPM(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으로 36%를 보였고, WeeFIM이 22%, 관찰이 13%이었다. 중재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감각통합치료로 36%이었고, 인지프로그램이 22%이었다. 지적장애 아동에게 자조활동 그룹치료를 적용한 한편의 연구를 제외하고, 모두 중재효과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체계적 고찰방법을 통해 일상생활활동에 대해 작업치료 적용을 알아본 국내의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임상에서 작업치료 적용을 위한 근거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대전, 충청지역 고등학생들의 작업치료 인식도와 관심도의 상관성 조사

        이은영,정소희,정혜은,홍유정,김희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 2017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지 Vol.7 No.1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interest and awar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in high school students in Daejeon and Chungcheong province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and to find a way to promote occupational therapy in the future. Methods : Participants were 209 high school students in high schools in Chungcheong and Daejeon.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Google Links and analyzed using SPSS (version 18.0) statistical program.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general charateristics, occupational therapy awareness, and occupational therapy interest. Second, a  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occupational therapy interest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the name of the occupational therapy. Results : 68.4% of the participants had no previous knowledge on occupational therapy in the recognition of the name of the occupational therapy, and 61.2%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y would like to know about the concept of occupational therapy in the future. 78.5% of the respondents did not wish to study occupational therapy in higher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awareness and interest, the participants who had previous knowledge about occupational therapy showed significantly more interest in occupational therapy. Also, the mentoring–mentee activities and lectures were pick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way to promote occupational therapy to highschool students with 23.3% and 21.3%, respectively. Conclusions : This study confirms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awareness and interest on occupational therapy in highschool students. In addition, We would like to provide basic data on how to promote occupational therapy to high school students in Daejeon and Chungcheong provinces.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대전, 충청지역의 고등학생들의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도와 관심도를 조사하고 그 사이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향후 작업치료의 활성화를 위한 홍보방안을 찾고자 한다. 연구방법 : 대상자는 대전, 충청도 지역에 소재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 209명으로 구글 링크를 통해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version 1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작업치료 인식도, 작업치료 관심도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작업치료 명칭에 대한 인식 유무에 따른 작업치료 관심도를 파악하기 위해 χ²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 명칭에 대한 인식유무에서 작업치료를 들어보지 못한 대상자가 68.4%로 더 많았으며, 향후 작업 치료에 대한 관심도에서는 개념정도 알아두면 좋을 것 같다는 응답이 61.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작업치료학과에 대한 지원의사는 78.5%가 진학하고 싶지 않다고 답하였다. 인식도와 관심도의 상관성 분석 결과, 작업치료에 명칭을 들어본 대상자가 작업치료 관심도가 더 높게 나타나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또한 작업치료 활성화를 위한 홍보방안으로 ‘멘토-멘티 활동’과 ‘강연’에서 각각 23.3%, 21.3%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도와 관심도는 상관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대전, 충청 지역의 고등학생들에 대한 작업치료 홍보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감각통합기능장애를 가진 청소년의 작업수행에 초점을 맞춘 작업치료 사례

        지석연 (Ji, Seok-Yeon),이경민 (Lee, Kyoung-Min),김미선 (Kim, Mi-Sun)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08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6 No.1

