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들레르의 모더니티에 대한 연구 : 『현대생활의 화가』를 중심으로 Reading "Painter of Modern Life"

        양효실 한국미학회 2003 美學 Vol.34 No.-

        「1846 미술비평」에서 '관습적이고 전톨적인 모든 것'(OC, Ⅱ.468)은 상투어에 속한다며 진정한 예술가들은 상투어를 경계해야 한다고 역설했던 보들레르는 말년에 이르러서는 자신의 상투어를 하나 창조하고픈 희망을 품었다. 그리고 그의 그러한 희망은 이제 모더니티 개념을 통해 실현된 듯 하다. 모던, 모더니티,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을 중심으로 한 논쟁에서 보들레르의 모더니티는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모던한 미적 의식, 혹은 현재에 대한 심미적 의식을 일컫는 모더니티는 오늘날 문막과 예술의 논쟁에 있어서 이미 하나의 상투어로서 기능하고 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이미 너무나 친숙해져 버린 모더니티 개념은 그럼에도 관습적이고 전통적인 의미에서의 상투어가 되었다고 보기 어려운데, 이는 보들레르가 모더니티에 대탄 명로한 정의를 이미 차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의 모든 논의가 역설의 공존이 주는 긴장에서 멈춰버리게 되는 것처럼, 모더니티 역시 일의적인 의미로 고착화될 수 없는 개념이다. 모더니티는 보들레르가 열어놓은 틈에서 유동한다. 그리고 그 모호성과 유동성을 통해서 모던 아트에 생기를 부여한다. 모더니즘이 종식되었다면 이는 보들레르의 모더니티가 그 안에 들어있지 않은 모더니즘이었기 때문일 수 있다. 심지어 모더니티는 역사적 사실로서의 모던 아트를 뛰어넘어 오늘날의 예술 포스트모더니즘이건 컨템포러리 아트이건 의 기원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담고 있다. 본 논문은 19세기 중엽 '도시'가 갖는 시간적 ·공간적 특수성과 새로운' 예술의 자기정의가 어떤 필연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가를 성찰한 문화비평가이자 예술사회학자로서의 보들레르의 미막을 그의 모더니티개념을 중심으로 고찰할 것이다. 또한 예술은 현실에서 시작해서, 현실로부터 초월로 나아갈 수 있다는 그의 형이상학적 미론 역시 모더니티 개념 안에서 고찰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보들레르의 모더니티 개념의 역사성(시간성)과 예술성(초월성)에 대한 연구가 될 것이다. 보들레르의 모더니티 안에는 근대성 우리의 시각으로 보아 이미 지나간 시대의 가치개념 과 현대성 모든 예술의 현재의식과 초월성에 대한 사유를 일컫는 말이라면 어느 시대에든지 질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 의 개념이 모두 포함피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보들레르의 모더니티 개념은 1863년 출판된 논문 「현대생활의 화가 le peintre de la Vie Moderne」 에서 처음 나타나고 정교화된다. 그의 초기의 대표적 미술비평문인 「1846미술비평」 은 새로운 예술과 예술가가 나타나야 할 필요성을 '현대 생활의 영웅주의'와 연관지워서 피력하고 있기는 하지만 본격적인 논의는 하지 않는다. 초기의 예술론을 대표하는 그 논문은 모더니티 개념의 맹아적 형태로서의 '낭만주의' 개념을 통해 그러한 필요성을 전개하기는 하지만 이후 후기의 「현대생활의 화가」 에서 수정을 거쳐 모더니티 이론으로 정립된다. 보들레르는 1848혁명의 실패를 경험하고, 또 1852년 이후 제2제정기로서의 프랑스 사회를 경험하면서 초기의 미술비평문에서 보여주던 것과 같은 정치적 사회적 낙관주의로부터 완전히 등을 돌리게 된다. 이제 정치적 사회적 변혁의 가능성에 대한 믿음을 상실한 보들레르는 오로지 예술을 통해서만 현실과 관계한다. 그는 자신의 현재를 '예술적으로' 성찰하는데 골몰한다. 탈정치적이고 심미적인 현실 이해를 통해 보들레르는 비필소 자신의 독자적인 미론을 창안해낸다. 보들레르의 모더니티 논의는 우리에게는 모더니즘과 밀접히 연관된 예술론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사실 '현재'라는 개념의 이중적인 함의를 통해 모던한 사회에서 '심미적 삶'의 가능성을 고심하는 일종의 문화 철학적 논의이기도 하다. 본 논문은 삶과 예술, 현재성과 영원성, 현실과 이념의 관계가 보들레르의 논문에서 어떻게 논의되고 있는지를 이제 보여줄 것이다. 보들레르의 논의 자제로 들어가기 전 먼저 살펴보아야 하는 것이 모더니티의 형용사로서의 모던이라는 개념의 문학적이고 예술적인 변천사이다. 이는 보들레르의 모더니티가 문학과 예술의 역사에서 전적으로 새로운 미적 의식을 갖고 왔다는 판단에 기인한 것으로 각 시대가 자신의 현재를 모던이라는 개념을 사용하면서 어떻게 의식하고 있는가를 연대기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그러한 평가의 의의를 더욱 더 잘 이해해 볼 수 있을 것이다. Baudelaire´s main aesthetic position is reflected on Modernity. In the context of literary and artistic history of the Modern, Baudelaaire´s Modernity concludes periodically-repeated debates between the Ancients and the Moderns from medieval age. Before modernity, modern, consciousness of present or now has defined itself as lackness, in comparison with the antiquity, which is ahistorical, transcendental and eternal ideal of art. But by definition of modernity, ˝´La modernite´, c´est le transitoire, le fugitif, le contingent, la moitie´ de l´art, dontl´autre moitie´ est l´e´ternel et l´immuable´, Baudelaire makes it impossible for present or modern refer to past or be compared with ancient as great art. From then on, every art or every present consciousness stops comparing with past, instead makes eternity as its binary opposition. But unlike traditional thought, eternal beauty is not atemporal but temporal and embeded in concrete actuality. ´Peintre de la Vie Moderne´, published in 1863, has some important aesthetic concepts, for example, dandysm, artificiality as antinaturalism as well as modernity. This essay concentrates on the analysis of modernity in relatin to representation of the present and Guys as painter of modern life. By the concept of represention of the present, Baudelaire questioned traditional and classical strategy of representation. Traditionally, re-presentation has been understood as secondary and cognitionally inferior to presence because the object of represention, entity, transcendental beauty, or meaning as full presence is prior and superior to representation activity. But by making the present the object of represention, Baudelaire makes us rethink the meaning of the present and representation. He suggests double meaning of the present, first, authentic present which has full presence, and second, historical present which lacks life, meaning. He hates his contemporary society, where every progress results in decadence. He suggests that representatin is better than historical present and that representation changes modern present into aesthetic present, thanks to the artist's ability. Baudelaire designates Constantin Guys, a minor artist as painter of modern life. Baudelaire's choice is not a mistake, as most post-generation critics believe. Baudelarie praises Guys in two respects. First, He goes out in the street and experiences the crowd and street scenes to the full before drawing. As phantasmagoria having self-consciousness, Guys sufficiently espouses people. And then, He returns to his studio. His painting, Baudelaire calls a perfect dessin. Finally I would like to make it clear that two different definitions of modernity in ´Peintre de La Vie Moderne´ can be compatible even thogh they totally look like different. First definition is about modernity and then modernity concludes two elements, the eternal and the transient in itself. Second definition is about art and then modernity is identified with nly the transient. Modernism defined as pursuit of the new makes Baudelaire's Modernity is not only about modern art theory but also aabout aesthetic life. Moreover, modernity is always related with Eternity. Baudelaire always gives his aesthetic concepts double meaning and makes that two meanings be collided. In his definition, Modernity is trasitory, that is new, or at the same time transitory and eternal. But Moderism theorists missed half of the definition of modernity. So, Baudelaire is not the origin of modernism as traditiom of rupture. In conclusion, by modernity, Baudelaire as modern thinker wants to reformulate his contemporary society aesthetically and ´modern´ beauty.

