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趙元任의 <國語羅馬字 硏究> (2)

        강운화,심소희 중국어문논역학회 2024 中國語文論譯叢刊 Vol.- No.54

        ‘Chinese Pinyin alphabet’ is a Roman alphabet that represents Chinese. The Roman alphabet is the most used in the world, but the phonetic value of the Roman alphabet in each country is different, which can cause Chinese learners to make pronunciation errors. In addition, they recognize the ‘Chinese Pinyin alphabet’ as a ‘phonetic code’ that assists the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causing serious confusion in Chinese learning. Yuen Ren Chao(1892-1982), who played a major role in the enactment of ‘Gwoyeu Romatzyh (國語羅馬字)’ by developing a professional language character theory, described the design principle minutely in his <A Study on Romanization in Mandarin>. Not only ‘Gwoyeu Romatzyh (國語羅馬字)’ but also “Latinized Chinese Character (1931)” and “Chinese Pinyin alphabet (1958)” served as a foundation for designing Chinese-Roman Pinyin. Recognition of the design basic and true nature of <A Study on Romanization in Mandarin> by Yuen Ren Chao is required to understand “Chinese Pinyin alphabet” correctly. “한자가 멸하지 않으면 중국이 망한다(汉字不灭, 中国必亡)”라는 한자에 대한 절체절명의 위기감으로 한자를 폐지하고 한자를 대체하는 표음문자를 모색하였던 시기에, 조원임 본고에서 중국인 인명은 한국한자음(한자)으로 표기하기로 한다. (趙元任, 1892-1982)은 「국어로마자 연구」에서 국어로마자의 특성과 설계 원리에 대해 상세히 서술하고 혁신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후, 그의 주장은 국음자모(제2식)였던 “국어로마자(國語羅馬字)”(1928)의 바탕 이론이 되었고, “라틴화 신문자(拉丁化新文字)”(1931)를 거쳐, “한어병음자모(1958)”의 정서법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물론 조원임이 「국어로마자 연구」에서 제안하였던 내용이 ‘한어병음자모’에 모두 관철되었다고 볼 수는 없지만, 100년 전 조원임이 제안한 ‘국어로마자’의 제정 취지와 정서법이 어떻게 변모하여 ‘한어병음자모’에 구현되었는지, 그 변화 추이를 통하여 ‘한어병음자모’의 설계 원칙과 및 활용 상황을 파악하고 ‘한어병음자모’의 본질을 재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趙元任의 <國語羅馬字 硏究>(1)」에서는 ‘1장 로마자를 반대하는 10가지 질문(反对罗马字的十大疑问)’, ‘2장 국어로마자 초고(国语罗马字的草稿)’이 번역되었는데, 이를 이어서 본고에서는 ‘3장 국어로마자를 설정할 때 주의해야 하는 원칙(凡是拟国语罗马字的应该注意的原则)’, ‘4장 국어로마자에 대한 의문점(关於国语罗马字的未定的疑點)’, ‘5장 국어로마자의 추진 방법(国语罗马字推行底方法)’을 번역하였다.

      • KCI등재

        趙元任의 <國語羅馬字 硏究> (1)