        Introduction : Sensory Integration(SI) theory, science it is developed by an occupational therapist A. Jean Ayres, is the one of the most popular frames of reference used in occupational therapy(OT) intervention. It has been proved as a scientific theory especially in neuroscience discipline through abundant research and practice. Occupational therapists apply the SI therapy with strong clinical reasoning to improve adaptive behaviors of their clients and try to link the adaptive behaviors with occupational performance in the clients’ everyday life. One of the manners regarding clinical reasoning is Top-down approach. In occupational therapy discipline, Top-down approach is well-reflected within two evaluation tools;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 and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AMPS) and two models of practice; Canadian Model of Occupational Performance(CMOP) and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process model(OTIPM).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paper demonstrates how SI therapy can be employed within OTIPM and how the OT process (evaluation-intervention-outcome) can be structuralized based on the Top-down approach. This single-case study recognizes the impact of a SI therapy for a male adolescent on his occupational performance. Intervention Examined : “P” was 16 years old male adolescent with no diagnosis and junior of the high school when he was referred. P was always with mouth opened, showed difficulties in gathering things need to be prepared and managing and paying money for shopping, and his colleges dislike getting close to him because he can’t was his body well. AMPS was administrated in initial evaluation and reevaluation of P’s occupation performance, Bruininks-Oserestky Test of Motor Proficiency-2(BOT-2) was carried out to assess motor functions and perception skills related in sensory integration, and occupational therapist performed clinical observation in order to complement the evaluation quantitatively and quantitatively. Based on the evaluation, it is concluded that the SI therapy is primary means to improve P’s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three therapeutic approaches were constructed; restorative, acquired and compensatory approach. P showed improved motor and process skills in occupational performance after undergone the occupational therapy. Conclusions : The sensory integration therapy was practical enough to build the bridge between the occupational performance(Top) and the underlying component problems (Bottom). The OTIPM was helpful to identify meaningful occupation for P and P’s family within P’s contexts, and the AMPS was valuable to analyze and clarify the cause of difficulties in the chosen occupational performance. 서 론 : 감각통합은 작업치료의 치료적 중재 근거이론(frames of reference)들에서 가장 중요하고 널리 사용되는 것 중 하나이다. 이는 작업치료사인 Jean Ayres가 클라이언트의 적응행동을 향상하기 위한 목적을 두고 발전된 이론이며, 시작된 이래로 많은 작업치료사들이 같은 목표를 가지고 적용해 왔기 때문이다. 감각통합이론을 적용하는 작업치료사로써, 임상에서 감각통합과 그 목표가 되는 적응행동인 작업수행을 치료의 결과로써 증명해 내는 것은 작업치료의 목표가 작업수행의 향상을 전제로 하는 것이기에 매우 중요하며 도전이 되는 것이다. 본 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중재과정모델인 OTIPM(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Process Model)이라고 하는 하향식(Top-down) 접근의 중재모델을 감각통합의 기능장애를 가지면서 일상의 작업수행에 어려움을 보이는 16세의 청소년에게 적용하여, 감각통합이론의 적용이 작업수행향상에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적용한 OTIPM의 적용 사례를 통해, 감각통합적인 접근은 클라이언트가 일상에서 수행하기 어려웠던 작업수행에 대한 원인을 추론하는 데 유용하였다. 본 연구의 사례에서 감각통합적인 관점과 접근은 작업수행(Top)에 영향을 주는 기본적인 요소적 문제(Bottom)를 연결하는 첫 단계의 중재로써 큰 의미를 가졌고, OTIPM의 적용과정은 클라이언트에게 의미 있는 작업수행을 발견하고 이에 초점을 두어 가장 우선되는 중재를 단계적으로 전개하여, 감각통합치료 이후 실제 작업수행에 초점을 둔 접근을 전개하는 데 유용하였다.