      • KCI등재

        김수영 시의 모더니티―모더니티에 대한 새로운 이해

        김유중 한중인문학회 2006 한중인문학연구 Vol.18 No.-

        Modernity of Kim Su-young's poetry ― The new understanding about modernity ― Kim, You-joong This article starts with the fundamental question concer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ity in Kim Su-young's literature. To him, modernity is not simply the result of Western modern spirit ; it cannot be accepted as a fixed form or a dogmatic form like this. Instead it can be recognized and regarded as the self-will to be renewed everlastingly. From this viewpoint, his poetics is not different from the ideal of modernity, for what he seeks in his poems is the possibility and will for endless self-renovation. He attempts to overcome the limit of the modern through this frame of thought. His understanding of modernity is contrasted to the case of Kim Ki-rim, who had similar thought a little earlier than Kim Su-young. Kim Ki-rim approaches this concept from the viewpoint of philosophy of history; to him modernity is a task which should be pursued actively with the birth of modern period and should be gotten rid of at the end of modern period. In contrast, Kim Su-young believes that we are still in the modern stage, and emphasizes that modernity should be newly recognized as the reawakening the necessity of endless self-renovation. The difference is apparent in understanding historic change of the lyrical form. Kim Ki-rim regards songs with communal consciousness as the desirable lyric form, whilst Kim Su-young argues the necessity of accepting non-poetic or prosaic element for the nenewal and self-renovation of poetic form. It is a matter of debate to insist that we are still in the modern society. However, it is clear that to overcome modernity we need to start from the new understanding and overcoming the thought of modernity. 이 논문은 김수영 문학에 나타난 모더니티의 특성에 대한 근원적인 의문으로부터 출발한다. 그에게서 모더니티란 단순히 서구적인 근대 정신의 산물에 그치는 것이 아니었다. 모더니티란 이렇게 고정된 개념으로, 혹은 교조화된 형태로 인식되고 받아들여질 수 있는 것이 아니었던 것이다. 그것은 항상 새로워지려는 자기 혁신에의 의지라 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그의 시작 또한 이런 그의 모더니티의 이념과 다르지 않아 보인다. 그가 시작을 통해 추구한 것은 늘 스스로 새로워지려는 자기 혁신에서의 가능성과 의지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사유의 틀을 통해 그는 근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였던 것이다. 그의 모더니티에 대한 이해는 그보다 앞서 유사한 모색을 하였던 김기림의 경우와 대비될 수 있다. 김기림은 역사 철학적인 관점에 입각하여, 모더니티란 근대의 시작과 더불어 적극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과제이며, 근대의 몰락과 더불어 폐기되어야 할 대상이라고 생각하였다. 이에 반해 김수영은 우리 사회는 아직도 근대의 연장에 위치해 있으며, 그와 동시에 모더니티란 항상적인 자기 혁신의 과정으로 새롭게 재인식되지 않으면 안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런 그들의 차이는 서정 양식의 시대적 변화와 관련된 대목에서도 극명하게 드러난다. 김기림이 이후 우리가 추구하여야 할 서정 양식으로 공동체 의식을 담은 노래를 강조하였던 데 비해, 김수영은 시 양식의 새로운 자기 혁신과 갱신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산문적인 요소, 비(非) 시적인 요소가 과감히 도입될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했던 것이다. 오늘날 우리가 아직 근대 사회 속에 머물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다소간의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근대의 극복이란, 김수영이 강조하였듯이, 그와 같은 근대적인 모더니티의 사유 체계를 새롭게 이해하고 극복하는 데서부터 출발하여야 하리라는 점이다.

