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국 몽고족 민요 음악의 문화적 특징 및 전승 연구

        사욱,이영월 계명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19 국제학논총 Vol.30 No.-

        Folk music is not only a nation’s important resource which could develop their inherent values and world views, but also the core of the innovation of a nation’s culture. Among the various minorities in China, the Mongolian minority’s folk music is unique, and it has been registered by UNESCO as a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2006. After People’s Republic of China(or the “new China”) was founded, many pieces of Mongolian minority’s folk music with their innovative era characteristics have been produced, thanks to the composers. The Mongolian traditional music characteristic “long tune”, the most representative Mongoli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morin khuur”, and the unique method of singing “Khoomei”, all of them are the center of Mongolian minority’s folk music, and they have been inherited and developed till today. The reason why the Mongolian minority’s folk music has such ear characteristics is due to the vast grassland’s natural environment, the Mongolian minority’s unique life-style and their national customs. This paper will focus on 70 years of the traditional inheritance of Mongolian minority’s folk music since the new China’s foundation in 1949, along with the music’s characteristics which are formed by the new era cultural background, and then analyze and investigate the lyrics, musical instruments and methods of singing. In order to do this, this paper takes the representative resource from 《Research on Mongolian Music of a Hundred Years(book one)》 as its research scope, and also, I visited the University of Inner Mongolia in 2018 and did a survey named 《The Degree of Concern for the Mongolian minority’s folk music》of the Mongolian minority youth, this paper will use the result of this survey as its supplementary resource as well. Through this work, the relationship between Mongolian minority’s musical forms and their national life-style could be explored, and the inheritanc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music and new music could be investigated as well, these would be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this paper. 민요는 민족의 고유한 가치세계를 형성하는 중요한 자원인 동시에 새로운 민족문화를 창조하는 구심점이다. 중국의 많은 소수민족들의 전통음악 중에서 독보적인 특징을 나타내고 있는 몽고족 민요는 2006년 세계유네스코에 무형문화재로 등록되었다. 신중국 건국 이후 몽고족 민요는 다수의 작곡가들에 의하여 다량 창작되어 새로운 시대적 특징을 형성하고 있다. 곧 ‘장조’(長調)의 전통적인 음악적 특성과 ‘마터우친(馬頭琴)’을 대표로 하는 몽고족 전통악기 및 ‘후마이’(呼麦)의 독특한 가창법을 중심으로 전승 및 발전되어 왔다. 몽고족 민요의 이러한 시대적 특징의 형성 배경은 대초원의 자연적인 환경과 몽고족의 독특한 생활방식 및 민속 풍습에 기인한다. 본고는 1949년 신중국 건국 이후 70년 기간 몽고족 민요가 고유한 전통을 전승하면서도 새로운 시대적 ․ 문화적 배경 하에 나타나는 특징을 민요의 유형과 지역적 특징, 연주 악기, 가창법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고는 <蒙古族音樂硏究百年(一)> 博特樂圖, 郭晶晶(2014), “蒙古族音乐研究百年(一)", 內蒙古大學藝術學院學報, 11(3), pp. 69-78. 에 기록된 대표적인 자료들을 중심으로 범위를 한정하였으며, 2018년 필자가 직접 내몽고대학을 방문하여 몽고족 청년들을 상대로 실시한 <몽고족 민요 문화 관심도 조사> 결과를 보완자료로 활용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몽고족 음악형식과 민족 생활과의 관계를 탐색하며 전통음악과 새로운 음악의 전승관계를 고찰하는데 의미와 가치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몽골 전통음악교육의 현황

