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인(異人), 소수 문화, 그 차별화 전략과 동화의 처세술 : 18·19세기 야담집 소재 '남성 이인담'을 중심으로 CONCENTRATING ON THE 'MAN OF HERMIT-STRANGER STORY' IN YADAM OF 18·19C

        최기숙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2 한국문화연구 Vol.3 No.-

        The ’hermit-stranger(異人)’ who had unique and excellent talents such as prophecy, astronomical observations, and discernment about man and woman(知人知鑑), were inclined to conceal their abilities and to retire from the world. In this meaning, they were outsiders. They refused a regime and observed their own discipline in exterior world. But strictly speaking, they were estranged from the majorities. They sometimes exchanged informations about astronomy and astrology, excursed in high mountains and secluded valleys, played the musical instruments together, and communicated with tiger, stars and fairies, but mostly lived in independently. Yet, they were not exclusively isolated from the real world. If it was so, their stories couldn’t created at all, or if they were created, they couldn’t handed down till this time. The hermit-stranger stories were composed in forms of witness story by the objectivicated point of view. The narrator noticed on the ‘differences’ from the others and concerned about their own life style. In those stories, their ‘differences’ were metaphored the potentialities which were suppressed and estranged by the majorities. Therefore, careful considerating about the hermit-stranger stories is the way of researching the culture about the majority and the minority of late Chosun. By the way, the category of hermit-stranger in 18·19C include not only the alienated politicians but also a petty officials, merchants, the poor, the beggar, the bandits. What is more, it was enlarged to including the highranking officials. On a consequence, hermit-stranger story in Yadam changed to mean the expressions about excellent and unique abilities of the governing classes and the class of power in 18·19C. Besides, in those period, it came into being the woman hermit-stranger stories, from noble woman to commoner, giseng(妓生), female servant. Such an inclination represent to become usualizing and extending the definition of the word "hermit-stranger" itself, and to searching for the point of compromise between the minority and the majority. Especially, it is worthy of notice that nation or family subsume their absolutly excellent talents. It shows the physiology about the regime and authority of the majority. The meanings about the man of hermit-stranger and the minority which represented the estrangement became to changed to mean the ordinary superiority. As a result, the category of the hermit-stranger and the minority became deterritorized.

      • KCI등재

        구비설화에 나타난 노인 세대의 자식에 대한 기대 수준과 가족관* ‘친딸보다 나은 양아들(양아들이 효도하기/411-5)’ 유형으로 본 ‘재산증여’와 가족의 해체/재구성