      • KCI등재

        독일사 속의 근대성과 복지, 1870-1945

        홍영선(HONG YOUNG SUN) 한국독일사학회 2013 독일연구 Vol.- No.25

        복지와 근대성은 근대 독일사 서술에서 중심 개념으로 자리 잡아왔다. 그러나 복지와 계몽주의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오랫동안 규정해온 근대성과 자유주의와 해방 사이의 규범적 연결이 근대 독일사의 이해를 가장 진척시켰던 저술들에 의해 의문시됨으로써 이 발전은 중요한 이론적 결과들을 야기하고 있다. 복지에 대한 최근의 연구들은 독일 제국의 근대성을 강조하면서, 동시에 진보적인 사회 개혁이 빌헬름 시기로부터 나치의 사회 및 인종정책에 이르는 중요한 연속성이 되었던, 자유를 제한하는 억압적 차원도 가지고 있다고 제시한다. 그뿐 아니라 나치 독일을 ‘인종 국가’로 보는 최근의 해석은 인종적으로 가치 있는 주민들을 향상시키기 위한 진보적 사회 프로그램들과 인종적으로 열등한 자들을 주변화하기 위한 부정적 프로그램들이 일관적이며, 근대적이며, 그러나 명확히 자유를 제한하는 복지 개념의 두 측면을 대표한다는 것을 강조해왔다. 이 논문은 복지와 사회 개혁에 대한 급증하는 문헌들이 복지와 근대성 사이의 모호한 관계를 어떻게 다루어 왔는지 살펴보며, 나치 독일을 ‘복지’ 국가로 성격 규정하는 데 내포된 이론적 도덕적 문제들에 초점을 맞춘다. For decades now, our understanding of the novelty and significance of the German welfare state has been intimately linked to our understanding of the modernity of German society, or the lack thereof. Originally, the Bismarckian social insurance system was linked positively to the paternalist aspirations of the authoritarian national state and its proud rejection of the norms of west European modernity.1) For the leading figures of what came to be known as the Bielefeld school, however, the precocious establishment of the Bismarckian social insurance system represented a strategy designed to guide Germany permanently away from the normal path to modernity by short-circuiting the pressures for democratization. In this schema, social insurance was the carrot that was intended to soften the harshness of the repressive stick provided by the Anti-Socialist Law(1878-90) and the denial of democratic rights, wean the nascent working classes away from the party of revolution, and reconcile them with an authoritarian but paternalistic state. This Bismarck-centred perspective on the authoritarian, reactionary or defensive modernity of the German welfare state has been substantially complicated by recent research.2) But the real issue lies elsewhere, because the most important recent studies of the German welfare system have not so much attacked this interpretation of the Bismarckian welfare state as found it to be not relevant to their critical concerns. If the question was originally framed in terms of modernization theory, since the 1990s the relationship between welfare and modernity has been dominated by the concept of social discipline and by the claim that Nazi welfare and social policies were determined more by modern sciences such as eugenics and regional planning than by an archaizing rejection of modernity. This shift is the result of the confluence of two historiographical trends. First, the dispute over Germany’s ‘special path’ (Sonderweg) to modernity has given rise to a new wave of research which has clearly established the modernity of German society and economy during the Kaiserreich and the Weimar Republic. This literature has argued that Progressive social policies were inherently contradictory because their strategies for emancipating the lower classes and improving their way of life often relied on illiberal, coercive means. In turn, this insight gave rise to the claim that, even though the Progressives were often the most important proponents of modernization in Wilhelmine and Weimar Germany, there are important continuities between the authoritarian, technocratic tendencies some actual and some merely latent of Progressivism and the social and racial policies of the Nazis. These two lines of argument come together in the notion that the apparently progressive eugenic measures to promote the health, welfare and procreation of the population and the Nazi efforts to marginalize and ultimately exterminate the racially undesirable groups must be seen as two sides of the same coin. They are, at bottom, simply different manifestations of the fundamental, underlying contradictions of German modernity.3) Second, over the past decades historians have increasingly characterized the Nazi regime as a racial state whose goal was to recast bourgeois society on the basis of its racial world-view.4) This new approach has also given us a clearer perspective on the modernity of Nazi social and welfare policies by showing how Nazi policies of discrimination, exclusion and annihilation can in part be traced back to the same social scientific discourses and administrative practices that were the origin of the German welfare state. However, this insight has been gained only at the cost of deepening our concern over the potential conflict between modernity and emancipation. In the literature on the German welfare system from the Kaiserreich to the Third Reich, the heart of the issue is that the normative connection between

