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문위행(問慰行)의 사행 활동 실태

        윤유숙(Yoon, Yu-Sook) 한일관계사학회 2017 한일관계사연구 Vol.58 No.-

        조선후기 문위행은 조선이 쓰시마번의 소씨(宗氏)에게 파견한 외교사절로, 왜학역관을 정사로 하여 구성되며 역관사(譯官使) 또는 도해역관사(渡海譯官使)라는 명칭으로도 불린다. 임무는 쓰시마 번주의 慶弔事와 쇼군 가문의 경조사 문위, 번주 소씨가 산킨코타이(參勤交代)를 하고 에도에서 쓰시마로 귀환한 것에 대한 축하, 등이다. 이 연구에서는 문위행관련 기록류를 검토하여, 그들이 실제로 쓰시마에서 행한 활동을 ‘국제정세에 관한 정보교환’과 ‘사행원과 쓰시마번의 경제활동(쓰시마번의 경제원조 · 각종 불법행위)’의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쓰시마번이 가장 관심을 기울인 국제정세 정보는 주로 조선을 비롯한 대륙의 동향이었다. 정묘호란(1627)과 병자호란(1636) 이후 막부는 명을 포함한 대륙 정세에 관한 정보수집에 촉각을 세웠다. 후금이 1636년 국호를 ‘대청국(大淸國)’으로 바꾸고 조선을 침략한 이상, 그 여세를 몰아 인근국가인 일본을 침범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현실적인 우려에서였다. 쓰시마번은 호란 이후에도 수십 년간 조선과 청과의 관계, 대륙의 반청(反淸) 세력의 군사적인 동향에 관해 문위행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정보를 모아 막부에 제출했고, 문위행 역시 일본의 국내 정세에 관한 정보를 입수하여 조정에 전달하였다. 문위행과 쓰시마번의 경제활동 측면에서 두드러진 현상은 쓰시마번이 도해역관들에게 공식적인 예단 외에 다수의 비공식적인 금품을 건넨 사례가 확인된다는 점이다. 이는 대조선 통교를 자번의 입장에 유리하게 이끌어가는 데 ‘영향력 있는’ 고위 역관들의 협조를 동원하기 위한 방편이었을 것이다. ‘역관에 대한 쓰시마번의 경제원조’에 관해서는, 소통사(小通事)에 대한 원조가 1680년대 말부터 산발적으로 행해졌다는 사실이 기존의 연구를 통해 소개된 바 있다. 본고는 도해역관들에 대한 쓰시마번의 금품 지급이 이미 17세기 전반부터 관례처럼 행해지고 있었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문위행에는 불법적인 경제활동으로 밀무역(잠상)이 수반되었다. 쓰시마에 도착한 후 사행단 일원의 화물에서 불법적인 물품이 발견되거나 쓰시마 현지인과 매매한 사실이 발각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했다. 밀무역 단속 강화를 조선의 역관에게 요청하는 것만으로는 실효를 거두기 어렵다고 판단한 쓰시마번은 쓰시마 측이 주도하여 적재화물을 조사하려 했지만, 그러한 시도는 매번 역관들의 반대에 부딪쳐 성사되지 못했다. 문위행이 귀국한 후 하급 사행원이 쓰시마에서 저지른 소소한 불법행위들이 보고되는 일은 매우 드물었으며, 도해역관이 개입된 밀매는 더더욱 비밀에 붙여졌다. 문위행은 ‘쇼군 습직 축하’라는 역할 만을 수행하지 못했을 뿐, 18세기 이후에는 ‘쇼군 가문에 대한 사절’로서의 성격을 겸비하고 있었다. 그런만큼 막부는 문위행 접대를 이유로 한 쓰시마번의 경비 지원요청에 응했고, 사행 시 소씨 앞으로 조선이 발급한 외교문서도 막부에 보고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문위행을 통신사와 대비하여 조선이 소씨라는 ‘일개 지방 다이묘에게 파견한 사절’로 국한시키는 평가는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문위행은 그 행선지가 에도가 아닌 쓰시마 후추였다는 점, 정사(正使)가 고위 文官이 아닌 왜학역관이라는 점 등으로 인해, 통신사와 달리 ‘도해역관과 쓰시마번’ 간에 다양한 형태의 협조, 지원, 관행, 불법에 대한 묵인 등이 교묘하게 개입된 사행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문위행은 조선 조정이 파견한 사행이면서도 ‘조정’이 아닌 ‘도해역관’ 차원에서 많은 사안들이 종결되어 버리는 특수성을 내포하고 있었다. 문위행은 ‘쇼군 가문을 상대로 한 조선의 사절’이라는 양국 정부 차원의 성격과, ‘도해역관과 쓰시마번’ 차원에서 형성된 관행적인 성격을 동시에 지니고 있었던 것이다. "Munwihaeng" (問慰行) refers to envoys in late Joseon who were dispatched to the Tsushima government on missions that were headed by Joseon interpreters of the Japanese language. For about ten years during the 1990s, many studies were published on the origin and makeup of the munwihaeng and negotiations in which the munwihaeng had been involved. However, research over the