        최기숙 한국여성문학학회 2012 여성문학연구 Vol.28 No.-

        According to the senior’s cultural/social position is changed in this aged society otherwise pre-modern traditional society, the aged generation is suffering from the crisis of self-regard. This paper aimed to re-organize of the senior-parents discourses with the viewpoint of anticipation toward their children and values of the family through analyzing oral folk tales. This paper focused on the change of relationship between senior-parents and children when it occurred in inheritance of property and analyze the meaning of money as a qualitative changes amongst family members,senior-parents psychology and imagination which shows their desire to filial duty, as it were, strong expectation of mental royalty and material supporting from their children than blind bloody tie. To explain this issues, this paper analyzed the Folklore Type No. 411-5 ‘an Adoptive son than bloody daughter(filial duty of adoptive sun)’ amongst Hankuk kubimunhak daekye. Undutifulness of biological child occurred when their living together with their senior-parent was extend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or when they inherited a fortune from their parent. The child-generation judges that the more the child have a property, the more they should have responsibility toward their parent. However,psychologically they were positioning themselves as a child who suffered from lack of love from parent, by doing so rationalized their undutifulness toward their parents. The parents who succeeded to all of property to their child-generation were regarded as ‘’surplus-family’ by their children, and encountered economical,social crisis instantly. However, they received this painful experience as their internal emotion. Even they decided to run away from home without money, but they never revealed their complained feelings to their children and never demand to filial duty. In this Folklore Type 411-5, the senior-parent prefer to roaming,begging and committing suicide than living together with their children who dislike or felt uncomfortable with them. This means,in fact, disorganization of family. Moreover, they adopt the other young man who showed hospitality toward them, because they regarded such attitude as serious filial duty. This means reorganization of family. In such process, the senior-parent showed their extremely-elated anxiety; they demanded to the man who became their adoptive son valued serious filial duty than their love toward their baby. On the other hand, when some problem occurred with regard to property right between bloody-child and adoptive one, the one demanded to dissolution of adoption or made dissolution of adoption. For that reason, it occurred another forms of disorganization of family. 90% amongst the storytellers of that type of folk tales are old generation over 60’s. As a result there were reflected anticipation value and anxiety of their child’s undutifulness toward themselves and a imaginative logic which worked in the narratives. The Folklore Type No. 411-5 touched the topic ‘what is the serious filial duty’ and answered that it should embrace the concepys of caring,affecting, and considering toward their parents emotionally,psychologically, and materially. And also this type of folk tales showed that the ‘donated property from parent to child worked as a direct opportunity to dis-rorganization and re-organization of family, by doing so it touched that there should existed some affective anticipation toward parent based on humanistic viewpoint and caring system amongst family members. 이 논문은 고령화 사회를 맞아, 전통사회와는 달리 노인의 사회문화적 위상이 달라짐에 따라, 자존감의 위기를 겪는 노인 세대의 자식에 대한 기대 수준과 가족관의 문제에 대해 새로운 담론의 지형을 재구하기 위한 자원탐색적 연구로서의 시작되었다. 특히 ‘재산증여’를 매개로 한 노인 부모와 자식 세대의관계 변화에 주목하여, 가족 관계의 질적 변화요인으로서의 돈의 문제, 맹목적인 혈연적 유대보다는 부모에 대한 충실성과 보호가능성을 담보하는 효에 대한 질적 기대가 강조되는 노인의 심리와 상상력의 추이에 주목했다. 이를 해명하기 위해 노인의 자식에 대한 기대 수준이 상상적 내러티브의 차원에서 작동하는 ‘구비설화’의 유형인 ‘친딸보다 나은 양아들(양아들이 효도하기/411-5)’유형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했다. ‘친자’의 불효는 부모와의 동거가 장기화되거나 재산 증여를 기점으로 노골적으로 행동화되었다. 자녀는 재산 증여의 정도에 따라 부모에 대한 책임감이가중된다는 판단을 내세웠지만, 심리적으로는 모두 자신을 부모에 대한 애정결핍의 피해자로 위치지음으로써, 불효에 대한 심리적 면죄의 논리를 생성했다. 재산을 자식에게 증여한 부모는 자녀로부터 ‘잉여 가족’으로 처우되었으며,경제적ㆍ사회적 위기에 직면했다. 그러나 부모는 이로 인한 고통을 내적 감정의 문제로 수용했으며, 가출할지언정 자녀에게 불만을 토로하거나 효를 강요하지는 않았다. 해당 설화 유형에서 노인 부모는 자신을 불편해하는 자식과의 동거보다는유랑ㆍ걸식ㆍ자살을 택함으로써 사실상 가족의 해체를 행동화했다. 나아가 자신을 환대하는 타인의 처신을 ‘진정한 효’로 간주하고 양자로 삼음으로써, 가족의 재구성을 도모했다. 그 과정에서 ‘양자’가 ‘자식 사랑’보다 ‘효’를 중시하는태도를 보여주기를 기대하는 극단화된 불안 심리를 보여주었다. 한편으로, 양자와 친자 사이에 재산권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 친자의 요구와 계략에 의해파양되는 가족의 해체가 발생했다. 해당 설화의 구연자중 90%가 60대 이상의 노인인 만큼, 여기에는 노인 세대의 효에 대한 기대 수준과 자식의 효심에 대한 불안 심리가 투영된 상상의논리가 작동하고 있음에 유념할 필요가 있다. 해당 설화는 노인 부모에게 ‘진정한 효’란 자식이 그 자식의 생명보다 부모에 대한 관심과 애정, 배려를 우선구비설화에 나타난 노인 세대의 자식에 대한 기대 수준과 가족관∙최기숙 371시하는 수준의 봉양과 존중을 의미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동시에 재산 증여가가족의 해체와 재구성의 매개로 작용함으로써, 혈연 우선주의를 넘어선 인간적 애정에 대한 기대와 돌봄의 가족 관계에 대한 기대가 요구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이념의 근대와 분열/착종되는 근대 여성의 정체성과 담론 -『제국신문』 논설·기서(별보)·서사의 여성 담곤과 재현 -

