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사회의 미묘한 차별과 대응의 서사모형에 관한 연구

        오영섭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4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3 No.3

        한국사회에서 이주배경의 인구수는 증가하고 있지만, 주류사회의 이주민에 대한 태도는 변화하고 있지 않다. 북미의 연구에서 미묘한 차별에 대응하는 개입 전략이 제안된 바 있다. 본 연구는 미묘한 차별에 대한 대응을 한국사회로 확장하고, 서사모형을 통해서 7가지 유형의 미묘한 차별의 개입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론문헌 연구를 통해 개념을정리하고, 구체적으로 한국의 기업현장을 배경으로 다섯 유형의 관련자들과 내러티브변화 과정을 기호학을 기반으로 고찰했다. 본 연구를 통해서 미묘한 차별에 대한 대응은 중재자, 표적자, 가해자, 협력자, 방관자 등의 다양한 주체 간 상호작용을 통해 내러티브가 치유적으로 변화하는 과정과 가능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맥락에서 개입 모형을 제안하여 미묘한 차별을 대응하는 과정을 연구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Mainstream society’s attitude toward immigrants has not changed, although the number of immigrants is increasing in Korea. As micro-intervention has been proposed as a strategy to cope with micro-aggregation in the North America, this study expands the concept of micro-intervention to Korean society and proposes seven types of micro-intervention, applying narrative models. Through theoretical literature research, the concepts of micro-aggregation and micro-intervention were summarized in the North America, and the processes of related subjects and narratives change were examined based on semiotics. Specifically, seven types of narrative models for micro-aggression and ­intervention were presented with the background of a Korean business case. Ultimately, this study shows that micro-intervention is a possibility and process of transforming their narratives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various subjects such as mediators, targets, perpetrators, collaborators, and bystander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providing foundational research on micro-intervention against micro-aggression by proposing narrative models in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

      • KCI등재

        The Role of Narratives in Forming a Micro-Ecclesial Community of Missional Discipleship: Focusing on the Case of Korea IAMS Fellowship

        Bokyoung Park 한국선교신학회 2024 선교신학 Vol.73 No.-

        이 연구는 오늘날의 시대에 하나님의 선교를 구현하는 방법으로 선교적 제자도를 실천하는 작은 에클레시아 공동체를 형성하는 것을 주장한다. 또한 작은 공동체 안에서의 네러티브의 공명이 작은 에클레시아 공동체 형성의 핵심적 역할임을 주장한다. 이 연구는 이야기적 접근을 시도하는데, 필자가 주장하는 작은 신앙 공동체의 사례로서 한국얌스펠로쉽을 살핀다. 작은 신앙 공동체로서 한국얌스펠로쉽은 참여자들로 하여금 환대를 통한 생명회복의 경험뿐 아니라, 삶의 의미와 소명에 대한 분별과 지혜를 제공받 는 공동체가 된다. 공동체의 핵심에는 코이노니아와 진정한 제자도의 실천 의 경험이 있다. 마지막으로 사례분석을 통해 3가지를 제안한다. 첫째, 작은 공동체는 참여자들의 통전적 성장을 위한 공동체적 플렛폼을 제공해야 하며, 둘째, 작은 신앙공동체를 형성함에 있어서 핵심적인 차원이 이야기의 공명이며, 셋째, 작은 신앙 공동체는 참여자들의 이야기가 공동체를 넘어갈 때 선교적이 될 수 있다. The study aims to argue that the formation of micro-ecclesial community of missional discipleship become possible through the resonance of narratives. The study takes the “narrative approach,” focusing on the Korea IAMS Fellowship as the case of a micro-ecclesial community. The micro-ecclesial community is a place where people experience life-affirming transformation through hospitality and kindness while also finding discernment and wisdom about the meaning of life. The essence of such community lies in the experience of koinonia and true discipleship. The paper provides Korea IAMS Fellowship as a case of micro-ecclesial community. Finally, the paper suggests a few lesson on formation of micro-ecclesial community in following: 1) Micro-ecclesial community provides the communal platform for the holistic growth of participants. 2) The resonance of stories plays the key role in creating a such community. 3) The micro-ecclesial community becomes missional when the stories cross over the boundary of the community.