next ten years remained stagnant and showed no further progress. The failure to suggest new points of discussion as follow-ups to the basic research that was previously conducted can largely be attributed to not making more active use of historical sources that contain records of each mission in which the munwihaeng participated. Records left by the So descent group are the only remaining sources that offer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reality of the munwihaeng, such as details regarding their customary practices or negotiations and the activities in which they were involved in Tsushima. Yet, studies based upon analyzing those records in depth have only again begun to appear since 2010. This study is therefore based on an analysis of records the So descent group kept regarding the munwihaeng, and is aimed at identifying the reality of the munwihaeng"s involvement in the exchange of information on international affairs and economic activities (including the So descent group"s economic aid and all forms of illegal activities). Since the eighteenth century, munwihaeng were sent on "missions related to the shogun"s family occasions." As such, the Edo bakufu would cover the cost of accommodating munwihaeng on behalf of the So descent group and reports would be sent to the Edo bakufu regarding diplomatic documents issued by the Joseon government that envoys brought along with them to Tsushima. This gives reason to reconsider the presumption that, compared to the larger, formal diplomatic delegations called Tongshinsa (通信使), munwihaeng had been sent on missions to the So descent group of Tsushima domain, whose leader was a low-ranking daimyo in Japan. What does set munwihaeng apart from Tongsinsa are the facts that the destination of the munwihaeng had been Fuchu (府中) in Tsushima instead of Edo, that missions were led not by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but by Japanese language interpreters, and that such missions subtly entailed various forms of cooperation, support, customary practices, collusion, and condoning of illegalities between Joseon interpreters and the So descent group. In that sense, although munwihaeng envoys were sent on missions by the Joseon government, they were unique in that many matters were settled at the discretion of interpreters instead of the government. Therefore, munwihaeng possessed a dual nature of being sent by the Joseon government on missions related to the shogun"s family occasions and, at the same time, dealing with matters in a customary, closed manner between Joseon interpreters and the So descent group in Tsushima.