      • KCI등재

        Unfinished modernity or another modernity? The South Korean case

        황석만,임진호 한국사회과학협의회 2015 Korean Social Science Journal Vol.42 No.2

        South Korea has experienced ‘‘compressed capitalist development’’ over the last five decades, characterized by unprecedented levels of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with other distinctive features. This development experience causes some scholars to view the country as a site for a new modernity, following the Western prototype. Concerning the underlying nature of emerging modernity in South Korea, however, there have been controversial insights: some scholars argue that the country is now experiencing a Western type of modernity, and others refute this, saying that it has not at all been modernized.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ynamics and contradictions of capitalist development in South Korea from a perspective of vertical modernization. It considers the origins, process, and outcomes of modernization mainly in terms of democracy, economic growth, and welfare. We assume that there are ‘‘different sites and forms of modernity’’ in the world, and that South Korea would be a good candidate to examine for non-Western modernity. Yet it is our contention that the country’s modernity has been distorted and unbalanced in the development of society, culture, politics, and economy. Historically, South Korea has progressed through traditional unmodernity, colonial undermodernity, and Western modernity. A clear examination of the country’s development experience reveals to no small degree the complex nature of modernity, in that tradition, modernity, and postmodernity coexist in the present time. We conclude that South Korean modernity is an incomplete project still in progress.

      • Thinking Modernity Historically: Is "Alternative Modernity" the Answer?

        Dirlik, Arif The Asian Association of World Historians 2013 The Asian review of world histories Vol.1 No.1

        This essay offers a historically based critique of the idea of "alternative modernities" that has acquired popularity in scholarly discussions over the last two decades. While significant in challenging Euro/American-centered conceptualizations of modernity, the idea of "alternative modernities" (or its twin, "multiple modernities") is open to criticism in the sense in which it has acquired currency in academic and political circles.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Asian societies suggests that the search for "alternatives" long has been a feature of responses to the challenges of Euromodernity. But whereas "alternative" was conceived earlier in systemic terms, in its most recent version since the 1980s cultural difference has become its most important marker. Adding the adjective "alternative" to modernity has important counter-hegemonic cultural implications, calling for a new understanding of modernity. It also obscures in its fetishization of difference the entrapment of most of the "alternatives" claimed--products of the reconfigurations of global power--within the hegemonic spatial, temporal and developmentalist limits of the modernity they aspire to transcend. Culturally conceived notions of alternatives ignore the common structural context of a globalized capitalism which generates but also sets limits to difference. The seeming obsession with cultural difference, a defining feature of contemporary global modernity, distracts attention from urgent structural questions of social inequality and political injustice that have been globalized with the globalization of the regime of neoliberal capitalism. Interestingly, "the cultural turn" in the problematic of modernity since the 1980s has accompanied this turn in the global political economy during the same period. To be convincing in their claims to "alterity", arguments for "alternative modernities" need to re-articulate issues of cultural difference to their structural context of global capitalism. The goal of the discussion is to work out the implications of these political issues for "revisioning" the history and historiography of modernity.

      • KCI등재

        중국 관료제의 근대성과 비판전통

        김창규 ( Kim Chang-gyu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6 역사학연구 Vol.63 No.-