      • 중국 미(微)영화의 미학적 특징

        하설(XIA XUE) 민족미학회 2015 민족미학 Vol.14 No.2

        근래, 인터넷 통신 기술이 발달하면서 중국은 web2.0 시대에 진입한다. 특히 2010년 이후 인터넷 통신 기술의 빠른 발전으로 인해 `미(微)시대(時代)`라고 하는 시기에 진입한다. 웨이보(weibo 微博) 미소설(微小說) 미(微)영화 등 새로운 소비 형식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미(微)영화는 발전된 인터넷 환경과 사람들의 새로운 소비 습관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나타난 새로운 영상 예술 형태이다. 미(微)영화는 중국 웨이보(微博) 같은 사교 웹사이트, 광고회사, 동영상 사이트 등 다방면에서 적용 및 발전하여 신속하게 관객들의 시야에 들어가고 사회 각계각층의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본 논문은 세 개 부분에서 미(微)영화의 미학적 특징을 탐구하고 분석한다. 미(微)영화 통속적인 제재를 선택하고, 포스트모던 서사 스타일을 나타내고, 그리고 클로즈업 장면을 많이 연출하고 망원 렌즈와 몽타주를 이용하는 등의 영화 언어 특징도 가지고 있다. 미(微)영화는 새로운 영상 예술 형태로 간주되는 데, 신속하게 발전함과 동시에 미(微)영화의 개념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내리지 못하고 명확한 예술 평가 기준이 없는 문제점 또한 존재한다. 본 논문은 미(微)영화의 미래 발전에 대한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된다. This report strives to analyze the aesthetics characteristics of Chinese Micro-films. With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Chinese people came into the era of 3G. This is the Chinese Micro-era in which lots of information debris exists into the daily life of Chinese people, such as Micro-blog named Weibo, Micro-fiction, Micro-films and so on. Chinese Micro-film is born with the new media like internet, tablet PC, smart phone and so on. To adapt to the new and quick life way of the modern Chinese, Micro-film is a new type of film art that goes quickly into the vision of Chinese publics and widespread concerned. The research tries to generalize the existing concepts of Chinese Micro-film and strives to generalize the reason for the rising and the development of Chinese Micro-films. On the aesthetics characteristics of Chinese Micro-film mainly including the following aspects: first, the popularization of theme; Secondly, post-modern narrative structure; Thirdly, the style of film"s seeing and hearing language. Finally, the research concludes the diversified values of Chinese Micro-films from three aspects: artistic value, economic value and social and cultural value. And some limitations and prospects of the Chinese Micro-films were summarized.

      • KCI등재

        내러티브와 역사교육

        崔豪根(Choi, Ho-Keun) 역사교육연구회 2013 역사교육 Vol.125 No.-

        The paper is to show the significance of narrative for history education in three points. First, it tries to grasp distinctive characters of historical narrative. Second, it clarifies the structure of historical narrative on the basis of preceding inquiries especially in seventies and eighties of 20th century. Third, it discerns three types of historical narrative and shows various combination of them. The main feature of historical narrative lies in the consciousness of time. Depending on the scope of time historical narrative could be divided in three types: macro, meso, and micro narrative. Macro narrative mainly relies on normative explanation, whereas micro narrative for the most part is based upon intentional explanation. Historical narrative, therefore, should be constructed variously depending on the recipient.