        체. 오윤게렐(Ch. Oyungerel),송병구(Song, Byeong-Gu) 한국국악교육학회 2015 국악교육 Vol.39 No.39

        본 연구는 현 몽골 정부의 교육 정책과 몽골 초 · 중 교육기관에 대한 음악교육 표준안에 포함된 몽골전통음악교육 지침을 검토하고, 이 정책이 2014년에 개정된 몽골의 일반 초등교육기관 교과서에서 어떻게 반영되었는지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몽골 전통음악교육의 현황을 고찰한 것이다. 몽골의 초중등학생에 대해 전통음악 학습을 강화하는 정책은 2007년 발의된 ‘새천년개발목표’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현 정부의 2012년 액션플랜 중 교육개혁 정책에서도 중요시 되고 있다. 이러한 정책을 2014년 개정된 몽골 일반초등학교 음악 교과서를 통하여 검토한 결과 몽골 초등교육기관의 전통음악 교육은 민요 감상과 전통악기 연주 등 학생들의 접근이 용이한 부분부터 시작하여, 학생들이 전통음악에 친숙해질 수 있도록 민요와 율동을 함께 하는 체험 학습을 통해 진행하고 있음이 검토되었다. 특히 감상과 가창 부분에서는 몽골의 유목전통생활과 몽골의 대표 가축들을 가사에 실어 표현한 민요를 주로 담았으며, 소수민족의 전통 민요를 각 민족 별로 분배 및 배치하였다는 점이 주목된다. 소수민족의 전통 민요는 학년 마다 수록되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는데, 몽골의 소수민족의 전통음악을 초등학교 저학년 때부터 자연스럽게 습득하도록 하였다는 점에서 몽골 전통문화의 정체성을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음악교육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한 논의로, 초등교육기관에서의 전통음악 교육을 보다 체계적이며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해서는 몽골 전통음악을 지도하는 교사에게도 전통음악 교안의 작성 및 교수법 훈련을 통한 질적 향상이 필요하며, 전통음악 전문가 양성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판단된다. 또한 전통음악교육의 부흥에 대한 프로그램과 개혁안은 지속적인 시행을 통해 중장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e presentation i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ongolian Government education policy and standard of the Mongoli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usic education, to explore the current situation of Mongolian folk music education by making the study on the policy of Mongolian folk music, analyzing the reflection of renewed policy documents in 2014 for the music text book of the Mongolian elementary school. The policy of the folk music education for the student 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of Mongolia has started by stating in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 which approved in 2007 and it is also significantly included in the action plan of current government especially in the education policy part. By studying these policies through the newly revised text book of Mongolian elementary school in 2014, the training method of the Mongolian elementary school is starting from the easy steps such as a listening the folk songs, playing the instruments and learning folk songs and dances to be closer with the folk music. Especially, it took the attention that the listening session consists of the folk songs with the word of expressing Mongolian nomadic life and also learning the different clan folk songs respectively. Teaching the different clan folk songs at each elementary class is included in the class agenda and it can be concluded that teaching the folk songs from the elementary class can fully cover the music education of Mongolian traditional culture. To be more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teaching the elementary music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design the exclusive class program for the teachers and improve the quality of class and preparing the professionals of folk music. Further, it is necessary that folk song education and program restoring should be maintained and implemented for the medium and long run.

      • 몽골 서부지역, 후미예술의 전통

        박소현 단국대학교 몽골연구소 2016 몽골지역연구 Vol.1 No.1

        As this study is what discussed about the process that khöömii(хөөми), which is a unique vocal technique of Mongolia, is transmitted as the stage performing art focusing on a field survey of the Mongolian music, it is what made a full discussion of which the Mongolia race created a unique vocal technique with adapting itself to eco-friendly environment from the ancient times, and of which it was positioned as art music according to a change in social history. First, through a previous research, the origin of khöömii was discussed with 4 things such as ① the origin of imitating nature, ② the origin of tuul’(тууль), which is epic song, ③ the origin of shaman’s song(бөөын дуудлага), ④ the origin of Tibetan Buddhist music. But the origin of khöömii is what cannot be affirmed exactly as a certain time. It is not what faith or religion became the origin like shamanism or Tibetan buddhism. Khöömii in Mongolia has the most feasibility for the origin of imitating nature that has been inherited from the ancient times. Second,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natural environment of khöömii is what was passed mainly among the Oirad races as the Mongolian people who are distributed centering on the Altai. Third, khöömii, which had been music in Mongolian nomads’ life before the 1950s, was on stage as a special music genre of the performing stage in the wake of being established a Khovd-city theater in Khovd aimag of the western part in Mongolia following the 1950s, and reaches today with being spread to Ulaanbaatar that is the capital. Also, khöömii singers developed diverse khöömii singing methods. After beginning to sing the monotonous Mongolian traditional vocal such as bogino duu(богино дуу) as a folk song and <Altain magtaal(Алтайн магтаал)> as magtaal(магтаал) with the khöömii singing method, they are singing urtyn duu(ур тын дуу), which is emphasized professionalism as the more advanced khöömii singing method, and further even western music. This is because the khöömii art, which was excluded lyrics, was on everyone’s lips in the expression as saying of playing the musical instrument with a human being’s voice.