        본고는 우드사이드(A. Woodside)의 논의를 중심으로 삼아 중국 관료제의 근대성을 짚어보고, 더 나아가 관료제 사회의 문제점과 이에 대한 비판을 추적하여, 동아시아 전통 속의 근대성을 재사유하자는 의미에서 기획된 글이다. 근대화의 척도로서 서구 중심적 근대성은 서구 편향을 가질 수밖에 없다. 그런데 최근 서구 중심적 근대성에 대해 서구 및 동아시아 학계에서 비판이 제기되어 오고 있다. ‘다중근대성’과 ‘유교근대성’은 그 대표적인 논의이다. 직업적 엘리트에 의해 귀족제가 대체된 것을 근대성의 한 조건으로 간주한우드사이드는, 과거를 기반으로 하는 宋代 관료제가 매우 근대적인 제도였으며, 유럽보다 훨씬 더 일찍 선취했다고 본다. 세습적 권력이 아닌 인재 교육을 바탕으로 하는 통치 실현은 이성이 일궈낸 합리화의 과정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이 관료제 하에서 문서와 능력 본위의 정치가 시행되었고, 자유로운토론과 논쟁이 전개되었다는 것이다. 서구적 근대성에 비판적인 논의들은 송대에 실시된 鄕約이 근대적인 것의 전조로서 공동체 의식을 조성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본다. 또한 社倉은 민간에 공공적 공간을 만들어 사회의 변동에 부응하는 질서를 수립하고자 한 것으로 평가한다. 이로써 보면 후진적 권력과 봉건적 경제 형태로 특징 지워진 동아시아에 대한 기존의 인식은 부정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료제가 지닌 문제점을 가벼이 할 수 없다. 전제 권력의강화, 비현실주의, 관료의 비리와 부패, 행정의 비효율성, 사회적 실천에서 구체화된 유교의 병폐 등이 그것이다. 더불어 관료제를 떠받치는 과거제도와 그시행이 초래했던 갖가지 폐단 등은 ‘근대성’을 부정하는 논거가 되기도 한다. 근대성은 ‘단순한 모사에 의해서 뒷받침된 질서를 거부하는 정신적 태도’이며, ‘자기 자신을 자발적으로 갱신하여 활성화시키는 시대정신’이다. 곧 전통에 대한 내부의 비판과 수정은 근대성의 중요한 측면이자 자산이라 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고자 했던 인물로 李贄와 黃宗羲를 들 수 있다. 인간의 욕망을 인정한 이지는 정통유학의 권위와 윤리에 비판을 가했다. 때문에 그는 이단으로 내몰렸지만, 그의 비판 정신은 개혁 혹 혁명가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민본주의에 입각한 황종희의 사상은 선진적이고 개혁적이었다. 그의 사상이 당시에 수용되지 못했지만, 그의 공리적 민본 정치사상은 청말 민국 초 변화된 사회의 요구에 적합한 논리로서 환영받던 이론이 되었다. 관료제와 비판성을 내용으로 하는 중국의 근대성은 19세기 말부터 상실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유교적 전통과 유산의 일부는 동아시아 지역에서 구질서의 몰락에도 완전히 사라져버리지 않았다. 관료제는 그 위험요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남아 있는 것이다. 하지만 관료제 하의 근대성이 오늘날까지 연속성을 갖는지는 의문이다. 관료제 사회의 가장 중요한 유산은 내부 비판이었으나, 오늘날 비판성은 줄어들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이지와 황종희의 회의와 비판까지를 담을 수 있는 근대성을 재사유해야 한다. 재사유한다는 것은 동아시아 전통 그리고 비판성을 새롭게 발견하고 복원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중국의 근대성을 재사유함에 있어서 中華性은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문제이다. 왜냐하면 서구 근대성에 대한 비판을 기회로 삼아 중국의 문화적 위치를 새롭게 정위시켜 문화적 패권주의로 발전할 가능성이 농후하기 때문이다. Western-centered modernity as a barometer of modernization can not help being Western-bias. Nowadays such Western-centered modernity is criticized by the academic world of the West and East Asia. The related leading discussion is on ‘Multiple modernities’ and ‘Confucian modernity’. Woodside regarded it as a condition of modernity that the aristocracy was replaced with the professional elite, and thought the bureaucracy of the Song dynasty based on the state examination called Gwageo was a very modern system much earlier than that of Europe. According to him, the governing system based on elite education, not on hereditary power is a process of rationalization by reason, and under such a bureaucracy, document and merit-based politics was enforced, with open discussion and arguments. Discussions critical of Western modernity regard Hyangyak, the village code conducted in the Song dynasty as a prelude to modernities to form a sense of community, and Sachang, the village granaries is estimated as the one to establish social order meeting with social changes by building a public building.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deny the existing view of East Asia featured with underdeveloped power and feudal economic system. Nevertheless, we should not overlook the problems with bureaucracy, which includes strengthened dictatorship, unrealism, bureaucratic irregularity and corruption, inefficient administration, and Confucian ills represented in social practice. In addition, Gwageo system as the state examination supporting bureaucracy and its negative effect came to the grounds to deny ‘the modernity’. Modernity is not only ‘Mental attitude rejecting order supported by a copy’, but also ‘Spirit of the times which renews and activates oneself initiatively’. That is, internal criticism and revision of tradition is a key point and asset of modernity. It is Li zhi and Huang Zong-xi who tried to represent that. Li zhi who admitted human desire criticized the authority and ethics of traditional Confucianism, which made him called a cult. But his criticism had a major effect on the reformers and revolutionists. Huang Zong-xi’s thought based on democracy was advanced and innovative. His thought was not accepted at that time, but his political thought of utilitarian democracy was welcome during the period of the late Qing dynasty and the early Republic of China as a theory and suitable logic for changing social demand. Chinese modernity based on bureaucracy and criticism began disappearing from the late 19th Century. But, Confucian tradition and part of the heritage did not disappear fully despite the downfall of old order in East Asian area. Bureaucracy still remains in spite of the dangerous element it has. But it is quite doubtable that there is continuity between modernity under bureaucracy and that of today. The most important heritage of the bureaucratic society was internal criticism, but today’s criticism is decreasing. Thus, we should rethink of the modernity which can contain Li zhi’s and Huang Zong-xi’s skepticism and criticism. Rethinking here means that we should newly discover and restore East Asian tradition and criticism. Sino-centrism must be reviewed in rethinking Chinese modernity. Through the criticism against Western modernity, it is because that may be developed into a cultural hegemony by newly arranging the cultural position of China.

      • KCI등재

        한국의 근대성 연구와 "근대주의"