      • KCI등재

        미완의 계몽과 포스트모더니즘 논쟁

        나병철 한국현대문학회 201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6

        This paper attempts to give a new perspective on the realism crisis theory and the postmodernism controversy that developed in the 1990s. In this attempt, the controversy between Paik Nak-chung and Fredric Jameson during those days serves as a critical starting point. Paik Nak-chung advocates on national literature and emphasizes on realism whereas Jameson focuses on the new changes of late capitalism. This paper focuses on Jameson's theory of late capitalism while keeping Paik Nak-chung's advocacy on realism in mind, aiming to go beyond the abstract discussion of the West. In the 1990s, writers came up with a new form of aesthetics that are different from national literature and this may be seen as a response to late capitalism. Here, writers of the 1990s and their new form of aesthetics are interpreted as Korean postmodernism response to the changes of late capitalism. Late capitalism is a system that colonizes the unconscious and nature. Colonization of the unconscious brought about self-impoverishment and Korean postmodernism was the ontological response to that. The results of such self-impoverishment became clear after the IMF crisis, giving rise to a corresponding aesthetic form which was postmodern realism. As reflected in the novels of Park Min-gyu, Choi In-seok and Hwang Sok-yong, this new form of aesthetics shows vivid dynamism that distinguishes it from abstract literature of the West. The focus on postmodern realism covers the controversy between Jameson and Paik, and at the same time, connects the tensions between the micro and grand narratives. Under such a context, this paper examined the possibility of a combination between the incomplete enlightenment and the micro narrative. The grand narrative may never be completed if the intention does not correspond to the result. It was discovered that such grand narratives, on the contrary, do not end, coming back continuously due to its limitation of incompleteness. In order for the uncompleted grand narrative to work, the action of the micro narrative at its limit is more important than arbitrary completeness. The uncompleted grand narrative is revived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micro narrative and this is aptly demonstrated by Korean postmodern realism. 이 글은 1990년대에 전개된 리얼리즘 위기론과 포스트모더니즘 논쟁에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려는 시도이다. 그런 시도를 위해 당시의 백낙청과 프레드릭 제임슨 간의 논쟁은 중요한 단초를 제공한다. 백낙청은 현장성을 강조하며 민족문학을 주장한 반면 제임슨은 후기자본주의의 새로운 변화를 주목하고 있다. 이 글은 제임슨의 후기자본주의론을 중시하는 한편 백낙청의 현장성에도 유념하여 서구의 추상적 논의를 넘어서려 했다. 1990년대 작가들은 민족문학과는 다른 새로운 미학을 보여주었는데 우리는 그것을 후기자본주의에 대한 대응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 글은 1990년대 작가들의 새로운 미학을 후기자본주의의 변화에 대응하는 한국적 포스트모더니즘으로 해석했다. 후기자본주의란 무의식과 자연을 식민화하는 체제이다. 무의식의 식민화는 자아의 빈곤화를 낳았고 그에 대한 존재론적 대응이 한국적 포스트모더니즘이었다. 그런 자아의 빈곤화의 결과는 IMF 이후에 분명해졌는데 그에 대응하는 미학이 바로 포스트모던 리얼리즘이었다. 박민규, 최인석, 황석영의 소설에서 볼 수 있는 이 새로운 미학은 서구의 추상적 문학과 구분되는 생생한 역동성을 드러낸다. 포스트모던 리얼리즘을 주목하는 것은 제임슨과 백낙청의 논쟁을 포괄하는 동시에 대서사와 미시서사의 긴장을 접합시키는 것이다. 그런 맥락에서 이글은 미완의 대서사와 미시서사가 어떻게 결합할 수 있는지 살펴봤다. 의도와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대서사는 항상 미완일 수밖에 없다. 이 글에서는 그런 대서사가 오히려 미완의 한계로 인해 죽지 않고 끝없이 귀환하는 것으로 이해했다. 미완의 대서사가 작동되려면 교의적인 완결성보다는 한계지점에서의 미시서사의 작동이 중요하다. 미시서사의 선차성에 의해 미완의 대서사가 회생하는 것이며 그것을 보여주는 것이 바로 한국형 포스트모던 리얼리즘일 것이다.