        趙元任(Yuanren Zhao),姜雲和(번역자),沈小喜(번역자) 중국어문논역학회 2023 中國語文論譯叢刊 Vol.- No.53

        ‘한어병음자모’는 중국어를 표기하는 로마자모이다. 로마자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각 국가별 로마자의 음가가 달라서 한국의 중국어 학습자들이 발음 오류를 일으키는 단초가 되기도 할 뿐만 아니라 ‘한어병음자모’를 ‘발음부호’로 오인하여 중국어 학습에 심각한 혼란을 일으키고 있다. 5⋅4 신문화 운동 후, 1923년 ‘국어통일회(國語統一會)’에서 ‘국어로마자철자법연구위원회(國語羅馬字綴字法硏究委員會)’가 조직되었고, 유복(劉復) 조원임(趙元任), 전현동(錢玄同) 여금희(黎錦熙) 등을 중심으로 ‘수인회(數人會)’가 결성되어 “국어로마자병음방식(國語羅馬字拼音方式)”을 만들어 1928년 “국음자모(國音字母第二式)”로 공포하였다. “수인회(數人會)”에서 전문적인 언어 문자 이론을 개진하여 ‘국어로마자(國語羅馬字)’ 제정에 큰 역할을 한 조원임(1892-1982)은 <국어로마자연구>에서 국어로마자의 특성과 설계 원리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하였는데, 그의 주장은 “국어로마자(國語羅馬字)”(1928) 뿐만 아니라 “라틴화 신문자(拉丁化新文字)”(1931)와 “한어병음자모(1958)”에 관철되어 중국어-로마자 병음 설계의 기본 체계로 제공되었다. 그러므로 “한어병음자모”를 올바르게 인식하여 중국어 교수 및 학습에 이바지하기 위해선 조원임의 <국어로마자연구>를 숙지하여 한어병음자모의 설계 원칙과 및 활용 상황을 파악해야 할 것이다. ‘Chinese Pinyin alphabet’ is a Roman alphabet that represents Chinese. The Roman alphabet is the most used in the world, but the phonetic value of the Roman alphabet in each country is different, which can cause Chinese learners to make pronunciation errors. In addition, they recognize the ‘Chinese Pinyin alphabet’ as a ‘phonetic code’ that assists the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causing serious confusion in Chinese learning. After the 5.4 Neo-Cultural Movement, a claim was made to abolish Chinese characters and adopt the Roman alphabet, which has been widely used throughout the world as a font since then. The ‘數人會’ under ‘committee for the study of roman orthography in mandarin(國語羅馬字綴字法硏究委員會)’ was consisted of Liu Fu(劉復, 1878-1960), Chao Yuen Ren(趙元任, 1892—1982), Qian Xuan Tong(錢玄同, 1887—1939), Li Jinxi(黎錦熙, 1890—1978), etc. The ‘數人會’ created the “Romanization of Mandarin(國語羅馬字拼音方式)” and promulgated in 1928 as “Chinese characters(國音字母(第二式)”. Yuen Ren Chao(1892-1982), who played a major role in the enactment of ‘Gwoyeu Romatzyh(國語羅馬字)’ by developing a professional language character theory, described the design principle minutely in his <A Study on Romanization in Mandarin>. Not only ‘Gwoyeu Romatzyh(國語羅馬字)’ but also “Latinized Chinese Character(1931) and “Chinese Pinyin alphabet (1958) served as a foundation for designing Chinese-Roman Pinyin. Recognition of the design basic and true nature of <A Study on Romanization in Mandarin> by Yuen Ren Chao is required to understand “Chinese Pinyin alphabet” correctly.

      • KCI등재

        독일의 언어교육을 통해 본 한자, 한문 교육의 필요성

        홍연옥,박호희 중국어문학회 2024 中國語文學誌 Vol.- No.86

        본 논문에서는 독일에서의 라틴어 교육과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 학습 경향을 통해 현재 대한민국의 한자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라틴어는 서양 사회에서 오랜 기간 공용어로 사용되었으며 오늘날까지 유럽의 언어들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쳐 왔다. 동아시아에서의 한자도 동양의 보편 문화로 사용되어 왔으며 국어의 모습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우리말과 글을 정확히 사용하기 위해 한자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고 본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공교육에서의 한문 교육 축소 경향은 국어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한자 학습을 외면함으로써 현재에는 학생들의 문해력 저하라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다. 독일에서 이루어지는 라틴어 교육과 한국어 교육에서는 해당 언어의 학습을 통해 자신의 모국어와 해당 언어의 언어 문화를 이해하게 됨으로써 인문학적 소양을 높이는 데에 있다. 고전 언어인 라틴어와 현대 외국어인 한국어의 학습은 단지 실용적인 목적을 위한 학습이 아니라 그 언어와 문화, 그것을 누리고 살았던 사람들과 사회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이에 우리의 한자 교육도 국어와 우리의 문화를 살찌우는 동반자의 길로 모색하여야 하며 한자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논쟁보다 학습자에게 유의미한 학습이 되기 위한 한자 교수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더 나아가 한자를 우리 문화의 유산이자 동아시아 역사, 문화의 산물로 인식하고 이를 위한 한자를 매개로 한 과거와의 소통과 동아시아 문화 연구가 한자문화권 연계 학과들에서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implications for the current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South Korea through examining the trends in Latin education and Chinese character learn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n Germany. Latin has been used as a Lingua franca in Western society for a long time and has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European languages to this day. Similarly, the Chinese characters in East Asia are also part of the Eastern universal culture. They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appearance of Korean and require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s in order to use the Language correctly. However, since the 1990s,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public education has been reduced. As a result, there has been a decline in students’ literacy, especially in reading comprehension. This decline is attributed to the neglect of Chinese Characters, which is fundamental to understanding most Korean languages. In Germany, Latin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are aimed at improving humanities knowledge by understanding the language of origin and the language culture through language learning. Learning classical languages such as Latin and modern foreign languages like Korean is not only for practical purposes, but also aims to understand languages and cultures, people living there, and society. Consequently, Chinese Character education should also be considered integral to enrich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fforts should focus on enhancing teaching methods to ensure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for students, rather than debating the necessity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Furthermore, Chinese characters must be recognized as a part of our cultural heritage and as a product of East Asian history and culture. To this end, engagement with the past and the study of East Asian culture through Chinese characters must be actively carried out in the Department related to the Chinese culture area.