      • KCI등재

        미래지향적 작업치료사 양성을 위한 제언

        이택영,박소연 대한작업치료학회 2004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는 현재 제기되고 있는 작업치료사 인력의 과잉공급과 이에 따른 문제점을 지적하고 향후 발전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 작업치료 교육기관과 임상현장에서의 문제점은 작업치료사 인력의 과잉공급과 작업치료 전공 교수요원의 부족, 작업치료의 의료보험수가 청구의 문제 등을 지적할 수 있다.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한 개선 방안으로는 작업치료(학)과의 신설 및 증원에 있어 설치 기준안에 의한 승인, 작업치료실 개설 및 작업치료사의 고용 의무화, 작업치료사의 다양한 활로 개척, 작업치료 전공 교수의 체계적인 육성, 작업치료 의료수가 처방 권한의 확대와 다양한 치료수가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앞에서 제시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임상의 작업치료사와 학생, 교수 모두가 노력해야 하며 작업치료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작업치료에 대한 만족도, 기여도, 요구도 등의 기초 자료를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통계적인 자료를 제시하여야 한다. This article aims to point out the controversial issue of deteriorating quality of occupational therapy service due to oversupply of manpower an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raining the qualified future-oriented occupational therapists to deal with the rapidly changing healthcare delivery system. The majority of the Korean occupational therapy society is currently concerned about oversupply of manpower, shortage of qualified faculty, and underestimated occupational therapy service fee. In order to cope with this challenging situations, first, accreditation process for occupational therapy education program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the obligatory law for setting up occupational therapy clinics and employing occupational therapists should be enforced, third, various areas should be explored, fourth, establishment of master and doctoral programs in the field of occupational therapy, fifth, prescription for occupational therapy should be open to all physicians, sixth, occupational therapy areas that can be reimbursed should be extended. As an effort to make these happen, clinicians, students, and faculty members should be more proactive in promoting occupational therapy and should be focusing on research that investigates the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y. Through these efforts, the profession of occupational therapy in Korea will be strengthened by contributing to the unity of the professions in an activity directed at improving professional preparation and professional practice.

      • 서울지역 노인 주간보호시설의 작업치료 및 물리치료 현황조사

        신중일 ( Joong Il Shin ),양영애 ( Young Ae Yang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2009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서울 지역에 있는 주간보호시설의 작업치료와 물리치료의 현황을 비교해 봄으로써 주간 보호시설의 작업치료 현황을 제시하고자하며 차후 주간보호시설 작업치료의 제도적 장치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조사대상은 서울특별시 25개 구에 소재하고 있는 82개의 노인주간보호시설로 5월 18일부터 22일까지 작업치료와 물리치료 현황에 대해 전화 설문을 실시하였다. 주간보호시설이 복지관 부설기관인 경우 주간보호시설뿐만 아니라 복지관 소속의 작업치료사와 물리치료사도 포함하였으며, 작업치료와 물리치료 프로그램은 주간보호시설에서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 프로그램에 작업치료, 물리치료라고 정확하게 명시한 경우에만 인정하였다. 작업치료실과 물리치료실 개설에서는 작업치료실과 물리치료실이라고 명시하고 독립적인 공간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만 인정하였다. 응답한 내용은 기호화 과정을 거친 후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결과: 물리치료사는 36개(43.9%) 시설에 46명(56.1%)이 근무하고 있으며, 작업치료사는 3개(3.7%) 시설에 3명(3.7%)이 근무하고 있다. 물리치료실은 53개 시설에서 개설되어 64.6%였으며 작업치료실은 10개 시설에서 개설되어 12.2%를 나타내었다. 물리치료프로그램은 72개 시설에서 서비스를 제공하여 전체의 87.8%였으며 작업치료프로그램은 49개 시설에서 제공하여 59.8%를 나타내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현재 주간보호시설에서 작업치료가 물리치료에 비교하여 치료실 개설과 치료사 고용에 있어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주간보호시설 인력배치기준에서 작업치료실 개설과 작업치료사 고용 및 역할에 대한 제도적 근거가 필요하다. 또한 주간보호시설에서 작업치료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알리기 위한 자구적인 노력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Objective: This study intended to suggest that present status of occupational therapy in day care center for elderly by comparing the present status of occupational therapy and physical therapy on seoul.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develop the policies and system in day care center for the elderly.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from May 18th to May 22nd, 2009. Subjects were eighty-two day care center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by telephone survey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descriptive statistic.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 1) Although physical therapy room was established in 36 centers of 82 day care centers for the elderly, occupational therapy room was established in the 3 among 82 day care center for the elderly. 2) Physical therapists are employed 46 people, but occupational therapists are employed only 3 people. 3) Physical therapy program service provide in 53 place of 82 day care center for the elderly, but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service enforces in 49 place of 82 day care center for the elderly. Conclusion: The result indicated that 1) Employment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establishment of therapy room was lower than that of physical therapy. 2) They have need of system basis for occupational therapist employment and occupational therapy room so that these problems would be improved on placement human resource standards in day care center for the elderly. 3) We consider that day care center makes on effect to announce them necessity and feasibility of occupational therapy.