      • KCI등재

        <덴동어미화전가>의 중층적 담론 특성에 관한 일고(一考)

        박상영 ( Park Sang-young ) 한민족어문학회 2017 韓民族語文學 Vol.0 No.76

        본 연구는 지금까지 제명이 주는 무게감에 비해 작품 내적 분석이 상대적으로 미흡했다는 문제의식과 함께 <덴동어미화전가>의 중층적 담론 특성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이 작품은 크게 거시구조와 미시 구조로 나뉘는데, 전자는 `화전가` 부분으로 서술자-주체들(화전판에 모인 이들) 간의 관계 성장기를 보여주며, 후자는 `덴동어미 서사` 부분으로 덴동어미 개별 주체의 인생 성장기이다. 먼저 거시구조에서는 화전 놀이판이 등장하는데, 이는 표면상 화합이라는 보편성을, 이면에는 주체들의 개별성을 함의하는 공간이다. 이 놀이판은 처음에 단성성, 거리화된 주체들, 묘사적 풍경이라는 담론 특성을 보여주지만 이후 타자로부터의 자아 발견과 그로 인한 다성성, 대화적 풍경으로 바뀌고, 다시 여럿인 단일 주체, 단성성, 묘사적 풍경이라는 담론 형태로 회귀하는 특징을 보여준다. 이러한 회귀성은 단순히 `전체→부분→전체적 시선`의 변화 혹은 `보편→개별→다시 보편 담론`의 특징을 보여주었다는 점 때문만이 아니라, 꽃화자, 봄춘자 노래를 부르는 과정에서 호명된 주체들 간, 또 호명하는 주체(서술자)와 호명되는 주체들 간의 진정한 경계 허물기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한편 미시구조는 <덴동어미화전가>의 거시 구조에서 발견되는 회귀성을 보다 구체화 하는 기능을 한다. 즉 나(덴동어미)-너(타자들, 남편들) 간의 균열과 그 균열이 봉합되는 세밀한 과정 속에서 덴동어미의 삶은 개가의 측면에서만이 아닌 한 인간의 성장기로서, 주체가 형성되어 가는 과정임을 보여준다. 즉 갓 결혼 당시, 덴동어미는 어린 주체이자 방황하는 주체였다가 이후 실패로 얼룩진 삶들을 살아가면서 점차 삶을 경험하고 알아가는 성장통 앓는 주체로, 귀향하면서부터는 성찰하는 주체이자 성숙된 주체로의 모습을 보여준다. 또 수절을 고집하던 유가적 여성에서 주어진 삶을 살아가려는 현실적 여성으로, 다시 확고한 유가적 이념을 정립해 간 주체로의 회귀적 변모 상을 보여주기도 하며, 이는 성찰적 시선과 더불어 타향→고향으로의 공간 이동과 깊은 관련이 있기도 했다. 즉 현실적 담론이 의미를 갖던 타향에서의 삶을 청산하고 유가적 이념 (상징계적 질서)이 강하게 자리하던 고향으로 돌아오면서, 덴동어미는 마침내 타자의 시선을 의식할 수 있는 주체로 성장해 갔으며, 그 과정에서 인생은 그렇게 유쾌하고도 즐거운 것이 아닐 수 없다는 깨달음을 얻게 된다. 이 깨달음은 한 개인의 서사를 넘어 개가를 고민하던 청춘과부에게로, 나아가 화전판에 모인 다른 여성들, 심지어 오늘날 우리들에게까지도 큰 공명을 준다. 이처럼 한 개인의 성장 서사는 서로 이질적인 주체들이 진정으로 화합되고 하나 되는 공동체의 장(場)을 마련하는 초석이었다는 점에서 치유서사로의 기능도 한 한편, 또 이러한 개인의 삶 풀이는 `화전 놀이판`이었기에 가능했다는 점에서, 미시구조와 거시구조는 상보적인 관계에 놓여 있다. 또한 두 구조 간의 결합은 덴동어미의 `서사`와 화전가의 `서정` 간의 결합인 동시에 나아가 고전시가의 일반적인 장르적, 미학적 문제와도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characteristics of multi-layered discourses in < Dendongeomi-hawjeonga >, with the idea that internal analysis of this was relatively insufficient in compared to the weight of the title so far. This song is divided into two structures, macro and micro. The macro structure is Hwangjeonga part and the micro one is the Dendongeomi`s story part. Th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macro structure, there is Hwangjeon play which people get together