      • KCI등재

        『海行記』를 통해서 본 1734년 문위행

        유채연(Yu, Chae-Yeon) 한일관계사학회 2017 한일관계사연구 Vol.58 No.-

        본고에서 역관 김홍조가 작성한 『해행기』를 통해 1734년 문위행의 활동에 대해 살펴보았다. 『해행기』는 조선후기 문위행과 관련하여 유일하게 알려진 사행록으로, 17세기 후반부터 중인계층의 문학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이 시기 사행문학의 저자가 다양해지는 가운데 나온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해행기』에서 김홍조는 자신이 맡은 소임 안에서 사행 경험을 충실하게 그려냈다. 그러나 실무자 사이에서 오고갔을 현안 협의와 같은 내용에 접근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해행기』를 통해 문위관의 다양한 활동 등 사행의 실제적인 모습을 복원하면서 이들의 일본인식에 접근할 수 있다. 1734년 문위행도 대마도주의 승습을 축하하고, 江戶에서 還島한 일을 위문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동시에 도주 교체에 따른 圖書와 兒名圖書를 환수하는 일도 임무였다. 김홍조는 1732년에는 숙부 김현문을 보좌하여 초량에 있는 동안 왜관의 업무 경험을 익히고 대조선 외교업무를 담당하는 사람들을 만날 기회가 많았다. 이러한 경험으로 김홍조는 김현문을 배종하여 사행에 참여하게 되었다. 1734년 문위행은 대마도에 도착한 이후 신 · 구 도주의 교체와 還島문위에 따른 공식적 의례 행사에 참석하였다. 이러한 의례절차는 조선조정이 대마도주를 위무하고 축하하는 뜻을 전달하는 상징적인 과정이었으며, 공식적으로 새로운 대마도주를 對조선외교 전담자로 인정하는 방식이었다. 한편 문위행이 신도주의 아명도서를 환수하는 과정에서 대마도는 지속적으로 아명도서 반납을 되도록 늦추려고 시도하였다. 이에 문위관 김현문과 박춘서는 담당 봉행을 설득하여 마침내 도주의 허락을 받아 아명도서를 포함하여 3개의 도서를 받아오는데 성공하였다. 이러한 도서 환수과정은 동래부에서 이미 협의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실제 대마도에서 진행되는 상황은 다르게 전개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문위행이 대마도의 외교업무 관계자를 비롯하여 결정권자와 직 · 간접적으로 대면하면서 교섭으로 이끌어낼 수 있는 통로가 되었음을 잘 보여준다. 『해행기』에서 김홍조는 사행단이 머물고 있는 관소를 오고가는 사람들에 대해 기록하였다. 대부분 단발적인 재회에 불과했으나, 아메노모리 호슈[雨森芳洲] 일가와 자주 접촉하였다. 여기에는 조선 역관이 조일 양국의 의사소통에 영향력이 있는 존재라는 인식이 작용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한편 김홍조는 의술을 조금 익히고 있어 대마도에서 요청을 받고 진료방문을 나갔다. 이러한 응대는 사행의 원만한 업무수행과 더불어 대마도내의 주요 인물들과 친분관계를 맺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Munwihaeng"s activities which were recorded by Kim Hong-jo in Haehaenggi. The Haehaenggi was the only record of the diplomatic trip that described Munwihaeng activiti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the writing activity of jungin men increased after the late seventeenth century, the records of diplomatic visits abroad also increased and showed various points of view. In Haehaenggi, the author, Kim Hong-jo, dutifully recorded all of the diplomatic activities while conducting his own duties. Unfortunately, the information about each diplomatic activity in detail was limited. However, the Munwigwan"s concept regarding Japanese could be reconstructed with the detailed diplomatic activities described in Haehaenggi. The Munwihaeng sent in 1734 was undertaken in order to congratulate the new governor of Tsushima upon his appointment and to comfort him upon his return to Tsushima from Edo. At the same time, the diplomatic trip was necessary in order to return the doseo seal (圖書) and the Amyeong doseo seal (兒名圖書) due to the replacement of the Tsushima governor. Kim Hong-jo had rich experience working in the Waegwan in Choryang (草梁) and in encountering Japanese diplomats working in Choson while he supported Kim Hyun-mun, his uncle, in 1732. Based on these experiences, Kim Hong-jo was accompanying Kim Hyun-mun for this diplomatic trip. In the 1734 Munwihaeng, the participants attended the official ceremony for the replacement of the Tsushima governor. This was a diplomatic activity for comforting and for congratulating the governor upon his inauguration as well as admitting the Tsushima governor as an official representative for diplomatic activity with the Joseon dynasty. The Tsushima officials were continuously intended to work for the redemption of the Munwikwan"s Amyoung doseo seal. Finally, the Munwikwan officials Kim Hyun-mun and Park Chun-seo successfully redeemed three Doseo seals, including the Amyoung Doseo seal, by persuading the responsible Bonghaeng (奉行). Even though these procedures were previously agreed upon in Dongrae, the actual procedures could differ from the agreement. Therefore, the Munwihaeng was the diplomatic officer for reaching an agreement with the Japanese diplomatic officer and diplomatic arbiter in Tsushima through diplomatic meetings in direct and indirect ways.

      • KCI등재

        1747년(英祖23) 問慰行을 맞이한 對馬藩의 동향

        다사카마사노리 ( Tasaka Masanori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7 비교문화연구 Vol.47 No.-

