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부모 학교참여가 자녀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연구

        권순범(Kwon, Soonbum),김월섭(Kim, Wol-Seop),진미정(Chin, Mee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2

        본 연구에서는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여 학부모 학교참여가 자녀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종단적인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데이터는 경기교육종 단연구 1~4차년도 데이터로, 2012년 당시 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2012년의 학부모 학교참여 수준이 높을수록 자녀의 학업성취도 변화율도 높았다. 그리고 학부모 학교참여 수준의 변화율은 자녀의 학업성취도 변화율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학부모 학교참여에 대한 동기 부여 및 학부모 학교참여 정책에 대한 경험적인 증거가 될 수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parental involvement in school on child’s academic achievement using the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The data used in the analysis is from the 1st to 4th waves of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 The children and their mothers who were in the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t 2012 were targeted. The result of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parental involvement in school, the higher the rate of change of the child’s academic achievement. The rate of change in parental involvement in school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rate of change in the child’s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it can serve as empirical evidence for the mot

      • KCI등재

        대학생의 중도탈락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기관 변인 분석

        구성우(Gu Sung woo),문명현(Moon Myung hyun),김병주(Kim Byoung joo)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6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5 No.4

        본 연구는 대학기관 차원에서 대학생의 중도탈락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기관 변인을 분석하고 자 하였다. 분석에 활용한 자료는 ‘에듀데이터 서비스 시스템(EDSS: Edu Data Service System)’을 활용하여 추출하였다. 이 자료 중 2012년~2014년 자료가 모두 공개되어 있는 4년제 대학교 150개교를 대상으로 대학재정, 교육여건, 교육 및 연구 변인을 선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AMO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변량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였다. 연구모형에 있어서 각 변인별 변화모형을 분석한 결과 모든 변인에서 무변화모형보다 선형모형의 적합도가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전체 대학의 경우는 학생 1인당 교육비 및 기숙사 수용률, 전임교원 1인당 논문 수와 전임교원 1인당 교외 연구비 높을수록 중도탈락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재지를 구분했을 경우, 수도권 대학은 학생 1인당 교육비, 학생 1인당 등록금, 전임교원 1인당 논문수와 전임교원 1인당 교외 연구비 높을수록 중도탈락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전임교원 1인당 교외 연구비가 높을수록 중도탈락률의 시간적 변화에 있어서는 중도탈락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비수도권의 경우는 학생 1인당 교육비, 기숙사 수용률, 전임교원 1인당 논문 수가 높을수록 중도탈락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대학생의 중도탈락을 낮추기 위한 대학의 노력에 있어서는 대학별로 특성에 맞는 재정 투자 및 여건 개선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stitutional variables which affect dropout of college students in universiti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in the basis of AMOS program was used. It was appeared that the suitability of linear model was more outstanding than that of no-change model after analysing change model of each factor. The data utilized in this analysis was collected from EDSS, Edu Data Service System. This analysis was conducted on one hundred and fifty universities with reference to their data from 2012 to 2014 with university fiance, educational condition, and education/research factors selected.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in case of all the universities the more and higher educational expenses and receptive capacity of dormitory per student, and the number of theses and research expenses used in extramural activity per faculty in full service were, the lower dropout rate was. When locate of universities was separated, in case of the universities in capital region, it was shown that the more and higher educational expenses and registration fee per student, and the number of theses and research expenses used in extramural activity per faculty in full service were, the lower dropout rate was. However, it is also appeared that the higher research expenses used in extramural activity per faculty in full service were, the higher dropout rate was in process of time. Lastly, in case of universities located in non-capital region, the more and higher educational expenses and receptive capacity of dormitory per student, and the number of theses per faculty in full service, the lower dropout rate is. In conclusion it is required for each university to focus on financial investment and condition improvement suitable for its own characteristic so as to lower dropout rate of college student.