        황정아(Jung-A Hwang) 사회와철학연구회 2016 사회와 철학 Vol.0 No.31

        포스트모더니즘의 위세가 꺾이고 근대-이후(post-modern)를 말하기가 한층 어려워지면서 근대가 갖는 근대다운 성격, 곧 근대성을 해명하는 과제는 한층 중요해졌다. 다시금 활발해진 근대성에 관한 연구는 한국 학계에서도 역사학, 사회학, 문학등의 분야에서 그간 여러 논쟁을 거치며 성과를 축적해왔으나 하나의 통합적 연구의 짜임새를 갖추고 진행되지는 않았다. 이 글은 여러 분야에서 이루어진 한국의 근대성연구가 어떤 공통의 수렴 혹은 결절의 지점을 만들어내는가를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먼저 한국 역사학계의 오랜 논쟁구도였던 내재적 발전론 대(對) 식민지근대화론을 넘어서려는 시도로서 제시된 몇몇 역사담론을 대상으로 삼아 오랜 이분법의 극복을 향한 이론적 탐색이 어떤 근대성 개념에 기대고 있는지 알아본다. 이어 그 가운데 특히 탈근대주의 범주로 분류되고 근대성에 대한 근본적 비판을 표방한 식민지근대성론의 주장들을 상세히 읽어보면서, 이 담론이 식민성과 근대성 개념을 실패와 공백과 불가능이라는 전형적인 포스트-주의적 논리를 통해 정의함으로써 오히려 근대성의 경계를 확장해주는 결과에 이른 점을 분석한다. 한국 근대성연구에서 또 하나 두드러진 특징은 유럽중심주의적 근대성개념을 넘어서려는 문제의식이다. 이와 관련해서는 먼저 서구적 근대성 담론을 뚜렷이 의식하면서 그와의 대비혹은 대조를 통해 한국 및 동아시아의 독자적 근대성 개념을 구축하고자 한 몇몇 논의들이 도달한 지점을 가늠해본다. 이런 대안근대성 담론 가운데 최근 특히 주목받고 있는 유교적 근대성 논의가 현재의 근대성 연구 지형에서 어떤 함의를 갖는지도 살펴본다. 이상의 분석을 토대로 결론에서는 식민성에서 출발하면서도 기존의 탈식민담론과 구별되는 동아시아 혹은 한국 특유의 역사 서사 구축이 갖는 중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근대성을 온전히 해명하는 일은 역설적으로 근대의 지평에 갇히지 않고 근대 이후에 대한 모색을 유지해야만 가능하다는 점에서 ‘근대주의’의 극복이 여전한 과제임을 지적한다. With the theoretical popularity of post-modernism petering out, it became much harder to discourse on the “post-modern” period and the task of elucidating modernity has become ever more im portant. Studies on modernity have thus far built up some notable achievements in Korean academia as well, with wide-ranging debates in the realm s of history, social science, and literature. However, it does not mean that those studies have progressed in a highly structured manner. This paper explores whether such various discourses on modernity are indeed creating certain convergent points. First, some theoretical attempts to transcend the dichotomy between the Indigenous Development Discourse and the Colonial Modernization Discourse that generates long-standing debates in the Korean historical studies, will be investigated in an effort to understand the sem antics of the m odernity concept in those attem pts. The Colonial Modernity Discourse will also be exam ined, as it supposedly presents fundam ental criticisms on modernity, and it w ill be shown that the discourse has paradoxically led to the expansion of the boundaries of the modern as it defines the concepts of modernity and coloniality based on the archetypal postmodern logic which is highlighted by failure, lacuna, impossibility, and soon. Another noticeable element in the studies of modernity in South Korea is the problem atics of overcoming the Eurocentric concept of modernity. In this regard, as some discourses aim to establish a different modernity concept grounded on peculiarly Korean or East Asian historical experiences, this paper seeks to evaluate how well those discourses have achieved their professed goal. A particular emphasis will be placed on the Confucian Modernity Discourse, which has been drawing much theoretical attention recently among “alternative m odernity” discourses. In the conclusion, this paper underline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historical narratives unique to East Asia or Korea through redefining the coloniality concept. The task of overcom ing ‘Modernism’ is also a remaining challenge, because modernity can never be fully elucidated insofar as the perspective is trapped in the modern horizon.