        본고는 1747년(영조 23ㆍ연향 4)에 대마번에 파견된 제 38차 문위행에 관하여 대마번이 수행해야 할 임무가 무엇이었으며, 임무 수행까지의 과정과 그 결과에 관하여 고찰한다. 이 문위행은 德川吉宗의 퇴휴 및 번주의 귀환을 축하하는 목적으로 파견되었으나 동시에 다가올 통신사 내빙 협의도 수행한 사절이었다. 1745년 후반에 吉宗 퇴휴한 후에 家重가 관백직을 승습하였다. 이에 따라 1746년에 에도막부는 대마번에 통신사 내빙 추진 명령을 내린다. 에도 도착이 2년 뒤 4~5월에 이루어지도록 하라는 것이다. 통신사 내빙까지는 많은 절차가 필요하였다. 또한 조선은 일본과의 교류에 있어서 선례를 따를 것을 원칙으로 고집하였다. 그런데 이번 관백 승습이 구 관백의 퇴휴로 이루어졌는데 근래 100년은 구 관백의 훙거로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구 관백에 대한 서계나 예단을 보낸 선례가 될 만한 기록물이 없어, 조선은 일본의 요구에 수월하게 대응하지 못하였다. 막부의 위신을 세우며 막부로부터 인정받아야 하는 대마번이 전개하는 조선과의 협상과정을 고찰한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tasks to be carried out by Tsushima clan who invited the envoy -the 38th Munwihaeng- from Korea in 1747, and the process and results. This envoy sent out for the purpose of congratulating Tokugawa, Yoshimune`s retirement and Tsushima lord`s return home, and also negotiate about Korean Diplomatic Envoys to Japan coming in the future. In late 1745, Yoshimune retired, and Ieshige inherited the position of Shogun. Then in 1746 the Edo Shogunate ordered the Tsushima clan to invite the Korean Diplomatic Envoy to Edo between April and May two years after. To the Korean Diplomatic Envoy`s invitation, many stages were necessary. In additon, Korea insisted on following the precedent in exchange with Japan. This time, throne of this new Shogun occurred due to retirement of the former Shogun. In the last 100 years, the history that the former Shogun died and the new Shogun reigned continued. For that reason, Korea had no record of sending letters and gifts to the old Shogun who retired. Because there was no precedent, Korea was unable to smoothly respond to Japan`s request. This paper considers the negotiation process with Korea and the Tsushima clan, makes a prestige of the shogunate, in order to be recognized from the shogunate.

      • KCI등재

        17세기 중반 問慰行을 통해 본 대일외교의 내용과 성격 - 1640․1651년 문위행을 중심으로 -

        이상규 조선시대사학회 2015 朝鮮時代史學報 Vol.75 No.-

        The Munwihaeng was sent to console the return of the Lord of Tsushima and congratulate on birth of a son of the Lord. The party of Tsushima pressed the Munwiyokgwan(問慰譯官) for omission of the statement to congratulate the birth of the son in the document(書契) of the Yaejoe(禮曹) but the Munwiyokgwan serenely explained the situation and their appeal was relieved. After diplomatic ceremony, both parties made their requests. The party of Tsushima wanted to purchase drugs that are interested by Dokukawa Bakuhu, requested to restore the suspended voyage of private ships, asked to elevate diplomatic level, and requested to move Waegwan(倭館) to Busancastle. The Munwiyokgwan explained or postponed answers to their requests but wanted Tsushima to mediate purchase of military materials and asked to relive the complaint on congestion of cotton. In the talk between the Lord faced the Munwiyokgwan, the Lord asked about the status of Joseon pressed by Qing Dynasty and, asserting that they might give external support, asked movement of Waegwan again. The Munwiyokgwan tried not to make any diplomatic mistake by vindicating the situation of Joeson reasonably. A Munwiyokgwan was sent in 1651 during a state funeral of Joeson but both parties conflicted in relation to the dresses of the diplomatic mission. The Munwiyokgwan said that they worn white official belts because they were in a state funeral but the party of Tsushima oppose saying that white official belts did not meet congratulatory ceremony. The party of Tsushima intended to clarify that the purpose of such Munwihaeng was the return visit to two times of envoys for the state funeral of King Injo and Inauguration of King Hyojong. The party of Tsushima raised the problem that Joeson merchants had a serious difficulty in payment in silver currency in the market of Waegwan and added the complaint in the quality of cotton. The Munwiyokgwan said that Gyeongsangdo’s cotton in maximum and that, if there was any dissatisfaction concerned, the situation had to be understood. 1640년 문위행은 쓰시마 번주가 대마도로 돌아온 것을 위로하고 번주의 득남을 축하하려는 목적으로 파견되었다. 쓰시마측은 예조서계에 득남 축하의 구절이 없는지를 다그쳐 물었으나, 문위역관의 차분한 설명에 무색해지고 말았다. 외교의례 후에 양측은 자신들의 요구 사항을 제기하였다. 쓰시마측은 막부의 관심사인 약재 구입을 요청했고, 중단된 사선의 도해권 회복을 부탁했다. 외교 의례의 격을 높여달라고 하였고 부산성으로 왜관 이전을 요구하였다. 문위역관은 해명 또는 유보적인 답변을 하면서도, 쓰시마측에게 군사물자의 구매 중개를 요청하고 목면 적체의 불만을 누그러뜨려 달라고 하였다. 번주와 문위역관이 대면한 자리에서, 번주는 청에 압박된 조선의 처지를 캐물으며 자신들이 외원이 될 수 있음을 내세워 왜관 이전을 재차 요구하였다. 문위역관은 중태에 빠진 본국의 처지를 이치에 맞게 변호하여 외교적 누를 남기지 않으려 하였다. 1651년 문위행은 조선의 국상 중에 파견되어, 양측 간에 사신의 복장을 둘러싸고 해석을 달리하였다. 문위역관은 상중이므로 백색 관대를 착용하였다고 했는데, 쓰시마측은 길례에 백색 관대가 어울리지 않는다고 반발하였다. 쓰시마측은 문위행이 인조 국상에 조위하고 효종 즉위에 하례한 2번의 사자에 대한 답방임을 명시하려고 하였다. 쓰시마측은 조선 상인들이 왜관 開市에서 은화를 빚지는 것이 심각하다고 제기했다. 목면의 품질 요구는 강도가 높았다. 문위역관은 교린의 실정론으로 양해를 부탁하였다.

