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mprovement of Properties of Silica-Filled SBR Compounds Using NBR : Influence of Separate Load of SBR and NBR SBR과 NBR의 분리 첨가 배합의 영향

        Kim, Beom Tae,Choi, Sung Seen 한국고무학회 2005 엘라스토머 및 콤포지트 Vol.40 No.1

        배합 조건과 공정은 충진제 분산, 점도, 결합고무 형성 등과 같은 고무 배합물의 특성에 영향을 준다. NBR과 SBR의 분리 첨가 배합이 NBR이 함유된 실리카로 보강된 고무 배합물의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NBR 함량이 증가할수록 가교 시간과 속도는 빨라졌다. 가교밀도는 NBR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결합고무량도 NBR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결합 고무 중의 NBR 함량은 배합물 고무 중의 NBR 함량보다 높았다 결합고무량은 동시첨가 배합의 경우보다 분리 첨가 배합의 경우 더 높았다. 가교 시간과 속도는 동시 첨가 배합의경우보다 분리 첨가 배합때 더 느렸다 가교밀도도 동시 첨가 배합의 경우보다 분리 첨가 배합의 경우 더 낮았다. Mixing condition and procedure affect properties of a filled rubber compound such as filler dispersion, viscosity, and bound rubber formation. Influence of separate load of styrene-butadiene rubber (SBR) and 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NBR) on properties of silica-filled SBR compounds containing NBR was studied. Cure time and cure rate became faster as NBR content increased. The crosslink density increased with increase in the NBR content. The bound rubber content also increased as the NBR content increased. NBR content of the bound rubbe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mpounded rubber. The bound rubber content was higher when SBR and NBR were loaded separately than when loading simultaneously. The cure time and cure rate were slower for the separate load than for the simultaneous one. The crosslink density was also lower for the former case than for the latter one.

      • KCI등재

        Thermal Aging Behavior of H-NBR/NBR Blend

        최원석,김건완,도제성,유명우,류승훈,Choi, Won-Seok,Kim, Gun-Wan,Do, Je-Sung,Yoo, Myung-Ho,Ryu, Sung-Hun The Rubber Society of Korea 2011 엘라스토머 및 콤포지트 Vol. No.

        본 연구는 H-NBR 함량 변화에 따른 H-NBR/NBR 블렌드의 열노화 거동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 때 가교제로는 dicumyl peroxide와 황 혼합물을 사용하였으며, 열노화에 따른 H-NBR/NBR 블렌드의 인장강도, 파괴신율, 경도 그리고 내마모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H-NBR을 첨가함에 따라 인장강도는 증가하였으나 내마모성은 감소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파괴신율과 경도는 H-NBR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노화가 진행된 모든 시편은 초기 시편보다 낮은 인장강도, 파괴신율, 경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H-NBR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물성저하 속도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즉 H-NBR 첨가에의해 열노화 특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모든 NBR/H-NBR 블렌드는 노화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내마모성이 감소하였으며, H-NBR을 첨가한 경우 내마모성의 저하가 상대적으로 낮음을 알 수 있었다. In the present investigation, thermal aging behavior of H-NBR/NBR blend with various H-NBR content was investigated. Mixture of dicumyl peroxide and sulfur were used as a curing agent. The influence of the thermal aging of the H-NBR/NBR blends on the solid state properties such as tensile strength, elongation at break, hardness and abrasion resistance was investigated. Tensile strength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H-NBR content, while abrasion resistance was decreased. Both elongation at break and hardness were not affected by the addition of H-NBR. The properties such as hardness,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at break of the aged samples were lower than unaged samples. However, the rate of deterioration of those properties was decreased by increasing the H-NBR content, which indicated that improved thermal aging behavior was obtained by the addition of H-NBR. Abrasion loss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aging time, but it became less by the addition of H-NBR addition.

      • KCI등재

        H-NBR/NBR 블렌드의 열노화거동

        류승훈 ( Sung Hun Ryu ),최원석 ( Won Seok Choi ),김건완 ( Gun Wan Kim ),도제성 ( Je Sung Do ),유명우 ( Myung Ho Yoo ) 한국고무학회 2011 엘라스토머 및 콤포지트 Vol.46 No.2