        최기숙 한국여성문학학회 2014 여성문학연구 Vol.31 No.-

        This paper explained the paradox and contradictions surrounding modernization project which was leaded by modern printed media and especially focused on Jekuk-Sinmun, a representative early modern newspaper which scripted in Hangeul (Korean vernacular) with analyzing the traditional culture, custom, system, thought and knowledge, arranged at main column, correspondence column and imaginative narratives including short stories. And also this paper re-interpreted such paradoxes between modernity and tradition which were represented as column, article, and narratives with the gender perspective. The modernity as a project and idea was not exactly corresponded with the contemporary ordinary people's practical and real lives. As a result, there were conflicts and paradoxes between idea and life, logic and experience. With the gender perspective, the modern elites group premised pre-modern women's lives should totally changed by criticizing the traditional custom like early marriage, prohibition of remarriage. However when they serialized 'column on custom reformation' as a main column, they still focused on woman's main social roles and identities as mother who should educate children and supporte their husbands. The reason that woman should be educated in the modern school was subordinated in home education for children and pleasure for family society. There was not implied the idea of woman's self-realization. And such topics of columns were supported and released by the woman readers who sent their letters to the newspaper company. In case of narratives published in Jekuk-Sinmun, woman characters were portrayed as sacrificing wives who never took care of themselves. They only dedicated their lives for their husband, father and master to keep the moral as like chastity for husband, filial duty for father, and royalty for master without considering their lives. The women's lives and their culture which were represented in Jekuk-Sinmun were coincidence with those of pre-modern society. This paper shed new light on the paradox and contradiction of modernity as the idea of modernity which is not one. 이 연구는 근대 초기에 근대 기획의 과정에서 전통적 문화 관습풍속 제도 사상 학문 등을 부정적으로 비판하는 형식으로 근대의 새로운 문화와 풍속 제도를 창출하고 설득하는 과정에서 근대 계몽의 논리가 지닌 모순과 착종이 발생하는 것에 착목했다 특히 젠더적 관점에서이러한 한 점이 발견되는 점에 주목하여 이를 근대와 전근대의 불균형한 만남으로 재조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여성을 주요 독자로 상정하면서 국문표기를 선택했던 제국신문 의 논설과 기서 별보 서사에 나타난 여성담론과 재현 방식을 분석했다기획과 이념으로서의 근대는 일상과 경험으로서의 근대와 정확하게 일치하거나 조화를 이루고 있지 않았으며 삶과 이념 경험과 논리가 충돌하는 과정에서 논리적 정서적 모순이 발생했다 젠더적 차원에서 근대는전근대의 여성문화를 개량의 대상으로 전제했으며 조혼 개가금지 등을비판하면서 근대 여성의 개화와 계몽을 촉구했다 그러나 풍속개량론에서 다루어진 근대 여성의 역할은 여전히 어머니와 내조자의 위치로 한정됨으로써 이전 시대와 연계성을 보였다 여성이 학문을 해야 하는 이유도자녀의 가정교육과 가족사회의 쾌락에 종속되어 있었으며 여성의 자아실현이라는 개념은 제시되지 않았다 그리고 이러한 논설의 주장은 이를지지하는 여성독자의 투고를 통해 공감대를 형성하며 확산되었다독자의 상상적 지지와 호응 속에서 성립하는 서사의 경우에도 여성은 여전히 가장과 남편을 위해 희생하는 현모양처의 형상을 유지했다 또한 자신의 사회적 자리를 누락시킨 채 삼종지도를 따르거나 충효열의 이념에희생되는 여성을 치하하는 입장을 유지했다 남성에게 은혜를 갚기 위해자신의 성과 삶을 희생하는 여성을 호기심의 대상으로 기술하는 한편 여성을 남성의 조력자로 형상화했다 논설에서 강조되었던 근대적 여성상과문화 내역은 여전히 전근대적 여성성의 자장 안에 포섭되어 있었으며 여성의 열을 표창하는 문화가 이어지면서 음녀를 규탄하는 담론을 이어갔다이 논문에서 이러한 모습을 근대성에 대한 정의의 착종과 모순 역설로규정하고 바로 이러한 모순이 근대에 존재하던 문화의 현장이었음에 주목하여 하나이지 않은 근대를 재성찰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했다.