      • KCI등재

        1704년 問慰行에 대한 對馬藩의 權現堂 供物 지급 요청

        이해진(Lee Hae-Jin) 한일관계사학회 2018 한일관계사연구 Vol.61 No.-

        본고에서는 1704년에 쓰시마번이 권현당(權現堂)에 대한 공물(供物)을 조선으로부터 지급받고자 한 사실을 검토하였다. 권현당이란 쓰시마번 내에 건립된 도쇼구, 즉 에도막부의 초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사당을 가리킨다. 17세기 후반에도 쓰시마번은 도쇼다이곤겐에 대한 조선으로부터의 공양자금 제공을 명분으로 하는 외교・무역선인 권현당송사의 신설을 조선 측에 요청하였다. 쓰시마번은 줄곧 조선과의 관계 속에서 권현당을 활용해 번의 이익을 도모하고 있었던 것이다. 본고에서 주목한 1704년의 교섭도 그 연장선상에 해당한다. 권현당 공물 지급 요청이 재개된 계기는 1701년에 있었던 권현당의 소실이었다. 당시 은거 중이었던 전 번주 소 요시자네는 권현당이 과거 막부에 청원하여 건립한 것이기 때문에 서둘러 재건해야 한다고 독려하였다. 이후 쓰시마번은 권현당의 소실과 그 재건 계획을 막부에도 보고하였다. 하지만 로주 아베 마사타케는 권현당 건립은 쓰시마번의 소관으로, 막부와는 관련이 없다고 이야기하였다. 이는 요시자네가 주장한 권현당 재건의 당위성과는 모순되는 답변이었다. 더욱이 그 무렵은 쓰시마번의 재정난이 시작된 시기이기도 하였기 때문에 결국 권현당의 재건은 중지되었다. 그 후 사망한 요시자네의 조문을 위해 조선으로부터 도해한 문위행을 상대로 쓰시마번은 권현당 공물 지급 요청을 개시하였다. 이러한 쓰시마번의 움직임은 조선무역의 쇠퇴 등으로 인한 재정난을 타개하고자 한 시도 중 하나였다. 그러나 문위행의 귀국 후 이어진 교섭에서 권현당 공물 문제가 공식석상에 등장하는 일은 없었다. 그 이유는 실현 가능성이 희박한 사안이었기에 아명도서의 신설과 공작미 지급의 연한 연장과 같은 다른 요청사항에 비해 우선순위에서 밀렸기 때문이었다. 게다가 권현당 공물 문제는 도리어 주된 교섭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어 유보되었다. 권현당 공물 요청은 막부와 합의하지 않은 채 쓰시마번이 독자적으로 벌인 작업이었다. 그 목적은 막부나 도쇼다이곤겐에 대한 숭경이라기보다도 오히려 번의 경제적 이익을 위해서였다. 나아가 이러한 계획을 위해 막부와 도쇼다이곤겐이라는 존재마저 철저히 활용하였다는 사실은 조일관계 속에서 쓰시마번이 지니고 있던 독자적인 입장을 확인하게끔 해준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unfolding of events when, in 1704, Tsushima Domain planned to request of Joseon the initiation of the Gongendō tribute. The Gongendō was the Tōshōgū, viz., the shrine of the first shogun of the Tokugawa Shogunate (Tōshō Daigongen, Tokugawa Ieyasu) established in Tsushima Domain. Even in the late seventeenth century, Tsushima Domain requested of Joseon the founding of a diplomacy-trade ship for the Gongendō, that is, the Gongendō annual ship. This ship was to raise funds used for procuring the offerings devoted to the Tōshō Daigongen. Hence, even before the eighteenth century, Tsushima Domain was already using the Gongendō to their advantage when engaging in diplomatic negotiations with Joseon. In 1701, the Gongendō was destroyed by fire. Consequently, this prompted Tsushima to resume with the request for tribute. The former daimyō of the domain Sō Yoshizane, who at the time was retired, because the Gongendō had been established on a request to the Shogunate, encouraged that it should be restored as soon as possible. Thereafter, Tsushima Domain planned the restoration of the Gongendō and also reported this to the Shogunate. However, the Rōjū Abe Masatake replied that the restoration of the Gongendō had nothing to do with the Shogunate and that it was completely up to Tsushima Domain. This directly contradicted the legitimacy of the restoration that Yoshizane asserted. Furthermore, at that time Tsushima was starting to suffer from a budgetary crisis. As a result, the restoration project was aborted. After this, Tsushima asked the Munwihaeng who crossed the sea to mourn the deceased Yoshizane to mediate the affairs regarding the Gongendō tribute. This was one of the measures to resolve the budgetary crisis caused by the decrease in trade with Joseon. However, in the talks that took place after the Munwihaeng returned to Joseon, there were no official requests for the Gongendō tribute. This was because that compared to other matter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the Doseo (the bronze seal for the proprietor of the diplomatic right with Joseon) for the Tsushima heir and the extension for the provisions of official trade rice, the Gongendō tribute was of minor importance. Moreover, fearful that it could jeopardize the negotiation per se, Tsushima postponed proposing the Gongendō tribute as an agenda item in the talks that ensued. To summarize, the request for the Gongendō tribute was an autonomous action of Tsushima that was not under the influence of the Shogunate. The request was triggered by the concern to yield economic profits for the domain rather than by the motivation to venerate the Shogunate or the Tōshō Daigongen. Furthermore, Tsushima skillfully used the very existence of the Shogunate and the Tōshō Daigongen to accomplish its goals. This verifies the independence of Tsushima as a major participant in Joseon-Japan relations.