      • KCI등재

        중국 현대 클라리넷 작품 중 민족음악 요소 연구 『목마의 노래』와 『파미이지음』을 중심으로

        증광(Guang Zeng),안성희(Sung-Hie Ahn)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6

        중국의 오랜 역사 과정에서 풍부하고 소중한 소수민족의 전통음악은 형성되었다. 각 민족은 발전 과정에서 독특한 자연환경과 특수한 생활과 생산 방식에 따라 자기만의 세계관과 음악 문화를 만들어 냈다. 클라리넷은 서양 악기로서, 중국에 전래되는 과정에서 중국 소수민족 문화의 영향을 어느 정도 받아왔다. 따라서 음악가들은 중국 소수민족 음악 중의 여러 요소를 표현하는 데에 서양 악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모색했다. 본 논문은 중국 소수민족 음악의 요소를 사용하여 창작된 현대 클라리넷 작품 작곡가 왕염의 『목마의 노래』와 작곡가 호벽정의『파미이지음』을 중심으로 작품의 형성 유래, 작품에 나타난 예술적인 표현 특징 등 두 측면에서 클라리넷에서 표현되는 민족적인 요소를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민족음악의 모드 음계, 박자, 리듬과 선율의 표현기법, 그리고 소수민족 전통 악기를 모방한 소리의 특징 등 다섯 가지 내용으로 구성된다. 또한 지역, 생산, 생활, 민족 정서 등과 접목하여 작품에 사용된 타지크족과 몽골족 음악에 나타난 민족문화의 특징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중국 현대 클라리넷 작품의 음악 스타일을 습득하고자 하는 창작자와 연주자에게 이론적인 근거를 제공하고 서양 악기로 중국 전통 음악을 연주할 더 좋은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During the Chinas long history, many ethnic groups have developed their own traditions of local music which is an important part of their precious cultures. Meanwhile, each ethnic group developed its own worldview and music culture according to its unique living environment, special lifestyle and mode of production. The clarinet is a Western instrument, and has been influenced to some extent by Chinese minority culture while being introduced to China. Therefore, musicians tried to find ways of using Western musical instruments to express various elements of Chinese minority music. Focusing on two clarinet works The Song of Grazing Horses by Wang Yan and The Sound of Pamir Clarinet Concerto by Hu Bijing,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minority groups expressed by the clarinet in two aspects: the formation of the music style,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conveyed through the works. Specifically, it consists of five parts: ethnic mode and tonality, rhythm, time signature, melody making, and imitation of animals. It also analyze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ajik and Mongolian music reflected in the two works in combination with living environment, mode of production, life style, and ethnic emotions.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composers and performers who want to understand and acquire the musical style of modern Chinese clarinet works. It also helps to find a better way to play traditional Chinese music with Western instruments.