and make flower pancakes to have fun. This place implies the universality of coherence on the surface and the individuality of the subjects on the back. In this place, the discourse characteristics such as `a single voice`, `subjects with distances`, `descriptive landscape` are firstly discovered. After that, these change into `the self-discovery from the other`, `polyphony`, `interactive landscape` and then revolves again like the first time. This regression is meaningful because of true borderless between the subjects with distances and `the narrator and the subjects` in the process of singing about flowers and springs. In the micro structure, Dendongeomi`s growth as a subject is discovered. At the first marriage, Dendongeomi is a young and wondering subject with confucian idea but later, she becomes a growing up-subject with the failure of life and finally as a matured subject with confucian ideas like the first time. These are also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 of space, from hometown to other cities and back to hometown. Her life in the other cities is realistic and also women`s remarriage is acceptable there. However, the life in hometown which confucian ideology against women`s remarriage is powerful, are strongly contrasted to those cities. As soon as Dendongeomi comes back home, she is aware of `social look` with reflexive gaze towards herself. It finally brings Dendongeomi`s the enlightenment, `life is so jolly and delightful` and it spreads to the young widow, to other women and even to us today. Like this, the growth narrative of an individual functions as a healing narrative in that it was a foundation that the heterogeneous subjects were truly harmonized and united. And the narration of thess individuals` life is also possible in Hwangjeon play. In this regard, micro and macro structures lie in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interwoven like weft and warp. This is meaningful in that these two structures are the combination of `narrative` centering on the Dendongeomi`s life and `lyricism` revealed in the part of the Hwangjeonga and also connected with the general genre and aesthetic problems of classical poetry.