      • KCI등재

        1734년 문위사행록(問慰使行錄)『해행기(海行記)』 연구

        정우봉 ( Woo Bong Chu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6 大東文化硏究 Vol.94 No.-

        이 논문에서 처음 소개하는 『海行記』는 牛峰金氏집안의 譯官이었던 金弘祖 (1698~1748)가 1734년 問慰行을 다녀온 이후에 쓴 것이다. 『해행기』는 현재까지 알려진 유일한 問慰使行錄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해행기』의 저자와 내용에 대해서 그동안 제대로 밝혀져 있지 않았는데, 『해행기』 본문 서술 및 관련자료들을 검토한 결과 『해행기』의 저자가 김홍조임을 밝힐 수 있었다. 이 책의 저자인 김홍조는 조부인 金指南과 숙부인 金顯門등이 중심이 되는 우봉김씨 역관 가문출신으로서, 이들 가문에 의해 이어져 온 외교 실무 활동과 관련된 저술 전통을 계승하였다. 부분적으로 일본 문화와 생활 풍습에 관해 우월감의 태도를 견지하면서 비판하고 있지만, 저자인 김홍조는 『해행기』 내에서 일본 및 일본 문화에 관해 비교적 객관적이며 사실적인 태도를 보였다고 평가된다. 특히 일본 지식인과의 교류 및 일본전통 연극인 노오(能)의 공연 상황에 관한 적극적이며 우호적인 감상 태도는 주목되는 점이다. 문위행의 正使김현문의 조카인 김홍조와 雨森芳洲의 두 아들, 문인사이의 활발한 인적 교류를 통해 숙부인 김현문과 雨森芳洲사이의 誠信외교가 그다음 세대에까지 계속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鶴龜, 伯養, 舍利, 橋辨慶등 일본 연극 노오의 공연 상황에 관해 매우 상세하게 묘사한 점 또한 흥미로운 대목이다. 김홍조의 『해행기』에 보이는 이같은 점은 김지남과 김현문의 일본 사행록의 서술 전통을 계승한 것으로 평가된다. 김홍조는 숙부인 김현문의 일본 사행록 서술의 시각을 이어받고 있으며, 특히 일본 전통 연극인 노오와 조선인이 제공한 연희 장면에 특별한 관심을 표명하여 이를 집중적이며 상세하게 형상화하였다. 김홍조의 『해행기』 저술 및 『해행기』 내에 보이는 일본 문화, 특히 전통 공연 장면 등에 관한 적극적이며 우호적인 서술 태도는 17세기 중후반에서 18세기로 이어지면서 김지남이후로 중인 출신 가문으로 크게 성장하였던 우봉김씨 집안이 중국, 일본 등과의 외교 실무 업무를 담당하는 동시에 풍부한 저술 활동을 통해 문화적 역량을 강화해갔던 시대적 흐름을 반영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Haehaenggi(海行記) is the only personal recording of Munwihaeng(問慰行), namely trip for foreign affairs for condolence. Munwihaeng was a delegation for foreign affairs which was continued more than 260 years from 1620 till 1860 between Choson and Japan. It is not known about the author of Haehaenggi. I said about who is the author of Haehaenggi through the relevant data. As a result, the author of Haehaenggi was Kim Hong-jo(金弘祖). Kim Hong-jo was from Woobong Kim``s family produce foreign language interpreters for hundreds of years. He inherited the family tradition that performed practice of diplomatic activity and writing. He had superior to others in Japanese culture. But he had relatively objective viewpoint about Japanese culture. In particular, he did actively keep company with Japanese intellectuals.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is Usambangju(雨森芳洲). Also he had active interest in No(能), namely one of the traditional Japanese plays. He had active and friendly attitude on the Japanese traditional performance scene.