      • KCI등재
      • KCI등재

        예술가의 유배 체험과 내적 성찰 : 조희룡의 유배 체험과 글쓰기

        최기숙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5 한국문화연구 Vol.9 No.-

        19세기 문인이자 중인 화가인 조희룡은 철종의 조부인 진종의 위패봉안 문제로 영의정 권돈인이 처벌되는 과정에서 그와 친분이 있었던 김정희와 친분이 있다는 이유로 유배의 명을 받고 1851년 8월 22일부터 1853년 3월 14일까지 전라도 임자도에서 유배 생활을 하게 된다. 그는 유배지로 향하는 노정에서 시 창작을 통해 충격과 상심, 번뇌와 갈등의 심회를 표현했는데, 유배의 충격과 낯섦의 심상, 유배생활에서 위안을 찾는 동안의 소통과 초월의 심상, 해배의 감격과 환희의 심상 등이 중심을 이룬다. 그는 유배지의 삶을 견딜 만한 것으로 변용시키기 위해 공간을 심미적으로 창조하고 그 안에서의 심미적 삶을 향유하기 위한 일련의 모색을 시도한다. 이와 아울러 유배지의 낯선 관경이나 생활 방식에 대해서도 호기심 어린 시선으로 관찰하고 이를 기록함으로써 유배지의 삶에 대한 호감과 애정을 표현하였으며, 대화가 가능한 친화적 상대와의 교유를 통해 삶의 지평을 확대해 나가고 그 안에서 긍정성을 발견하려는 적극적인 태도를 보여주었다. 다른 한편 그는 시와 산문, 회화 창작을 통해 문인이자 화가로서의 존재감을 확인해 나갔다. 이는 내면과의 대화를 통해 고독과 분리감을 극복하는 개인적 모색에 속한다. 그는 벽오사 동인들과 편지와 시화를 주고받음으로써 원거리 시회를 시도했으며, 유배지에서의 심경에 대한 관찰과 경험을 바탕으로 회화와 사물, 시화 회화, 창작 행위와 작품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시도함으로써 화론을 정립하는 계기로 삼기도 했다. 이는 '시화상응론(詩畵相應論)', '시화일체론(詩畵一體論)', 물예조응론(物藝照應論)'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심미성을 존재 근거로 삼고 있던 예인적, 문인적 자의식에서 기인한 것으로, 유배지의 고독한 삶을 창조적으로 변용시키기 위한 예술가의 내적 모색의 예술적 승화 과정을 보여준다. Cho, Hee-Ryong(1797~1859) who was a painter and writer of middle calss in 19th Century was doomed to be exiled to ImJa island in ZeonRa-Do from August 22 in 1850 to Mars 14 in 1853, it was result from the political struggle connected with Kim, Jung-Hee(金正喜, 1786~1856) who was politically related with Kuon, Don-In(權敦仁, 1783~1859), the prime minister at that time. Cho, Hee-Ryong wrote many poems which were expressed the confusion, heartbreak, sorrow and anguish in the course of arriving to the exiled place. Those poems contained the images of strangeness at first, communication and transcendence during his living in that place, and delight at last to listen the news about his liberation. In the beginning, he tried to decorated his house and private room with beautiful Japanese apricot flowers and painting which was painted the portrait of So, Dong-Pa(蘇東坡), the Chinese poet by himself. At the same time, he began to observe and record the scenary and unaccustomed life style of ImJa island. By such exertions showed his favorable emotions and affection about his life. He pursued the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 natives and tried to find positively some good points of them. In addition to, he intended to find his own identity as a poet, writer, and painter through continuous writing and painting. Such actions were resulted from his private effort about overcoming his loneliness. He often sent letters to his best friends, especially to the members of poet and writer group named by ByeokO-Ding SiSa. And he wrote lot of proses about art. especially essays which were written by focusing on the relation between painting and poem. painting and object, and artistic work and creating action. This essays showed his opinions about the integration of the poem and the painting, the correspondence of the poem and the painting,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artistic work and the objet. Such consequences were resulted from his self-conscious as a writer, poet, painter and an artist, and showed his effort to changed his solitary times into sublimate creative ones.