      • KCI등재

        몽골 불교음악과 오르팅 도의 상관성

        박소현 한국몽골학회 2016 몽골학 Vol.0 No.47

        This study is what comparatively mentioned a literary context and a musical correlation by obtaining a musical piece of having a song title same as a urtiin duu(уртын дуу), which is a kind of a Mongolian folk song, from a manuscript of gur duu(гүр дуу, the 18th century), which is Mongolian Buddhism that is possessed at Mongolian Central Library. First, totally five urtiin duus with the song title same as gur duu, were confirmed to be aijam urtiin duu(айзам уртын дуу), which is used in several kinds of ceremonies and rituals even out of the urtiin duu. Second, in the literary context, gur duu has a common ground of comprising a verse form like lyrics in aijam urtiin duu. But the contents of lyrics borrow with changing only words in some lyrics of aijam urtiin duu in gur duu into synonym. Still, both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are being consistent with the Buddhist contents. Third, a difference in mutually melodic progression and vocalism was proved through a musically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current aijam urtiin duu by decoding the manuscript in gur duu. In the literary context, gur duu is developed with a form same as prayer in Buddhism and is progressed with the contents for propagation of Buddhism. Thus, gur duu and aijam urtiin duu have a commonality as saying of being a moral song, which has the aim of public education as a song of being used in all the ceremonies and rituals, but have a difference dubbed being religious or non-religious. Hence, musically comparing gur duu and aijam urtiin duu, which correspond to music of Buddhism, there is a difference as an artistic song and a religious song in its functional aspect excluding a point of being a traditional song in Mongol. 본 연구는 몽골불교 성악곡의1) 일종인 구르 도(гүр дуу, 잠언가, 箴言歌)의 고악보(古樂譜)에서 민요의 일종인 오르팅 도(уртын дуу, long song, 長歌)와 동일한 곡목이 발견되어 상호 연관성을 일고(一考)하는 것이 목적이다. 몽골불교 성악곡인 구르 도와 오르팅 도의 상관성에 관한 선행 연구로서 몽골의 음악학자 일. 에르덴치멕(Л. Эрдэнэчимэг)은 몽골의 고승(高僧) 롭상노롭셰랍(Лувсанноровшэйрав, 1701-1768)이 구르 도를 만들었을 당시 몽골 민요의 일종인오르팅 도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논의하였고,2) 이후 구르 도 중 현재 전창되는몇 가지 오르팅 도의 실례를 전개한 바 있다.3) 그러나 구르도의 노랫말에 대한 내용 혹은 음악적 분석을 통한 구체적인 논의는 전게되지 않았다. 중국의 몽골음악학자 우란지에(吴兰杰)도 “몽골불교음악은 티베트불교가 유입된 이래 몽골민족음악과 결합되어 전래되고 있음”을 논의하였는데, 몽골불교음악은 13세기 보긴 도(богино дуу, 短調)와 같은 단조로운 민요형식에서 16세기오르팅 도와 같은 보다 고도의 기술을 요하는 민요형식으로 발전하며, 19세기에는 서사가와 같은 극음악형식까지 다양한 몽골민족음악과 결합하여 오늘에 전한다고4) 논의하였다. 결국 몽골불교음악은 몽골민족음악과 불과분의 관계라는 것이며, 몽골 불교성악곡 가운데에는 몽골민요와의 상관성을 논의할 수 있다. 선행 2편의 논문을5) 통해 몽골불교음악과 오르팅 도와의 상관성에 관하여 논급한바 있으나, 단편적인 논의였기에 수집된 음원자료와 악보로서 보다 구체적인 논의를 하려 한다. 이하에서는 첫째, 한국에서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몽골불교성악곡인 구르 도의 이해와 고악보 발굴현황 및 몽골국내의 연구현황을 개술하고, 둘째, 구르 도와 오르팅 도 노랫말의 구조와 내용을 상호 비교하여 문학적 맥락을 검토하며, 셋째, 입수한 구르 도의 고악보와 현재 전창되고 있는 오르팅 도의 음악 선율을 비교하여 음악적 상관성을 논의하려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몽골불교음악, 나아가 몽골불교 성악곡에 대한 이해를 돕고, 옛 문헌자료가 부재한 몽골 지역의 고악보에 대한 정보와 함께 18-19세기 이후몽골 음악사적 현상에 대한 단면을 고찰하려 한다.