      • KCI등재

        한자도 우리 글자인가? -논의의 맥락과 그 의의-

        김영환 ( Kim Yeong-hwa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7 선도문화 Vol.22 No.-

        한자도 우리 글자란 주장은 비교적 최근에 나타난 주장이다. 이 주장은 국문 애호의 흐름이 일자 이에 대항하기 위해 생겨난 주장이다. 전통적으로 한자는 중국 것이기에 숭상되었다. 대중의 통념 속에서 이 두 모순되는 생각이 뒤섞여 있다. 한자도 우리 것이란 생각을 논박할 수 있는 이론적 모델은 기호학에서 찾을 수 있다. 형식적 기호로서의 꼴(형)과 소릿값(음)만 남은 알파벳 낱자들은 국경을 쉽게 넘어 국제적이 된다. 한자를 기호로 보자. 그 기의를 뜻으로, 기표를 시각적 꼴(형)로 본다면 시각적 꼴로서의 한자는 분명 우리 것이 아니다. 한자의 음을 기표로 본다면 한국 한자음은 중국 한자음의 방언적 변이에 해당한다. 한자를 훈독하면, 시각적 기표의 차원에서만 한자는 중국 것이 된다. 한자는 표의 문자여서 국적을 넘어가는 소리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지 않기 때문에 훈독이 가능하다. 뜻으로 읽으면 우리 고유어의 소리와 뜻으로 이해된다. 한국과 일본에서 한자는 성격이 매우 다르다. 한국은 훈독의 전통이 점차 소멸하였다. 한자가 동아시아 세 나라의 공통 글자라거나 우리에게 귀화한 글자라 보는 생각은 근거없는 통념이다. 한자가 우리 것이기에 버려야 한다거나 써야 한다는 주장은 모두 논리적 비약으로서 발생론적 오류를 범하고 있다. 엄격한 중국식 한문 쓰기는 사상의 교조화, 획일화, 문화 유산의 빈곤을 초래하였다. 한자는 뜻이 소리와 함께 가기 때문에 훈독을 하지 않는 한 국경을 넘어가지 못한다. 이 점에서 라틴 알파벳이나 한글과 차이가 크다. It is often said that Chinese characters also belong to Korea. But that is simply false. That assertion is proposed as a important cause against `exclusive use of Korean alphabet`, that has long history of bitter controversy. Reading Chinese characters by their traditional Chinese pronunciation has been prominent in Korea. Sound, shape of Chinse characters in Korea is Sino-centric. Japanese way of using Chinese characters is reading by meaning, omitting Chinse ways of pronunciation, which is practical, popular, quite different from the Korean way. The Korean way of reading Chinese characters are strongly influenced by Confucian tradition, and has strong Sino-centric characteristics, and various harmful consequences in Korean history. So Chinese characters can`t belong to Korea. It can`t be international, quite different from the letters of Latin alphabet. which are signifier without signified. Classical Chinese written by Korean scholars can`t belong to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캘리그라피’ 현상의 서예사적 타당성 고찰