        In the present investigation, thermal aging behavior of H-NBR/NBR blend with various H-NBR content was investigated. Mixture of dicumyl peroxide and sulfur were used as a curing agent. The influence of the thermal aging of the H-NBR/NBR blends on the solid state properties such as tensile strength, elongation at break, hardness and abrasion resistance was investigated. Tensile strength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H-NBR content, while abrasion resistance was decreased. Both elongation at break and hardness were not affected by the addition of H-NBR. The properties such as hardness,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at break of the aged samples were lower than unaged samples. However, the rate of deterioration of those properties was decreased by increasing the H-NBR content, which indicated that improved thermal aging behavior was obtained by the addition of H-NBR. Abrasion loss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aging time, but it became less by the addition of H-NBR addition. 본 연구는 H-NBR 함량 변화에 따른 H-NBR/NBR 블렌드의 열노화 거동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 때 가교제로는 dicumyl peroxide와 황 혼합물을 사용하였으며, 열노화에 따른 H-NBR/NBR 블렌드의 인장강도, 파괴신율, 경도 그리고 내마모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H-NBR을 첨가함에 따라 인장강도는 증가하였으나 내마모성은 감소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파괴신율과 경도는 H-NBR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노화가 진행된 모든 시편은 초기 시편보다 낮은 인장강도, 파괴신율, 경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H-NBR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물성저하 속도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즉 H-NBR 첨가에의해 열노화 특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모든 NBR/H-NBR 블렌드는 노화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내마모성이 감소하였으며, H-NBR을 첨가한 경우 내마모성의 저하가 상대적으로 낮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NBR-Clay 하이브리드 막의 제조 및 물성

        남상용,김영진 한국막학회 2004 멤브레인 Vol.14 No.2

        본 연구에서는 NBR과 여러 가지의 유기화물로 처리된 MMT type의 clay를 이용하여 NBR-Clay 하이브리드 막을 용융삽입법으로 제조하였다. Internal mixer를 사용하여 clay를 NBR에 분산시켰으며, 제조된 NBR-Clay 하이브리드에서 clay의 특성피크가 다소 감소하거나 이동하는 XRD 결과로부터 clay의 층간거리가 넓어지는 고분자의 clay층간삽입을 확인하였다. Clay의 종류에 따라서 제조된 NBR-Clay 하이브리드 막의 가스투과도, 기계적 물성 및 열적 성질을 측정하였다. NBR-Clay 하이브리드 막은 clay 자체의 도입과 층간거리의 확대로 기체분자의 tortuosity를 증가시켜서 가스투과도를 저하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NBR-Clay hybrid membranes were prepared by melt intercalation method with internal mixer and two roll mills. MMT was intercalated or ekfoliated by the NBR and it was confirmed by X-ray diffraction method. D-spacing of the characteristic peak from MMT plate in WAXD was moved and diminished. Gas permeability, mechanical properties and thermal properties of the NBR-Clay hybrid membranes were investigated. Gas permeability through the NBR-Clay hybrid membranes decreased due to increased tortuosity made by intercalation of clay in NBR.

      • Effect of improving interfacial bonding strength of carbon fibers and NBR on the residual stress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carbon fibers/NBR composites

        길다림,최웅기,박길영,하민철,이진혁,이해성,박승일 한국공업화학회 2016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6 No.0

        In this study, the introduction of the silane on the carbon fiber surfaces was performed for improving interfacial adhesions between the carbon fibers and the polar NBR.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silane-treated carbon fibers were observed through SEM, and the changes of functional groups and elemental composition ratio on the fiber surfaces were examined using FT-IR and XP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interfacial bonding force between the carbon fibers and the NBR was confirmed by the theoretical work of adhesion which was calculated by the polar and the non-polar components of the carbon fiber and NBR. And, the effects of interfacial bonding strength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the residual stress of carbon fibers/NBR composites were investigated as compared to the analytic result value.

      • KCI등재

        QuickBird 화상을 이용한 산불 삼림교란도 작성

        김천 ( Choen Kim ) 大韓遠隔探査學會 2009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25 No.1

        본 논문은 중적외선 밴드가 없는 고해상도 QuickBird 화상을 이용하여 옥계 산불피해지의 삼림교란 지도화에 관한 연구이다. Landsat ETM+ △NBR에 기초한 QuickBird NBR을 통해 산불피해등급도 보다 발전된 산불후 삼림교란도를 작성하였다. 무엇보다 QuickBird 수분지수와 Landsat ETM+ 7(중적외선)밴드 간의 상관계수에 QuickBird 수분지수를 곱한 치환수치로 생성되는 MIR모의밴드를 통해 산불피해 등급도와 산불후 삼림교란도가 제작된다. QuickBird NBR기반의 산불후 삼림교란도는 Landsat ETM+ △NBR기반의 산불피해등급도와의 비교 정확도 평가에서 본질적 확실의 높은 일치성(KHAT값=0.7886)을 갖고 있어, 산불피해지의 자연복원 나아가 삼림벌채로 야기된 삼림교란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This paper presents the capability to use QuickBird imagery for effects of forest disturbance in Okgye burned area. Particular attention of this paper deals with the NBR-derived mapping burn severity on QuickBird imagery to locate reliable rehabilitation(namely, secondary succession) over postfire surface. Comparisons of the mapping forest disturbance derived from QuickBird NBR data and the mapping burn severity derived from Landsat △NBR data show substantial agreement (KHAT value=0.7886). The method calculated from the correlation between QuickBird wetness and Landsat ETM+ band7 may have application to forest harvest disturbance.