      • KCI등재

        전통과 근대의 ‘부정교합’, 표류하는, 서사의 근대성 - 제국신문(1898.8.–1907.10) 소재 서사와 담론의 근대성 재성찰 -

        최기숙 한국고소설학회 2014 古小說 硏究 Vol.37 No.-

        This paper sheds new light on the ‘multi-faced’ modernity through analyzing the narratives and columns published in Jekuk Sinmun, the Korean newspaper printed in Eon-mun (Korean vernacular), during 1898.8.~ 1907.10, focusing on the asymmetric encounter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This perspective is based on such academic judgement that most pre-researches excluded intentionally or unconsciously the contemporary texts, dealt with traditional customs or old sentiments and only circulated repeatedly at the same circle of modernity discourse. To explain the modernity completely, it should be overcome collecting the same evidences which can prove the one concept of modernity as follows; enlightenment, civilization, cultivation, and Westernization. But also it should be examined the traditional, the regional, sentiment, historicity and old customs which were working as practical and influential cultural power at that time. To reconstitute the whole picture of Korean modernity, it demands to reconsider the contemporary narrative phenomenon which were combined with the concept of the traditional and received the asymmetric encounter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as contemporary reality, not excluding as an inadequate phenomenon. Since asymmetric and incomplete combination between modernity and the traditional was the Korean practical modernization facades. There are published some serialized narratives and stories in Jekuk Sinmun, and which showed the discord between idea and behavior, traditional sentiments and modern reason, old narrative and its modern appropriation, and traditional imagination which covered modern anecdotes. This paper define such narrative features as discord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or swerved modernity to reflect the pre-researches about Korean literary Modernity. 이 논문에서는 『제국신문』에 실린 서사를 대상으로 매체와 이야기의 결합, 전통과 근대의 조우, 나아가 ‘하나이지 않은’ ‘다면체 근대성’의 실상을 해명하고자 했다. 이러한 연구의 관점과 위치 설정은 그간 근대적 양식으로 정착한 신소설이나 근대성을 대표하는 서사물만을 근대 서사로 간주하고 의미화하는 연구사적 흐름에 대해 일정한 재성찰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기인한다. 근대성에 대한 온전한 규명은 계몽, 개화, 문명화, 서구화를 내용으로 하는 근대의 이념적 틀에 합치되는 내용을 동어반복적으로 확인하고 수집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전통ㆍ지역ㆍ정서ㆍ역사성ㆍ관습 등의 다양한 맥락 속에서 생동감 있게 움직이는 역동적인 현장성을 고려할 때 가능해진다. 이를 위해서는 동시대적으로 공존하던 다양한 서사적 현상들, 전통적 요소와 새롭게 창안된 요소를 평등하게 바라보고 이들을 근대 문학(서사)/문화/주체의 구성물로 재정의하려는 성찰성이 요청된다. 따라서 근대에 존재했던 전통적 요소나 고전사사에 대해서도 이들이 근대성의 정의에 맞지 않는다고 해서 ‘함량 미달의 근대성’으로 평가하기보다는, 전통과 근대의 양자를 고려한 가운데 양자가 만나는 과정상의 불일치성이나 부정교합 자체를 근대를 구성하는 여러 모습이나 층위로서 수용할 필요가 있다.『제국신문』에 실린 서사에는 근대적 이념과 처신의 불일치, 전통적 감수성과 근대 이성의 불균형한 조우, 전통 서사의 근대적 전유, 근대적 사건을 포용하는 전통적 상상력의 현존을 확인할 수 있는 사례들이 발견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이를 전통과 근대의 부정교합, 또는 표류하는 근대성으로 명명함으로써, 근대성에 대한 문학사적 재정의와 재성찰을 시도하고자 했다.

      • KCI등재

        근대성의 판타지아 — 1990년대 한국문학의 근대성 담론 —

        황정아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20 개념과 소통 Vol.0 No.25

        The historic self-consciousness and self-narrative of the 1990s, which revolved around the sense of ‘break,’ owed much to the concept, or metaphor, of modernity. This paper examines the narrative and affective construction of modernity discourses in Korean Literature of the 1990s together with epistemic and socio-historical break which they prompted. The emergence of modernity discourses during the decade has largely been explained in terms of the response to the trend of postmodernism and the collapse of the socialist bloc, but absent any necessary link between these two developments and the focus on modernity, it seems that the discourses arose as a product of ideological choice. The trope of modernity, once established, enabled the discourses to sustain the idea of technological and industrial development underlying modernization and also to appropriate the postmodern critique of the modern, while effectively circumventing all attacks, both of modernization and of postmodernism. The discourses present a vastly augmented version of ‘modernity’ resembling a kind of perpetual motion machine, which attempts to rewrite and displace the prevailing narratives on how to go beyond the modern. Despite starting by declaring and lamenting the impossibility of revolution, the discourses mutate into allowing the possibility of modernity, which is then presumably capable of criticizing and even negating itself. Ultimately then, the impossibility thus repressed and turned into a possibility inevitably returns. In these discourses, modernity’s capacity for self-criticism and self-negation ultimately converge into aesthetic modernity, or literary modernism: howsoever thorough modernist criticisms may be, they merely amount to a specific self-referential performance of modernity. The ‘outside’ of modernity is something to be practiced, not just to be discovered, and the practice of overcoming modernity can only begin by accepting, once and for all, that it is impossible for modernity to truly negate itself. 이전 시기와의 ‘단절’을 중심으로 형성된 1990년대의 자의식에 자양분이 되어 주었고 또 그로부터 펼쳐진 서사에 뼈대가 되어 준 핵심 키워드 하나는 ‘근대성’이다. 이글은 1990년대 한국문학장에서 근대성을 적극적으로 내세운 담론들의 서사와 정동구조를 살피면서, 그 담론이 어떤 인식적ㆍ사회역사적 단절을 추동했는지 밝히고자한다. 이 시기 근대성 담론의 출현은 대개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담론적 압력과 사회주의 붕괴라는 현실적 압력으로 설명된다. 하지만 두 압력에 근대성으로 반응한 것은명백히 이데올로기적 선택인데 ‘근대성’은 포스트모더니즘의 근대비판을 일정하게수용하면서도 근대화에 연루된 진보와 발전의 이념을 지속시키기에 용이하며 동시에그 양자에 대한 비판을 피해 나가기에도 용이한 개념이었다. 근대성 담론은 무엇보다근대의 역량을 거의 무한동력에 가깝게 확대하고 그 경계를 거의 영속성에 가깝게확장하는 해석을 제시했으며, 이런 해석을 통해 근대 ‘너머’나 ‘이후’ 또는 ‘바깥’에관한 서사들의 다시쓰기를 수행했다. 구체적으로 근대성 담론은 근대성 너머로 가는일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하는 동시에 이 불가능의 서사를 근대성은 자기부정마저 가능하다는 서사로 전화시킨다. 이렇게 해서 혁명의 불가능성이 근대성 자체의 혁명성으로 대체되고 궁극적으로 망각된다. 하지만 가능성으로 대체된 불가능성이 어떤 흔적을 남기지 않을 수는 없다. 근대성의 내적 자기부정을 설명하는 기제는 미적 근대성으로 수렴되지만 미적 근대성이 아무리 철저히 근대를 비판하고 반성한들 그 행위는 결국 근대성의 자기반영에 지나지 않는다. 그토록 ‘창조적인’ 근대성에도 근본적인 자기비판과 부정은 불가능하다는 점을 인정할 때 근대성의 바깥은 비로소 구현되기 시작할 수 있다.