      • 디지털 치료제 현황분석과 디지털 작업치료 발전을 위한 함의

        김영근 ( Kim¸ Young-geun ) 대한인지재활학회 2021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10 No.2

        서론: 본 연구는 디지털 치료제가 도래한 사회에 작업치료의 선제적 대응을 위한 정책 방향 결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의 목적은 첫째, 디지털 치료제의 목적, 중재 원리, 대상군을 제시하고, 둘째, 디지털 치료제와 작업치료의 관련성을 분석하며, 셋째, 디지털 작업치료의 발전을 위한 작업치료사의 역할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론: 디지털 치료제는 고품질의 소프트웨어로 환자의 질병과 장애를 예방하고 치료하며 관리하는 것이 목적으로 작업치료의 중재접근방법과 유사하다. 디지털 치료제의 중재 원리는 인지행동치료, 신경 재활, 복약관리 및 조정, 습관훈련으로 작업치료 이론의 틀과 관련 있다. 디지털 치료제 대상 환자 역시 정신사회 질환자와 신경계 질환 등 작업치료 주요 환자군과 유사하다. 작업치료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디지털 치료제인 전산화 인지재활 시스템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의 디지털 기술과 융합하여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결론: 디지털 치료제는 21세기 미래 보건·의료산업을 이끌고 갈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작업치료는 변화를 수용하고 능동적인 태도로 대응하는 것이 변화하는 시대에 생존과 더불어 선도적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디지털 치료제 시대와 더불어 디지털 작업치료의 시대를 준비하는 것이 현명한 정책적 방향이라 판단한다. Introduction: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policy direction for a preemptive action to occupational therapy in a society where digital therapeutics has arrive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firstly to present the purpose, intervention principle, and target group of digital therapeutics, seco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therapeutics and occupational therapy, and third, to suggest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for the development of digital occupational therapy. Body: Digital therapeutics are high-quality software, similar to the interventional approach of occupational therapy, with the goal of preventing, treating, and managing patients’ diseases and disorders. The intervention principle of digital therapeutics is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neurorehabilitation, medication management and adjustment, and habit training, which are related to the framework of occupational therapy frames of reference. The patients subject to digital therapeutics are also similar to the main patient groups of occupational therapy such as psychosocial disorders and neurological diseases. The computerassisted cognitive rehabilitation system, which is a digital therapeutics used in occupational therapy sites, needs to be developed by fusion with digital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and cloud. Conclusion: Digital therapeutics is a new paradigm that will lead the future health and medical industry in the 21st century. Occupational therapy believes that accepting change and responding with an active attitude can lead to development along with survival in a changing era. It is judged that it is a wise policy direction to prepare for the era of digital occupational therapy along with the era of digital therapeutics.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통한 작업치료 키워드 분석