      • KCI등재

        만주(청) 지배기에 만들어진 전통음악문화 -몽골의 ‘후레 도 헉찜’ -

        박소현 ( Park So-hyun ) 중앙아시아학회 2018 中央아시아硏究 Vol.23 No.1

        ‘Khuree duu khogjim(xурээ дуу хθгжим)’ is the new traditional music genre in Mongolia people, which is handed down with being created as the elegant music culture focusing on royal court and temple from the middle and late 19C to the early 20C. As for the singularity, it is the music culture, which was formed by a change in the socio-historical living environment from the pastoral society to the settled society in light of Mongolian history, and by the urbanization of becoming the center in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and is the socio-phenomenological music culture that took place in the Dark Ages of social history at that time. ‘Khuree duu khogjm(xурээ дуу хθгжим)’ is what musical experts in ‘Khuree(xурэ э)’ created as new music after borrowing ardiin bogino duu(ардын богино дуу), which is non-specialist’s song of having been inherited from people. It was passed down as decent music culture after being born as one of ‘court songs and music(宮廷歌樂)’ up to the period of ‘Ikh khuree(Их xурээ, year in 1706-1911),’ which had been the Dark Ages in the Mongolian History, but was spread into popular music culture as ‘urban songs and music(都市歌樂)’ according to a socio-historical change into the commercial performance stage following the period of ‘Niislel khure(Нийслэ л xурээ, year in 1911-1924)’ that became independent from Manchu(Qing).

      • KCI등재

        몽골 우젬친족(Үзэмчин ястан), 전통 혼례 노래의 특징

        박상후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2022 동양음악 Vol.52 No.-

        혼례(婚禮)는 민속 관습에 의해 확립된 주요 의식 의례 중 하나이다. 몽골의 전통 혼례는 음악 없이는 상상할 수 없으며, 과거 몽골 민족의 모든 통과의례에서는 민요가 전례되는 주요 무대였다. 몽골 민족의 혼례와 수반되는 음악에는 고유한 문화적 전통이 있다. 본 연구는 중국의 내몽골 자치구(内蒙古自治区) 실링골맹(錫林郭勒盟) 동부지역에 거주하는 우젬친족의 혼례 음악에 대한 특징을 부각시키며, 혼례에서 부르는 주요 노래 6곡을 선별하여 노랫말과 선율을 분석한 것이다. 나아가 몽골민족의 다수를 차지하는 할흐족의 노래 선율과 비교하여, 주로 할흐족의 노래 선율은 중, 하 옥타브에서 불렸고, 우젬친족의 노래 선율은 중, 상 옥타브에서 불리는 것을 확인하였다. 몽골 할흐족와 우젬친족의 혼례 노래의 내용과 의식은 일반적으로 유사했지만, 우젬친족의 혼례 노래는 잔치 끝에 종교적인 내용을 담아서 노래를 부르는 독특한 점이 발견되었다.

      • KCI등재

        세계음악 <아리랑>을 통한 몽골과의 교유(交遊)

        박소현 한국몽골학회 2009 몽골학 Vol.0 No.27

        <Arirang> reminds foreigners of Korea and Korean people. That is a symbol of Korea and the Korean race, but that is not the case for <Arirang> in Mongoli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interchange between Korea and Mongolia in the 20th century through <Arirang>. The two nations are not the same race, but it's meant in this study to look into the past history about mutual exchange and a specific interchange case in the 20th century in an effort to describe the friendly relations between the two through music culture. In the world, <Arirang> is music that is reminiscent of the Korean race. In Mongolia, however, that is a historic symbol that shows the two countries have been one from ancient times. Therefore there is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existential value of <Arirang> in the world and that in Mongolia. <Arirang> reminds foreigners of Korea and Korean people. That is a symbol of Korea and the Korean race, but that is not the case for <Arirang> in Mongoli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interchange between Korea and Mongolia in the 20th century through <Arirang>. The two nations are not the same race, but it's meant in this study to look into the past history about mutual exchange and a specific interchange case in the 20th century in an effort to describe the friendly relations between the two through music culture. In the world, <Arirang> is music that is reminiscent of the Korean race. In Mongolia, however, that is a historic symbol that shows the two countries have been one from ancient times. Therefore there is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existential value of <Arirang> in the world and that in Mongol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