      • KCI등재

        仁祖代 전반 問慰行 연구

        李尙奎(Lee, Sang-Gyu) 한일관계사학회 2010 한일관계사연구 Vol.35 No.-

        問慰行은 1620년대부터 1860년대까지 260년 이상 지속해온 조일간 외교사절이었다. 역관이 정사가 되어 상?중?하관을 인솔하여 대마도주가 에도에서 還島한 것을 위로하고 關白의 경조사를 축하?조위하는 목적으로 대마도로 파견되었다. 17세기 중반까지 木綿 紛爭을 누그러뜨리기 위한 목적으로 또는 야나가와(柳川) 사건을 정탐하는 일로서,硫黃貿易에 답례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다. 이 글은 17세기 왜학역관의 활동을 공부하는 과정에서 문위행으로 분야를 넓혀서 서술된 것이다. 17세기 문위행의 활동 중에서 인조 초반기에 주목하였다. 이 시기에는 공목분쟁이 격화되면서 동래부 훈도?별차가 담당한 공목 회계가 제대로 인수인계되지 않거나 대마측에 未收公木의 불만을 누그러뜨리기 위해 문위행이 파견되었다. 제도면에서 고찰한다면 문위행은 1606년에 全繼信 등이 회답겸쇄환사 파견 전에 對馬의 실정을 파악하고 돌아온 것을 선행적 형태로 잡기도 한다. 武人 출신으로서 일본 사정에 밝은 전계신은 1617년 회답겸쇄환사의 파견을 앞두고 대마의 실정을 탐문하는 사자로 지명되었다. 조선은 국가 경영의 차원에서 긴급한 일이 생겼을 때 일본에 도움을 요청한 적이 있었다. 광해군대에 명나라 사자를 응대하기 위해 倭館의 은을 차용한 일이 있었고 회답겸쇄환사가 받아온 答禮銀을 宮闕營建 비용에 충당하기도 하였다. 李造의 선봉군을 막지 못하여 왜관에 무장력을 요청할 것을 검토하였고, 정묘호란을 당한 후 성능 좋은 일본산 鳥敍을 사기 위해 對馬島로 譯官을 보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올 정도였다. 역관사행으로서 문위행은 조선이 대일관계에서 공무역품의 결제 수단으로 쓴 목면을 미지급하는 사태가 심해져서 인조대 이후 대마측이 공목 분쟁을 제기할 때에 나타난다. 1629년 대마 사자인 겐포(玄方)가 上京했을 때 정묘호란 후 조선의 실정을 탐색할 목적도 있었지만,光海君代에 받지 못한 목면을 일괄하여 받아가려고도 하였다. 이 때 미지급된 목면 600同이나 드러나서, 인조 정부는 역관 등의 사절을 보내 대마측의 불만을 무마하려고 나섰다. 1629년 문위행 邪?吉? 崔義吉 등은 6개월 전에 겐포가 요구한 600동을 지급유예하기 위해 대마로 갔다. 도주가 에도에서 還島한 것을 위로할 목적도 있었다. 1631년 문위행은 2년 전에 약속한 목면 600동을 지급할 수 없게 된 사정을 설명하고 1614년 공목을 유예하기 위해 대마로 파견되었다. 당시 島主와 야나가와씨 간 분쟁이 생겨서 출발이 지연되는 사태가 일어났다. 1632년 문위행은 도주가 귀환한 것을 위로하고 쇼군의 喪에 조위하고 야나가와 사건의 탐색하기 위한 목적을 띠었다. 이 때는 목화 흉작이 겹쳐서 당년 목면 지급분도 주지 못할 정도가 되어 대마측에 미수공목을 무마하기가 더욱 곤란해졌다. 1635년 문위행은 역관 洪喜男과 馬上才를 에도로 보내서 야나가와 세력에 고립되어 곤궁해진 도주를 변호하였다. 홍희남은 쇼군이 여러 가지로 회유하고 협박했지만 시종일관 도주의 처지를 옹호하였다. 1636년 문위행은 1년 전 사행에 이어져서 도주가 야나가와 분쟁에서 승리한 것을 축하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특히 1635년에는 홍희남 일행이 귀로인 대마도에서 대마 무역선의 渡海 횟수를 감소하는 협상 兼帶制를 타결시킨 점이 강조되어야 한다. 야나가와 사건은 1636년 통신사 외교로서 종료되지만 목면 분쟁은 심각도가 날로 더해져갔다. 동래부의 역관들이 목면을 지급하는 회계를 하지 않고 이임하거나 파직?처벌당하여 목면 분쟁의 파고는 갈수록 높아졌다.