        김희정 동양고전학회 2022 東洋古典硏究 Vol.- No.88

        CIt has been more than 20 years since calligraphy appeared in our society. Compared to the history of Chinese character calligraphy over 2,000 years and the development and refinement of Korean calligraphy over 500 years, calligraphy's artistic experience is insignificant, and it is thought that it has yet to show mature works. However, sometimes it is not without fresh attempts and achievements that are different from traditional calligraphy. Looking back on the history of calligraphy in detail, there have been considerable changes, but it cannot help but admit that it is not enough to adapt to culture and art in the 21st century. Therefore, in this paper, we looked for the possibility of transforming into fresh calligraphy by recalling the 'cagliography phenomenon' that has already occurred and is progressing considerably in a positive manner. First, the phenomenon of calligraphy is deeply related to the trend of postmodernism that respects digital civilization, disintegration, convergence, and individual sensibility. Second, by examining the form of Latin calligraphy for alphabetic characters, which are phonetic symbols similar to Hangul, we examined whether it was possible to benchmark the formative method of Hangul. Third, we looked at the transition process of Chinese characters, the prototype of calligraphy and the model of Hangeul calligraphy, and found similar events to the Korean calligraphy phenomenon in the process, and exemplified works published in the modern era that seem to be related to the calligraphy phenomenon. Fourth, by examining the transition process of Hangul itself and comparing the structure of Hangul itself with the structure of Chinese characters, the weaknesses and tasks of supplementing Hangul calligraphy as a formative art were presented. Fifth, both Chinese character calligraphy and Hangeul calligraphy suggested the necessity of horizontal writing methods in art, as in everyday activities, in order to secure the contemporaryity of art. Calligraphy as a formative art for characters requires securing the autonomy of sculpture based on the premise of character and formability collateral. For this, some readability and formulation are also required. However, if art does not capture the culture and sensibility of the times, its existence itself may be threatened. Calligraphy is digitally literate and postmodernist, which is ‘fashion’ and in the contemporary culture in the soil grew and grew up and think. ‘fashion’ Iran, evidence of practice with evidence of an era gongtonggam. It is these new era of ‘Calligraphy of the status quo’ in terms of a fresh set of calligraphy instant messaging, calling for.

      • KCI등재

        논문(論文) : 국어로마자와 라틴화신문자의 논쟁 양상 분석

        김상원 한국중문학회 2014 中國文學硏究 Vol.0 No.57

        國語羅馬字方案與拉丁化新文字方案不但具有羅馬字母體系, 而且追求要把以漢字爲中心的現存語文體系根本改革的目標. 可是兩個方案對於當前的語文現實具有不同的認識和戰略. 首先, 타們對於全國公用語的必要性表示同感, 可是在建設全國公用語的主次順序和推進方法上顯示出不同的態度. 其次, 타們共同認爲由於聲調是漢語的主要特點之一, 所以漢語평音文字方案應該考慮相應的處理方法, 可是對於"聲調的地位和性質"、"同音異議語處理和聲調表示的關係"、"標準聲調的實質效果"等的問題具有不同的認識. 因此, 兩個方案雖然具有同一的羅馬字母體系和文字改革目標, 然而一直堅持不同的평音文字體系.

      • KCI등재

        논문(論文) : 국어라마자(國語羅馬字) 와 "랍정화신문자(拉丁化新文字)" 의 문자 체계 비교

        김상원 한국중문학회 2015 中國文學硏究 Vol.0 No.58

        20世紀初中國的"國語羅馬字"與"拉丁化新文字"追求了羅馬字母평音文字體系和漢字改革的目標. 可是這兩種평音文字方案對於當前的文化結構與語文現實具有截然不同的認識. 因此, 在羅馬字母的運用上堅持了互相不同的規則. 特別是, 這兩種方案在聲調標記規則和書寫規則上采取了截然不同的方法, 所以除了每個字母的功能和音價以外, 還在字形結構和書寫形式上也顯示出截然不同的樣子. 因此, 不能只有字母體系和文字改革目標的類似性, 把"國語羅馬字"與"拉丁化新文字"當作同一系列的평音文字方案.

      • KCI등재

        새로운 폰트 개발에 의한 효과적인 멀티미디어 콘텐츠 디자인

        문영득(Young-Deuk Moon) 한국정보기술학회 2013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7

        According to develop multimedia contents construction circumstances, the method of font expression on display have developed variously. Fonts of various design have developed for difference contents design of developer and requirement satisfaction of user. On this paper propose the effective method of fonts used web and multimedia satisfied needs of developer and user and method for construction the contents circumstance of good quality. As Korean digital font include Hangul, Latin alpabet and Chinese characters, tend to lack unity, and Hangul and other characters identity are a little ambivalent when they used together.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paper attempts to use same serif and descender shape on Hangul and Latin alphabet design to make unified identity.