      • KCI등재

        다문화가정 부모의 부모효능감과 사회적지지, 아동의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이강훈 한국아동교육학회 2019 아동교육 Vol.28 No.4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부모의 부모효능감과 사회적 지지, 아동의 삶의 만족도가 시간경과에 따라 어떠한 변화양상을 보이는지를 확인하고, 이러한 변화가 아동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아동의 삶의 만족도를 증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NYPI)의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MAPS) 데이터 중 2011년(1 차)-2015년(5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다문화가정 어머니 1294명과 아동 1304명(1 가구 2아동 포함)이다. 연구결과 첫째, 측정시기별 발달적 변화를 살펴보았을 때 사회적 지지의 경 우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던 반면, 부모효능감과 아동의 삶의 만족도는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선형변화모형을 선정하였다. 둘째, 부모효능감 초기값, 사회적 지지 초기값과 변화율은 아동 의 삶의 만족도 초기값과 변화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부모효능감 변화율은 아동의 삶 의 만족도 초기값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사회적 지지 초기값과 변화율은 부모효 능감 초기값과 아동의 삶의 만족도 초기값 및 변화율, 부모효능감 변화율과 아동의 삶의 만족도 변 화율에서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부모효능감 변화율과 아동의 삶의 만족도 초기값에서 는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의 삶의 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change profile between multicultural parents` parents efficacy, social support and children` life satisfac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promoting children` life satisfaction by exploring longitudinal change profile. For this purpose, 2011-2015 longitudinal dat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provid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NYPI) were used, the research objects were 1294 mother and 1304 children from multi-culture family(including 2 children in a famil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but mother` parents efficacy and children` life satisfaction decreased as time passes and linear change model was selected. Second, the initial status of mother` parents efficacy and the initial status and the rates of change of social support show significant direct influence on the initial status and the rates of change of children` life satisfaction, but the rates of change of mother` parents efficacy did not did not show significant direct influence on the rates of change of children` life satisfaction. Third, the initial status and the rates of change of social support is found to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itial status of mother` parents efficacy and the initial status and the rates of change of children` life satisfaction, and also the rates of change of mother` parents efficacy and the rates of change of children` life satisfaction. but full mediating effects on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the rates of change of mother` parents efficacy and the initial status of children`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analytical results, the researcher suggested ways to promote children’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도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신수민,김민정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7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4 No.3

        This research studies a relativity of the effect on a school achievement by mobile dependence using longitudinal design from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1~ 2014(KCYPS) to through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ing. Comprehensive discus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ime goes on mobile dependence degree is increasing, a school achievement has a change according to grade. Second, the more mobile dependence, initial value of the school achievement are high, the more rate of change is small. Third, mobile dependence initial value has a meaningful effect on a school achievement initial value. Fourth, mobile dependence rate of change affects a school achievement rate of change. This study means to analyze and verify effect on academic through longitudinal studies concerning mobile dependence. We identifi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mobile dependence and school achievement, through longitudinal studies. These results could be theoretical, educational, and practical foundation of prevention of mobile dependence and record drop, in order to inform dangerousness about dependence on cell phone.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데이터 2011년~2014년 자료를 사용하여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도가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련성을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통해 종단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논의하면 첫째, 시간이 지남에 따라 휴대전화의 의존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업성취는 학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둘째, 휴대전화 의존도, 학업성취의 초기값이 높을수록 변화율은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휴대전화 의존도 초기값은 학업성취 초기값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휴대전화 의존도 변화율은 학업성취 변화율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휴대전화의 의존도에 관하여 종단적 연구를 통해, 학업 성취도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고 검증하는데 의의가 있다. 휴대전화에 의존하는 정도와 청소년의 학업 성취에는 부적 관계가 있다는 것을 종단 연구를 통해 확인해 보았다. 이는 청소년들의 학업 성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휴대전화 의존에 대한 심각성을 알리고, 과의존을 예방할 수 있는 교육적․실천적 정책 방안 마련의 토대가 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