        조은주,감경윤 대한작업치료학회 2020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8 No.3

        목적 : 본 연구는 인터넷 주요 웹사이트의 작업치료에 대한 주요 키워드들의 관계파악을 통해 현재 국내 작업치료의 대중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서는 네이버, 다음, Google에서 제공하는 뉴스, 블로그, 카페, 지식인/다음팁에 산재 되어 있는 ‘작업치료’관련 텍스트들을 텍스톰(TEXTOM)을 활용하여 수집하였다. 수집기간은 2015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5년간으로 정하였다. 자료분석은 넷마이너(NetMiner) 프로그램의 의 미연결망(semantic network)분석을 사용하여 다빈도 상위 50개의 키워드에 대해 연결중심성과 매개중 심성, 동시출현 키워드분석, 하위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형태소는 명사로 한정하였다. 결과 : 키워드 빈도에서는 작업치료(14,624건), 치료(13,530건), 작업(7,470건), 병원(4,618), 작업치료 사(3,612건), 재활(3,193건), 재활치료(2,851건), 장애(2,512건), 프로그램(2,329건) 등의 순으로 나타 났다. 연결중심성 및 매개중심성에서는 작업치료, 치료, 작업, 작업치료, 재활, 프로그램, 병원, 센터, 장애 등이 상위 10위안에 포함되었다. 동시출현 키워드 분석에서는 작업치료-물리치료 짝이 997건으로 가장 많았고, 요양-병원(783건), 작업치료-언어치료(564건), 작업치료-프로그램(510건) 등이 그 뒤를 이었 다. 하위집단 분석에서는 ‘작업치료’, ‘재활’, ‘치료’ 등을 중심으로 키워드들이 응집되어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작업치료는 ‘병원’에서 ‘장애’를 입은 사람들에게 ‘재활’을 행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치매에 대한 작업치료의 역할이 기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타 재활영역과 밀접한 연관 성을 가지고 인식되고 있다는 것은 작업치료가 유관 재활영역과 유기적 관계 속에서 고유의 위상을 정 립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keywords related to occupational therapy on popular web sites of major portal sites.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most frequent keywords, we tried to describe the state and general awar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in Korea. Methods: For this purpose, news, blogs, cafes, and Jishik-in/Daum tips provided by Naver, Daum, and Google were selected as channels for analysis. The keyword to be extracted from texts in these channels was “occupational therapy.” The semantic network including degree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community, and co-current words were analyzed using the Netminer program (ver. 4). Only nouns were subjected to the analyses. Results: “Occupational therapy” (14,624), “therapy” (13,530), “occupation” (7,470), “hospital” (4,618), “occupational therapist” (3,612), and “rehabilitation” (3,193) were the top-5 frequently appearing keywords. There were similar results in the degree centrality and the betweenness centrality. Occupational therapy/physical therapy (997), convalescence/hospital (783), occupational therapy/speech therapy (564), and occupational therapy/program (510) were shown in most of the frequent co-current keywords. Seven groups were clustered in the community analysis.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occupational therapy is recognized as a “rehabilitation” for “disabled people” in “hospitals” in Korea, and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y for “dementia” is expected. The recognition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other rehabilitation areas suggests that occupational therapy needs to establish its status in the rehabilitation field.

      • KCI등재

        시운동기술에 관한 아동 작업치료의 체계적 고찰

        홍은경,김경미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10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8 No.1

        목적 : 체계적 고찰을 통해 시운동기술 평가를 위해 사용된 도구, 치료접근방법,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 아동의 시운동 기술에 가장 적합한 치료방법과 평가도구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 체계적 고찰을 사용하였다. 2001년 1월부터 2010년 6월까지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PubMed을 통하여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용어는 "visual motor and occupational therapy", "visuomotor and occupational therapy"," perception and motor and occupational therapy" 이었고, 161개의 논문 중 총 13개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1. 시운동기술 치료가 필요한 대상 진단군은 발달장애아동이 20.00%로 가장 많았고, 글씨쓰기에 문제가 있는 아동이 13.33%이었다. 결과 : 2. 시운동기술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평가도구는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DTVP)을 사용한 논문이 33.33%로 가장 많았고,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Motor Integration(VMI)을 사용한 논문이 26.67%이었다. 결과 : 3. 시운동기술과 관련하여 가장 많이 사용된 치료접근방법은 발달적 기술기반 프로그램으로 58.82%를 차지하였고, 감각통합과 감각기반 치료는 23.53%를 보였다. 결과 : 4. 시운동기술과 관련하여 작업치료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난 경우는 72.73%이었고, 유의하지 않는 경우가 9.09%이었다. 부모 직접적 또는 간접적 접근과 집중행동 치료에서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결론 : 아동 작업치료에서 시운동기술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 도구는 DTVP와 VMI가 60%를 차지하였고, 70%이상에서 치료에 대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작업수행과 관련된 영역에 대한 작업치료의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 로 보인다. Objective :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evaluation tools and intervention approaches that have been used regarding visual motor skills of children, in order to suggest the best evaluation method and intervention strategy. Methods : This study employed a systemic review. Papers researched for the review were selected from the PubMed which is a web engine to search academic articles. For search, time period of publication was limited from January 2001 to Jun 2010, and key words used were "visual motor and occupational therapy", "visuomotor and occupational therapy", and "perception and motor and occupational therapy". 13 papers among total 161 findings were selected for data analysis. Results : Through literature review, followings were founded. For population targeted in studies,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are majority(20.00%) and those with handwriting problems are another major group(13.33%). DTVP(33.33%) and VMI(26.67%) are most common tools used to evaluate visual motor skills. Most frequently used intervention method is developmental skill based program(58.82) and the second common method is sensory integration therapy and sensory-based intervention(23.53%).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for visual motor skill, positive evidences with statistical power take 72.73%. Conclusion : The results imply that occupational therapy is effective for visual motor skill in children. It is suggested that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ncompass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in terms of children’s occupational performance.