      • KCI등재

        1930년대 언어문자관과 라틴화 신문자 방안

        김상원 한국중문학회 2019 中國文學硏究 Vol.0 No.76

        1930년대 라틴화 신문자 방안의 탄생과 추진은 19세기 중엽 이래 어문 구조 전반에서 걸친 변화 추세와 문자개혁론이나 병음문자론과 같은 어문 인식의 심화에 힘입은 것이었다. 첫째, 19세기 중엽 이래 한어의 어휘 구조가 단음절어 중심에서 다음절어 중심으로 변화하고, 한어의 문장 구조가 문언문에서 백화문, 그리고 대중어문으로 변화하고, 한자의 표음 방법이 반절법에서 표음자모법으로 변화하는 추세를 배경으로 창안된 것이었다. 둘째, 문자개혁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기 위해서는 문자의 서사형식뿐만 아니라 한어의 어휘와 어법, 그 안에 담긴 세계관과 문화의식을 개혁하고, 병음문자와 문학의 결합을 통해 독자적인 언어구조와 미적가치를 구현해야 한다는 인식을 배경으로 추진된 것이었다. 셋째, 문자의 의미 생성, 병음문자 ‘자형’의 자격과 역할 등에 대한 인식의 심화와 동음이의자 문제의 중국적 특수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이에 기초한 해결 방안의 제시에 힘입어 추진된 것이었다. 라틴화 신문자 방안은 1930년대 중국 사회가 요구하던 대중들의 문맹 해소와 교육 보급, 한어의 어문 구조와 구성원들의 어문 인식 개혁에 커다란 기여를 했다. 비록 한자를 대체하지는 못했지만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한어병음방안의 창안과 문자개혁 논의, 그리고 20세기말 어문현대화 과정에서 제기된 ‘一語雙文制’ 도입 주장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의미에서 1930년대의 라틴화 신문자 방안은 20세기 중국 어문개혁운동사에서 나름의 독자적인 위상과 역사적 의의를 갖는다. 1930年代的拉丁化新文字方案是在19世紀中葉以來整個語文結構的變化趨勢和語文認識的深化下誕生的。第一,它是在漢語的詞匯結構由單音節語向多音節語轉變,漢語的句子結構由文言文向白話文以及大衆語文轉變,漢字的表音方法由反切法向表音字母法轉變下誕生的。第二,它是在爲了成功地完成文字改革,不僅要改革文字的書寫形式,還要改革漢語的詞匯和語法以及其中蘊含的世界觀和文化意識,而且要通過拼音文字與文學的結合實現獨立的語言結構和美感的認識上推動的。第三,它是在對文字的意義生成結構,拼音文字“字形”的地位和作用的認識深化,中國同音異義字問題的特殊性的新認識以及在此基礎上提出的解決方案上推動的。拉丁化新文字方案爲1930年代中國社會要求的掃盲工作和敎育普及,漢語語文結構和語文認識的改革做出了重大貢獻。雖然它沒有替代漢字,但對中華人民共和國成立后<漢語拼音方案>的創設和文字改革討論以及20世紀末語文現代化過程中提出來的“一語雙文制”主張産生了深遠的影響。從這個意義上說,1930年代的拉丁化新文字方案在20世紀中國語文改革運動史上具有自己的獨特地位和歷史意義。

      • KCI등재

        대중어문 운동과 라틴화 신문자 방안

        김상원 한국중문학회 2013 中國文學硏究 Vol.0 No.51

        大衆語文運動不是爲了書面語的口語化推進的, 而是爲了口頭語的書面化, 就是說爲了實現眞正的文體改革推進的. 因此, 隨着大衆語文運動的發展, 爲了建設大衆“說得出、 聽得憧、 看得明白、 寫得順手”的言語文字, 必須把他們在實際生活中使用的方言和土話, 以평音文字標記的認識深化了. 最初大衆語文運動與拉丁化新文字運動在不同的時期、 不同的社會文化背景上發生的. 可是, 這兩種語文改革運動在普通話的建設和文字改革的具體方法上흔大一部分一致. 因此, 這兩種語文改革運動自然而然地合爲一個語文改革運動. 大衆語文運動的最終目標是使大衆的積極發言和自由寫作在文化生産和溝通中制度化, 以此來全面改革現成的文化結構. 這是大衆語文運動的最大的歷史意義, 倂且是與以前的語文改革運動截然不同的部分.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