      • KCI등재

        악의 근대성?: 지그문트 바우만의 홀로코스트 해석에 대한 재고찰

        최성철 한국독일사학회 2017 독일연구 Vol.- No.36

        The interpretation of the holocaust is largely divided into three trends. First, the ‘intentionalists’ assert that Hitler and the Nazi ideology itself had antisemitism and that ‘the final solution of the jewish question’ (Endlösung der Judenfrage) had already been planned and started by Hitler's command before the Nazi’s seizure of power (Machtergreifung). Second, the ‘functionalists’ argue that there was no long-term plan for genocide and that a direct responsibility for the final solution should be laid rather on the Nazi officials in the field than on Hitler. Lastly, the ‘synthesizers’ extract the insights from the two interpretations and try to find the midpoint through various ways. This paper was designed to rethink or refl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locaust and modernity, while introducing and examining the thesis critically that Zygmunt Bauman, a representative scholar of functionalist group, expressed clearly in his chief work Modernity and the Holocaust. According to Bauman, the core responsibility of the Holocaust lies not with Hitler or Nazi leaders, but with modern rationalized bureaucracy, the achievement of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numerous technological bureaucratic means, so-called modernity itself. The Holocaust, however, was closely related to irrationality, anti-scientism, and anti-enlightenment as well as modernity. First, the science of Nazi Germany was nothing more than a pseudo-science dominated by a political and ideological agenda. Racism and antisemitism as a cause of the Holocaust had more pre-modern or anti-modern character. The ‘contempt for unity of rationalism and enlightenment’ was where the core of Nazi ideology stood. In the process of execution, the Holocaust was often practiced in a traditional and archaic way, far from the ‘modernized’ massacre of German bureaucracy. Consequently, the Holocaust was a very complex event in which all of the brutality and rationality, pre-modernity and modernity appeared at once in one body, like a hermaphrodite. The times, goals, and processes of the Holocaust were modern, but its causes, consequences, and effects were pre-modern or anti-modern. So Bauman’s thesis is neither true nor false. If the Holocaust is to be defined in relation to modernity, it should be called ‘evil of modernity’ or ‘modern evil’, not ‘modernity of evil.’ 홀로코스트에 대한 해석은 크게 세 개의 경향으로 갈린다. 첫째는 히틀러와 나치 이데올로기 자체가 반유대주의를 갖고 있었기에 최종 해결이 히틀러의 명령으로 나치 집권 이전이나 초기에 이미 계획되고 시작되었다고 보는 ‘의도주의(intentionalism)’ 경향이고, 둘째는 제노사이드를 위한 장기적 계획은 애초에 없었고 히틀러가 최종 해결에 대한 명령을 내렸다는 점을 의심하면서 그에 대한 직접적 책임이 현장의 나치 관리들에게 있다고 보는 ‘기능주의(functionalism)’ 경향이며, 마지막은 이들 두 해석에서 나온 통찰들을 끄집어내어 다양한 방식들을 통해 중간 지점을 찾고자 노력하는 ‘종합주의(synthetism)’ 경향이다. 이 논문은 세 개의 경향 중 기능주의 계열에 속하는 대표적인 학자 지그문트 바우만(Zygmunt Bauman)이 자신의 주저 『근대성과 홀로코스트(Modernity and the Holocaust)』에서 설파한 테제를 소개하고, 그 테제에 대한 비판적 담론들을 검토하면서 홀로코스트와 근대성의 관계를 새롭게 고민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바우만에 따르면, 홀로코스트의 핵심 책임은 히틀러나 나치 지도자들이 아니라 근대의 합리화된 관료조직, 진보한 과학기술의 성취, 수많은 기술관료적 수단들, 이른바 근대성 그 자체에 있다. 그러나 홀로코스트는 근대성 못지않게 전근대성, 비합리성, 반과학성, 반계몽성 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나타난 사건이었다. 먼저 나치 독일의 과학은 정치적이고 이념적인 아젠다에 의해 지배되던 의사-과학에 불과했고, 홀로코스트의 원인으로서 인종주의나 반유대주의 또한 전근대적이거나 반근대적인 성격을 더 많이 갖고 있었으며, 나치 사상의 핵심이 발을 딛고 서 있던 곳은 바로 ‘합리주의와 계몽주의와의 연합에 대한 경멸’이었다. 집행 과정을 보더라도 홀로코스트는 독일 관료제의 학살과는 거리가 먼, 전통적이고 원시적인 방식으로 자주 시행되곤 했다. 결국 홀로코스트는 야만성과 합리성, 전근대성(반근대성)과 근대성이 마치 자웅동체처럼 한 몸에 모두 나타난 매우 복합적인 사건이었다. 홀로코스트의 시기, 목표, 과정 등은 근대적이었지만, 원인, 결과, 효과 등은 전근대적 또는 반근대적이었다. 따라서 바우만의 테제는 맞는 것도 아니고 틀린 것도 아니다. 굳이 홀로코스트를 근대성과 연관시켜 규정하고자 한다면 그것은 ‘악의 근대성’이 아니라 ‘근대성의 악’ 또는 ‘근대적인 악’으로 불러야 타당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