      • KCI등재
      • KCI등재

        도시, 욕망, 환멸 : 18·19세기 '서울'의 발견 A Discovery of Seoul in 18·19C 18·19세기 야담집 소재 '상경담(上京談)'을 중심으로 concentrating on 'The Story about coming up to the Seoul上京譚' in 18·19C Yadam野談

        최기숙 韓國古典文學會 2003 古典文學硏究 Vol.23 No.-

        18·19세기 야담집에서 '서울'은 '권력'과 '출세', '부'의 추구 공간이자, 이를 기반으로 풍부한 문화적 경험을 하고, 취향과 기호의 향유를 통해 개성을 발휘할 수 있는 풍요로운 도시로서 이해되었다. 그러나 그 이면에서 서울은 타락과 거짓을 용인하고 양산하며 방관할 뿐더러, 도시민과 그 주변인들의 욕망과 기대를 채취하고 달아나는 공허한 도시로서의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었다. 특히 '서울 지향성'을 보여주는 '상경담'들은 서울이 '출세'와 '부'라는 '성공'의 표상 공간으로 이해되고 있음을 보여주는데, 이는 야담에서 구체적인 인물이 경험하는 삶의 내용으로서 탐구되었다. 해당 시기의 야담은 당대 '서울'의 실상을 사실적으로 관찰하여 수용하고자 하는 문학 정신을 표현하는 동시에, 파행적 문화에 대한 '풍자적 포용'과 '해학적 관조'를 통해 이를 이해하려는 의지를 보여주었다. 해당 시기의 야담은 사실적인 묘사로 당시의 세태를 관찰하는 문학적 힘을 발휘했지만, 그 이면에서 '기만'과 '협잡', '부패'와 '청탁' 등의 부정적 행위를 '정치적 생존술'이나 '경제적 전략'으로 옹호하면서 이에 대한 도덕적 반성이나 감성적 판단을 결락시키는 성향을 보여준다. Seoul had been recognized of not only the center of cornmerce but also the place which is possible to significant communicate, discover person's own taste and fancy, and to lead a life worthy of man. The other side, Seoul had the negative images of corruption, vanity, violence and disillusion. By observing such changes and describing them in the form of character's personal experiences, the 18·19C yadam show their detailed life which is adjusted themselves to the new circumstances at that times. The characters in 18·19C yadam who were intended to realize their own ideal and ambition about money and power were figured vividly. By tring to come up to the Seoul, they pursuit new social positions. But such process, they went through those changes from the human relations to the personal connections, from the relationship of mutual trust to the economical and political contract. As a result, yadam discrive the corrupt behaviors such as 'deceit', 'swindle', 'depravity', 'injustice' are defended as 'survival skill', or 'economical strategy'. But there are not found the moral introspection or sensitive judgement. It is the new literary topography of yadam. And in this point, yadam present the classical propulsive force to the literature, what is the new horizon in the literature beyond the 'observation' and 'sarcas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