      • KCI등재

        Oleamide 및 아라미드 칩을 첨가한 NBR 고무재료의 내소음성 및 물성 연구

        김현묵 ( Hyun Muk Kim ),이창섭 ( Chang Seop Lee ) 한국고무학회 2006 엘라스토머 및 콤포지트 Vol.41 No.2

        내소음성과 내균열성을 가진 고무재료의 개발을 목적으로 NBR에 oleamide와 아라미드를 첨가하여 함량에 따른 가황특성, 물리적 성질, 내열성, 내유성, 내마모성, 내균열성 및 내소 음성을 조사하였다. 가황특성과 Mooney 점도를 측정한 결과, 미가황고무의 가황특성은 oleamide의 양이 증가할수록 torque가 감소하였다. oleamide의 함량이 3 phr까지 증가함에 따라 경도 및 모듈러스 값은 조금씩 감소하였고 신장률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인장강도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내열성 시험(70시간, 120℃) 및 내유성 시험(70시간, 40℃)을 수행한 결과, 인장강도와 신장률이 모두 감소하였으며, TGA/DSC 분석 결과 첨가제에 따른 배합고무재료의 열적 특성은 변화가 없었다. 기본물성, 내마모성, 내소음성 및 내균열성을 종합한 결과, NBR 22700l 고무재료에서 내마모성과 내소음성에 대한 oleamide의 최적배합비는 3 phr였으며, 내균열성에 대한 아라미드의 최적배합비는 l phr로 나타났다. This study are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rubber material with noise and crack resistance. Cure characteristics, physical properties, thermal resistance, fuel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crack resistance and noise resistance of NBR compounds with the various amounts of oleamide and aramid chip were investigated. From the measurements of cure characteristics and Mooney viscosities, cure characteristics of uncured rubber showed that a torque was decreased as the amount of oleamide increased. Hardness, modulus and elongation of rubber specimens tended to be reduced gradually, however, tensile strength remained unchanged as the amount of the oleamide increased. As a testing results of heat resistance for 70 hours at 120°C and oil resistance for 70 hours at 40°C,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were all reduced. From the TGA/DSC analysis, there was no such a change observed in thermal characteristics of rubber materials. As a result of testing basic physical properties, abrasion resistance, noise resistance and crack resistance, the optimum ratio of oleamide to NBR was found to be 3 phr, while that of aramid to NBR 227001 was 1 phr.

      • KCI등재

        A Study on Property Change with Mixing Ratio in NBR/PVC Composites

        ( Xiang Xu Li ),( Hyung Seok Jeong ),( Ur Ryong Cho ) 한국고무학회 2018 엘라스토머 및 콤포지트 Vol.53 No.2

        10, 20, 30, and 40% of polyvinyl chloride (PVC) were added to nitrile butadiene rubber (NBR) to modify the latter. The NBR/PVC composites containing pure NBR were synthesized to investigate properties, such as crosslinking density, hardness, tensile strength, abrasion resistance, heat resistance, solvent resistance, and filler dispersion. The experimental result revealed a decrease in crosslinking density and heat resistance with increase in the PVC content. In contrast, addition of PVC to NBR resulted in enhancement of hardness, tensile strength, solvent resistance, and filler dispersion.

      • KCI등재

        인/질소계 난연제를 포함한 난연 NBR발포체의 제조 및 특성

        문성철 ( Sung Chul Moon ),최재곤 ( Jae Kon Choi ),조병욱 ( Byung Wook Jo ) 한국고무학회 2004 엘라스토머 및 콤포지트 Vol.39 No.2