      • 중국 현대 미디어 아트에 반영된 미시적 서사 -〈RMB City, 2007〉를 중심으로-

        야오쭝빈(Zong-bin Yao),이용설(Yong-seol Lee),이현석(Hyun-Seok Lee)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정보통신학회 여성 ICT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8

        포스트 모던 사상이 중국에 들어오면서, 중국의 사회, 문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젊은 예술가들의 작품 경향은 이전 세대의 예술가들과는 극명한 대조를 이루고 있다. 본 논문은 차오페이(曹斐)의 미디어 아트 <RMB City, 2007>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작품 속 미시적 서사(Micro Narrative)의 특징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중국 현대 미디어 아트 작품은 미시적 서사 측면에서 시대와 사회의 급격한 변화를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s post-modern ideas enter China, the tendency of young artists to work to solve social and cultural problems in China is in stark contrast to that of previous generations.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micro narration in the work with Cao Fei's media art <RMB City, 2007>. This shows that contemporary Chinese media art works reflect the rapid changes in the times and society in terms of micro-description.

      • KCI등재

        초국적 주체와 COVID-19: 유학생의 인종언어 이데올로기 차별경험, 정체성, 그리고 행위주체성

        김정숙(Jung Sook Kim)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21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11 No.2

        이 논문은 COVID-19 팬데믹이 초국적 학생들의 차별경험과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인종언어 이데올로기와 비판적 인종이론에 근거하여, COVID-19 재난 위기에서 유학생들이 겪는 차별양상과 정체성 협상 전략을 포스터모더니즘과 사회구성주의적 관점에서 탐색한다. 자료는 국내 수학 중인 외국인 학생 10명과의 인터뷰를 통해 수집됐으며, 비판적 담론분석과 내러티브 분석이 수행됐다. 연구결과, 팬데믹이 인종화되면서 아시아인이 바이러스로 체화되고, 외국인 학생들이 캠퍼스 안팎에서 다양한 형태의 미세차별(micro-aggression)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팬데믹 완화 조치로 취해진 격리는 이동성을 제한하여 유학생의 초국적 삶의 특색을 상쇄하고 감옥 수감과 유사한 현실을 강제한다. 이런 상황에서 초국적 정체성은 ‘여기도 아니고 저기도 아닌’ 임계적(liminal)이며 림보적 상태에 머문다. 내러티브에 드러난 특징적인 정체성 협상 전략과 행위주체성은 비가시화, 위장, 경계 넘기, 대항적 내러티브 구성 등이다. 대항 내러티브에는, 자신들을 둘러싼 신화, 고정관념과 편견, 차별의 허위성을 드러내는(debunking) 대항적 스토리가 나타난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transnational students’ identities in Korean contexts. Using Critical Race Theory and raciolinguistic ideologies, the study investigates how the pandemic has affected the students’ experiences, and how the students have responded to the challenges to negotiate their identities. A narrative analysis was utilized along with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n the data collected from 10 international students. The students appeared to face subtle forms of micro-aggression against them due to the racialized discourses in which they were widely represented as the virus carriers. The measures taken to flatten the epidemic curve, such as quarantine, resulted in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vulnerabilities similar to those of the imprisoned. The students deployed the strategies of invisibility, dissimulation, crossing, and counter-narratives in response to the raciolinguistic ideologies, crafting their liminal identities as transnational subjects.

      • KCI등재후보

        Objects in the Mirror : Micro-Narrative and Biomorphic Representation in Tarkovsky’s Zerkalo

        Jonathan WRIGHT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2017 탈경계인문학 Vol.10 No.1

        A few of Andrei Tarkovsky’s films have become touchstones for their ecocritical and geographical content, but Mirror (Zerkalo, 1975) has, for the most part, been left out of environmental conversations. From its opening images and lines of dialogue, however, the film maps a number of striking possibilities about the role of landscape and objects in relation to both the human characters and the film audience. Throughout its duration, there can be found sections of film that continue to play after the characters leave the frame. These could be called “empty” frames or “dead” time, but upon closer inspection they reveal themselves to be full of life, movement, and even depict what I call micronarratives, small-scale stories told by objects and environments themselves. These sometimes act in isolation, and other times involve the human figure in decentering ways. Using phenomenology and neo-formalism to investigate a number of moments of divergence from the anthropocentric narrative, I show that the film can be seen to point towards what Adrian Ivakhiv terms a biomorphic perspective that creates rare modes of sight and participation through the involvement and interaction of entities often considered to be within separate categories (e.g. living and nonliving). Tarkovsky leverages cinema’s distinctive combination of image, movement, time, and the illusion of space to allow viewers to notice what might otherwise remain overlooked or invisible. The paper draws on the work of philosophers, film theorists, ecocritics, and Tarkovsky scholars, especially Ivakhiv, Gaston Bachelard, David George Menard, and Tarkovsky’s own writings. “Objects in the Mirror” promotes dialogue between the discourses of ecocinema, landscape, phenomenology, and film theory by demonstrating a cinema’s ability to question the assumed hierarchy of content within the profilmic event.

