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Forum] Research on “Yatag” of VI-VII Turkic musical instrument

        Ch. Baasankhuu 단국대학교 몽골연구소 2016 Mongolian Survey Vol.6 No.1

        본 연구는 2008년에 몽골 서쪽 지역에서 발굴된 5현 야탁(공후)의 발굴과 복원에 대하여 연구한 것이다. 고고학자들의 연구 결과에 의해서 6-7세기 튀르크시대의 악기로 확인된 본 악기를 독일 본대학교 고대악기 연구자들이 복원했던 5현 야탁과 그 것을 몽골연구팀이 몽골 사고방식으로 복원했던 5현, 6현 야탁의 특징과 비슷한 점을 살펴보았다. 즉, 독일연구팀이 본 악기를 5현 각을 이룬 수직-형 야탁(өнцөгт босоо ятга) 이 발견되며 악기 현을 악기 머리 부분에서 바로 나무를 세우며 현을 조일 수 있게 만들었던 것을 몽골연구팀이 올바른 것이 아니라고 해서 5현, 6현 산양 머리 모양으로 악기를 만들어 본 악기를 ‘알타이 야탁(алтай ятга)’이라고 불렸다. 몽골연구팀이 만들었던 ‘알타이 야탁’을 보면 발굴된 악기의 뒤 부분에 있었던 고대 시대의 글과 악기의 밑 부분에 있었던 사슴, 산양, 개 그리고 화살을 쏘고 있는 사냥꾼 등 여러 가지 그림을 조각했던 것을 그대로 복원했다. 몽골 야탁에 대한 기록이 13세기에 역사문헌자료, 구비문학, 그리고 외국여행자에 의한 기록 등에서 가장 많이 나온 것에서 보면 이때는 발전하기 시작한 단계가 아니고 발전했던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것의 한 가지 예는 2008년에 몽골에서 발굴된 5현 야탁이다. 본 고고학적 유물이 몽골음악사 그리고 야탁악기의 역사를 13세기에서 7세기까지 앞으로 갔다.

      • 몽골 식물민담 고찰

        이탄미(Tan Mee Lee) 단국대학교 몽골연구소 2023 몽골지역연구 Vol.8 No.1

        Among the oral literature of Mongolia, the world’s treasure trove of oral literature, there are twelve botanical folktales, which are rare in volume but in a metonymic sense. From this, it is hoped that the singularity can be extracted from the title and sanction of each folktale, and the position of the person between the background and the speaker. The main material of Mongolian botanical folktales was typical of arboreal tales, which represent the actual plant ecosystem of Mongolia. It is symbolized that man was the beneficiary of eternal life by divine intent, and that the mistakes of the birds and insects that carry him accidentally turn conifers into evergreens. In this, he was able to read the inner world of nature, which symbolized the alienation of human beings by personifying the mediated creatures that connect nature—birds and insects. This is because human beings are lightly portrayed as narrators of the narrative, but their evergreens result in the world tree that secu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ds. The trees, the title of this folktale and sanctioned in terms of non-literary aspects, are a tool of an exorcist, a constantly used by shamans in Central Asia and Altai regions, embodying a shamanic view of the natural world. It is used as a world tree to meet God in order to secure the mediating opportunities of “the earth, the seat of man” and the “sky, the seat of God,” in nature—evergreen—and is significant as a universe. In Mongolian plant folklore, a person who was a beneficiary of the gods but moved away from it due to accidental mistakes of living things or the interven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meets God as an evergreen world tree. In these literary and imaginative Mongolian plant folktales, one can read the cultural framework that shows the priority values of the Mongolian people, and it can be said that it represents a personality type as a world literature.