      • KCI등재

        작업과학(Occupational Science)에 대한 이해

        강대혁 대한작업치료학회 2000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8 No.1

        Occupational science, stemmed from occupational therapy, is a new basic social science defined as the systematic study of the human as an occupational being. Mary Reilly argued that occupational therapy profession should reorganize its academic structure of knowledge by embracing traditional emphasis on occupation. Supporting Reilly’s view, Elizabeth J. Yerxa and her colleagues developed a doctoral program in occupational science with suggestions that the basic science (occupational science) of occupation should focus on the explanation of occupation, whereas the applied science (occupational therapy) should emphasize advancing knowledge on the use of occupation in treatment. The priority of occupational science is to promote theories about the form, function, and meaning as well as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occupation so that the profession of occupational therapy can be nourished. The major contribution of occupational science to occupational therapy will be providing a body of knowledge sharply focused on the concept of occupation which will help in justification and enhancement of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 KCI등재후보

        국내 정신과 작업치료의 현황 조사연구

        이주언,강대혁,박소연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 2011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지 Vol.1 No.1

        본 연구는 정신보건영역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의 정신과 재활서비스 현황을 파악하여 향후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해 제언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대한작업치료사협회에 등록된 협회원의 정보와 연쇄소개추출법(snowball sampling)을 통해 얻은 정보를 취합하여 선정하였으며, 주로 성인을 대상으로 치료하는 정신과 작업치료사 13명 중 11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일반적인 특성과 근무 기관의 환경, 재활 서비스, 평가방법, 정신과 작업치료의 발전방향과 전망으로 구성되었다. 전국적으로 정신과 작업치료사가 근무하는 기관의 수는 본 연구자의 근무지를 포함하여 총 12개였으며, 근무기관의 형태로는 전문정신병원, 종합병원, 정신보건센터, 사회복귀시설, 치료감호소 등으로 다양하였다. 연구자가 근무하는 기관을 제외 한 11개 기관 중 5기관에서 임상실습교육을 시행하고 있었으며, 작업치료사들은 다양한 재활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정신과 작업치료의 전망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나 인력부족과 작업치료 평가도구의 제한적 사용,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부족은 앞으로 개선해야 할 점으로 지적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정신과 재활서비스의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하고 작업치료사의 전문적인 역할을 모색해 보았으며, 이를 통해 정신과 작업치료의 발전을 촉진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condition of rehabilitation service in mental health where occupational therapists work and suggested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future. Th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the database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utilized snowball sampling. Thirteen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with adult clients were identified and eleven therapis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survey was composed of demographic information, work environment, rehabilitation services, evaluation methods, and personal view on the future of psychiatric occupational therapy. There were 12 institutions(including the researcher’s working site) nationwide where psychiatric occupational therapists were working. The settings varied as mental hospital, general hospital,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halfway house, and forensic service. Five out of eleven institutions excluding the researcher’s working site were accepting students for fieldwork education. Psychiatric occupational therapists were providing various rehabilitation services. Although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optimistic about the growth of occupational therapy in mental health they were concerned about lack of manpower, limited use of occupational therapy evaluation tools, and lack of awareness on occupational therapy. This study examined the overall situation of rehabilitation service in mental health and suggested professional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tilized in facilitating the growth of psychiatric occupational 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