      • KCI등재

        소설의 언어를 데이터로 읽는다는 것 -‘한국현대문학데이터분석연구’ 강의 사례를 기반으로-

        전성규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科學 Vol.- No.84

        This article discusses the meaning of reading literary texts as data based on the case of a lecture at a semester that explored the research method of digital humanities using Lee In-jik’s “new novel (sinsoseol)” as a target of analysis. Because linguistic processing of literary texts have a narrative characteristic,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same method being applied to non-literary texts to a literary text analysis. Linguistic processing of literature, especially the text of novel, needs to be made not in terms of words or concepts, but at least at the level of verses and between sentences and paragraphs. In this article, I propose to analyze the novel text by segmenting it into semantic units, just as Roland Barthes segmented ‘Sarrasine’ into 561 reading comprehension units in S/Z. Analysis based on semantic units can be divided into metalinguistic data representation and semantic performance data representation. The former conceptualizes semantic units or categorizes them under a specific classification system, contributing to the simplicity and abstract expression of data. However, it is difficult to reflect the chain process of meaning, so it is necessary to follow the plot of the novel and consider the semantic unit as an actual analysis object. That is a semantic performance-based data representation method. The semantic unit of the text is determined by the reader of the text. The extracted semantic unit is further cut into detailed elements that make up the meaning. It is a matter of reframing the network of relationships that form meaning. Because the network of semantic units is expressed as a data set, and the flow of this data set follows the plot of the novel, it shows the different narrative aspects of the novel. Therefore, extracting the semantic unit is also a task that unfolds the researcher’s reading comprehension of the text. In that sense, a semantic performance data representation is a “scriptable” text that Barthes spoke. Segmenting the text and restructuring the relational network by scattering the segmented units are a non-linear reading of the text. Here, the text loses both totality and externality. The image of these texts resembles that of the network. The network has no specific entrance or exit, and the divided units have a fragmented order. However, formality, blockade, clustering, and closure are also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networks. In addition, narrative-based networks have temporality. A network with strong nonlinearity is passive in containing temporality. but I suggest that a little more discussion on the model of the network that reflects the narrative is needed for literary research. 이 글은 이인직 신소설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디지털 인문학의 연구방법을 탐색해 본 한 학기 강의 사례를 기반으로 문학 텍스트를 데이터로읽는다는 것의 의미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문학 텍스트의 언어처리는 내러티브라는 자질 때문에 비문학 텍스트 분석에서 주로 사용되는 ‘단어’ 중심의 언어처리 방법이 적용되기에는 무리가 있다. 문학 특히 소설 텍스트의 언어처리는 단어나 개념 단위가 아니라 적어도 절 이상의 수준, 문장과 문단 사이의 단위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롤랑바르트가 『S/Z』에서 『사라진』을 561개의 독해단위(lexis)로 분절한 것처럼, 소설 텍스트를 의미단위로 분절하여 분석하는 것을 제안해 본다. 의미단위를 기준으로 한 분석은 메타언어적 데이터 표현과 의미 수행적인 데이터 표현으로 나눠서 설명할 수 있다. 메타언어적 데이터 표현은 의미단위를 개념화하거나 특정한 분류체계 아래서 범주화하는 것으로 데이터의 단순성, 추상적 표현에 기여한다. 하지만 의미의 연쇄과정을 반영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소설의 플롯을 따라가며 의미단위를 실제적인 분석 대상으로 간주할 방법이 필요하다. 그것이 의미 수행적인 데이터 표현방법이다. 텍스트의 의미단위는 텍스트를 독해하는 자가 결정한다. 추출된 의미단위는 그 의미를 구성하는 세부요소로 다시 절단된다. 이는 의미를 형성하는 관계망을 다시 짜보는 일이다. 의미단위의 관계망은 데이터 세트로 표현되는데 이 데이터 세트의 흐름은 소설의 플롯을 따라가는 것이지만 주제화되어 있기 때문에 소설이 내포한 다른 서사의 양상을 보여준다. 그러한 의미에서 의미 수행적인 데이터 표현은 바르트가 말한 것과 같이 텍스트를 독자 자신의 텍스트로 재생산하는 “쓰여지는(scriptible)” 텍스트가 된다. 텍스트를 분절하고 분절된 단위를 흩트려 관계망을 다시 짜보는 일은 텍스트를 비선형적으로 독해하는 작업이다. 여기서 텍스트는 총체성도 외부성도 상실한다. 이러한 텍스트의 이미지는 네트워크의 그것과 닮아있다. 네트워크는 들어가는 특정한 입구도 출구도 없으며 쪼개어진 단위들은 파편적 질서를 갖는다. 하지만 형식성, 봉쇄성, 군집성, 폐쇄성 또한 네트워크의 중요한 특징이다. 또한 서사에 기반한 네트워크는 시간성을 띨 필요가 있다. 비선형성이 강한 네트워크는 시간성을 담는 것에는 소극적이지만 문학연구를 위해 서사성을 반영한 네트워크의 모델에 대한 논의가 요청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