      • 18세기 몽골 천문역법(天文曆法)의 종류와 특징

        김경나(Kim, Kyongna) 단국대학교 몽골연구소 2017 몽골지역연구 Vol.2 No.1

        In Mongolia, “Zurkhai” is a collective of studies on astronomical, astrological, and transitional laws, such as solar and moon, moving positions of stars, rotation of planets, and human. In the 13th century, Yin and Yang of China began to develop into Mongolia, and in the late 16th century Tibetan Buddhism was accepted to Mongol. Then Mongol take the astronomy of India and Tibet and made it suitable for Mongolia. In the 18th century, the Mongolian calendar was equipped with a variety of related publications and systematization of theori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what kinds and theories of Mongolian’s calendar and how it influenced the Mongols. In particular, I examined the writings and background of Merged garakhin oron that the foundation of the 18th century Mongolian calendar development, and suggested the influence of the Mongolian calendar on the development of various studies. Through this, we examined how the Mongolian calendar produced in each Mongolian region affected the life of the Mongols.

      • [Forum] 선사시대 유목민의 예술문화와 신화적 상징성 고찰 : 몽골 지역 ‘바위그림’을 중심으로

        Lee Sun-A 단국대학교 몽골연구소 2016 Mongolian Survey Vol.6 No.1

        이 발표문은 몽골 지역의 바위그림에 양식화되어 표현된 형상들을 중심으로 선사시대 유목민의 예술문화와 그 안에 상징적으로 투영된 신화적 세계관을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주로 석기시대부터 청동기시대에 제작된 바위그림 유적에 대한 연구는 인류미술의 초창기를 담당하던 당대인의 원초적 사유체계를 예술적으로 형상화한 양상을 살펴보는 기회가 될 것이다. 특히, 미술과 신화의 상관성에 주목함으로써 원시신앙과 제의의 현장에서 신화와 함께 향유되었던 동북아 선사미술에 대한 인문학적 분석을 시도해 보고자 한다. 일찍이 북방유목민들은 영험한 마법의 돌(자드, 자딩촐로)에 대한 신화에서부터 돌무지(오보), 거북바위, 어머니바위(어머니산), 남근석 등 신성한 ‘바위’와 ‘돌’에 대한 신앙이 강렬하였다. 자연물인 암석에 대한 초기의 신앙은 인류의 신화적 상상력과 예술적 표현이 가미되면서 보다 심층적인 세계관을 담은 고차원의 문화유산으로써의 의의를 가지게 되었다. 특히, 몽골지역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바위그림과 사슴돌은 양식적인 문양 패턴을 통하여 음양론(陰陽論)과 삼계관(三界觀)을 근간으로 하는 동북아 문화권 혹은 알타이 문화권 예술문화의 세계관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세계관은 ‘돌의 영험함’에 위탁하는 선사시대 유목민의 원초적 염원들을 담아 향유되었으며 후대의 종교와 예술에까지 일관되게 전개되었다. 구석기시대 후반에까지 소급되는 바위그림과 청동기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사슴돌의 발견은 몽골지역이 초창기 인류 미술의 발생지로 주목받는 계기가 되었다. 몽골의 바위그림은 음양론이라는 신화적 세계관을 압축적으로 형상화한 초창기 예술 양식으로서 선사시대 유목민의 원초적 염원을 위해 신성시되는 영험한 예술 양식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잗돌’과 같은 원시신앙이 토대가 되는 신성한 바위 위에 표현된 생식 관련 형상들은 생산(출산, 가축의 번식), 치병, 장수 등을 기원하는 인간생명의 메타포로 영웅신화가 내포하는 인본주의적 이념을 상징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한편, 바위그림 양식의 기본원리가 되는 음양론은 이후 삼단적 우주관으로 확대되어 사슴돌 양식으로 발전되는 양상을 보이는데 추후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사슴돌 역시 영험한 ‘돌’이라는 재료 위에 인간 생명을 수호하기 위하여 지상에 천강한 신화적 영웅의 형상을 주인공으로 표현함으로써 초창기 미술 양식과 영웅신화의 공생관계를 보다 명확히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연구과제가 될 것이다. 바위그림과 사슴돌과 같은 선사시대 바위 예술은 신화적 상징성을 내포하고 있는 형상들이 양식적으로 표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형상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는 작품의 스토리텔링이 되어주는 배경신화와의 관련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