      • KCI등재

        조선후기 문위행(問慰行)에 관한 재고(再考)

        윤유숙(Yusook Yoon) 한일관계사학회 2015 한일관계사연구 Vol.50 No.-

        이 논문은 ‘1635년 문위행’의 역할과, 문위행과 관련된 막부의 쓰시마번 원조 사례를 실증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1635년의 사행은 역관의 단독사행이면서 마상재(馬上才)를 동반하고 에도까지 다녀온 최초의 사례이다.이 사행은 1635년 정월에 조선을 출발, 3월 말 에도에 도착하였고 쇼군과 다이묘들에게 마술을 선보인 후 7월 조선에 귀국했다.쇼군 이에미쓰의 친재(親裁)를 거쳐 오이에소도에 대한 최종판결이 내려지고 관련자 개개인에 관한 구체적인 처벌이 언도된 것이 3월 12일, 13일이므로, 사행단이 에도에 도착했을 때 이미 야나가와잇켄은 모두 종료된 상태였다. 따라서 홍희남과 최의길은 쓰시마번의 오이에소도(御家騷動)에 관한 정보수집에 힘쓰기는 했으나 막부를 직접 상대로 하여 소씨를 변호했다고는 보기 어렵다. 한편 문위행과 관련된 접대비용 충당이라는 명목으로 막부의 재정원조가 이루어지기 시작한 것은 1779년부터이다. 종래의 연구성과에서 문위행 관련 원조로 총 7회의 사례가 있었음이 밝혀진 상태이지만, 필자의 조사에 의하면 문위행의 경우 19세기에 들어서서 1809, 1843, 1860년의 사행에서도 막부의 재정원조가 이루어졌다. 1809년에 대비한 원조는 통신사와 문위행의 접대, 양쪽 비용을 겸한 경우였는데, 이것까지 포함시키면 원조 회수는 총 10회에 이른다. 막부의 재정원조가 이루어진 사례들의 공통점은 모두 쇼군 가문의 경조사를 명목으로 한 경우였고, 단순히 쓰시마번주 가문의 사안을 목적으로한 원조는 찾아볼 수 없다는 점이다. 이처럼 쓰시마번이 통신사 뿐만 아니라 문위행의 접대비용에까지 원조요청을 확대시킨 배경에는, 18세기 중기 이후 대조선 무역 이익의 감소와 격심한 재정궁핍이 있었다. 본고는 이러한 상황에서 이루어진 몇 건의 원조 사례를 쓰시마번의 기록을 바탕으로 검토하였다. 문위행의 도일에 앞서 쓰시마번은 로주를 비롯한 막부의 중신들에게 청원서를 제출하여 특별 수당의 하사를 요청했고 대개 그 요청은 수용되었다. 1829년, 1843년, 1855년, 1860년 사행에서도 원조가 이루어졌고, 1860년의 사행이 조선시대 최후의 문위행이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