        본 연구에서는 금속수산화물과 다양한 인계 난연제를 포함한 난연 ac템nitrile-butadienerubber (NBR) 발포체를 제조하고, 이때 인 함유량에 따른 열적특성, 난연특성, 발포특성 등의 변화 및 이들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NBR 발포체의 발포특성 및 모폴로지 분석 결과 인/질소계 난연제 10 빈r 범위 내에서 대체적으로 인/질소계 난연제를 투입하지 않은 금속수산화물만을 사용한 경우와 유사한 발포특성 및 모폴로지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열 분석에서는 인 함유량이 많은 인/질소계 난연제를 사용할 경우 화염분위기 하에서의 char 형성과 관련한 잔류량이 많아짐으로써 난연성이 향상됨을, LOI 분석에서도 인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LOI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cone-calorimeter 분석 결과 열 및 LOI 분석 결과와 유사한 경향성을, 인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HRR. THR, EHC 둥이 감소하는 반면에 COY는 증가함을, 즉 난연성이 상승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기밀도 분석 결과 cone-calorimeter 분석에서의 (A)-COY와 같은 경향성을 보여주었다. The flame retarded NBR foams were prepared with metal hydroxides and various phosphorus/nitrogen-containing flame retardants. The dependency of the phosphorus content on thermal properties, flame retardancy, smoke density, and foaming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in the foams. Foaming properties and morphology of the flame retarded NBR foams with P/N flame retardants(≤ 10 phr)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foams without P/N ones but containing metal hydroxides The flame retardancy of the foams was improved with increasing the phosphorus content and char formation under combustion atmosphere. The cone-calorimeter test and LOI index were also coincided with the TGA analysis quite well. The heat release rate (HRR), total heat release (THR), and effective heat of combustion (EHC) were decreased, whereas the carbon monoxide yield was increased with increase of the phosphorus content of P/N flame retardant. The smoke density values were closely related with CO yield values obtained by the cone-calorimeter test due to the high and hard char formation.

      • KCI등재

        니트릴고무/타이어고무분말(GTR)을 이용한 발포체의 발포 및 난연 특성에 관한 연구

        문성철 ( Sung Chul Moon ),최재곤 ( Jae Kon Choi ),조병욱 ( Byung Wook Jo ) 한국고무학회 2002 엘라스토머 및 콤포지트 Vol.37 No.3

        본 연구에서는 acrylonitrile-butadiene rubber(NBR)/타이어고무분말(Ground Tire Rubber, GTR) 블렌드계의 발포체를 제조하고, 이들의 난연성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그 결과 난연제 중 유기인 화합물 및 무기금속 수산화물의 함량 증가에 따라 난연성이 증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기인 화합물의 경우 함량 증가에 따라 한계산소지수(LOI)가 증가하고, 열 방출 속도(HRR) 및 유효 연소열(EHC)이 감소하는 반면에 CO 방출률(량) 및 연기밀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기금속 수산화물은 함량 증가에 따라 난연효과뿐 만 아니라 연기발생 억제효과를 동시에 가짐으로써 LOI, HRR, EHC가 유기인 화합물 첨가에서와 같은 경향성을 보여주었지만 CO 방출률(량) 및 연기밀도에 있어서는 유기인 화합물 첨가에서와 상이하게 감소하였다. 그리고 난연성을 판단함에 있어 중요한 변수들인 열 방출속도, 유효 연소열, 무게감소, 한계산소지수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는데, A-HRR과 LOI가 증가함에 따라 질량손실이 각각 증가 혹은 감소하는 뚜렷한 경향성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NBR/GTR의 조성비가 100~80/0~20 wt.%이고 고무/난연제의 조성비가 1/1.55~3.60 wt.%일 때, 원활한 핵의 생성 및 cell의 성장으로 인해 균일한 closed cell 및 semi-closed cell을 보여주었다. 또한 225~250 %의 발포율을 보이며, 낮은 HRR과 높은 LOI(28.0~39.3)를 갖는 난연성 및 발포성이 우수한 발포체를 얻을 수 있었다. The improvement of flame retardancy of the foams based on NBR/GTR compounds was conducted by formulating various materials i.e. NBR, GTR, inorganic and phosphorus containing flame retardants, foaming agent, cross-linking agent and activator. The foaming properties, morphology, smoke density and flame retardancy of the specimens were investigated using SEM, LOI tester, smoke density control system and cone calorimeter. The phosphorus containing flame retardant reduces heat release rate, increases the limiting oxygen index and a char formation. The inorganic flame increases the limiting oxygen index and reduces heat release rate with an increased CO yield by char formation, and smoke suppressing effect. The formed char seemed to intercept the oxygen transport and heat transfer into the core area. When the composition ratios of the compounds of NBR/GTR were 100~80/0~20 wt.%, and the ratios of the rubbers/flame retardants were 1/1.55~3.60 wt,%, we could developed foams with low heat release rate, high limiting oxygen index(28.0~39.3), closed or semi-closed cell of uniformity and reasonable expandability(225~250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